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502B1 -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Google Patents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502B1 KR101804502B1 KR1020170033612A KR20170033612A KR101804502B1 KR 101804502 B1 KR101804502 B1 KR 101804502B1 KR 1020170033612 A KR1020170033612 A KR 1020170033612A KR 20170033612 A KR20170033612 A KR 20170033612A KR 101804502 B1 KR101804502 B1 KR 101804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vacuum cleaner
- powder
- driving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47L11/305—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2—Arrangement of castors or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디형 청소기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한 회전식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수단 및 이 구동수단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바닥을 손쉽게 닦을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 사이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구비하여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를 더 구비하여, 핸디형 청소기를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는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디형 청소기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한 회전식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수단 및 이 구동수단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바닥을 손쉽게 닦을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 사이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구비하여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를 더 구비하여, 핸디형 청소기를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는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걸레 등의 세척부재를 이용하는데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 신체적으로 무리가 오거나 불편함이 발생함에 따라 서서 걸레질을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경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회전하여 바닥을 닦을 수 있는 청소기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2069호 『회전걸레 청소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된 다단식 손잡이의 길이를 버튼의 작동으로 신축하고 받침대 체결부와 손잡이를 축으로 형성하고 로울러에 고무를 덧대고 걸레에 벨크로 테이프 또는 지퍼를 부착하여 로울러에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 청소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롤러에 걸레를 부착시켜 전후 회전이 용이하나, 좌우 회전시 롤러의 방향에 의해 사용자의 힘이 많이 들어 피로도가 상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70525호 『걸레 부착용 벨크로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청소기용 노즐 유니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흡입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어 흡입통로와 이 흡입통로와 연통되는 휀 장착부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또는 커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는 흡입관부재와, 상기 휀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걸레가 결합 및 분리되는 걸레판부재와, 상기 임펠러와 걸레판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력을 걸레판부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걸레 부착용 벨크로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청소기용 노즐 유니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동력전달부를 복수개의 기어를 맞물려 형성함에 따라 중간 기어가 손상을 입는 경우 걸레가 회전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56737호 『회전식걸레 청소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된 다단스틱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걸레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걸레회전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웜기어부가 형성된 한 쌍의 회동축과, 상기 한 쌍의 걸레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부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휠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상기 웜기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휠기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웜기어부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보조휠기어를 포함하는 걸레회동유닛 및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걸레회동유닛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레회동유닛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걸레회전판이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걸레 청소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레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걸레회전축 사이에 양방향 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축을 이용하는 모터보다 소음이 크고 단가가 높아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8-0020304호 『회전 물 걸레 겸용 전방위 진공 스팀 청소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성소기해드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저장한 후 고온의 열을 하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스팀공급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 양단에 제1 삽입공과 후단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부 양단에 제2 삽입공과 후단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하단에 구비되며 양단에 웜기어삽입공이 형성된 보디, 상기 보디의 하단 웜기어삽입공에 각각 끼워지며, 저면에 스팀캡이 끼워진 회전판, 사익 회전판의 저면에 탈부착되는 물걸레패드를 포함하는 회전 물 걸레 겸용 전방위 진공 스팀 청소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걸레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력이 약하여 청소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바닥면 청소에는 용이하나, 가구 위 또는 틈새를 청소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로 핸디형 청소기를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수단 및 세척수단을 통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을 세척수단으로 닦을 수 있도록 하고, 이물질제거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걸레질과 함께 이물질을 빨아드릴 수 있으며, 이 하우징에 핸디형 청소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장소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하나의 제1 구동부재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구동부재로 이루어져, 제2 구동부재와 연결된 세척부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을 닦음과 함께 이물질을 이물질제거수단 방향으로 몰아줄 수 있는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청소기를 구비한 회전식 청소기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1 구동부재 양 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수단;
