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451B1 - Wall structure of han-ok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of han-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451B1
KR101804451B1 KR1020160054046A KR20160054046A KR101804451B1 KR 101804451 B1 KR101804451 B1 KR 101804451B1 KR 1020160054046 A KR1020160054046 A KR 1020160054046A KR 20160054046 A KR20160054046 A KR 20160054046A KR 101804451 B1 KR101804451 B1 KR 10180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late
heat insulating
layer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4308A (en
Inventor
김완
Original Assignee
김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 filed Critical 김완
Priority to KR102016005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451B1/en
Publication of KR2017012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이 내측에 위치한 제1하면과 외측에 위치한 제2하면으로 구분되는 상인방과, 상기 상인방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내측에 위치한 제1상면과 외측에 위치한 제2상면으로 구분되는 하인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옥의 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면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상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하단이 연결되며, 셀룰로오스(cellulose), 유리섬유 및 목섬유 중 어느 하나로 충전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상측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외부합판; 상기 단열층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배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마감층; 내측면은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단은 상기 제2하면과 이격되고, 하단은 상기 제2상면과 이격된 외부마감층; 및 상기 제2상면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만곡된 경사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단열층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1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제1플레이트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경사면을 제공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하측이 상기 하인방 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된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마감층 하측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유로를 거쳐 상기 외부마감층 상측의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할수록 좁아져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로 향할수록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에는 각각 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옥의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iner is divided into a first lower surfac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lower surface located on the outer side and a second upper surfac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 wall structure of a Korean traditional house installed between a subdivision room, comprising: a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lower surface; A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upper surface; A heat insulating lay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filled with any one of cellulose, glass fiber and wood fiber; An outer plywoo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upper side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n inner finishing layer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form a piping space; An outer finish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to be spaced apart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n upper end separated from the second lower surface and a lower end separate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a plate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outward to provide a curved sloped surface for guiding air through the channel, wherein the plate includes: a first pl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 second plate connected at one side to the first plate and exposed at the other side to the outside to provide the inclined surface; a third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lower side bent at an acute angle toward the lower- Where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finish layer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inish layer through the flow passage and the flow path narrows from the inlet toward the outlet so that the outlet The air flow rate is increased as the air flows toward the sphere,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the outlet, It provides a wall structure of hanok to prevent.

Description

한옥의 벽체 구조{WALL STRUCTURE OF HAN-OK}{WALL STRUCTURE OF HAN-OK}

본 발명은 한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옥의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o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structure of a hanok.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으로 시공한 집을 한옥이라고 한다. 이러한 한옥은 목재의 기둥, 보, 및 도리 등으로 기본 골조를 이루고, 기타 친환경 재료를 이용하여, 벽이나 지붕이 만들어진다.In general, a house built in traditional Korean style is called a hanok. These hanoks are made of wooden pillars, beams, and tori, which form the basic framework, and other eco-friendly materials are used to make walls and roofs.

이렇기 때문에, 한옥은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자연과 잘 어울리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한옥은 재료의 특성으로 인하여 벽이나 지붕의 단열 성능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 있다.Therefore, the hanok does not emit harmful substances and is eco-friendly. It has the merits of being in harmony with natu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walls and roofs is not goo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스티렌 등을 이용하여 만든 인공 단열재가 한옥에 설치되기도 한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rtificial insulators made of polystyrene or the like are installed in the hanok.

그런데 인공 단열재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여 습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습기는 단열층의 단열 성능을 저하시키고, 목재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However, the artificial insulator generates moisture by blocking the movement of air, and the generated moisture lowers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causes a problem of corrosion of the structure made of wood.

