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936B1 -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936B1
KR101804936B1 KR1020170109690A KR20170109690A KR101804936B1 KR 101804936 B1 KR101804936 B1 KR 101804936B1 KR 1020170109690 A KR1020170109690 A KR 1020170109690A KR 20170109690 A KR20170109690 A KR 20170109690A KR 101804936 B1 KR101804936 B1 KR 10180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ube
water
lifting ro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정
Original Assignee
(주)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강 filed Critical (주)해강
Priority to KR102017010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H04N13/020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도화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고정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차량 실내가 아닌 차량 지붕에 설치하여 전면유리창의 간섭없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Stable stereo imaging device for spatial imaging}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 기술 분야 중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도화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고정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차량 실내가 아닌 차량 지붕에 설치하여 전면유리창의 간섭없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이미지는 별도의 도화 작업 없이 수치지도의 배경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는 실사를 바탕으로 한 수치지도가 사용자의 지도 해석과 위치 확인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항공기에서 지상을 직접 촬영한다. 따라서, 항공기의 촬영위치에 따라 지상에 입설된 지상구조물의 촬영모습이 다양하게 변형된다.
영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는 종래 수치지도는 그 배경에 적용되는 영상이미지를 지상구조물이 가급적 평면인 것으로 해 적용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치지도를 보기 위해 해당 영상이미지를 출력한 후, 출력된 영상이미지를 이동시키면서 수치지도를 확인하더라도, 당해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구조물은 항시 동일한 평면 모습만으로 출력되었다.
즉, 특정 지상구조물이 모니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지상구조물이 모니터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더라도, 모니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평면 그대로가 출력된다는 것이다.
참고로, 항공기에서 지상을 바로 볼 경우엔 항공기의 위치이동에 따라 특정 지상구조물의 평면은 물론 측면도 볼 수 있다.
물론, 지상구조물의 이미지가 평면인 영상이미지를 수치지도의 배경으로 적용하면, 지상구조물과 도로, 지상구조물과 지상구조물 간의 시각적인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도로와 지상구조물 간의 위치관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당해 수치지도를 이용해 길을 찾는데도 유리하다.
그러나, 수치지도를 지상에서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평소에 평면(옥상)을 볼 수 없는 지상구조물을 수치지도와 매치시키기 어렵고, 지형변화로 인해 갱신, 즉 보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이를 위해, 3차원 데이터를 지상에서 생성하여 항공 영상이미지와 매치시켜 입체화시키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가 활용되고 있다.
통상,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다중으로 설치하여 획득한 이미지들간의 관계를 계산하는 방식과, 카메라를 이동하면서 이미지들 간의 중복도를 주고 촬영하여 각 이미지들과의 관계를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양 이미지간의 시차를 계산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획득된 두 영상을 적절히 정합함으로써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스테레오 정합은 인간 시각 체계의 거리 추출 능력을 자동화하기 위한 컴퓨터 시각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초음파와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빛의 비행시간과 속도의 함수로써 거리를 측정하는 것보다 효과적이고 실제 응용 환경의 제약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 때문에 의료 영상, 공장 자동화 및 지도 제작 등의 영상처리용 이미지 확보에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영상처리용 이미지 확보를 위해 자동차에 스테레오 카메라를 탑재한 상태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 도 1의 예시와 같이, 자동차(2)의 전면유리창에 스테레오 카메라(1)를 설치하다 보니 촬영범위가 상대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전면유리창을 투과하여 촬영해야 하므로 촬영영상(이미지)가 비교적 선명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98783호(2017.01.17.) '스테레오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40566호(2017.05.22.) '스테레오 카메라의 차량 설치 장비'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영상도화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고정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차량 실내가 아닌 차량 지붕에 설치하여 전면유리창의 간섭없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동차의 지붕(100)으로 출몰가능하게 스테레오 카메라를 갖춘 카메라바디(200)를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붕(100)에는 설치홈(11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10)은 슬라이딩도어(12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지붕(10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모터(130)가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모터(1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32)가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120)의 일측변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리는 기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ㄱ' 형상의 슬라이딩가이드(140)가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120)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안내하며, 상기 설치홈(110)의 바닥면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설치홈(110)의 바닥 저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원통(300)이 고정되며;