상기 제2 구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수단;
상기 한 쌍의 세척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흡입공과, 상기 제1 흡입공과 연통되되, 상기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로를 포함하는 이물질제거수단; 및
상기 흡입로에 연통되되, 상기 안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디형 청소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는
구동수단과 세척수단이 구비되는 하우징에, 이물질제거수단이 더 구비됨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을 닦음과 동시에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어 청소기와 걸레의 기능을 한 번에 나타낼 수 있어, 청소시간을 단축하며 보다 손쉽게 바닥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함에 따라 바닥을 닦음과 동시에 이물질을 모아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보낼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고,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바닥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에는 핸디형 청소기가 탈부착 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구 등을 청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핸디형 청소기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변형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청소기(50)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A)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0) 및 세척수단(30), 그리고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잇는 이물질제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11) 하부에는 헤드부(15)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20) 및 세척수단(30)이 구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11) 및 손잡이부(13)는 사용자가 구부릴 필요 없이 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둥형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본체(11)에는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핸디형청소기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상기 손잡이부(13)에는 구동수단(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거나, 구동수단(2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11)의 회전력을 조절, 이물질제거수단(40)을 동작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전원스위치(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20) 및 이물질제거수단(40)에 연결되는 전원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핸디형 청소기(50)의 동작을 위하여 충전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11)의 하부에 구비되는 헤드부(15)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15)는 상기 본체(11)와 힌지연결하여 본체(11)로부터 헤드부(15)가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시 상기 헤드부(15)에는 상기 본체(11)와 연결되는 연결부(151)와, 상기 구동수단(20)이 내삽되는 내삽부(155)를 구비한 하부분체(153)와, 상기 하부분체(153)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품들을 덮는 상부분체(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분체(153)에는 내삽부(155)가 형성되고, 이 내삽부(155)는 구동모터(211)가 구비될 수 있는 모터삽입부(155A)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삽입부(155A)를 가로질러 제1 구봉부재(21)가 구비되는 제1 구동로(155B)와, 상기 제1 구동로(155B) 양측에 제2 구동부재(23)가 구비되는 제2 구동로(155C)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상기 구동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헤드부(15)에 구비되어 구동모터(211)와 연결되는 제1 구봉부재(21)와, 상기 제1 구봉부재(21)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구동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구봉부재(21)는 상기 헤드부(15)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며, 양 단부가 상기 제1 구동로(155B)에 안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구봉부재(21)의 중앙에는 구동모터(21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211)의 양측에 회전축(213)이 구비되어, 각각의 회전축(213)에 제2 구동부재(23)가 각각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구동모터(211)의 회전축(213) 양측에는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에 상기 제2 구동부재(23)가 연결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2 구동부재(23)는 상기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에 각각 결합되는 기어부재(2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기어부재(231)는 상기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과 각각 웜기어 방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제1 구봉부재(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구동부재(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구봉부재(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구동부재(23)는 상기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구동부재(23)에 구비되는 세척수단(30)이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바닥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구봉부재(21)와 제2 구동부재(23)는 서로 웜기어 방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수평방향의 제1 구봉부재(21)의 회전력을 수직방향의 제2 구동부재(23)로 전달하게 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A)에는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세척수단(30)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세척수단(30)은 상기 제2 구동부재(23)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부재(31)와, 상기 고정부재(31)에 결합되는 세척부재(33)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구동부재(23)에는 고정부재(31)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 구동부재(2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1)의 하면에는 세척부재(33)가 구비되게 되며, 이 세척부재(33)와 고정부재(31)는 벨크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부재(33)의 세탁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본체(11)와 헤드부(15)는 서로 힌지연결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에는 힌지봉(113)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5)에는 상기 힌지봉(113)을 내삽하는 연결부(15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151)내에서 상기 힌지봉(113)이 공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서, 본체(11)와 헤드의 힌지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와 헤드부(15)가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는 고정유지돌기 또는 고정유지홈이 구비되어 고정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다양한 