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386B1 -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386B1
KR101803386B1 KR1020150140663A KR20150140663A KR101803386B1 KR 101803386 B1 KR101803386 B1 KR 101803386B1 KR 1020150140663 A KR1020150140663 A KR 1020150140663A KR 20150140663 A KR20150140663 A KR 20150140663A KR 101803386 B1 KR101803386 B1 KR 10180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moxa
moxibustion
fixing ban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630A (ko
Inventor
정진욱
엄명주
강점남
Original Assignee
정진욱
엄명주
강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엄명주, 강점남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5014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2Kne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한방시술에 유래하는 쑥뜸요법에서 쑥을 태워 훈증을 시킬 때 허리부위와 엉덩이부위와 몸통부위와 양발 발바닥부위 훈증은 용이하나 무릎부위는 다리 전체를 덮어야 하므로 따로 시술할 수 없는 어려운 부위로 알려져 왔기에 일반인들은 가볍게 시술을 못하고 항상 몸 전체를 찜질해야 된다고 생각되어 분리할 수 없다고 여겨져 왔다,
그동안 불가능하다고 여겨온 무릎부위의 분리시술에 대하여 여러 방면으로 독창적인 부위별 시술을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노력한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가능하다는 결론에 의한 판단과 사출산업의 발전으로 높은 온도에도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의 개발로 성형산업에 큰 변화를 주면서 단단하고 소형의 무릎전용 쑥뜸장치를 부분부품으로 사출하고 조립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원발명의 무릎쑥뜸장치는 소형도자기와 같이 성형시켜 사출하는 합성재료로 개발하여 전용용기로 제작하므로 인하여 이제는 부위별로 뜸으로 시술할 수 있게 되었는데 금차 무릎부위부터 독립적인 무릎시술용으로 개발함으로써 몸 전체를 동시에 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출시하게 된 것이다,
기술향상에 의거하여 창의적으로 신체의 부위별로 쑥뜸을 시술할 수 있게 되어 한방쑥뜸시술소나 개인도 무릎부위에 독립적으로 쑥뜸을 장착 및 해체를 스스로 할 수 있게 하므로 많은 무릎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색인어]
무릎쑥뜸장치, 공기흡입구, 쑥 봉, 무릎외곽부위, 연기배출구, 무릎내곽(수용), 무릎고정밴드, 루프, 후크,

Description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The Device of moxa cautery for knee, thereof its products method.}
본원발명은 한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릎용 쑥뜸장치인데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아 무릎만 아니고 몸 전체를 수용하는 캡슐형태 등만 사용되고 있는데 차츰 금형 기술이 발달하면서 형틀 제작에 어려움이 없을 뿐 아니라 수지제품분야도 다양한 혼합재료를 개발하여 열에 강한 서머플라스틱(thermoplastic)도 개발되어 이를 소재로 무릎전용 쑥뜸장치를 제작하므로 관절부위에 장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사출시켜 조립한다면 제작이 가능하게 된 쑥뜸장치분야의 제작기술에 속한다,