또한, 단열재와 목재가 접촉되는 지점에 발생된 습기는 목재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고, 단열재에 발생된 습기는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저하시킨다.Also, the moisture generated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wood causes a problem of corrosion of the wood, and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lowers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4446호에 개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to be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1444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한옥의 단열 성능을 높이면서도 통풍 성능을 개선시킨 한옥의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wall structure of a hanok that improves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anok and improves the venti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한옥의 벽체 구조는, 하면이 내측에 위치한 제1하면과 외측에 위치한 제2하면으로 구분되는 상인방과, 상기 상인방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내측에 위치한 제1상면과 외측에 위치한 제2상면으로 구분되는 하인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옥의 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면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상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하단이 연결되며, 셀룰로오스(cellulose), 유리섬유 및 목섬유 중 어느 하나로 충전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상측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외부합판; 상기 단열층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배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마감층; 내측면은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단은 상기 제2하면과 이격되고, 하단은 상기 제2상면과 이격된 외부마감층; 및 상기 제2상면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만곡된 경사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단열층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1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제1플레이트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경사면을 제공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하측이 상기 하인방 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된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마감층 하측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유로를 거쳐 상기 외부마감층 상측의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할수록 좁아져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로 향할수록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에는 각각 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는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면 설치된 제1방습층과, 상기 단열층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2방습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includes a lintel that is divided into a first lower surfac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lower surface located on the outer side and a first upper surf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ntel, A hanok wall structure installed between two subdivided pillars, comprising: a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lower surface; A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upper surface; A heat insulating lay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filled with any one of cellulose, glass fiber and wood fiber; An outer plywoo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upper side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n inner finishing layer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form a piping space; An outer finish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to be spaced apart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n upper end separated from the second lower surface and a lower end separate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a plate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outward to provide a curved sloped surface for guiding air through the channel, wherein the plate includes: a first pl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 second plate connected at one side to the first plate and exposed at the other side to the outside to provide the inclined surface; a third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lower side bent at an acute angle toward the lower- Where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finish layer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inish layer through the flow passage and the flow path narrows from the inlet toward the outlet so that the outlet The air flow rate is increased as the air flows toward the sphere,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the outlet, It can be prevented.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isture-proof lay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and a second moisture-proof lay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한옥의 벽체 구조는 한옥의 벽체에서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n the wall of the hanok.

그리고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는, 단열층과 목재의 접촉부분의 습기를 제거하여, 습기에 의해 단열층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현상과 목재가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can prevent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from being lowered by moisture and corrosion of the wood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wood.

그리고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는 유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pa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옥의 벽체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한옥의 벽체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한옥의 벽체 구조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wall structure of a han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in Fig. 2 where the plate is install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a complete disclos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옥의 벽체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wall structure of a han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옥의 벽체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한옥의 벽체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한옥의 벽체 구조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wall structure of a han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hanok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상인방(21)과 하인방(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1 and 2, 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lintel 21 and the lower limb 22.

상기 상인방(21)과 상기 하인방(22)은,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인방(引枋)을 의미한다.The lintel 21 and the lower hearth 22 refer to drawers arrang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상기 상인방(21)의 양단은 제1기둥(11) 및 상기 제1기둥(11)과 이격된 제2기둥(12)의 상측에 각각 설치된다.Both ends of the lintel 21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illar 11 and the second pillar 1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11,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하인방(22)은 상기 상인방(21)에서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하인방(22)의 양단은 상기 제1기둥(11)의 하측 및 상기 제2기둥(12)의 하측을 각각 연결한다.The lower end 22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21 and both ends of the lower end 22 connec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lumn 11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lumn 12, respectively.

상기 제1기둥(11), 상기 제2기둥(12), 상기 상인방(21) 및 상기 하인방(22)은 각각 각각 목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first pillar 11, the second pillar 12, the lintel 21, and the lower pillar 22 may be made of wood, respectively.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상기 상인방(21)의 하면(21a, 21b)과, 상기 하인방(22)의 상면(22a, 22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21a and 21b of the lintel 21 and the upper surfaces 22a and 22b of the lower space 22.

이러한,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단열층(110), 내부마감층(120), 외부마감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ok wall structure 100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layer 110, an inner finishing layer 120, and an outer finishing layer 130.

상기 단열층(110)은, 상기 상인방(21)의 하면(21a, 21b)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하인방(22)의 상면(22a, 22b)에 하단이 연결되어 한옥의 내측과 한옥의 외측 사이의 열의 이동을 차단한다.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s 21a and 21b of the lintel 21 and the lower ends of the upper surfaces 22a and 22b of the lower space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heat from moving.

