KR101805836B1 -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836B1
KR101805836B1 KR1020160044142A KR20160044142A KR101805836B1 KR 101805836 B1 KR101805836 B1 KR 101805836B1 KR 1020160044142 A KR1020160044142 A KR 1020160044142A KR 20160044142 A KR20160044142 A KR 20160044142A KR 101805836 B1 KR101805836 B1 KR 10180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smetic composition
water
present
lay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6425A (en
Inventor
정한샘
윤일기
김정훈
이인호
정원욱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4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836B1/en
Publication of KR2017011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8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에 의해 오일 입자가 미세하게 분산되고 점증된 수상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며 사용 후에 정치할 경우 다시 층상 구조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점증제를 통해 분리속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점도 조정된 내용물을 혼합 후 펌프 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I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particles are finely dispersed by gentle shaking to maintain a uniformly dispersed state by the progressive water phas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an be separated into a layered structure again after standing after use.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rate is adjusted through the thickening agent, the viscosity-adjusted contents can be mixed and used after the mix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consumer.

Description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점증 시스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viscous multi-

본 발명은 분리된 수상층과 유상층을 가지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isolated water layer and an oily layer.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액체를 혼합하면 섞이거나 분리가 일어난다. 예를 들면, 물과 기름을 혼합하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이 아래로 가라앉아 하층부를 형성하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름은 위로 뜨게 되어 상층부를 형성하게 되며, 물과 에칠알코올을 섞으면 둘은 혼합이 된다. 이러한 혼합과 분리는 액체간의 상용성에 기인하는데, 서로 상용성이 높은 것끼리 혼합되면 서로 섞이고 상용성이 낮으면 분리가 일어난다.In general, when mixing different liquids, they mix or separate. For example, when water and oil are mixed, 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falls down to form a lower layer, and oil having a relatively low specific gravity floats up to form an upper layer. When water and ethyl alcohol are mixed, Mixed. This mixing and separation is caused by the compatibility of the liquids, and when they are mixed with one another, they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compatibility is low, separation occurs.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2~3층으로 분리된 화장품으로 출시된 제품은 많이 있으나 이를 단순히 알코올과 염을 용해하여 상용성을 낮추어 층을 분리(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2465호)하거나, 오일과 수층으로 단순히 나누어 분리하거나, 다양한 용매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층을 분리하는 화장품이 출시되어 있다.There are many products released as cosmetics separated into two or three layers by using such properties, but they are merely dissolving alcohol and salts to lower the compatibility and separating the layer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2465) And a water layer, or separating the layer by the difference in density of various solvents.

일반적으로 2층 구조의 화장료는 상층에 가벼운 실리콘오일, 하층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3층 구조의 화장료는 상층에 오일, 중간층에 오일 또는 물, 하층에는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페이셜, 바디, 헤어 제품 등 다양하게 제품화되고 있다.Generally, the two-layer cosmetic composition is made up of light silicone oil on the upper layer and water on the lower layer. The three-layer cosmetic composition is made up of oil on the upper layer, oil or water on the middle layer and water on the lower layer. Various cosmetic, body and hair products .

이러한 층상 화장품 제형의 장점은 정적인 상태에서는 시각적으로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제형이라는 점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유화 제품과 달리 유화제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피부에 안정하고 사용감 조정의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advantage of such a layered cosmetic formulation is that it can visually appeal to the consumer that it is a differentiated formulation in a static state, and unlike an emulsifying product, the amount of emulsifying agent can be minimized, Have.

한편, 오일과 물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용성이 나쁜 액체로만 이루어진 층상 구조의 화장료는 사용시 흔들었을 경우, 각각의 분리되는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려 균질한 혼합물을 제공하기 어렵고 각 액체가 물방울(droplet) 상태로 쪼개져서 섞이긴 하나 고르게 섞이지 못하여 각 층의 성분들을 소비자가 고르게 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분리속도를 조절하는 경우 자극, 알러지 등에 대한 이슈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yered cosmetic material consisting solely of oil and water or having a poor compatibility is difficult to provide a homogeneous mixture because the separation speed of each of them is too fast or too slow, But it can not be mixed evenly, so that consumers can not take the ingredients of each layer even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of irritation and allergies when controlling the separation rate using a surfacta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4086호Korean Patent No. 10-144408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리된 수상층과 유상층을 가지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각 상의 분리속도를 조절하여 우수한 혼합성 및 다층 분리성을 가지고 종래의 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인 균질한 혼합물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층 분리가 선명하지 못한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separated water phase layer and an oil phase layer by controlling the separation rate of each phase to provide a homogeneous mixture And the layer separation is not clea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상층; 및 상기 수상층과 분리된 하나 이상의 유상층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t least one oil-phase layer separated from the water-absorbing layer, wherein the water-absorbing layer comprises an aging agent.

