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08B1 -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08B1
KR101805008B1 KR1020140011536A KR20140011536A KR101805008B1 KR 101805008 B1 KR101805008 B1 KR 101805008B1 KR 1020140011536 A KR1020140011536 A KR 1020140011536A KR 20140011536 A KR20140011536 A KR 20140011536A KR 101805008 B1 KR101805008 B1 KR 10180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er
call waiting
transmitt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642A (ko
Inventor
노해강
양우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를 개시한다. 상기 서버는,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호 요청 확인부;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DURING CALL LINKING}
본 명세서는 통화 대기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의 통화 시도 후 착신자와 연결되기까지의 시간 중에 발신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고, 그 결과 생성된 컨텐츠를 착신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은 개인이 직접 휴대하고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 단말에 호 접속 요청 시에, 이동통신망의 교환국에서는 착신 단말에는 착신링 신호를 제공하고, 발신 단말에는 착신 단말과의 호 접속 과정이 진행 중임을 알리기 위한 링백톤(Ring Back Tone)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종래의 경우 일정한 기계음으로 구성되는 링백톤 신호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였으나, 새로운 부가서비스로써 다양한 음원을 포함하는 링백톤 신호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화연결음 서비스라고 칭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화연결음 서비스는 통화 대기 시간에 발신 단말에 음원을 제공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함과 동시에, 착신 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 단말 사용자의 자기 표현 수단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AV 기능과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현재의 상황에서는 사용자에게 통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제공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본 명세서는 통화대기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신자의 통화 시도 후 착신자와 연결되기까지의 시간 중에 발신자 단말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고, 그 결과 생성된 컨텐츠를 착신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호 요청 확인부;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조건은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 상기 발신자 단말의 사양 및 상기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및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진을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GPS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통화대기 시간 중에 구동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를 조회하여 제어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통화대기 시간 중에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탑재된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부;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자 단말과의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구동된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통화대기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어조건은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 상기 발신자 단말의 사양 및 상기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및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진을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GPS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화대기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와;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탑재된 기능의 구동하고,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화대기 서비스 시스템이 통화대기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탑재된 기능의 구동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통화대기 중 발신자 단말의 제어를 통해 착신자에게 부가 정보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발신자와 착신자에게 새로운 흥미와 정보를 주는 서비스 모델을 보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연결음 서비스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10)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20)의 번호를 입력하여 음성 또는 영상통화를 시도하면, 발신 단말(10)는 이동통신망(40)으로 호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11). 이동통신망(40)에 마련된 교환기에서는 착신 단말(20)로 착신링을 전송하고(S12), 통화연결음 서비스 서버(30)에 통화연결음 제공을 요청한다(S13).
통화연결음 서비스 서버(30)는 해당 착신 단말(20) 가입자가 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 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4),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통화연결음 전송 서비스를 일시 정지한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망(40)으로 전송하고(S15), 이동통신망(40)의 교환기에서 발신 단말(10)로 링백톤 신호를 전송한다(S16).
착신 단말(20) 가입자가 통화연결음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가입된 경우 착신 단말(20) 가입자에 의해 설정한 통화연결음 데이터를 이동통신망(40)을 통해 발신 단말(10)로 전송한다(S17, S18).
착신 단말(20)에 대한 착신링의 전송과, 발신 단말(10)에 대한 통화연결음 데이터의 전송은 착신 단말(20)가 호 요청을 수락할 때까지 지속되며, 착신 단말(20)는 통화연결음 데이터를 출력한다(S19).
착신 단말(20)의 사용자가 호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S20),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이 이동통신망을 거쳐 발신 단말로 전송되고(S21, S22), 이에 따라 발신 단말(10)와 착신 단말(20) 간에 호가 연결되며, 착신링과 통화연결음 음원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다(S23).