이러한 단열층(110)은 셀룰로오스(cellulose), 유리섬유 및 목섬유 중 어느 하나로 충전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may be filled with any one of cellulose, glass fiber, and wood fiber.

한편, 상기 상인방(21)의 하면(21a, 21b)은, 내측에 위치한 제1하면(21a)과 외측에 위치한 제2하면(2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인방(22)의 상면(22a, 22b)도, 내측에 위치한 제1상면(22a)과 외측에 위치한 제2상면(22b)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s 21a and 21b of the lintel 2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lower surface 21a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a second lower surface 21b located on the outer side. The upper surfaces 22a and 22b of the lower portion 22 may also be divided into a first upper surface 22a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a second upper surface 22b located on the outer side.

그리고 상기 단열층(110)의 상단은 상기 제1하면(21a)과 연결되고, 상기 단열층(110)의 하단은 제1상면(22a)과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surface 21a and the low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surface 22a.

즉, 상기 단열층(110)은 상기 상인방(21)의 하면(21a, 21b)과 상기 하인방(22)의 상면(22a, 22b) 사이에서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may be disposed inward between the lower surfaces 21a and 21b of the lintel 21 and the upper surfaces 22a and 22b of the lower space 22.

한편,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제1고정부재(141)와, 제2고정부재(142)와, 외부합판(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ok wall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141, a second fixing member 142, and an external plywood 143.

상기 제1고정부재(141)는 상기 제1하면(21a)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142)는 상기 제1상면(22a)에 고정된다.The first fixing member 141 is fixed to the first lower surface 21a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42 is fixed to the first upper surface 22a.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141)와 상기 제2고정부재(142) 사이에는 상기 단열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14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42.

상기 외부합판(143)은 상기 단열층(110)의 외측면과 접촉되고, 상측은 상기 제1고정부재(141)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제2고정부재(142)에 고정될 수 있다.The outer plywood 143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the upper side may be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141, and the lower side may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142.

상기 내부마감층(120)은 상기 단열층(11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단열층(110)과 상기 내부마감층(120) 사이에는 배관공간(120a)이 형성된다.The inner finishing lay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and a piping space 120a is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inner finishing layer 120.

상기 배관공간(120a)에는 각종 배관 및 케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공간(120a)에는 정체된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열층(110)과 함께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Various pipes and cables may be installed in the piping space 120a. Since the stagnant air layer is formed in the piping space 120a,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anok wall structure 100 together with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can be improved.

상기 외부마감층(130)은 상기 단열층(110)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빗물 등이 상기 단열층(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outer finish layer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to prevent rainwater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그리고 상기 외부마감층(130)의 상단은 상기 상인방(21)의 하면(21a, 21b)과 이격되고, 상기 외부마감층(130)의 하단은 상기 하인방(22)의 상면(22a, 22b)과 이격된다.The upper end of the outer finish lay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s 21a and 21b of the upper end of the lintel 21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finish layer 130 is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s 22a and 22b of the lower end 22, It is separated.

즉, 상기 외부마감층(130)은 상기 제2하면(21b)과 상기 제2상면(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finish lay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ower surface 21b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22b.

그리고 상기 외부합판(143)과 상기 외부마감층(130) 사이, 즉, 상기 외부마감층(130)의 내측면과 상기 단열층(110)의 외측면 사이에는 유로(130a)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130a)에서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A flow path 130a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lywood 143 and the outer finish layer 130, that i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inish layer 1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Air can flow in the flow path 130a.

이에 따라, 상기 외부마감층(130) 하측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유로(130a)를 거쳐 상기 외부마감층(130) 상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outer finishing layer 130 can flow out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inishing layer 130 through the flow path 130a.