본 발명에서 상기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단일상의 에멀젼(emulsion)이 아닌 두 개 이상의 섞이지 않는 성분으로 인하여 성분들이 층을 이루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층; 및 상기 수상층과 분리된 하나 이상의 유상층을 포함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층 또는 3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상층 및 유상층은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서 그 층의 순서가 변동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refers to a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the components are layered by two or more nonmixing components rather than a single-phase emulsio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queous phase layer; And one or more oil-phase layers separated from the water-receiving layer, and may be separated into two or three layers. At this time, the order of the layer and the oil phase layer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이러한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정적인 상태에서 수상층 및 유상층은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사용시에는 흔들어서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된 제품을 흔들고 나서 뚜껑을 열어 피부에 적용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분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에 적당한 점도를 가지고 있어야 제형에 포함되어 사용시 손에 따로 덜어 사용할 필요없이 펌프(pump) 등을 이용해 원하는 부위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In such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the water-soluble layer and the oil-based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ic state, but they must be dispersed uniformly by shaking at the time of use. In general, a consumer must be able to stably and uniformly disperse the product containing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a time longer than the time taken to shake the product and apply it to the skin by opening the lid. That is, when using a product containing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a desired site by using a pump or the like, without having to use a suitable viscosity for use so that it is included in a formulation and is not used separately in a hand in use.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시간이 짧은 경우, 겉보기엔 섞여 있는 것으로 보여도 전반적으로 불균일하게 혼합되어 사용하기 어렵다. 분리 시간이 5분 이내로 짧은 경우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시 윗층이 아래층에 비해 빠르게 소모되며, 이에 따라 점점 윗층과 아래층의 비율이 달라지게 되어 결국 가장 아래층만이 남게되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paration time is short, it is difficult to use the mixture unevenly even though the mixture is apparently mixed. When the separation time is shorter than 5 minutes, the mixing is not uniformly performed, so that the upper layer is consumed faster than the lower layer when used, so that the ratio of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is gradually changed. As a result, Can not be achiev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분리 시간"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 후 정치하여 완전히 별개의 층으로 나누어지는 시간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separation time" refers to the time at which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is mixed and then divided into completely separate layers.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분리 시간이 5 내지 30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분일 수 있다. 분리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시 윗층이 아래층에 비해 빠르게 소모되며, 이에 따라 점점 윗층과 아래층의 비율이 달라지게 되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분리 시간이 30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시 문제가 되지는 않으나 층상 화장료로서 시각적 미감을 느끼기 어려우므로 층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가치가 떨어진다.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eparation time of 5 to 30 minutes, preferably 5 to 20 minutes. When the separation time is less than 5 minutes, the mixing is not uniformly performed, so that the upper layer is consumed faster than the lower layer during use. As a result, the ratio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gradually changes, If the time exceeds 30 minutes, it is not a problem in use, but it is difficult to feel a visual aesthetic as a layered cosmetic, which is of value as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최적의 분리 시간을 갖기 때문에 시각적 미감 또한 느낄 수 있다.That is, since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timal separation time, visual aesthetics can be felt.