이와 같은 종래 기술로 착신 단말 사용자가 지정한 음원, 음성 등을 발신 단말에 제공 하였으나,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AV 기능과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현재의 상황에서는 사용자에게 통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제공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의 통화 패턴 및/또는 친소 관계에 따라 발신 단말에 유용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안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단말(10, 20),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 통신망(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10, 20)는 고정 또는 이동형 단말로서, 통신망(200)에 접속하여 발/착신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 20)는 상기 통신망(200)을 통해 음성, 데이터,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 20)는 상기 통신망(20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통화연결 대기시간 중에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발신자의 통화 시도 후 착신자 단말(20)와 연결되기까지의 시간(통화대기 시간 또는 착신대기 시간) 중에 발신자 단말(10)에 탑재된 기능(카메라, GPS 등)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제어하여, 그 결과 생성된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등의 컨텐츠를 착신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발신자가 개인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착신자에게 제공하게끔 함으로써, 발신자는 통화연결 대기시간을 지루하게 보내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착신자는 전화번호 이외에도 발신자에 대한 다채로운 정보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통화대기 시간 중에서도 발신자와 착신자는 기존에 기대할 수 없었던 흥미요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망(200)은 교환기 등을 구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상기 단말(1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10)로부터 발신 시도를 수신하면 해당 호 처리를 수행하며, 특히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와 연동하여 발신자 단말(10)이 생성한 컨텐츠를 착신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발신자(A)가 단말(10)를 이용하여 착신자(B)의 단말(20)로 전화를 걸면,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인지한다. 즉,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연동되어 있는 통신망(200) 내의 장비(예: 교환기)로부터 A가 B에게 발신 통화를 시도했다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상황을 인지한다.
이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발신자 단말(10)에 탑재된 기능을 구동한다. 즉,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발신자 단말(10)에 탑재된 기능을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특정 기능이 시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은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를 위한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로 특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단말의 여러 기능 중에 몇몇 기능만을 지정하여 통화대기 중 제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조건은,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친밀도, 발신자 단말의 사양(예: OS 종류, 단말 기종, 카메라 탑재 여부, 카메라 성능, GPS 지원 가부 등),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제어허용 기능/착신자/횟수/시간대 등)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통화 횟수와 통화 시간에 가중치를 다르게 두어 상기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통화 횟수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통화 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통화시간이 나타나더라도 더 자주 전화를 걸어온 발신자가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다. 반대로 통화 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통화 횟수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평균 통화시간이 큰 발신자가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통화 시간의 평균 및 편차에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편차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편차 값에 반비례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같은 통화 횟수 및 총 통화시간이 집계되더라도, 더 일정한 통화 시간을 보이는 경우에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최근 통화 이력에 더 큰 가중치를 두어 상기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제1 기간(예: 최근 1개월)에서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에, 기 설정된 제2 기간(예: 최근 2개월~4개월)에서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보다 큰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같은 통화 횟수 및 총 통화시간이 집계되더라도, 더 최근에 통화 이력이 있는 경우가 더 큰 친밀도를 나타낸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발신자 별 통화대기 중 구동기능 정보는 저장부(DB)에 저장되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통화대기 중 단말제어 시에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제어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의 기능제어는, 발신자 단말의 기능부(전면/후면 카메라, GPS 모듈 등) 또는 애플리케이션(사진앨범 등)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제어는 해당 기능부 또는 앱의 실행, 종료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해당 기능의 실행으로 생성/선택된 컨텐츠를 발신자 단말-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간에 형성된 채널(기 형성된 통화채널 또는 새로 정의된 채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한 예로, 카메라 모듈의 구동을 설명한다.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어신호(카메라 기능 동작)을 수신한 발신자 단말(10)는 (사용자가 기능 버튼을 조작한 것처럼) 카메라 기능을 구동하고, 디스플레이에 촬영 화면 및 동작 메뉴를 표시한다.