더 상세히 설명하면(21a, 21b),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마감층(130)의 하단과 상기 하인방(22)의 상면(22a, 22b) 사이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유로(130a)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한 뒤, 상기 외부마감층(130)의 상단과 상기 상인방(21)의 하면(21a, 21b) 사이의 유출구로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의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flow por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outer finish layer 130 and the upper surfaces 22a and 22b of the lower passenger 22, And then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flow por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er finish layer 130 and the lower surfaces 21a and 21b of the lintel 21.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outside air, moisture inside 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can be removed.

따라서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상기 단열층(110)과 목재로 만들어진 상기 제1기둥(11), 상기 제2기둥(12), 상기 상인방(21) 및 상기 하인방(22) 등과의 의 접촉부분의 습기를 제거하여, 습기에 의해 단열층(110)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현상과 목재가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is formed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first pillars 11, the second pillars 12, the upper linings 21, the lower pillars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is lowered by the moisture and the phenomenon that the wood is corroded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contact portion.

한편, 상기 유로(130a)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할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할수록 상기 유로(130a)가 좁아질 경우, 상기 유출구에서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유출구 측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130a may become narrowe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When the flow pathway 130a is narrowed from the inlet port toward the outlet port, the flow rate of air at the outlet port increases, and the moisture on the outlet port side can be effectively removed.

그리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에는 각각 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유로(13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net is provid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respectively, so that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hannel 130a.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제1방습층(150)과, 제2방습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ok wall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isture-proof layer 150 and a second moisture-proof layer 160.

상기 제1방습층(150)은 상기 외부합판(143)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방습층(160)은 상기 단열층(1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moisture-proof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143 and the second moisture-proof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110.

상기 제1방습층(150)과, 상기 제2방습층(160)은 상기 단열층(110)으로 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단열층(110)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moisture-proof layer 150 and the second moisture-proof layer 160 prevent the moisture from moving to the heat insulation layer 110 and prevent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110 from deteriorating.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는 플레이트(170)를 더 포함할 할 수 있다.The hanok wall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ate 170.

상기 플레이트(170)는 상기 제2상면(22b)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70a)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170a)은 외부공기를 상기 유로(130a)로 안내할 수 있다. The plate 170 is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22b and provides an outwardly inclined sloping surface 170a. Accordingly, the inclined surface 170a can guide the outside air to the flow path 130a.

한편, 상기 경사면(170a)은 상기 유로(130a)를 향하여 만곡되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상기 유로(130a)로 유입될 때, 외부공기의 유입을 원활히 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inclined surface 170a is curved toward the flow path 130a, external air can flow smoothly whe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flow path 130a.

또한, 상기 경사면(170a)은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빗물 등이 상기 경사면(170a)에 떨어지면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70a)은 빗물이 상기 한옥의 벽체 구조(100)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nclined surface 170a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when rainwater or the like falls on the inclined surface 170a,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Therefore, the inclined surface 170a can prevent the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wall structure 100 of the hanok.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170)는 제1플레이트(171)와, 제2플레이트(172)와, 제3플레이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plate 170 may include a first plate 171, a second plate 172, and a third plate 173.

상기 제1플레이트(171)는 상기 단열층(11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The first plate 171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10.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172)는 일측은 상기 제1플레이트(171)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경사면(170a)을 제공한다.One side of the second plate 172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171,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the inclined surface 170a.

그리고 상기 제3플레이트(173)는 상기 제2플레이트(172)의 타측에 연결되며, 하측이 상기 하인방(22) 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제3플레이트(173)는 수분이 상기 제2플레이트(172)의 하면을 통해, 상기 상기 하인방(22)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The third plate 17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172 and the lower side is bent at an acute angle toward the lower limit 22 side. Accordingly, the third plate 173 can prevent the moisture from moving to the lower limit 22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72.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한옥의 벽체 구조
110: 단열층
120: 내부마감층
130: 외부마감층
100: Hanok's wall structure
110: insulating layer
120: inner finish layer
130: outer finish layer

Claims (6)