힌지운동방식과 유사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A)에는 바닥을 세척함과 동시에,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이물질제거수단(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40)은 상기 한 쌍의 세척부재(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흡입공(41)과, 상기 제1 흡입공(41)과 연통되되 상기 하우징(10), 구체적으로는 헤드부(15)의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로(43)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로(43)의 단부에는 헤드부(15)에 위치하는 흡입로(43)와 연통되되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핸드형 청소기와 이물질이 이동하는 길을 연통시키기 위한 흡입관(45)이 더 구비되며, 상기 흡입관(45)은 상기 본체(11)와 헤드부(15)의 힌지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면에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플렉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는 주름관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헤드부(15)의 하단에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제1 흡입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흡입공(41)의 위치는 바람직하게 한 쌍의 세척부재(3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부재(33)들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제1 흡입공(4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흡입공(41)은 상기 헤드부(15)에 구비되는 흡입로(43)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로(43)의 단부에는 흡입관(45)이 더 구비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이 본체(11)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15)의 후단에는 보조바퀴유닛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송된 이물질은 본체(11)에 구비되는 핸디형 청소기(50)의 집진부재(55)로 모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가구나 다른 장소를 손쉽게 청소하기 위하여 핸디형 청소기(50)를 탈착가능하게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핸디형 청소기(50)에 이물질을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1)에는 핸디형 청소기(50)가 탈착될 수 있는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111)에 핸디형 청소기(50)가 결합되어 하나의 청소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핸디형 청소기(5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상부, 즉 손잡이부(13)에는 탈착스위치(115)를 구비하여 핸디형 청소기(5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핸디형 청소기(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핸디형 청소기(50)는 집진부(53)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1)에 탈착가능한 케이싱(51)과, 이 케이싱(51)의 집진부(53)에 구비되는 집진부재(55) 및 상기 집진부재(55)에 연통되어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2 흡입공(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핸디형 청소기(50)는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모터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동력에 의해 핸디형 청소기(50)를 따로 분리하였을 때 제2 흡입공(57)을 통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핸디형 청소기(50)를 상기 하우징(1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분리시에는 제2 흡입공(57)을 통하여 이물질을 흡입하고, 하우징(10)에 결합시켰을 때는 제1 흡입공(41)을 통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핸디형 청소기(50)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 핸디형 청소기(50)에 구비되는 흡입모터를 통하여 제2 흡입공(57)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으로서, 이물질의 이동경로 또한 최종적으로 핸디형 청소기(50)의 집진부재(55)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핸디형 청소기(50)를 안착부(111)에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핸디형 청소기(50)의 제2 흡입공(57)이 하부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거꾸로 결합을 하게 되며, 이렇게 결합이 되면, 상기 제2 흡입공(57)이 흡입로(43), 구체적으로는 흡입관(45)의 단부와 연통됨으로서, 제2 흡입공(57)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핸디형 청소기(50)로 이동하여 집진부재(55)에 모아지게 되는 형상을 이룬다.
또한 이 핸디형 청소기(50)는 앞서 언급한 외부전력에 의해 충전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부(15)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11)와 별도로 흡입모터를 핸디형 청소기(50)에 구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A)를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핸디형 청소기(50)의 케이싱(51) 외면에는 핸디형청소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별도의 보조스위치(59)를 더 구비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기(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핸디형 청소기(50)의 케이싱(51), 구체적으로는 상기 케이싱(51)에 구비되는 핸들부(511)의 길이를 조정하여, 가구 위를 청소할 때 사용자가 보다 높은 곳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케이싱의 핸들부에는 제1 분체(H1)와, 상기 제1 분체(H1)에 삽입되는 제2 분체(H2)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H)이 더 구비되며, 이 제2 분체(H2)가 제1 분체(H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수단의 전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삽부(H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내삽부(H11)에 상기 제2 분체(H2)가 내삽되어 제1 분체(H1)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분체(H2)가 제1 분체(H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H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분체(H2)에는 상기 내측돌기(H1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H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분체(H1)와 제2 분체(H2)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H)이 구비되는 바, 이 길이조절수단(H)은 제1 분체(H1)에 구비되는 통과공(H40)과, 상기 제2 분체(H2)에 구비되는 이동공(H30) 및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이동부재(H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 분체(H2)에는 이동공(H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며, 이 수직부(H33)에서 다시 경사부(H31)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상기 경사부(H31)와 수직부(H33)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번 구비됨에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이동공(H30)은 공의 형상 또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분체(H1)에는 통과공(H4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통과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상기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으로 이루어져 그 형상이 'H'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H30)에 단부가 체결되는 이동부재(H50)가 더 구비되게 되며, 이 