만약, 상기 제어신호가 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발신자 단말은 전면부 카메라를 구동하여 마치 단말 화면이 거울인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에 ‘거울’앱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신호로 ‘거울’앱의 구동을 지시함으로써 동일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통해 발신자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카메라 뷰 화면의 확대, 정지, 저장 등의 기능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때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신자 단말은 화면 일 부분에 통화대기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대기시간 등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비슷하게 상기 제어신호가 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발신자 단말 화면에는 카메라 뷰 화면이 표시될 것이고, 발신자는 주변의 사람, 사물 등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가 구동되어 주변 사물을 카메라 뷰로 보는 예시도이다. 발신자가 셔터 버튼을 눌러 사진을 촬영하고 전송하면, 착신자는 도 3b와 같이 해당 사진을 착신 링과 함께 수신하게 된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다른 예로 GPS 모듈이 구동된다면, 상기 발신자 단말은 제어신호에 따라 GPS 모듈 또는 유사한 위치정보 획득 모듈을 구동하여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획득하고, 이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수신한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이를 직접 또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도를 함께 착신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또 다른 예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사진/동영상 앨범)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면, 발신자 단말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되거나 생성한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 등)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통화대기 중 제어신호의 수신, 해당 기능 구동, 결과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구성 요소는 발신자 단말에 내장되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발신자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 단말로 무조건 전송할 수도 있지만,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발신자가 의도하지 않게 (혹은 악의적으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한번 더 필터링하거나, 또는 통화대기 중 컨텐츠 전송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사진 파일은 3개 이하’, ‘파일 용량은 개당 500KB 이하’, ‘동영상 파일은 전송 불가’ 등의 전송조건을 설정하여 두고,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착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안등급은 발신자가 컨텐츠 종류 별로 지정하거나(예: 사진만 가능, 위치정보는 불가), 특정 상대방은 제외하는 방식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빈도는 ‘최근 O주 동안 O회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어서, 통화대기 중 컨텐츠 전송은 어느 정도 친분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착신자에게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 단말로 전송하면, 착신자 단말은 착신 링과 함께 발신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착신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부가 정보도 더 수신하여 통화의 긴급여부 등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통화연결 대기시간 중에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발신자의 통화 시도 후 착신자 단말과 연결되기까지의 시간(통화대기 시간 또는 착신대기 시간) 중에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카메라, GPS 등)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제어하여, 그 결과 생성된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등의 컨텐츠를 착신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발신자가 개인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착신자에게 제공하게끔 함으로써, 발신자는 통화연결 대기시간을 지루하게 보내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착신자는 전화번호 이외에도 발신자에 대한 다채로운 정보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호 요청 확인부(101), 단말 제어부(102), 컨텐츠 제공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는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호 요청 확인부(101)는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한다. 즉, 발신자(A)가 단말을 이용하여 착신자(B)의 단말로 전화를 걸면, 상기 호 요청 확인부(101)는 연동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장비(예: 교환기)로부터 A가 B에게 발신 통화를 시도했다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상황을 인지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특정 기능이 시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조건은,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친밀도, 발신자 단말의 사양(예: OS 종류, 단말 기종, 카메라 탑재 여부, 카메라 성능, GPS 지원 가부 등),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제어허용 기능/착신자/횟수/시간대 등)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통화 횟수와 통화 시간에 가중치를 다르게 두어 상기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통화 횟수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통화 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통화시간이 나타나더라도 더 자주 전화를 걸어온 발신자가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다. 반대로 통화 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통화 횟수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평균 통화시간이 큰 발신자가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통화 시간의 평균 및 편차에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편차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편차 값에 반비례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같은 통화 횟수 및 총 통화시간이 집계되더라도, 더 일정한 통화 시간을 보이는 경우에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최근 통화 이력에 더 큰 가중치를 두어 상기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제1 기간(예: 최근 1개월)에서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에, 기 설정된 제2 기간(예: 최근 2개월~4개월)에서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보다 큰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같은 통화 횟수 및 총 통화시간이 집계되더라도, 더 최근에 통화 이력이 있는 경우가 더 큰 친밀도를 나타낸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발신자 별 통화대기 중 구동기능 정보는 저장부(DB)에 저장되며, 상기 단말 제어부(102)는 통화대기 중 단말제어 시에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제어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부(102)의 기능제어는, 발신자 단말의 기능부(전면/후면 카메라, GPS 모듈 등) 또는 애플리케이션(사진앨범 등)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제어는 해당 기능부 또는 앱의 실행, 종료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해당 기능의 실행으로 생성/선택된 컨텐츠를 발신자 단말-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간에 형성된 채널(기 형성된 통화채널 또는 새로 정의된 채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한 예로, 상기 단말 제어부(102)로부터 제어신호(카메라 기능 동작)을 수신한 발신자 단말은 (사용자가 기능 버튼을 조작한 것처럼) 카메라 기능을 구동하고, 디스플레이에 촬영 화면 및 동작 메뉴를 표시한다.
