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304B1 -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304B1
KR101803304B1 KR1020160022358A KR20160022358A KR101803304B1 KR 101803304 B1 KR101803304 B1 KR 101803304B1 KR 1020160022358 A KR1020160022358 A KR 1020160022358A KR 20160022358 A KR20160022358 A KR 20160022358A KR 101803304 B1 KR101803304 B1 KR 10180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line
attenuato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688A (ko
Inventor
허동윤
허강회
Original Assignee
동영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영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동영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16002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0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4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04B3/06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by the transmitted sig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8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power on the line being D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건물의 지하 또는 지상의 소방 선로 상에 설치되어 중계장치와 안테나 간의 송수신 음성신호를 증폭함과 아울러, 선로 증폭기에 구역별 어드레스(ADDRESS)가 지정되어 주위의 열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여 줌으로서, 화재 사고 발생 영역의 정확한 판단 및 소방관의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메인분배기와, 상기 메인 분배기에서 각 연결되는 건물의 각층별 소방선로 상에 설치되어 어드레스가 지정되는 소방선로 상의 어드레스 지정형 열감지 선로 증폭기와, 상기 선로 증폭기의 말단에 설치되어 VHF 대역으로 충분한 출력을 주기 위한 파워증폭기와, 파워증폭기에 설치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로 증폭기는, 송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송신용 DC 커플러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송신 증폭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한 수신용 무전신호 증폭부와,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한 FM 라디오 증폭부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수신용 DC 커플러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수신 증폭부; 상기 송신 증폭부와 상기 수신 증폭부로부터 소방선로의 상태를 전송받고, 선로증폭기 주변의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서로 통신하며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FIRE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건물의 지하 또는 지상의 소방 선로 상에 설치되어 중계장치와 안테나 간의 송수신 음성신호를 증폭함과 아울러, 선로증폭기에 구역별 어드레스(ADDRESS)가 지정되어 선로 증폭기의 손상이나 고장 여부 및 주위의 열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선로증폭기의 고장여부를 신속히 알수 있고, 또한, 화재 사고 발생 영역의 정확한 판단 및 소방관의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건물에는 화재를 대비하여 다양한 소방장비가 설치된다. 소방을 위해 설치되는 소방장비 중, 무전기의 경우 전파가 지상에서 지하로 투과될 수 없기 때문에 화재시에는 서로 지령을 내려기 위한 무전시스템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무전기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는 무전기 자체의 출력에 의해 통화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나, 지상과 지하 간의 통신에서는 지하구간에 형성되는 음영 지역으로 인해 통화거리가 짧아져 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시에는 지하와 지상 간의 무전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지상과 지하 간에 지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소방 선로 상에는 무전기와 서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안테나가 설치되고, 안테나로 전송 또는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선로증폭기가 설치된다. 선로증폭기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호 간의 무전이나 지령실 등으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선로 증폭기는 건물 내부의 지하 및 지상에 설치된다.
종래의 소방 선로 상에 장착된 선로 증폭기를 이용하여 화재시 발화시점이나 발화위치 등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는 많지 않았다. 오히려 별도의 화재 방지 시스템 등을 설치하는 시도가 많이 있었다.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0300160호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텔리전트 화재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감지되어도 화재신호를 에러없이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과 동시에 송수신 모드 변환을 행하면서 수신기와 양방향으로 디지탈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화재신호 감지시스템; 및 상기 화재신호 감지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코드를 해독하여 각 센서를 나타내는 센서고유 코드에 의해서 정확한 화재발생위치에 화재조치명령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송수신 모드 변환을 행하면서 송신기와 양방향으로 디지탈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화재신호 처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재신호 감지시스템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재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화재신호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화재의 정확한 위치 표시, 화재 경고등, 화재 경보음을 발생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빠른 조치를 취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 공개공보 제10-2015-0094935호는 위치확인 기반의 주소형 중계기 및 주소형 화재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소형 중계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에 포함되는 주소형 중계기로서,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에 포함되는 주소형 감지기 또는 주소형 화재발신기와 접속되고, 상기 주소형 감지기 또는 상기 주소형 화재발신기로부터 화재 신호 및 주소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화재 신호를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에 포함되는 주소형 수신기로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주소형 중계기의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주소 설정부, 상기 주소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주소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자체주소 표시부, 그리고 상기 입력부가 수신한 상기 주소형 감지기 또는 상기 주소형 화재발신기 각각의 주소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작동설비 주소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주소형 화재발신기는 화재 신호 및 주소신호를 주소형 중계기 또는 주소형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존의 4선식방식에서 3선식 또는 2선식 방식으로 변형됨에 있어 선로수 증설에 따른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모두 별도의 장비를 통해 화재감지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비용 및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선로를 이용하여 신호가 전송되기 때문에, 선로 상에 화재 등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로증폭기의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한 