본 무릎용 쑥뜸장치는 기존의 쑥뜸용 양발수용매연차단발목덮개에 사용되는 쑥뜸장치를 활용하는데 상기 장치에 복잡한 덮개를 제작하여 무릎을 올려놓고 밀폐시키는 등 장착도 어렵고 피시술자도 장시간 무릎을 움직이지 못하게 되므로 시술자나 피시술자 모두가 쑥뜸시술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호소해 온 분야의 개발기술이기도 하다,
본 기술의 배경으로는 그동안 시술로는 전기장치로 개발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8163호 (2011.06.22.)의 무릎찜질기와 쑥뜸용은 아니나 찜질팩을 사용하는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25321호 (2012.03.15.)의 찜질팩이 구비된 무릎 보호대와 출원번호 제20-2012-0060909호 (2012.00.00.)의 쑥뜸용 양발수용매연차단발목덮개의 기술을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하였다,
상기 기술에서 쑥뜸장치를 사용할 때 침상에 눕거나 의자에 앉아 발을 넣고 시술하므로 장착과 활용에 큰 불편함이 없었으나 무릎과 팔꿈치부위에 장착하기란 대단히 어려워 특별히 개발한 새로운 장착가능한 장치의 발명이 필연적으로 뒤따라야 하므로 이에 부응하는 장치로 연구하여 개발된 기술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릎이나 팔꿈치와 같이 중간에 위치하면서 자주 꾸부리거나 오므려야 하는 부위를 장시간 고정시키되 순간순간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시키는 장치로 착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쑥뜸장치는 고열이 수반되므로 도자기로 제작되거나 철제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도자기는 자칫 깨지기 쉽고 철제는 고열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과 선택이 우선되어야 하며 움직일 때 타고 있던 쑥 봉이 탈락하여 몸에 떨어져 화상이나 화재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이와 같은 화기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격실 배치와 격실의 보호와 덮개를 안전하게 장착시키는 배치와 장착과 보호 등의 장치가 동반되어야 하는 점이다,
본원발명의 무릎용 쑥뜸장치로 제작하려면 해결수단 중에 우선해야 할 과제로 재료의 선택인데 도자기나 철제는 무릎에 장착하는 장치로 선택한다면 피부에 화상이 예상되므로 이에 관한 대응장치이며 다음으로 관절부분이라 단순한 장치가 아니라 다수부품으로 조립되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안전성에 관한 과제도 해결수단으로 채택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무릎쑥뜸장치를 장착시킬 때 다양한 소품의 부품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번거로운 것을 피할 길 없으나 무릎통증으로 고생하는 이들에게는 무릎을 움직이면서 장시간 시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가능한 장치라는 점으로 볼 때에 번거롭기 보다는 그동안 고생한 점에 비추어 시술의 기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오랫동안 지녀온 무릎부위의 고통을 해소시킬 수 있는 무릎쑥뜸장치로 치유의 길이 보이므로 환자로 고생하는 기간의 희망 없는 생활에서 희망을 주는 계기가 되어 비록 완치는 어렵더라도 아픔을 해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무릎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원발명 무릎쑥뜸장치의 부품들을 펼쳐놓은 전개도,
도 2는 본원발명 무릎쑥뜸장치에서 무릎수용부위의 외곽배면도,
도 3은 본원발명 무릎쑥뜸장치에서 무릎수용부위의 측면 및 내면상부도,
도 4는 본원발명 무릎쑥뜸장치에서 쑥뜸덮개의 측면 및 내면상부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무릎외곽부위, 12 : 연기외곽배출구,