상기 저수원통(300)의 내부에는 사각블럭 형상의 승강로드(310)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로드(310)의 하단에는 원판부(322)와 원추부(324)가 일체를 이룬 부력체(320)가 고정되며, 상기 부력체(320)의 하방인 저수원통(300)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고, 상기 승강로드(310) 상단에는 'U' 형상의 고정브라켓(33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30) 내부에는 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각도조절모터(340)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340)의 상면에는 고정로드(350)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로드(350)의 상단은 상기 카메라바디(20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340)는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결합된 감속기(360)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360)의 출력축(370)은 축고정구(380)에 고정되고, 상기 축고정구(380)는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승강로드(310)의 길이 일부에는 튜브(4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튜브(400)에는 공기주입호스(410)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주입호스(410)는 상기 저수원통(300)의 외주면에 고정된 공기펌프(420)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40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400)의 둘레에는 90°간격을 두고 4개의 분기통(440)이 연결되고, 상기 분기통(440)에는 피스톤(452)을 갖는 활주로드(450)가 내장되며, 상기 활주로드(450)의 단부에는 접지볼(460)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452)과 상기 분기통(440)의 내벽면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4)이 설치되며;
상기 저수원통(300)의 하단 일측에는 급수관(500)이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500)에는 솔레이노이드 밸브 형태인 급수밸브(510)가 설치되며, 상기 저수원통(300)의 하단 타측에는 배수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520)에도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인 배수밸브(530)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520)은 자동차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물탱크(540)의 상단면에 접속되어 배수된 물을 물탱크(540)로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540)의 상면 일측에는 물펌프(550)가 설치되며, 상기 물펌프(550)의 출구단에는 상기 급수관(500)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부력체(320)를 구성하는 원추부(324)의 둘레에는 상하로 다수의 부력증강홈(32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도화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고정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차량 실내가 아닌 차량 지붕에 설치하여 전면유리창의 간섭없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차량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도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유동차단튜브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부력체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는 자동차의 지붕(100)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바디(2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바디(200)에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성하는 좌안 카메라(210)와, 우안 카메라(220)를 포함하며, 상기 좌안 카메라(210)와 우안 카메라(220) 사이에는 레이저(230) 및 레이저수광기(24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230)와 레이저수광기(240)는 레이저빔이 발진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하여 피조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수단이다.
물론, 상기 레이저(230)와 레이저수광기(240)는 반사가 가능한 피조사체에 대해서 적용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피조사체에 레이저를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바디(200)는 자동차 지붕(100)의 수평면 상에 요입 형성된 설치홈(110) 상에 안착되며, 상기 설치홈(110)의 개방된 부분은 슬라이딩도어(1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카메라바디(200)가 설치홈(110) 속으로 장입되어 스테레오 카메라 촬영을 하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딩도어(120)가 동작하여 설치홈(110)을 밀폐하고, 촬영시에는 슬라이딩도어(120)를 개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붕(100)의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슬라이딩모터(130)가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모터(1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32)가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120)의 일측변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리는 기어홈(122)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홈(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ㄱ' 형상의 슬라이딩가이드(140)가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12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4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110)의 바닥면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그 하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원통(300)이 조립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저수원통(300)의 내부에는 사각블럭 형상의 승강로드(310)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로드(310)의 하단에는 원판부(322)와 원추부(324)가 일체를 이룬 부력체(320)가 고정되며, 상기 부력체(320)의 하방인 저수원통(300) 내부에는 물이 채워진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310) 상단에는 'U' 형상의 고정브라켓(33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30) 내부에는 도 4의 예시와 같은 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각도조절모터(34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각도조절모터(340)의 상면에는 고정로드(35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로드(350)의 상단은 상기 카메라바디(200)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바디(200)가 설치홈(110)으로부터 상승하여 벗어난 위치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모터(340)의 회전에 따라 카메라바디(20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모터(340)는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결합된 감속기(360)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360)의 