종래 분리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였으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 피부 알러지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사용시 흔든 후에 손에 따로 덜어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층에 점증제를 포함시켜 분리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점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적절한 분리속도 및 점도를 갖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Conventionally, surfactants have been used to adjust the separation rate. However, when a surfactant is used, skin irritation and skin allergies may occur. In addition, since the viscosity is low,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appropriate separation rate and viscosity can be obtained by discovering that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can contain a thickening agent to adjust the separation rate and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층은 일반적으로 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에 따라서 그 층의 순서가 변동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receiving layer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but the order of the layer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층은 점증제를 포함 해야한다. 본 발명의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층은 점증제를 포함하여 적절한 분리속도를 갖게 되어 균질하게 혼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점도를 갖게 되어 균질하게 혼합된 상태에서도 원하는 적용 부위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aqueous phase layer should contain an aging agent. I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water-repellent layer contains an agglomerating agent and has a proper separation rate, has a homogeneous mixing property,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and is easily applied to a desired application site even in a homogeneous mixed state Do.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증제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중화가 필요없는 중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잔탄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thickene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additive that does not use a neutralizing agent that does not require any neutralization, and includes,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m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Cellulose acetat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xanthan gum, sodium polyacrylate,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 vpicopolymer sodium acrylate / 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 bee Ness-25 methacrylate crosspolymer and polyacrylate crosspolymer-11.

특히, 본 발명자들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별도의 중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혼합성 및 다층 분리성을 평가하여 우수한 혼합성을 가지고 정치시 다시 다층으로 정확히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점증제를 수상층에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은 혼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is prepared using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or sodium polyacrylate without using a neutralizing agent to evaluate the mixing property and the multi-layer separability,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which does not contain the thickening agent in the image-receiving layer is significantly poor in the mixing property, and more preferably,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or sodium polyacrylate can be used.

따라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중화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화제가 필요한 점증제(예를 들어, 카보머, 카보폴 940, 카보폴 941, 아쿠펙 HV-505E, 아쿠펙 HV-501, 아쿠펙 HV-504 등)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감이 뚝뚝 끊어지는 사용감으로 나타나는 등 연속적인 사용감을 느끼기 어려우며, 화장료 조성물 혼합시 균일 혼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용어,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중량%, 즉,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중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점증제를 사용하여 우수한 층상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refore, preferably,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a neutralizing agent. If you use a thickener that requires a neutralizing agent (for example, carbomer, carbopol 940, carbopol 941, acupect HV-505E, acupect HV-501, acupect HV-504, etc.) , And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mix the cosmetic composition when mixing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term "substantially free" includes less than 5 wt%, less than 3 wt%, less than 1 wt%, preferably less than 0.5 wt%, more preferably less than 0.1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 And most preferably 0% by weight, i.e., does not include at all. Therefore,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it can exert its effect as an excellent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by using a thickening agent without using a neutralizing agent.

상기 점증제는 수상층의 원하는 점도에 따라 그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범위 내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혼합성 및 다층 분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content of the thickening agent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desired viscosity of the water-absorbing layer. The content of the thickening agent may be 0.01 to 3% by weight, preferably 0.05 to 2%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By weight to 1% by weigh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firmed that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mixing properties and multilayer separability when it contains an aging agent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층의 점도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경우 균일하게 혼합되며 분리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기 점증제를 적절한 점도를 나타내도록 첨가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도는 브룩필드(Brookfield RVDV-III) 점도계 스핀들(Spindle) #3를 사용하여 25℃에서 시료를 적치하여 30rpm으로 1분간 측정한 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층의 점도는 50 내지 10000 cps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0 cps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0 cps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is mixed with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the viscosity of the aqueous layer composition is uniformly mixed and affects the separation rate. Therefore, the viscosity agent should be added so as to exhibit an appropriate viscosity. The visc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scosity measured at 30 rpm for 1 minute by placing a sample at 25 캜 using a Brookfield RVDV-III viscometer spindle #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of the image receiving layer may be 50 to 10000 cps, preferably 50 to 4000 cps, and more preferably 50 to 3500 cp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층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상층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제형 내의 점증된 비율이 낮아 분리속도가 빨라져 균질하게 혼합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receiving lay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90% by weight, preferably 1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When the water-soluble lay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 increased proportion in the formulation is low, so that the separation rate is increased and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mix.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층은 상기 점증제 이외에 물 또는 물에 섞이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에 섞이는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상층은 물(정제수),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솔비톨, 자일리톨 등), 물과 섞이는 용액(예를 들어, 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 킬레이팅제(EDTA-3Na 등), 수용성 색소, 다당류(베타-글루칸, 바이오사카라이드검 등), 전해질(NaCl, MgSO4 등), 방부제(페녹시에탄올 등), 각종 수용성 추출물, 발효물 또는 기능성 물질(L-하이드록시프롤린, 니코틴아마이드 등) 등의 물과 섞이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 적합하며 수상층에 적합한 물질이라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물에 섞이는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다층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soluble layer may contain water or a component that is mixed with water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thickening agent, and the component to be mixed with water is not limited to any substance that can be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the water-repellent layer can be formed by mixing water (purified water), a polyol (e.g., glycerin, 1,2-hexanediol, sorbitol, xylitol, etc.), a solution (e.g., alcohol, (NaCl, MgSO 4, etc.), antiseptic agents (eg, polyoxyethylene, prop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the like), chelating agents (EDTA-3Na and the like), water-soluble dyes, polysaccharides (such as beta-glucan and biosaccharide gum) But are not limited to, water-soluble extracts, fermented products or functional substances (L-hydroxyproline, nicotinamide, etc.), and the like. And suitable materials for the receiving layer. At this time, the water-miscible ingredients are contained to such an extent as not to inhibit the multilayer formation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층상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를 발휘하며, 층상 구조의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고 적절한 점도를 가지고 있어 사용상 편리함까지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characterized by being substantially free of a surfactant.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an effect as an excellent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without containing a surfactant, and can provide uniformity of layered structure and has a suitable viscosity, thus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 3 중량% 미만, 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중량%, 즉,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를 수상층에 포함하는 것만으로 종래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우수한 층상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ubstantially free" means less than 5 wt%, less than 3 wt%, less than 1 wt%, preferably less than 0.5 wt%, more preferably less than 0.1 wt% %, And most preferably 0% by weight, i.e., does not include at all. Therefore,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it can exert its effect as an excellent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without containing a surfactant used in a conventional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merely by containing an aging agent in the layer.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상층과 분리된 하나 이상의 유상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유상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il-phase layers separated from the water-based layer, and may include, but not limited to, preferably one or two oil-rich layers.