만약, 상기 제어신호가 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발신자 단말은 전면부 카메라를 구동하여 마치 단말 화면이 거울인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에 ‘거울’앱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신호로 ‘거울’앱의 구동을 지시함으로써 동일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통해 발신자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카메라 뷰 화면의 확대, 정지, 연속촬영, 사진저장 등의 기능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때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신자 단말은 화면 일 부분에 통화대기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대기시간 등을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비슷하게 상기 제어신호가 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발신자 단말 화면에는 카메라 뷰 화면이 표시될 것이고, 발신자는 주변의 사람, 사물 등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다른 예로 GPS 모듈이 구동된다면, 상기 발신자 단말은 제어신호에 따라 GPS 모듈 또는 유사한 위치정보 획득 모듈을 구동하여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획득하고, 이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수신한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이를 직접 또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도를 함께 착신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또 다른 예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사진/동영상 앨범)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면, 발신자 단말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되거나 생성한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 등)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통화대기 중 제어신호의 수신, 해당 기능 구동, 결과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구성 요소는 발신자 단말에 내장되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발신자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103)는,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103)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 단말로 무조건 전송할 수도 있지만,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발신자가 의도하지 않게 (혹은 악의적으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한번 더 필터링하거나, 또는 통화대기 중 컨텐츠 전송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제공부(103)는,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사진 파일은 3개 이하’, ‘파일 용량은 개당 500KB 이하’, ‘동영상 파일은 전송 불가’ 등의 전송조건을 설정하여 두고,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착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안등급은 발신자가 컨텐츠 종류 별로 지정하거나(예: 사진만 가능, 위치정보는 불가), 특정 상대방은 제외하는 방식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빈도는 ‘최근 O주 동안 O회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어서, 통화대기 중 컨텐츠 전송은 어느 정도 친분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착신자에게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03)가 상기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 단말로 전송하면, 착신자 단말은 착신 링과 함께 발신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10)는 고정 또는 이동형 단말로서, 통신망에 접속하여 발/착신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는 수신부(11), 송신부(12),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1)는 통화대기 시간 중에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단말에 탑재된 기능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어신호(카메라 기능 동작)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사용자가 기능 버튼을 조작한 것처럼) 카메라 기능을 구동하고, 디스플레이에 촬영 화면 및 동작 메뉴를 표시한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3)는 제어신호에 따라 GPS 모듈 또는 유사한 위치정보 획득 모듈을 구동하여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사진/동영상 앨범)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제어신호가 수신된다면, 상기 제어부(13)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되거나 생성한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 등)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송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착신자 단말과의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구동된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2)는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4에서 설명한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통화연결 대기시간 중에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의 통화 시도 후 착신자 단말과 연결되기까지의 시간(통화대기 시간 또는 착신대기 시간) 중에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카메라, GPS 등)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제어하여, 그 결과 생성된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등의 컨텐츠를 착신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가 개인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착신자에게 제공하게끔 함으로써, 발신자는 통화연결 대기시간을 지루하게 보내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착신자는 전화번호 이외에도 발신자에 대한 다채로운 정보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한다(S610). 즉, 발신자(A)가 단말을 이용하여 착신자(B)의 단말로 전화를 걸면,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연동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장비(예: 교환기)로부터 A가 B에게 발신 통화를 시도했다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상황을 인지한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620). 이로써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특정 기능이 시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조건은,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친밀도, 발신자 단말의 사양(예: OS 종류, 단말 기종, 카메라 탑재 여부, 카메라 성능, GPS 지원 가부 등),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제어허용 기능/착신자/횟수/시간대 등)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통화 횟수와 통화 시간에 가중치를 다르게 두어 상기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통화 횟수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통화 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동일한 통화시간이 나타나더라도 더 자주 전화를 걸어온 발신자가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다. 반대로 통화 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가 통화 횟수에 부여되는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평균 통화시간이 큰 발신자가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통화 시간의 평균 및 편차에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편차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편차 값에 반비례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같은 통화 횟수 및 총 통화시간이 집계되더라도, 더 일정한 통화 시간을 보이는 경우에 더 큰 친밀도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최근 통화 이력에 더 큰 가중치를 두어 상기 친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제1 기간(예: 최근 1개월)에서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에, 기 설정된 제2 기간(예: 최근 2개월~4개월)에서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보다 큰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같은 통화 횟수 및 총 통화시간이 집계되더라도, 더 최근에 통화 이력이 있는 경우가 더 큰 친밀도를 나타낸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발신자 별 통화대기 중 구동기능 정보는 저장부(DB)에 저장되며,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통화대기 중 단말제어 시에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제어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의 기능제어는, 발신자 단말의 기능부(전면/후면 카메라, GPS 모듈 등) 또는 애플리케이션(사진앨범 등)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제어는 해당 기능부 또는 앱의 실행, 종료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해당 기능의 실행으로 생성/선택된 컨텐츠를 발신자 단말-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간에 형성된 채널(기 형성된 통화채널 또는 새로 정의된 채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한 예로,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어신호(카메라 기능 동작)을 수신한 발신자 단말은 (사용자가 기능 버튼을 조작한 것처럼) 카메라 기능을 구동하고, 디스플레이에 촬영 화면 및 동작 메뉴를 표시한다.