출력축(370)은 축고정구(380)에 고정되고, 상기 축고정구(380)는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각도조절모터(340)가 구동되면 상기 출력축(370)은 상기 축고정구(38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도조절모터(340)가 회전되면서 카메라바디(2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브라켓(330)이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저수원통(300)의 내경에는 가이드원판(390)이 나사체결되고, 상기 가이드원판(390)의 중심에는 사각홀(39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승강로드(3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모터(340)의 제어는 운전석에 설치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원공급은 상기 각도조절모터(340)가 180°범위 내에서만 회전왕복되게 설계되기 때문에 리드선을 외부로 빼내도 꼬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부력체(320)와 승강로드(310)는 항상 물과 접촉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기 때문에 내약품성과 내화학성 및 내수성과 내열성을 확보하도록 그 외표면에 코팅액이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코팅액은 포졸란(Pozzolan) 1.5중량%,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2.5중량%, 팽창흑연 8중량%, 뮬라이트 6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5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규산소다 2중량%, 테르븀 2중량%, 티오시안구리 2중량%,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액을 스프레이 코팅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포졸란(Pozzolan)은 주로 콘크리트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은 인공 포졸란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 내부식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산회, 화산암의 풍화물에서 채취된 천연 포졸란을 사용하며, 입도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유화를 촉진하여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방오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은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난연성, 방염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뮬라이트는 고열에 대한 저항성이 커 하절기 실외 배치시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리시놀레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제로서 특히 외면과 내면 각각의 표면 평활도를 높여 방오성을 높이고 내침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그리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내마모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방오제이고, 상기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는 무수 글루코오즈 단량체 사슬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즈 유도체로서 보수기능 강화, 표면활성, 화학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부력체(320)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부력체(320)를 구성하는 원추부(324)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다수의 부력증강홈(326)이 더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부력을 받아 상승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로드(310)의 길이 일부에는 도 2 및 도 5에 예시된 튜브(4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튜브(400)에는 공기주입호스(410)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주입호스(410)는 상기 저수원통(300)의 외주면에 고정된 공기펌프(420)와 연결되어 승강로드(310)가 상승된 채 위치고정될 때 공기펌프(420)로 공기를 불어 넣어 튜브(400)가 부풀어지면서 저수원통(30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하여 승강로드(310)가 움직이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40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중앙에 사각형상의 로드끼움공(402)이 형성되되, 승강로드(310)가 끼워진 후 미끌리지 않도록 로드끼움공(402)의 대향하는 면에는 스플라인(404)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튜브(40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에는 90°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4개의 분기통(440)이 연결되며, 상기 분기통(440)에는 피스톤(452)을 갖는 활주로드(450)가 내장되고, 상기 활주로드(450)의 단부에는 접지볼(460)이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452)과 상기 분기통(440)의 내벽면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4)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압축스프링(454)이 당기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접지볼(460)이 최대한 인입된 상태, 즉 저수원통(300)의 내경과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공기가 공급되게 되면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452)이 밀리면서 압축스프링(454)을 신장시키므로 상기 접지볼(460)이 상기 저수원통(300)의 내경에 접지되게 되므로 승강로드(3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400)와 부력체(320) 사이의 저수원통(300) 외주면에는 스토퍼(430)가 관통된 상태로 조립되어 저수원통(300) 내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데, 이것은 상기 부력체(320)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못하도록 스토핑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울러, 상기 저수원통(300)의 하단 일측에는 급수관(500)이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500)에는 솔레이노이드 밸브 형태인 급수밸브(510)가 설치되어 운전석에 마련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개폐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수원통(300)의 하단 타측에는 배수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520)에도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인 배수밸브(530)가 설치되어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520)은 자동차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물탱크(540)의 상단면에 접속되어 배수된 물을 물탱크(540)로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탱크(540)의 상면 일측에는 물펌프(550)가 설치되고, 상기 물펌프(550)의 출구단에는 상기 급수관(500)의 단부가 접속되어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카메라바디(200)를 상승시킬 때에는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슬라이딩도어(120)를 열고, 물펌프(550)를 가동한다.