상기 유상층은 오일 또는 유상층에 섞이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 및 유상층에 섞이는 성분들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용한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oil phase layer may contain a component that is mixed with the oil or oil phase layer, and the components that are mixed with the oil phase and the oil phase layer may be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유상층은 층상 구조에 따라서 에스터계 오일,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C12-15알킬옥타노에이트, 미리스틸락테이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C12-C13)알킬말레이트, 미리스틸락테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디이소테아릴말레이트, 펜타에리스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디글리세릴 트리이소테아레이트(diglyceryl triisostearate) 등;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호호바 오일, 캐스터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라벤더 오일 등; 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페닐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메칠크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과 상용성이 좋은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수상층을 포함하여 2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비중을 갖도록 설계하여 수상층을 포함하여 3층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이외에 유상층에 섞이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드롤, 토코페롤 또는 레티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용한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상층에 섞이는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다층 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phase layer may contain, in accordance with the layered structure, an ester-based oil such as dipentaerythritol hexa C5-9 acid ester, C12-15 alkyl octanoate, myristyl lactate, cetyl hexanoate, (C12-C13) alkyl maleate, myristyl lactate, 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di (C12-C13) alkyl maleate, stearyl maleate, Pentaerythritol tetraethyl hexanoate, diglyceryl triisostearate, and the like;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grape seed oil, macadamia oil, jojoba oil, castor oil, sunflower seed oil, lavender oil and the like; Silicone oils such as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cycloheptasiloxane, cyclomethicone, cyclophenylmethicone, cyclotetrasiloxane, cyclotrisiloxane, dimethicone, dimethicone, phenylmethicone, trifluoropropyl Methicone, methylcytrimethicone, phenyltrimethic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When silicone oil having good compatibility with ester oil or vegetable oil is used, the silicone oil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including a water-repellent layer. In the case of using dimethicone, dimethicone, etc., Layer structure including a water-repellent lay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il, the oil-containing layer may contain,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sheep roll, tocopherol, or retinol, and may be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t this time, the component mixed in the oil phase layer is included to such an extent as not to inhibit the multilayer formation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상층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y lay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90% by weight, preferably 2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이 3층상 구조를 가지는 경우 중간층을 구성하는 오일로는 실리콘 오일,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 또는 디메치콘올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 또는 9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외관상으로 수상층을 포함하여 3층상 구조로 보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layered structure, a silicone oil, preferably dimethicone or dimethicone, may be used as the oil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licone oi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silicone oil is less than 5% by weight or more than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silicone oil is difficult to be visually seen as a three-layered structure including an aqueous phase lay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수상층, 유상층 및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0.05 내지 10 : 0.0001 내지 0.03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0.1 내지 5 : 0.0005 내지 0.01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2 : 0.001 내지 0.01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중량비의 수상층, 유상층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혼합성 및 다층 분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the oily layer and the thickening agent may be 1: 0.05 to 10: 0.0001 to 0.03, preferably 1: 0.1 to 5: 0.0005 to 0.01 , More preferably from 1: 0.5 to 2: 0.001 to 0.01.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firmed that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mixing properties and multilayer separability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weight layer of the water phase layer, the oil phase layer and the thickener is co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오일, 영양오일, 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다층상 구조로 구현이 가능한 화장료라면 제형화가 가능하다.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fo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lotion, a nutritional lotion, an essence, an oil, a nutritional oil, a cream, a nutritional cream, a massage cream, And can be formulated if it is a cosmetic material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ulti-layer structure.