이동부재(H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상기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다른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부재(H55)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H51)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볼베어링(H51)은 상기 이동부재(H50)가 이동공(H30) 내에서 움직일 때 보다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삽입부(H533)가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볼베어링삽입부(H533)는 상기 볼베어링(H51)의 절반 이상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이 볼베어링삽입부(H533) 내에서 상기 볼베어링(H51)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됨으로서 이동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재(H53)의 반대쪽 단부에는 핸들결합부(H5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핸들결합부(H531)에 상기 핸들부재(H55)가 결합되어 하나의 이동부재(H50)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결합부(H531)와 핸들부재(H55)에 구비되는 바디삽입부(H551)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결합에 의해 핸들부재(H55)를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결합부(H531)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풀어지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하기에 이동부재(H50)의 동작을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제1 분체(H1)로부터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그 동작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재(H50)는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에 체결되는 바,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경사부(H31)(우측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H31))에 의해 제2 분체(H2)는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재(H50)가 가로공(H41)의 좌측에 위치한 후, 다시 우측방향으로 바로 이동을 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앞서 움직인 경사부(H31)를 따라 다시 이동하여 제2 분체(H2)가 원위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공(H4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이 각각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제1 세로공(H4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에 의해 좀 더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후 다시 상기 이동부재(H50)를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이동공(H30)의 다음 경사부(H31)에 초입에 위치하며, 이동부재(H50)를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두 번째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여 제2 분체(H2)는 다시한번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H50)는 상기 이동공(H30)의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통과공(H40)의 제1 및 제2 세로공(H4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제2 분체(H2)를 제1 분체(H1)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상기 제2 분체(H2)를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승하는 방식과 반대로 이동부재(H50)를 움직임으로서 해결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길이가 조정된 제2 분체(H2)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부재(H55)에 고정플랜지(H553)를 구비하고 상기 통과공(H40)에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을 구비함으로서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부재(H55)의 테두리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플랜지(H553)는 상기 바디부재(H53)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H46)은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 양 단부에 반원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홈 또는 공 형상의 것으로 이 반원의 형상의 직경은 상기 핸들부재(H55)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바, 핸들부재(H55)를 살짝 풀어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의 내측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상기 제1 분체(H1)의 외면과 떨어진 형상을 이루어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가로공(H41)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H55)를 조이게 되며, 이렇게 조이면 핸들부재(H55)가 자연스럽게 통과공(H40)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통과공(H40)에 구비되는 고정홈(H46)에 삽입됨으로서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 마그넷(H55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H46)의 일측에는 제2 마그넷(H557)을 구비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고정홈(H46)에 체결되면 이 제1 마그넷(H555)과 제2 마그넷(H557)의 자력에 의해 임의로 핸들부재(H5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회전식 청소기 10 : 하우징
11 : 본체 111 : 안착부
113 : 힌지봉 115 : 탈착스위치
13 : 손잡이부 131 : 전원스위치
15 : 헤드부 151 : 연결부
153 : 하부분체 155 : 내삽부
155A : 모터삽입부 155B : 제1 구동로
155C : 제2 구동로 157 : 상부분체
20 : 구동수단 21 : 제1 구동부재
211 : 구동모터 213 : 회전축
213A : 제1 나사산 213B : 제2 나사산
23 : 제2 구동부재 231 : 기어부재
30 : 세척수단 31 : 고정부재
33 : 세척부재 40 : 이물질제거수단
41 : 제1 흡입공 43 : 흡입로
45 : 흡입관 50 : 핸디형청소기
51 : 케이싱 511 : 핸들부
53 : 집진부 55 : 집진부재
57 : 제2 흡입공 59 : 보조스위치
11 : 본체 111 : 안착부
113 : 힌지봉 115 : 탈착스위치
13 : 손잡이부 131 : 전원스위치
15 : 헤드부 151 : 연결부
153 : 하부분체 155 : 내삽부
155A : 모터삽입부 155B : 제1 구동로
155C : 제2 구동로 157 : 상부분체
20 : 구동수단 21 : 제1 구동부재
211 : 구동모터 213 : 회전축
213A : 제1 나사산 213B : 제2 나사산
23 : 제2 구동부재 231 : 기어부재
30 : 세척수단 31 : 고정부재
33 : 세척부재 40 : 이물질제거수단
41 : 제1 흡입공 43 : 흡입로
45 : 흡입관 50 : 핸디형청소기
51 : 케이싱 511 : 핸들부
53 : 집진부 55 : 집진부재
57 : 제2 흡입공 59 : 보조스위치
Claims (4)
- 안착부(111)가 구비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구동모터(211)와 연결되는 제1 구동부재(21)와, 상기 제1 구동부재(21) 양 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구동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수단(20);
상기 제2 구동부재(23)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33)를 포함하는 세척수단(30);
상기 한 쌍의 세척부재(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흡입공(41)과, 상기 제1 흡입공(41)과 연통되되,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로(43)를 포함하는 이물질제거수단(40); 및
상기 흡입로(43)에 연통되되, 상기 안착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디형 청소기(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핸디형 청소기(50)는
