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811B1 -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811B1
KR101803811B1 KR1020090120832A KR20090120832A KR101803811B1 KR 101803811 B1 KR101803811 B1 KR 101803811B1 KR 1020090120832 A KR1020090120832 A KR 1020090120832A KR 20090120832 A KR20090120832 A KR 20090120832A KR 101803811 B1 KR101803811 B1 KR 10180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evaporator
shutter
lens barrel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309A (ko
Inventor
고은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frosting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판단에 따라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성에, 제상, 카메라, 증발기, 감지

Description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Defrost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증발기에 생성되는 성에를 카메라로 감지하여 제상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은 압축공정, 응축공정, 팽창공정 및 증발공정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공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압축공정에서는 증발기를 통해 증발된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가 응축이 잘 되도록 압축기를 통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만들어 주며, 응축공정에서는 그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공기 또는 물과 열교환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환되고, 팽창공정에서는 그 고압의 액체냉매가 팽창관을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이상류 상태로 되어 상기 증발기에 유입된다.
그리고, 증발공정에서는 그 저온저압의 이상류 상태인 냉매가 증발기와 열교환을 통해 가스상태로 변환되며, 이때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저하되어 냉기가 냉장 및 냉동실에 공급됨으로써, 식품을 냉동 저장하거나, 냉장 저장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경우, 증발기 주위온도와 급격한 온도차로 인해 증발기에 성에가 생성되어 냉장고의 냉동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성에는 냉장실 및 냉동실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주로 착상되며, 냉각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증발기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시점을 카메라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판단함으로써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판단에 따라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증발기에 형성된 성에를 촬영함으로써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시점을 용이하게 판단하여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판단에 따라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증발기에 생성되는 성에 발생특성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증발기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며,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차단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되어 안착되는 렌즈배럴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렌즈배럴로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셔터는 한 쌍의 셔터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셔터 블레이드 중 하나의 셔터 블레이드에 스폰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장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냉장고에 구비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제상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제상히터 및/또는 팬(fan)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는 냉장고의 증발기(10); 상기 증발기(10)에 생성된 성에를 촬영하는 카메라(20) 및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판단에 따라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10)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냉동 또는 냉장을 위해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10)는 그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기와 열교환을 통해 가스상태로 변환되며, 이때 증발기(10) 주위의 온도가 저하되어 냉기가 냉장 및 냉동실 에 공급됨으로써 식품을 냉동 저장하거나, 냉장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증발기(1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경우, 증발기(10) 주위온도와 급격한 온도차로 인해 증발기(10)에 성에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20)는 상기 증발기(10)에 생성된 성에, 특정적으로 증발기(10)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20)는 증발기(10)에 생성되는 성에 발생특성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증발기(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20)는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케이스(80); 상기 케이스(8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며,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차단하는 셔터(60); 상기 셔터(6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50); 상기 렌즈배럴(50)이 결합되어 안착되는 렌즈배럴 안착홈(100)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50)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40); 상기 렌즈배럴(50)로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70)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80)는 그 내부와 외부의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좋고, 대량생산을 위해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80)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관통홀(110)이 형성된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관통홀(110)은 외부의 광이 입사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60)는 의 광 이미지를 통과/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8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셔터(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터 블레이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 블레이드의 하단으로 스폰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셔터(60)는 한 쌍의 셔터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폰지는 한 쌍의 셔터 블레이드 중 하단에 구비되는 셔터 블레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폰지는 셔터(60)에 연결됨으로써, 셔터(60)의 작동에 따라 셔터(60)의 하단에 위치하는 렌즈의 표면을 세정한다.
이때, 상기 렌즈의 세정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전에 셔터(60)를 미리 5 내지 10회 반복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정적으로 상기 스폰지는 렌즈(lens)를 포함하는 렌즈배럴(50)를 액츄에이터(actuator)에 실장할 경우 그 공간 간격의 공차 범위와 동일한 높이로 스폰지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50)은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40)는 렌즈배럴(50)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파사체, 특정적으로 증발기(10)에 생성된 성에를 명확히 촬영하기 위해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한다.
상기 액추에이터(40)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40)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일정한 주기로 보이스 코일 모터를 반복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작동으로 인한 발열로 인해 증발기(10)에 생성되는 성에 형성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20)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켜 카메라(20)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40)의 내부에는 렌즈배럴(50)이 결합되어 안착되는 렌즈배럴(50) 안착홈(10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30)에는 렌즈배럴(50)을 통해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70)는 촬영된 광 이미지 신호를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하여 증발기(10)에 생성된 성에의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공정의 실시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20)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상장치(미도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판단, 즉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증발기(10)의 성에를 제거하여야 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한 후 성에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작도하여 증발기(10)의 성에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제상장치는 냉장고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제상히터, 팬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상장치는 카메라(20) 또는 제어부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20)의 액추에이터(40)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카메라(20)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켜 카메라(20)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습기를 제거한다.
그 다음, 증발기(10)에 성에가 생성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피사체, 즉 증발기(10)의 표면을 주기적으로 촬영한다.
이때, 상기 증발기(10)를 촬영하기에 앞서, 셔터(60)를 5 내지 10회 반복적으로 작동시켜 셔터(60)에 연결된 스폰지로 카메라(20)의 렌즈표면을 세정하도록 한다.
그 다음, 증발기(10)를 촬영한 이미지는 이미지센서(70)를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그 다음, 전달된 이미지를 근거로 증발기(10)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할 것인가 판단하며, 제거를 필요로 할 경우 별도의 제거장치. 예를 들면 제상히터(미도시) 등을 작동시켜 증발기(10)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 즉 제상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증발기 20 : 카메라
30 : 인쇄회로기판 40 : 액추에이터
50 : 렌즈배럴 60 : 셔터
70 : 이미지센서 80 : 케이스
100 : 렌즈배럴 안착홈 110 : 관통홀

