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57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578B1
KR101804578B1 KR1020110089863A KR20110089863A KR101804578B1 KR 101804578 B1 KR101804578 B1 KR 101804578B1 KR 1020110089863 A KR1020110089863 A KR 1020110089863A KR 20110089863 A KR20110089863 A KR 20110089863A KR 101804578 B1 KR101804578 B1 KR 101804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lion
guide
protrusion
doo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325A (ko
Inventor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5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한쌍의 도어에 의해 하나의 공간이 개폐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조작시 멀리언이 접히지 않아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멀리언의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에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멀리언의 걸림을 방지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와 및 도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예컨데, 상기 냉장고에는 하나의 저장공간을 양측에서 개폐되는 두개의 도어로 차폐하는 형태의 냉장고가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두개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두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멀리언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멀리언의 구조는 ~ 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멀리언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 도어의 개폐시 마다 회전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어 한쌍의 도어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멀리언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멀리언이 일정각도만큼 회동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멀리언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한쌍의 도어 중 상기 멀리언이 장착되지 않은 일측의 도어를 개폐하게 될 때 고내로의 공기 유입에 의한 압력 증가로 닫혀있는 상태의 상기 멀리언이 장착된 도어가 들썩이게 된다.
이때, 상기 멀리언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사점(어느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멀리언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걸리게 된다.
상기 멀리언의 걸림에 의한 상기 냉장실 도어의 닫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냉기 손실에 의한 소비전력의 증가는 물론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도어의 개폐 조작시 멀리언이 접히지 않아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멀리언의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에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멀리언의 걸림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 상기 한쌍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시 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도어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멀리언(mullion); 상기 멀리언에 구비되며, 상기 멀리언의 회동시 탄성에 의해 상기 멀리언의 회전을 보조하는 탄성부재; 상기 멀리언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돌출되는 안내 돌기; 상기 안내 돌기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상기 멀리언이 장착된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안내 돌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안내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멀리언을 회전시키는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캠면에는 가이드 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멀리언의 임의 회전에 의한 걸림을 제한하는 걸림 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멀리언이 상기 탄성부재의 힘의 방향이 바뀌는 각도까지 회전하기 전에 접촉될 수 있는 상기 캠면 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안내 돌기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돌기는 상기 걸림 돌기의 돌출 형상과 대응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와 함몰부는 서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캠면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안내 돌기가 삽입되는 측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를 형성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걸림 돌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나머지 부분까지를 형성하는 제 2 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만곡부가 상기 제 2 만곡부보다 더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돌기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후반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걸림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함몰부에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의 냉장실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멀리언이 구비되지 않은 도어를 개폐하게 될 때, 멀리언이 장착된 도어측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도어가 들썩이게 되더라도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와 상기 멀리언에 형성된 안내 돌기가 접하게 되어 상기 멀리언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멀리언은 상기 멀리언의 탄성부재의 힘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까지 회동될 수 없게 되어 상기 멀리언의 걸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냉장실 도어의 닫힘 불량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리언이 접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멀리언이 펼쳐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멀리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내 돌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가이드 부재 내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13,14)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1)과, 상기 냉장실(11)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1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의 내측 상면의 중앙에는 가이드 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아래에서 설명한 멀리언(30)의 회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11)을 차폐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13)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냉장실 도어(13)가 모두 닫히게 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한쌍의 냉장실 도어(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냉장실(11)의 전단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하면에는 함몰된 가이드 홈(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1)은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전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닫힐 때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으로 상기 멀리언(30)의 안내 돌기(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21)은 상기 안내 돌기(35)가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때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1)의 구체적인 형상은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11)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3)와, 