14,14a : 쑥뜸안치소(좌우), 16,16a : 열기외곽인입구(좌우),
20,20a : 덮개고정밴드루프(좌우), 22,22a : 무릎고정밴드루프(좌우),
24,24a : 무릎상하쿠션(좌우), 26,26a : 무릎좌우쿠션(좌우),
28,28a : 돌기나사, 30 : 무릎내곽,(무릎수용),
32 : 연기내곽배출구, 34,34a : 쑥뜸내곽패널(좌우),
36 : 열기내곽인입구, 38,38a : 암나사(좌우),
40.40a : 쑥뜸덮개(좌우), 42,42a : 덮개손잡이(좌우),
44,44a : 덮개공기인입구(좌우), 46,46a : 덮개고정밴드(좌우),
48,48a : 고정밴드후크(좌우), 50 : 무릎고정밴드,
52,52a : 무릎밴드후크(좌우), 60 : 쑥 봉,
70 : 쑥뜸본체, 80 : 무릎쑥뜸장치,
A : 무릎본체 일 측 옆면사시도, B : 무릎본체 상부사시도,
C : 쑥뜸덮개 일 측 옆면도, D : 쑥뜸덮개 저면도,
본원발명의 무릎쑥뜸장치 제작을 위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할 때 단순히 좌우로 표시하며 기재되어 있으나 도면에는 숫자와 함께 영문 소문자가 병기되어 있는데 본원발명의 쑥뜸장치에는 쑥뜸안치소가 좌우로 배열되어 있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분류표기하지 않고 설명을 간편하게 기재하기 위해 간소화 하고자 분류설명을 생략하여 기재한다,
간소화에 대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면 상세한 설명에서 쑥뜸안치소(14)만 있고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는 상기 표기에서 영문자의 a가 있는 쑥뜸안치소(14a)도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므로 간략하게 좌우로만 기재하면서 괄호 속에 함께 기재한 것이고 같은 기능을 하지만 그 위치가 다르다는 점에서 도면상에만 구분시킨 표시일 뿐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무릎쑥뜸장치(80)를 일 측 무릎에 장착하고 무릎의 좌측과 우측의 쑥뜸안치소(14,14a)에 쑥 봉(60)을 담고 점화시켜 강한 열기가 전달되도록 할 목적으로 좌측 쑥뜸안치소(14)와 우측 쑥뜸안치소(14a)로 구분시켜야 하지만 지나친 구분으로 인한 설명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부호를 단일화 시켰을 뿐이므로 이로 인한 큰 의미는 없다,
본원발명의 무릎쑥뜸장치(80)는 무릎수용용 내측에 무릎내곽(30)이 깊게 함몰된 형상인데 외측 무릎외곽부위(10)는 둥글게 돌출된 점은 내측무릎수용공간을 형성시켰기 때문이고 쑥뜸의 강한 열기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할 안전상 문제로 좌우 쑥뜸안치소(14)를 돌출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이룬다,
쑥뜸본체(70)내부가 되는 상기 무릎내곽(30)은 좌우로 형성된 쑥뜸내곽패널(34)로 무릎을 보호하고 상기 쑥뜸내곽패널(34)의 바깥측은 다수개의 열기외곽인입구(16)를 형성시킨 좌측과 우측의 쑥뜸안치소(14,14a)로 명명하면서 내부로 열기를 인입시키면 내측도 이에 따라 동일한 수효로 다수개의 열기내곽인입구(36)가 형성되어 열기가 인입되면서 무릎에 쑥뜸을 시켜주도록 하므로 좌우는 넓고 앞뒤는 짧아 타원형이 형성된다,
상기 쑥뜸안치소(14)와 쑥뜸내곽패널(34)은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되는 명칭이며 두 개로 나뉜 도면에는 좌측 쑥뜸안치소(14)와 우측 쑥뜸안치소(14a)로 구분시켜 상세히 기재된 '도면'과는 달리 설명을 쉽게 할 목적으로 단일화로 기재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는 차이가 있으나 이는 장황한 설명으로 오류를 피하고자 함일 뿐 특별한 내용은 없다,