집진부(53)가 형성된 케이싱(51)과, 상기 집진부(53)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부재(55) 및 상기 케이싱(51) 일측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흡입공(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핸디형 청소기(50)가 안착부(1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 흡입공(57)이 상기 흡입로(43)와 연통되어, 제1 흡입공(41)으로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핸디형 청소기(50)가 안착부(111)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2 흡입공(57)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제1 분체와, 상기 제1 분체에 내삽되는 제2 분체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H)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H)은
상기 제1 분체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통과공과, 상기 통과공에 삽입되어 통과공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제2 분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이동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공은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장되는 수직부가 복수번 반복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통과공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공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상기 제2 분체가 상기 제1 분체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과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상기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및 다른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핸들부재(H55)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부재(H55)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고, 상기 통과공(H40)에는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이 더 구비되되,
상기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 마그넷(H55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H46)의 일측에는 제2 마그넷(H55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21)의 양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되 제2 구동부재(23)와 연결되는 제1 나사산(213A)과 제2 나사산(213B)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21)의 회전에 의해 양측의 제2 구동부재(2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핸디형 청소기(50)가 안착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수단(20) 및 세척수단(30)이 구비되는 헤드부(15) 및 상기 본체(11)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15)의 후단에는 복수개의 보조바퀴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612A KR101804502B1 (ko) | 2017-03-17 | 2017-03-17 |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612A KR101804502B1 (ko) | 2017-03-17 | 2017-03-17 |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4502B1 true KR101804502B1 (ko) | 2017-12-04 |
Family
ID=6092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3612A KR101804502B1 (ko) | 2017-03-17 | 2017-03-17 |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450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8198B1 (ko) * | 2019-03-13 | 2020-06-29 | 임택순 |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
KR20200109487A (ko) * | 2019-03-13 | 2020-09-23 | 임택순 |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
KR20200113097A (ko) * | 2019-03-21 | 2020-10-06 | 주식회사 스윙 | 청소기 |
KR20210022359A (ko) | 2019-08-20 | 2021-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노즐 교체형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634Y1 (ko) * | 2000-10-27 | 2001-05-15 |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회전형 물걸레 구동장치 |
KR101595727B1 (ko) * | 2015-06-16 | 2016-02-19 | 김종란 |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
-
2017
- 2017-03-17 KR KR1020170033612A patent/KR101804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634Y1 (ko) * | 2000-10-27 | 2001-05-15 |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회전형 물걸레 구동장치 |
KR101595727B1 (ko) * | 2015-06-16 | 2016-02-19 | 김종란 |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8198B1 (ko) * | 2019-03-13 | 2020-06-29 | 임택순 |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
KR20200109487A (ko) * | 2019-03-13 | 2020-09-23 | 임택순 |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
KR102172613B1 (ko) | 2019-03-13 | 2020-11-02 | 임택순 |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
KR20200113097A (ko) * | 2019-03-21 | 2020-10-06 | 주식회사 스윙 | 청소기 |
KR102206564B1 (ko) * | 2019-03-21 | 2021-01-25 | 주식회사 스윙 | 청소기 |
KR20210022359A (ko) | 2019-08-20 | 2021-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노즐 교체형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502B1 (ko) | 핸디형 청소기가 구비된 회전식 청소기 | |
CN204618092U (zh) | 一种地拖和吸尘两用的手持式电动地刷 | |
RU2488342C2 (ru) | Узел рукоятки для всасывающего узла | |
KR102385783B1 (ko) |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 | |
GB2389064A (en) | Self-cleaning mechanism for cyclone overflow grill | |
GB2405083A (en) | Robotic vacuum cleaner with wet cloth cleaning unit | |
JP2003250727A (ja) |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 |
US20060277713A1 (en) | Vacuum turbo nozzle with movable visor | |
GB2538190A (en) | Vacuum Cleaner | |
JP2008104627A (ja) | 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 |
KR20120088314A (ko) | 왕복운동가능한 걸레장착판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 |
EP2945520B1 (en) | Vacuum suction base device with swivel coupling | |
CN201398936Y (zh) | 手提式吸尘器 | |
KR101505932B1 (ko) | 전기 바닥 청소기 | |
US8677556B2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CN100387177C (zh) | 电动吸尘器吸尘头及使用该吸尘头的电动吸尘器 | |
CN101176631A (zh) | 吸尘器过滤器结构 | |
EP3522761B1 (en) | Stick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 |
KR200485335Y1 (ko) |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 |
KR101425928B1 (ko) |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 |
CN106108795A (zh) | 抽吸清洁器 | |
CN212698731U (zh) | 一种便于更换清洁装置的清洁底座及扫地机 | |
JP5481087B2 (ja) | 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 |
KR200458082Y1 (ko) | 걸레포 착탈형 물걸레 청소기 및 이를 수용하는 홀더 | |
KR20200084213A (ko) | 브러쉬가 구비된 물걸레 겸용 청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