상기 냉동실(12)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14)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3)는, 좌우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 1 냉장실 도어(131)와 제 2 냉장실 도어(132) 구성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와 제 2 냉장실 도어(132)는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의 배면에는 얼음을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단열공간인 제빙실(1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34)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33)로 공급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실(134)은 제빙실 도어(134a)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냉기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냉기 입구(134b)와 냉기 출구(134c)가 형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냉기 입구(134b)와 냉기 출구(134c)에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 측면과 접하여 냉기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제빙실 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34c)와 냉기 입구(134b)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 측에 제공되는 공급덕트(111) 및 회수덕트(112)와 연통되며 제빙을 위한 냉기가 상기 제빙실(134)과 상기 냉동실(12) 또는 증발기가 구비되는 열교환실(미도시)을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 및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멀리언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리언이 접힌 상태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멀리언이 펼쳐진 상태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멀리언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13)에는, 아우터 케이스(135)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35)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36)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36)는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배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136)는 상기 제빙실(134)을 비롯한 냉장실 도어(13)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136)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13)의 배면 중 상기 제빙실의 하방 즉 상기 디스펜서(133) 후방의 부분이 상기 제빙실(134)이 형성되는 부분 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배면에는 다수의 바스켓(137)이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137)은 식품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도어 라이너(136)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137)은 상기 제빙실 도어(134a)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배면에는 가스켓(138)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138)은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3)와 캐비닛(10)의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138)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138)이 상기 캐비닛(10)의 선단에 자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힌지와 먼 쪽의 선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스켓(138)의 내측에는 자석이 들어가게 되어 멀리언(3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3) 중 제 1 냉장실 도어(131)에는 멀리언(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멀리언(30)은 상기 한쌍의 냉장실 도어(13)가 모두 닫히게 되었을 때 상기 한쌍의 냉장실 도어(13)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의 개폐에 따라서 회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 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멀리언(30)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와 결합되어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바디(3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32)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에 의해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스틸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상기 멀리언(30)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이 내장된 가스켓(138)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32)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32)는 상기 멀리언(30)과 상기 바디(32)의 결합시 내부에 발포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32)에는 상기 멀리언(30)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바디(32)의 상부와 중앙부 그리고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3)가 장착되는 위치에는 장착부(321)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21)는 상기 연결부재(3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멀리언(30)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3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3)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측에 고정되는 결합부(331)와, 상기 멀리언(30)의 장착부(321)에 축결합되는 회전축(3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멀리언(30)은 상기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31)의 하측에는 커버(33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33)는 상기 상부 연결부재(33)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3)를 상기 장착부(321)에 삽입한 후 상기 커버(333)로 상기 장착부(321)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연결부재(3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멀리언(30)은 상기 연결부재(33)의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3)에는 상기 멀리언(30)의 회동을 강제하는 탄성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는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4)는 토션 스프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코일 형상의 권취부(341)와, 상기 권취부(341)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연장부(342), 그리고, 상기 각각의 연장부(342)에서 절곡되어 상기 바디(32)와 연결부재(33)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3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32)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 상측의 고정부(343)가 삽입되는 바디측 삽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3)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34) 하측의 고정부(343)가 삽입되는 연결부재측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멀리언(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4)에 의해 상기 멀리언(30)은 접혀진 상태 즉, 상기 바디(32)가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측면과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멀리언(30)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34)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어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멀리언(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멀리언(30)은 상기 탄성부재(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멀리언(30)을 다시 회동시켜 