쑥 봉(60)이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쑥뜸안치소(14)에 안치시키고 점화시키면 강제순환장치(도면에 없음)로 인해 연기는 연기외곽배출구(12)로 빨려 나가면서 열기만 열기외곽인입구(16)를 통과할 때에 열기내곽인입구(36)로 인입되면서 무릎내곽(30)에 들어온 무릎에 훈증되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쑥 봉(60)이 얹어진 좌우로 배열된 쑥뜸안치소(14)는 좌우로 나누어진 쑥뜸덮개(40)를 만들어 쑥 봉(60)을 고정시키고 쑥뜸덮개(40)를 덮고 상기 쑥뜸덮개(40)가 덮어지도록 덮개고정밴드(46)를 만들어 덮개손잡이(42)의 내측으로 통과시킨 후 상기 덮개고정밴드(46)의 좌우 내측 끝에 부착시킨 고정밴드후크(48)를 무릎외곽부위(10)의 좌우로 형성된 쑥뜸안치소(14)의 외부몸체 좌우에 부착시킨 덮개고정밴드루프(20)에 부착시키면 상기 쑥뜸덮개(40)는 이탈되지 않고 쑥 봉(60)을 고정시켜줄 수 있게 제작하면 된다,
무릎외곽부위(10)와 연기외곽배출구(12)와 좌우로 배열된 쑥뜸안치소(14)로 구성시켜 서머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된 쑥뜸본체(70)의 무릎안치부위인 무릎내곽(30)은 무릎을 수용시키는 부위이므로 무릎도 보호하면서 쑥 봉(60)의 매운 연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탄력이 있으면서 부드러운 쿠션을 지닌 재질로 테를 만들어 좌우로 배열된 쑥뜸안치소(14) 밑 부위는 무릎과 마찰은 피하고 연기도 새지 않도록 무릎좌우쿠션(26)을 부착시키고 좌우로 배열된 쑥뜸안치소(14)를 중심으로 무릎의 위와 아래를 보호해주면서 연기도 새지 않도록 둘레부위엔 무릎상하쿠션(24)을 부착시켜 무릎의 둘레를 보호하면서 매연을 방지할 수 있게 제작한다,
본 무릎쑥뜸장치(70)를 무릎에 덮어 놓을 때 형상은 쑥뜸안치소(14)가 마치 양측에 뿔 달린 로봇의 머리 형상이며 무릎전방으로 뻗은 연기외곽배출구(12)는 긴 코와 같고 쑥뜸안치소(14)는 다수개의 열기외곽인입구(16)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쑥뜸본체(70)를 설계하여 금형으로 제작하면서 서머플라스틱 재료도 확보하였다,
상기와 같이 쑥뜸본체(70)를 형성하는 무릎외곽부위(10)와 상기 무릎외곽부위(10)의 좌우로 배열되는 쑥뜸안치소(14,14a)의 각각의 직경은 내경 55mm에 두께 2mm로 외경이 59mm이며 높이는 6mm로 형성되며 쑥뜸덮개(40)는 별도 제작으로 내경 59mm 내지 60mm로 제작하여 쑥 봉(60)을 담고 닫을 수 있게 하였고 무릎외곽부위(10)에서 좌우 양측 쑥뜸안치소(14)간 간격은 60mm로 하였다,
무릎을 수용하는 무릎내곽(30)의 쑥뜸본체(70) 밑면은 무릎 양측으로 벌려지며 둘레는 120mm이고 둘레 두께는 6mm로 하였으며 무릎의 전후좌우로 벌려지며 여유 있게 무릎을 수용하도록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크기를 정하여 금형을 만든 후 무릎내곽(30)의 정중앙 깊이는 무릎좌우쿠션(26)부위에서 무릎외곽부위(10)의 바닥까지 깊이는 102mm가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무릎내곽(30)에서 내려다보는 형상은 옛 군인들이 지니고 다녔던 타원형의 식기와 유사하였고 상부는 앞뒤에서 중앙부위가 움푹 파인 반원형의 모습이 되었다,
쑥 봉(60)이 담기는 쑥뜸안치소(14)는 가장자리를 따라 8개의 열기외곽인입구(16)를 뚫고 중앙에 3개를 더 만들었으므로 내측에도 열기내곽인입구(36)도 같은 수가 되었고 쑥 봉(60)을 담고 불을 붙인 후 쑥뜸덮개(40)를 덮으면 뿔이 솟은 형상이 되고 무릎 좌우로 내려온 밑의 둘레부위는 무릎이 조여지지 않게 넓어 매연이 새지 않게 무릎좌우쿠션(26)을 두터운 스펀지로 부착시켰다,
쑥뜸덮개(40)는 높이를 50mm에 내경 60mm로 하고 덮개공기인입구(44)는 3개를 적절하게 상부 원통부위에 배열시켰고 상부에는 덮개손잡이(42)를 만들었는데 원통형에 직경 6mm 봉을 반원으로 휘게 만들어 봉으로 생긴 공간이 되면서 두께 2mm에 폭 18mm에 길이 200mm의 덮개고정밴드(46)가 통과되도록 22mm로 하고 높이도 최고 20mm로 올려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게 제작하였다,