그러면, 물탱크(540)의 물이 부력체(320) 하부의 저수원통(300) 내부로 채워지게 되고, 물이 채워지면서 부력에 의해 부력체(320)가 떠 오르게 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바디(200)가 상승하게 된다.
카메라바디(200)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러는 물펌프(550)의 구동을 멈추고, 급수밸브(510)를 닫는다.
이에 따라, 카메라바디(200)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함께 공기펌프(420)가 가동되어 튜브(400)를 부풀려 튜브(400)로 하여금 저수원통(300) 내경에 접지되게 함으로써 승강로드(310)의 유동을 차단하여 카메라바디(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후,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필요한 경우 각도조절모터(340)를 동작시켜 스테레오 카메라의 촬상범위를 조준하고, 조준이 완료되면 촬상하여 스테레오 영상 이미지를 얻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눈, 비 등 외부 기후 변화로부터 슬라이딩도어(120)를 통해 스테레오 카메라를 보호하면서 원활하고 안정적인 구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100: 지붕
200: 카메라바디
300: 저수원통
400: 튜브
500: 급수관

Claims (1)

  1. 자동차의 지붕(100)으로 출몰가능하게 스테레오 카메라를 갖춘 카메라바디(200)를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붕(100)에는 설치홈(11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10)은 슬라이딩도어(12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지붕(10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모터(130)가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모터(1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32)가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120)의 일측변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리는 기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ㄱ' 형상의 슬라이딩가이드(140)가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120)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안내하며, 상기 설치홈(110)의 바닥면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설치홈(110)의 바닥 저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원통(300)이 고정되며;
    상기 저수원통(300)의 내부에는 사각블럭 형상의 승강로드(310)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로드(310)의 하단에는 원판부(322)와 원추부(324)가 일체를 이룬 부력체(320)가 고정되며, 상기 부력체(320)의 하방인 저수원통(300)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고, 상기 승강로드(310) 상단에는 'U' 형상의 고정브라켓(33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30) 내부에는 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 각도조절모터(340)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340)의 상면에는 고정로드(350)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로드(350)의 상단은 상기 카메라바디(20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340)는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결합된 감속기(360)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360)의 출력축(370)은 축고정구(380)에 고정되고, 상기 축고정구(380)는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승강로드(310)의 길이 일부에는 튜브(4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튜브(400)에는 공기주입호스(410)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주입호스(410)는 상기 저수원통(300)의 외주면에 고정된 공기펌프(420)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40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400)의 둘레에는 90°간격을 두고 4개의 분기통(440)이 연결되고, 상기 분기통(440)에는 피스톤(452)을 갖는 활주로드(450)가 내장되며, 상기 활주로드(450)의 단부에는 접지볼(460)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452)과 상기 분기통(440)의 내벽면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4)이 설치되며;
    상기 저수원통(300)의 하단 일측에는 급수관(500)이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500)에는 솔레이노이드 밸브 형태인 급수밸브(510)가 설치되며, 상기 저수원통(300)의 하단 타측에는 배수관(52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520)에도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인 배수밸브(530)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520)은 자동차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물탱크(540)의 상단면에 접속되어 배수된 물을 물탱크(540)로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540)의 상면 일측에는 물펌프(550)가 설치되며, 상기 물펌프(550)의 출구단에는 상기 급수관(500)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부력체(320)를 구성하는 원추부(324)의 둘레에는 상하로 다수의 부력증강홈(32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KR1020170109690A 2017-08-29 2017-08-29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KR10180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90A KR101804936B1 (ko) 2017-08-29 2017-08-29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90A KR101804936B1 (ko) 2017-08-29 2017-08-29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936B1 true KR101804936B1 (ko) 2017-12-05