특히, 종래 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여 점도가 떨어져 적용을 원하는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손에 따로 덜어낸 후 사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적절한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되는 경우 펌프 등을 이용하여 적용을 원하는 부위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여 소비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it has been common to use a surfactant or the like in order to apply it to a skin to be applied with a reduced viscosity, and then to use it separately in a hand. However,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For example, when it is formulated with cream or the like,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a site desired to be applied using a pump or the like, thus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에 의해 오일 입자가 미세하게 분산되고 점증된 수상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며 사용 후에 정치할 경우 다시 층상 구조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점증제를 통해 분리속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점도 조정된 내용물을 혼합 후 펌프 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particles are finely dispersed by gentle shaking to maintain a uniformly dispersed state by the progressive water phas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an be separated into a layered structure again after standing after use. 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rate is adjusted through the thickening agent, the viscosity-adjusted contents can be mixed and used after the mix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consumer.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의Comparative example 제조 Produce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2층상(2-layer)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2-layer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원료명
(단위: 중량%)
Raw material name
(Unit: wt%)
실시예 1-1Example 1-1 실시예 1-2Examples 1-2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상층부Upper layer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1010 1010 1010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2020 2020 2020 디메치콘Dimethicone 55 55 55 하층부Lower layer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0.20.2 00 0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00 0.20.2 00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iodide 0.050.05 0.050.05 0.050.05 글리세린glycerin 66 66 66 에탄올ethanol 88 88 88 점도(cps)Viscosity (cps) 100100 560560 2020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3층상(3-layer)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three-layer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s shown in Table 2 below.

구분division 원료명
(단위: 중량%)
Raw material name
(Unit: wt%)
실시예 2-1Example 2-1 실시예 2-2Example 2-2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상층부Upper layer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1414 1414 1414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 / caprate 1010 1010 1010 중층부Middle layer portion 디메치콘Dimethicone 2424 2424 2424 하층부Lower layer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To 100To 100 To 100To 100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0.20.2 00 0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00 0.20.2 00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iodide 0.050.05 0.050.05 0.050.05 글리세린glycerin 66 66 66 에탄올ethanol 88 88 88 점도(cps)Viscosity (cps) 9595 880880 454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제형 비교 1: Comparison of formulations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다층 제형으로서 제품화가 가능한지 균질한 혼합 및 층 분리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e homogeneous mixing and layer separation of the composition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the form of a multilayer formul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하기 항목 중 "혼합성"은 조성물을 10회 충분히 흔든 후에 균일하게 혼합되었는지 여부를 토대로 평가하였으며, "다층 분리성"은 선명하게 분리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평가하였다."Mixability" of the following items was evaluat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composition was homogeneously blended 10 times after shaking sufficiently, and "multi-layer separability" was evaluated based on whether or not it was clearly separated.