쑥뜸본체(70)에서 좌우로 형성된 쑥뜸안치소(14) 외곽의 일 위치에 덮개고정밴드(46)의 좌우 양 끝의 고정밴드후크(48)를 수용하는 덮개고정밴드루프(20)를 좌우로 부착시키고 양 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쑥뜸안치소(14)의 좌우에 두께 3mm와 폭 50mm와 길이 400mm의 무릎고정밴드(50)의 양 끝에 장착된 무릎고정밴드루프(22)에 수납되는 무릎밴드후크(52)를 상기 무릎고정밴드(50)의 폭에 맞게 50mm와 넓이 24mm로 제작하여 부착시켰다,
먼저 쑥뜸본체(70)를 연기외곽배출구(12)의 위치를 피시술자 몸체의 반대에 위치시키고 무릎에 씌운 후 무릎고정밴드(50)를 사용하여 상기 무릎고정밴드(50)의 양 끝에 부착된 무릎고정밴드루프(22)에 상기 무릎밴드후크(52)를 부착시켜 장착한 후 연기외곽배출구(12)에도 강제순환펌프에 연결된 파이프(도면에 없음)를 연결하여 매연도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에 좌우로 분리된 쑥뜸안치소(14)에 쑥 봉(60)을 한 알씩 담고 불을 붙인 후 타는 것을 확인하면서 각각의 쑥뜸덮개(40)를 덮고 덮개손잡이(42)의 통로에 덮개고정밴드(46)를 통과시켜 좌우 끝에 부착된 고정밴드후크(52)를 각각의 덮개고정밴드루프(20)에 부착시키므로 완전하게 장착을 완료하였다,
약 반 시간정도 시술을 한 후 다 타지 않은 쑥 봉을 치우면서 무릎을 살펴보니 열기를 받아 붉은 피부가 통증을 해소시켜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좌우 쑥뜸안치소(14,14a)에 각각 쑥 봉(60)을 집어넣고 해당 좌우 쑥뜸덮개(40,40a)로 덮을 때 상기 좌우 쑥뜸덮개(40,40a)의 각기 끝 부위 내측으로 좌우 돌기나사(28,28a)를 형성시키면 좌우 쑥뜸안치소(14,14a)의 둥근 내벽둘레에 형성된 좌우 암나사(38,38a)의 테에 물리면서 좌우 쑥뜸덮개(40,40a)를 돌려 닫으니 뚜껑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부착시키며 보조기능을 하는 덮개고정밴드(46,46a)가 필요 없게 되었다,
실시 예1 및 실시 예2에선 초기단계이기에 간단하게 성형시켰으나 향후 성형기술이 향상되면 보다 간편하게 쑥뜸덮개(40)를 닫고 열 수 있게 개선시키려고 우선 아이디어만 제시하면서 실시 예3은 실제로 제작하지 못하였다,
도면 3에서 쑥뜸본체(70)를 도시(사진)는 같은 무릎본체(70)를 좌측 도시는 '무릎본체 일 측 옆면사시도(A)'로서 무릎고정밴드루프(22)와 좌우 덮개고정밴드루프(20)의 위치를 보이고저 한 도시이고 우측은 '무릎본체 상부사시도(B)'로서 무릎내곽(30)을 보이고저 한 도시이며 도면 4에서 좌측은 '쑥뜸덮개 일 측 옆면도(C)'로서 덮개손잡이(42)를 보이고저 한 도시이고 우측은 '쑥뜸덮개 저면도(D)'로서 내면을 보이고저 한 도시이며 양 쑥뜸덮개(40)를 씌우고 무릎에 장착한 무릎쑥뜸장치(80)는 착용자의 인물을 알리지 않고자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Claims (4)

  1. 무릎쑥뜸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열기인입구(16)를 갖춘 원형의 좌우 쑥뜸안치소(14,14a)가 형성되고 전면 일 측에 연기외곽배출구(12)를 갖추고 타원형을 이루는 둥근 무릎외곽부위(10)의 내측은 무릎수용용 넓은 공간의 무릎내곽(30)으로 구성된 쑥뜸본체(70)와,
    상기 좌우 쑥뜸안치소의 내측마다 쑥 봉(60)을 담고 상기 좌우 쑥뜸안치소 외곽마다 부착된 좌우 덮개고정밴드루프(20,20a)와 맞닿는 좌우 덮개고정밴드(46,46a)의 좌우 끝에 부착된 좌우 고정밴드후크(48,48a)로 부착시켜 벗겨지지 않게 덮는 좌우 쑥뜸덮개(40,40a)와,
    상기 쑥 봉을 담은 상기 좌우 쑥뜸안치소 마다 해당 상기 좌우 쑥뜸덮개로 덮고 상기 쑥뜸본체의 상기 좌우 쑥뜸안치소 외곽외측에 부착된 좌우 무릎고정밴드루프(22,22a)에 해당 좌우 무릎밴드후크(52,52a)를 부착시켜 상기 쑥뜸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피시술자의 무릎에 장착되는 무릎고정밴드(50)로 이루어져 무릎에 쑥뜸이 시술되는 것이 특징인 무릎쑥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 쑥뜸안치소(14,14a)의 상단 외곽 테두리에 좌우 암나사(38,38a)를 각각 형성시키고 좌우 쑥뜸덮개(40,40a)의 하단 내측에 좌우 돌기나사(28,28a)를 