만약, 상기 제어신호가 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발신자 단말은 전면부 카메라를 구동하여 마치 단말 화면이 거울인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에 ‘거울’앱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신호로 ‘거울’앱의 구동을 지시함으로써 동일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통해 발신자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카메라 뷰 화면의 확대, 정지, 연속촬영, 사진저장 등의 기능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때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신자 단말은 화면 일 부분에 통화대기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대기시간 등을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비슷하게 상기 제어신호가 후면부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발신자 단말 화면에는 카메라 뷰 화면이 표시될 것이고, 발신자는 주변의 사람, 사물 등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다른 예로 GPS 모듈이 구동된다면, 상기 발신자 단말은 제어신호에 따라 GPS 모듈 또는 유사한 위치정보 획득 모듈을 구동하여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획득하고, 이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의 현재 위치 값을 수신한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이를 직접 또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지도를 함께 착신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화대기 중 기능제어의 또 다른 예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사진/동영상 앨범)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면, 발신자 단말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되거나 생성한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 등)를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S630),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640).
이때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 단말로 무조건 전송할 수도 있지만,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발신자가 의도하지 않게 (혹은 악의적으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한번 더 필터링하거나, 또는 통화대기 중 컨텐츠 전송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제공부(103)는,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사진 파일은 3개 이하’, ‘파일 용량은 개당 500KB 이하’, ‘동영상 파일은 전송 불가’ 등의 전송조건을 설정하여 두고,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가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착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안등급은 발신자가 컨텐츠 종류 별로 지정하거나(예: 사진만 가능, 위치정보는 불가), 특정 상대방은 제외하는 방식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빈도는 ‘최근 O주 동안 O회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어서, 통화대기 중 컨텐츠 전송은 어느 정도 친분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착신자에게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 단말로 전송하면, 착신자 단말은 착신 링과 함께 발신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릿 발급 서버(1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릿 발급 서버(1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릿 발급 서버(1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애플릿 발급 서버(1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릿 발급 서버 및 애플릿 발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애플릿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기능 지원 여부를 상기 단말 정보 관리부에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NF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USIM의 NFC 기능 지원 여부를 상기 USIM 정보 관리부에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USIM이 NF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USIM의 상기 요청한 애플릿 지원 여부를 상기 애플릿 정보 관리부에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USIM이 상기 요청한 애플릿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요청된 애플릿을 발급함으로써, 애플릿 발급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이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110 : 호 요청 확인부
120 : 단말 제어부
130 : 컨텐츠 제공부

Claims (22)

  1.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호 요청 확인부;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조건은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 상기 발신자 단말의 사양 및 상기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및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진을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GPS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통화대기 시간 중에 구동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를 조회하여 제어할 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10. 통화대기 시간 중에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탑재된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부;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착신자 단말과의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구동된 기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통화대기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또는 상기 발신자 단말이 기 설정된 제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어조건은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 상기 발신자 단말의 사양 및 상기 발신자의 개인선택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친밀도는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 횟수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전송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전송조건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의 속성, 상기 발신자가 지정한 보안등급 및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 간의 통화빈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파일의 개수, 용량,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진을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단말의 GPS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상기 발신자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 및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탑재된 기능의 구동하고,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발신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시스템.
  21. 통화대기 서비스 시스템이 통화대기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발신자 단말이 착신자 단말로 시도하는 통화를 인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에 탑재된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탑재된 기능의 구동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이 상기 기능의 구동 결과로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대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통화대기 시간 중에 상기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11536A 2014-01-29 2014-01-29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0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36A KR101805008B1 (ko) 2014-01-29 2014-01-29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36A KR101805008B1 (ko) 2014-01-29 2014-01-29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42A KR20150090642A (ko) 2015-08-06
KR101805008B1 true KR101805008B1 (ko) 2017-12-07

Family

ID=5388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536A KR101805008B1 (ko) 2014-01-29 2014-01-29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42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01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operator network
EP2933987A1 (en) Additional information on a caller
EP3226432B1 (en) Method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s communications device
CN108920120B (zh) 一种信息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9314913B (zh) 接入控制限制方法及装置
US201301600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application user
KR101982150B1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8833585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5010333A1 (zh) 广告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10689378A (zh) 广告位广告获取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915923A (zh) 5g消息即服务触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374892B2 (en) Transfer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ransferr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09495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933773B (zh) 链路监测方法及装置
WO2006016226A2 (en) Advance viewing of subscriber profil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805008B1 (ko) 통화 대기중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79800B1 (ko) 위젯창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54828A1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1802848B1 (ko) 생활 패턴에 따른 통화 연결음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02397B1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3407316A (zh) 服务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70352B1 (ko)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836356A (zh) 请求数据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1828016B1 (ko) 통화 연결음 자동 변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