구분division 분리 시간(분)Separation time (minutes) 혼합성Mixability 다층 분리성Multi-layer separability 실시예 1-1Example 1-1 1212 OO MM 실시예 1-2Examples 1-2 88 OO MM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22 XX MM 실시예 2-1Example 2-1 1515 OO MM 실시예 2-2Example 2-2 1010 OO MM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44 XX MM O: 균일한 혼합, X: 불균일한 혼합, M: 분리정도 양호, N: 분리 정도 부족O: uniform mixing, X: uneven mixing, M: good separation, N: insufficient separation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은 혼합성이 우수하였고, 혼합 후 정치시 다층으로 정확히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xcellent in mixing property and was accurately separated into multiple layers at the time of post-mixing.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1, 2-1의 경우에는 혼합 후 정치시 다층으로 정확히 분리되는 것은 우수하였으나 10회 충분히 흔든 후에도 조성물의 균일 혼합이 어렵고 충분히 혼합되기 전부터 분리가 일어나 제형을 균질하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1 and 2-1, it was excellent that they were accurately separated into multiple layers upon standing after mixing, but it was difficult to uniformly mix the composition even after 10 times shaking, It is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시간이 짧은 경우, 겉보기엔 섞여 있는 것으로 보여도 전반적으로 불균일하게 혼합되어 사용하기 어려우며, 이는 혼합성 항목 평가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분리 시간이 5분 이내로 짧은 경우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시 윗층이 아래층에 비해 빠르게 소모되며, 이에 따라 점점 윗층과 아래층의 비율이 달라지게 되어 결국 가장 아래층만이 남게되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eparation time is short, it is difficult to use the mixture unevenly even though it appears to be mixed in appearance, as shown in the mixing item evaluation. When the separation time is shorter than 5 minutes, the mixing is not uniformly performed, so that the upper layer is consumed faster than the lower layer when used, so that the ratio of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is gradually changed. As a result, Can not be achieved.

따라서, 비교예 1-1 및 2-1의 경우에는 분리 시간이 5분 이내로 짧아 다층 화장품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1 and 2-1, it wa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time was as short as 5 minutes or less, which is inappropriate for use as a multilayered cosmetic product.

Claims (6)

수상층; 및
상기 수상층과 분리된 하나 이상의 유상층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층의 점도는 50 내지 1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
An aqueous phase layer; And
And a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il-phase layer separated from the water-repellent layer,
Wherein the aqueous phase layer comprises a thickener,
Wherein the water-repellent layer has a viscosity of 50 to 10000 cp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잔탄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en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cellulose, hydroxym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xanthan gum, sodium polyacrylate,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 vpicopolymer sodium acrylate / behenes- 25 methacrylate crosspolymer,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 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 and polyacrylate crosspolymer-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en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은 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repellent lay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yered cosmetic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 유상층 및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0.05 내지 10 : 0.0001 내지 0.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water-soluble layer, the oily layer and the thickening agent is 1: 0.05 to 10: 0.0001 to 0.03.
KR1020160044142A 2016-04-11 2016-04-11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KR101805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42A KR101805836B1 (en) 2016-04-11 2016-04-11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42A KR101805836B1 (en) 2016-04-11 2016-04-11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25A KR20170116425A (en) 2017-10-19
KR101805836B1 true KR101805836B1 (en) 2017-12-07

Family

ID=6029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142A KR101805836B1 (en) 2016-04-11 2016-04-11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83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25A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3053B1 (en) Multi-layered cosmetic composition
KR101663141B1 (en)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07893B1 (en) Oil-in water emulsion type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spraying
KR101521265B1 (en) Cleansing composition in the form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gel
KR20180003081A (en) Spray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igh content of oil-soluble ingredients
KR101619428B1 (en) Oily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 absorbing material
CN102573763A (en) O/W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dosage form stability
KR20090004050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having 4 layer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208634A (en) Multilayer cosmetic
KR20090004048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having 3 layer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08978B1 (en) Water-in-Oil Type Emulsion Found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tearoyl Inulin
KR102625672B1 (en) Tint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ig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05836B1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iscous multi-layer system
JP2023074492A (en) Oil-in-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visible oil particles
JP2006241113A (en) Oil-in-water type emulsified composition and cosmetic
KR102063179B1 (en) cleansing cosmetic's composition
JP5006115B2 (en) Double layer nail treatment cosmetic
JP7337367B2 (en) cleansing cosmetics
KR102032785B1 (en) layered cosmetic product comprising fluorine oil
JP2013139411A (en) Transparent double-layer cleansing cosmetic
KR20180017722A (en) Body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high content of oil
KR101490833B1 (en) Cleans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mer matrix including carbonated water
CN107614551A (en) Copolymer
KR101812335B1 (en) Emulsified composition
KR102152288B1 (en) W/O make-up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