접혀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4)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멀리언(30)에 다른 일단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멀리언(30)이 접혀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각도까지 회전할 때에는 상기 멀리언(30)이 접히도록 탄성력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멀리언(30)이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멀리언(30)이 펼쳐지도록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 제공방향이 변하는 지점을 사점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바디(32)의 상면에는 안내 돌기(3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 돌기(35)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3)를 닫을 때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멀리언(30)을 대략 90˚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멀리언(30)의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멀리언(30)이 회동하여 펼쳐지게 된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안내 돌기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구체적인 구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내 돌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안내 돌기(35)는 에어포일 형상과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폭이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 돌기(35)는 우측단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홈(21)으로 삽입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된 우측단부터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향하는 하면(351)은 상방으로 만곡되며,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32)를 향하는 상면(352)은 좌측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부터 하면(351)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돌기(35)의 좌측은 상대적으로 함몰된 함몰부(353)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돌기(35)의 우측은 돌출된 돌출부(35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함몰부(353)와 돌출부(354)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함몰부(353)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 돌기(214)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리언(3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354)와 함몰부(353)는 상기 걸림 돌기(214)를 포함한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20)에는 상기 안내 돌기(35)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멀리언(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20)에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1)은 상기 냉장실(11)의 상면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를 닫을 때, 상기 안내 돌기(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입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면은 전체적으로 라운드 진 형상으로 형성된 캠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면은 상기 멀리언(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 돌기(35)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각 구간에서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캠면은 상기 입구(211)의 좌측단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홈(21)의 우측까지 형성되는 제 1 캠면(212)과, 상기 제 1 캠면(212)의 단부에서 상기 입구(211)의 우측단까지 형성되는 제 2 캠면(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캠면(212)은 상기 안내 돌기(35)의 삽입시 접촉되는 구간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며, 상기 멀리언(30)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돌기(35)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캠면(212)에는 걸림 돌기(214)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214)는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353)와 형합되어 상기 멀리언(30)의 임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걸림 돌기(214)는 상기 멀리언(3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내 돌기(35)의 함몰부(353)가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캠면(212)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이때,상기 함몰부(35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214)는 상기 제 1 캠면(212)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 돌기(214)의 가장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측이 각각 서로 다른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214)는 상기 걸림 돌기(214)의 가장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제 1 만곡부(214a)와 제 2 만곡부(214b)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 1 만곡부(214a)는 상기 안내 돌기(35)가 삽입되는 입구측 방향에서 상기 걸림 돌기(214)의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만곡부(214b)는 상기 안내 돌기(35)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 1 만곡부(214a)의 단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 돌기(214)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만곡부(214a)가 제 2 만곡부(214b)보다 더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 돌기(35)가 상기 제 1 캠면(212)을 따라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만곡부(214a)를 따라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돌기(35)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상기 제 2 만곡부(214b)에 걸림 구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캠면(213)은 상기 멀리언(3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안내 돌기(35)가 접하면서 이동되는 구간을 형성하며, 제 1 캠면(212)의 단부에서 상기 입구(211)의 우측까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의 개폐에 따른 상기멀리언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가이드 부재 내에서 이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와 제 2 냉장실 도어(132) 모두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8 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멀리언(3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에 의해 회동되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전방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가스켓(138)은 상기 가스켓(138)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양측의 제 1 냉장실 도어(131)와 제 2 냉장실 도어(132)의 사이는 상기 멀리언(3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멀리언(30)은 도 4에서와 같이 접혀진 상태가 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개폐과정 중에 상기 멀리언(30)이 사용자에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닫히게 되면, 상기 멀리언(30) 상부의 안내 돌기(35)가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홈(21)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더 닫히게 되면,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홈(21)를 따라서 더 회전하게 되어 상기 멀리언(30)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3)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멀리언(30)은 도 8에서와 같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와 