Claims (6)

  1. 냉장고의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생성된 성에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판단에 따라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장치;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상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나타난 성에의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제상장치를 통한 성에 제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통과/차단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이 결합되어 안착되는 렌즈배럴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구동되어 발열을 통해 습기를 제거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셔터 하단에 연결된 스폰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는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높이차이와 동일한 높이이고,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렌즈의 상면과 접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증발기의 상단에 설치된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상장치가 제상히터, 팬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배럴로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6. 삭제
KR1020090120832A 2009-12-07 2009-12-07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KR10180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32A KR101803811B1 (ko) 2009-12-07 2009-12-07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32A KR101803811B1 (ko) 2009-12-07 2009-12-07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09A KR20110064309A (ko) 2011-06-15
KR101803811B1 true KR101803811B1 (ko) 2017-12-04

Family

ID=4439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32A KR101803811B1 (ko) 2009-12-07 2009-12-07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984A (ko) * 2010-04-02 2011-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냉장고 증발기의 성에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13216759A1 (de) * 2013-08-23 2015-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Kameramodul
CN105258433B (zh) * 2015-10-10 2018-03-23 沈阳海尔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与风冷冰箱的化霜控制方法
CN106568251A (zh) * 2016-10-11 2017-04-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制冷设备化霜控制方法、装置及具有该装置的制冷设备
CN107020917B (zh) * 2017-04-12 2019-02-12 南京协众汽车空调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计算机视觉技术的热泵型电动汽车空调除霜控制系统及方法
KR101901722B1 (ko) * 2018-01-19 2018-11-22 조계철 항온 센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 제상시스템
KR102200223B1 (ko) * 2019-07-17 2021-01-08 에너지기술서비스(주) 냉장/냉동 저장 창고용 제상 시스템 및 제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638A (ja) * 2005-04-18 2006-11-02 Lg Electronics Inc 機械式しぼり及びシャッターを備える超小型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01424B1 (ko) * 2007-01-10 2008-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080149837A1 (en) * 2004-01-07 2008-06-26 Alan Bagley Optical frost sensor
JP2008232605A (ja) * 2007-02-19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9837A1 (en) * 2004-01-07 2008-06-26 Alan Bagley Optical frost sensor
JP2006301638A (ja) * 2005-04-18 2006-11-02 Lg Electronics Inc 機械式しぼり及びシャッターを備える超小型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01424B1 (ko) * 2007-01-10 2008-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08232605A (ja) * 2007-02-19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09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811B1 (ko) 냉장고의 성에 제거장치
JP4937032B2 (ja) 冷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JP5410114B2 (ja) 冷凍装置
JP5249821B2 (ja) 冷凍装置及び冷凍装置の冷媒漏洩検知方法
JP6729674B2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
KR101576366B1 (ko) 공기조화기 성능 검사장치
JP2014145565A (ja) 冷凍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チラー
CN106123205A (zh) 移动式空调器及其冷媒泄漏检测方法
JP2013096642A (ja) 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189287A (ja) 冷却庫
CN114761742B (zh) 制冷循环装置的控制装置以及制冷循环装置
KR100666680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94478A (ja) 氷蓄熱式空気調和装置
US1154974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4183517B2 (ja) 冷却装置
KR200473425Y1 (ko) 침지형 제빙기의 탈빙장치
JP4984770B2 (ja) 冷蔵庫
CN201028919Y (zh) 内藏蒸发器单制冷系统的双温双控结构
KR100208334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2026590A (ja) 冷凍装置
JP2005226865A (ja) 冷蔵庫
KR20090075280A (ko) 냉장고 제상 방법
JP2020118318A (ja) 冷却貯蔵庫
JP2007315716A (ja) 冷蔵庫
CN116147862A (zh) 一种冰箱及其门封密封性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