Family

ID=6092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690A KR101804936B1 (ko) 2017-08-29 2017-08-29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649A (zh) * 2019-03-18 2019-06-18 成都泰盟软件有限公司 一种用于示教演示的电动云台
KR102016390B1 (ko) * 2019-06-26 2019-08-30 주식회사 동운 도화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7818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115964B1 (ko) 2020-02-17 2020-05-2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스테레오카메라 사이의 거리 오차 보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80B1 (ko) 2015-06-17 2015-09-09 (주)혜성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583310B1 (ko) 2015-11-30 2016-01-21 아이씨티웨이(주)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592003B1 (ko) 2015-11-27 2016-02-04 아이씨티웨이(주) 지아이에스(gis) 기반으로 한 수치데이터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705704B1 (ko) 2016-12-13 2017-02-27 삼부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수시수정을 위한 지형현황 측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80B1 (ko) 2015-06-17 2015-09-09 (주)혜성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592003B1 (ko) 2015-11-27 2016-02-04 아이씨티웨이(주) 지아이에스(gis) 기반으로 한 수치데이터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583310B1 (ko) 2015-11-30 2016-01-21 아이씨티웨이(주)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705704B1 (ko) 2016-12-13 2017-02-27 삼부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수시수정을 위한 지형현황 측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649A (zh) * 2019-03-18 2019-06-18 成都泰盟软件有限公司 一种用于示教演示的电动云台
CN109899649B (zh) * 2019-03-18 2024-03-01 成都泰盟软件有限公司 一种用于示教演示的电动云台
KR102017818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6390B1 (ko) * 2019-06-26 2019-08-30 주식회사 동운 도화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115964B1 (ko) 2020-02-17 2020-05-2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스테레오카메라 사이의 거리 오차 보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936B1 (ko)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안정된 스테레오 이미지 촬영장치
US11173524B2 (en) Self-cleaning optical sensor assembly
JP6710114B2 (ja) 管路施設点検飛行体と、それを用いた管路施設点検システム
KR101846519B1 (ko) 지형지물의 기준점 설정 위치별 이미지의 공간영상도화 오차보정 시스템
WO2017043929A1 (ko) 무선 조정 비행장치를 이용한 하천 측량 시스템
KR102334839B1 (ko) 실시간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CN104317157A (zh) 多镜头阵列系统和方法
WO2005033629A3 (en) Multi-camera inspection of underwater structures
DE69113462T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uchen eines gegenstands.
KR102035044B1 (ko)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CN204046733U (zh) 浑水水下观测仪
CN104527979A (zh) 空基催泪瓦斯弹自动投放器
KR102068325B1 (ko) 정밀한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편집시스템
EP3118602A1 (de) Vorrichtung zum prüfen von leitungen
DE102012208132A1 (de) Verfahren zur Fahrzeuglokalisierung
KR101830927B1 (ko) 영상처리용 이미지 확보를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차량 고정장치
DE10115194B4 (de) Boje sowie Unterseeboot mit Handhabungseinrichtung
CN113820709B (zh) 基于无人机的穿墙雷达探测系统及探测方法
KR101804323B1 (ko) 기준점의 위치와 지형정보 확인을 통한 공간영상도화 보정시스템
DE3908575C2 (ko)
CN207623618U (zh) 一种基于空气缓冲腔体的激光镜头防污染装置
DE202008015324U1 (de) Kleinfluggerät mit Kamera
CN114783248A (zh) 一种特种装备复杂作业环境下的精确停车定位方法
Painumgal et al. Positioning and control of an AUV inside a water pipeline for non-contact in-service inspection
KR102247300B1 (ko) Mms를 통해 3차원 도로면 형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