각각 형성시켜 서로 맞물리고 돌리면 상기 좌우 쑥뜸안치소가 상기 쑥뜸덮개로 닫혀져 상기 좌우 쑥뜸안치소에 안치한 각각의 쑥 봉(60)들이 이탈되지 않고 피시술자의 무릎에 쑥뜸이 시술되는 것이 특징인 무릎쑥뜸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140663A 2015-09-25 2015-09-25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KR10180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663A KR101803386B1 (ko) 2015-09-25 2015-09-25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663A KR101803386B1 (ko) 2015-09-25 2015-09-25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630A KR20150128630A (ko) 2015-11-18
KR101803386B1 true KR101803386B1 (ko) 2017-12-18

Family

ID=5483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663A KR101803386B1 (ko) 2015-09-25 2015-09-25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3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176B1 (ko) 2003-10-10 2005-10-07 변성현 쑥뜸기
KR100536180B1 (ko) 2002-12-20 2005-12-12 윤동업 쑥뜸기 및 부가장치
KR101121695B1 (ko) 2010-06-10 2012-02-28 현우영 쑥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180B1 (ko) 2002-12-20 2005-12-12 윤동업 쑥뜸기 및 부가장치
KR100519176B1 (ko) 2003-10-10 2005-10-07 변성현 쑥뜸기
KR101121695B1 (ko) 2010-06-10 2012-02-28 현우영 쑥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630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0529A (en) Foot bath
JP6608440B2 (ja) フェイスソーキングデバイス
US8568640B2 (en) Method of making breast prosthesis for patients with edema
KR102527802B1 (ko) 신생아를 위한 광확산 구조가 구비된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KR20160148311A (ko) 의자형 훈증기
KR101514646B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101779325B1 (ko) 하지부 음압치료장치
KR101803386B1 (ko) 무릎쑥뜸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US6761730B1 (en) Portable feet tanning device
CN209187479U (zh) 一种中医内科用的熏蒸装置
CN105194809B (zh) 一种内部对流流线型设计的远红外智能足疗仪
KR101864436B1 (ko) 유방 확대 기구
CN205019233U (zh) 中药热奄包固定带
KR200480313Y1 (ko) 보온 덮개를 갖는 족욕기
JP2007307282A (ja) 温石浴装置
KR102087036B1 (ko) 생리 컵 살균 및 보관용 기기
CN209808988U (zh) 养生瓮
KR200465561Y1 (ko) 냉온 찜질팩
KR101688616B1 (ko) 보석이 설치된 돔형 전신 온열장치
CN109605768A (zh) 一种柔性制造系统
CN216091383U (zh) 一种下肢熏蒸仪
CN209060159U (zh) 一种多功能家用结肠水疗仪
KR200350670Y1 (ko) 쑥 찜질 장치
CN212940145U (zh) 一种心脑血管护理器
KR200404922Y1 (ko) 족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