하면이 내측에 위치한 제1하면과 외측에 위치한 제2하면으로 구분되는 상인방과, 상기 상인방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면이 내측에 위치한 제1상면과 외측에 위치한 제2상면으로 구분되는 하인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옥의 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면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
상기 제1상면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하단이 연결되며, 셀룰로오스(cellulose), 유리섬유 및 목섬유 중 어느 하나로 충전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상측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제2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외부합판;
상기 단열층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배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마감층;
내측면은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단은 상기 제2하면과 이격되고, 하단은 상기 제2상면과 이격된 외부마감층; 및
상기 제2상면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만곡된 경사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단열층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1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제1플레이트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경사면을 제공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하측이 상기 하인방 측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된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마감층 하측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유로를 거쳐 상기 외부마감층 상측의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할수록 좁아져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로 향할수록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에는 각각 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옥의 벽체 구조.
A first upper surfac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lower surfac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upper surfac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In the wall structure of the installed hanok,
A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lower surface;
A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upper surface;
A heat insulating lay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member,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filled with any one of cellulose, glass fiber and wood fiber;
An outer plywoo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upper side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n inner finishing layer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form a piping space;
An outer finish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to be spaced apart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n upper end separated from the second lower surface and a lower end separate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And a plate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ly outwardly to provide a curved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air through the channel,
The plate may comprise:
A first pl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 second plat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other side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oviding the inclined surface;
And a third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lower side bent at an acute angle toward the lower mouth s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ort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finish layer flows out through the outflow port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inish layer through the flow path,
Wherein the flow path is narrowe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so as to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ai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a ne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inlet and the outle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면 설치된 제1방습층과, 상기 단열층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2방습층을 더 포함하는 한옥의 벽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moisture-proof laye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ywood, and a second moisture-proof layer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54046A 2016-05-02 2016-05-02 Wall structure of han-ok KR101804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046A KR101804451B1 (en) 2016-05-02 2016-05-02 Wall structure of han-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046A KR101804451B1 (en) 2016-05-02 2016-05-02 Wall structure of han-o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308A KR20170124308A (en) 2017-11-10
KR101804451B1 true KR101804451B1 (en) 2018-01-10

Family

ID=6038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046A KR101804451B1 (en) 2016-05-02 2016-05-02 Wall structure of han-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45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69A (en) * 1999-04-08 2000-10-17 Tajima Kaken Kk Dew condensation preventing wall
JP2004204654A (en) * 2002-12-20 2004-07-22 Chuo Co Ltd Start member and wall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69A (en) * 1999-04-08 2000-10-17 Tajima Kaken Kk Dew condensation preventing wall
JP2004204654A (en) * 2002-12-20 2004-07-22 Chuo Co Ltd Start member and wal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308A (en)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5636D1 (en) A FLOW AND A BUILDING STRUCTURE WITH ONE FLOW
US2764929A (en) Venting device
KR101804451B1 (en) Wall structure of han-ok
KR101603192B1 (en) The soundproof tunnel
KR101875119B1 (en) Roof structure of han-ok
JP5993970B2 (en) Waterproof tile
KR101928494B1 (en) roof deck system with noise absorption and fireproof structure
JP5117978B2 (en) Ventilation structure
KR101381810B1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soundproof facilities and soundproof facilities having the same
CN204025104U (en) Heating and ventilating fan
CN106545136A (en) A kind of wood moulding wall, shoe plate
CN214941749U (en) Prevention of seepage water structure between vestibule and building
CN205387894U (en) Waterproof door plant
CN207582341U (en) A kind of novel sound shield plates
KR102373147B1 (en) Eco-friendly exposed type curtain wall with improved recyclability
CN106320659B (en) Partially enclosed exhaust gas flue between a kind of upper and lower branch gas flue
TWM562871U (en) Roof ventilation hood structure
JP6437240B2 (en) Building continuous structure
CN210685521U (en) Noise-reduction ventilation generator room
KR102157113B1 (en) Wall For Housing
KR101965783B1 (en) Vented cap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nd for smooth induction of exhaust
JP6072651B2 (en) Opening device
KR200471344Y1 (en) Door
CN105401678A (en) Cast-in-concrete hollow floor inner die system with indoor smoke discharging function
IT201900018410A1 (en) Structural unit for the roof covering of a building, comprising means of thermal reg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