제 2 냉장실 도어(132)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완전히 닫히 상태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홈(21)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 돌기(214)가 상기 함몰부(353)와 형합되어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214)가 상기 함몰부에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멀리언(30)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와 제 2 냉장실 도어(132)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32)를 열고 닫게 되면, 고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냉장실(11) 내부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닫혀있는 상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압력에 의해 들썩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미세하게 들썩이면서 열리게 되더라도, 상기 걸림 돌기(214)가 상기 함몰부(353)와 걸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멀리언(30)은 회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멀리언(30)의 임의 회전으로 인한 걸림에 의해 도어가 닫히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안내 돌기(35)가 상기 가이드 홈(21)을 지나 상기 가이드 부재(20)를 벗어나게 되고, 이때 상기 멀리언(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멀리언(30)은 탄성부재(34)에 의해 회동되어 다시 도 3과 같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 돌기는 도 10, 도 11과 같은 상태로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가 대략 2°만큼 회전되면,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걸림 돌기(214)를 넘어서게 되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 돌기(35)의 우측단이 상기 제 2 캠면(213)과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멀리언(30)은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힘이 가해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안내 돌기(35)가 상기 제 2 캠면(213)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를 더 개방하여 대략 4°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 돌기(35)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캠면(213)의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31)를 더 개방하게 되면, 상기 안내 돌기(35)는 상기 가이드 홈(21)의 입구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멀리언(30)은 접혀지게 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13. 냉장실 도어 20. 가이드 부재
21. 가이드 홈 30. 멀리언
34. 탄성부재 35. 안내 돌기
214. 걸림 돌기 353. 함몰부

Claims (9)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
    상기 한쌍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시 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도어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멀리언(mullion);
    상기 멀리언에 구비되며, 상기 멀리언의 회동시 탄성에 의해 상기 멀리언의 회전을 보조하는 탄성부재;
    상기 멀리언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돌출되는 안내 돌기;
    상기 안내 돌기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상기 멀리언이 장착된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안내 돌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안내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입구;
    상기 입구의 좌측단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우측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안내 돌기와 접촉되는 제 1 캠면;
    상기 제 1 캠면의 단부에서 상기 입구의 우측단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입구를 통해 추출되는 경우 상기 안내 돌기와 접촉되는 제 2 캠면; 및
    상기 멀리언의 임의 회전에 의한 걸림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캠면에서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안내돌기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서로 형합되도록, 상기 걸림 돌기의 돌출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함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멀리언이 상기 탄성부재의 힘의 방향이 바뀌는 각도까지 회전하기 전에 접촉될 수 있는 상기 제 1 캠면 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안내 돌기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와 함몰부는 서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캠면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안내 돌기가 삽입되는 측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를 형성하는 제 1 만곡부와,
    상기 걸림 돌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나머지 부분까지를 형성하는 제 2 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만곡부가 상기 제 2 만곡부보다 더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후반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함몰부에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89863A 2011-09-05 2011-09-05 냉장고 KR101804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863A KR101804578B1 (ko) 2011-09-05 2011-09-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863A KR101804578B1 (ko) 2011-09-05 2011-09-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325A KR20130026325A (ko) 2013-03-13
KR101804578B1 true KR101804578B1 (ko) 2018-01-11

Family

ID=4817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863A KR101804578B1 (ko) 2011-09-05 2011-09-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314B1 (ko) * 2014-12-1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39524B2 (en) 2015-12-21 2017-08-22 Whirlpool Corporation Horizontal flipper mullion incorporated within a false mullion of an appliance
KR102592647B1 (ko) 2016-01-14 202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32608A (ko) 2019-05-17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478B2 (ja) * 1999-06-21 2002-06-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478B2 (ja) * 1999-06-21 2002-06-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325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577B1 (ko) 냉장고
KR101621568B1 (ko) 제빙장치
KR102025173B1 (ko) 냉장고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3524906A1 (en) Refrigerator
EP2410269B1 (en) Refrigerator
KR20140008597A (ko)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844072B1 (ko) 냉장고
KR101998566B1 (ko) 냉장고
KR101804578B1 (ko) 냉장고
KR20060129664A (ko) 냉장고
KR20130052087A (ko) 냉장고
CN214892059U (zh) 一种冰箱
KR100767844B1 (ko) 냉장고
KR200459216Y1 (ko) 냉장고
AU2021215170B2 (en) Refrigerator
KR101106645B1 (ko) 냉장고
KR20110072774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멀리언의 조립방법
KR20200132608A (ko) 냉장고
EP3008409B1 (en) Refrigerator
KR20130016997A (ko) 홈바가 설치된 냉장고
US9222721B2 (en) Clean water filter assembly of refrigerator
KR20070064886A (ko) 냉장고 도어 밀착구조
KR20090080249A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구조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