경우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용 무전 선로를 이용하여 선로증폭기의 고장이나 손상 또는 화재발생 시점 및 화재발생장소를 파악할 수 있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증폭기의 손상이나 고장 등을 미연을 방지하여 화재시의 선로증폭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무전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용 선로를 이용하여 화재시에도 신호가 원활하게 전송될 수 있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메인분배기와, 상기 메인 분배기에서 각 연결되는 건물의 각층별 소방선로 상에 설치되어 어드레스가 지정되는 소방선로 상의 어드레스 지정형 열감지 선로 증폭기와, 상기 선로 증폭기의 말단에 설치되어 VHF 대역으로 충분한 출력을 주기 위한 파워증폭기와, 파워증폭기에 설치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로 증폭기는, 송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해, 송신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1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1감쇠기와, 상기 제1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와, 제1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는 제2감쇠기와, 상기 제2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제2감쇠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로 송신선로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선로상태 전송부로 구성되는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한 쌍의 송신선로용 DC 커플러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송신 증폭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해, 수신된 무전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3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무전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3감쇠기와, 상기 제3감쇠기에 의해 감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3증폭기와, 상기 제3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4감쇠기와, 상기 제4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3증폭기와 상기 제4감쇠기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로 수신선로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선로상태 전송부로 구성되는 수신용 무전신호 증폭부와;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해,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3저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라디오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5감쇠기와, 상기 제5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4증폭기와, 상기 제4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6감쇠기와, 상기 제6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저주파 대역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제4저역통과필터로 구성되는 FM 라디오 증폭부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한 쌍의 수신선로용 DC 커플러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수신 증폭부; 상기 송신 증폭부와 상기 수신 증폭부로부터 소방선로의 상태를 전송받고, 선로증폭기 주변의 온도 신호와,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수신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기 위해,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선로 증폭기 주위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리모콘과 서로 통신하며 상기 CPU에 연결된 적외선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센싱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와, 상기 선로증폭기의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CPU를 컴퓨터 또는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와, 송신선로의 수신신호강도를 수신하는 제1수신신호강도 포트와, 수신선로의 수신신호강도를 수신하는 제2수신신호강도 포트로 구성되는 중앙처리장치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서로 통신하며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구성되되, 상기 송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제2감쇠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2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2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증폭기와, 상기 제2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검파기와, 상기 제1검파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DC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1DC증폭기에서 증폭된 선로 상의 신호 레벨을 중앙처리장치부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3증폭기와 상기 제4감쇠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4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4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5증폭기와, 상기 제5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2검파기와, 상기 제2검파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DC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2DC증폭기에서 증폭된 선로 상의 신호 레벨을 중앙처리장치부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온도보상발진기가 구비되어 온도에 의한 출력편차를 줄여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일정 주기로 어드레스가 지정된 각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스캔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선로증폭기나 주변의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온도신호를 전송받은 메인 컨트롤러는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선로증폭기에 설정된 구역에서 설정 온도 이상이 되었음을 음성신호와 함께 경고음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소방용 무전 선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치비용이 부가되지 않아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점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로증폭기의 고장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용 선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화재에 의한 선로 손상을 최대한 줄이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 증폭기의 위치를 지정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화재 발송장소와 화재 발생시간을 쉽게 파악하여 화재 진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증폭기의 송신증폭부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증폭기의 수신증폭부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증폭기의 중앙처리장치부에 대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증폭기의 송신증폭부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증폭기의 수신증폭부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증폭기의 중앙처리장치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전기 통신 시스템은, 지하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10)와, 메인 컨트롤러(10)와 연결되어 각 층으로 소방선로를 분배하는 메인 분배기(20)와, 메인 분배기(20)에 연결되어 각 층에 설치되는 선로증폭기(30)와, 선로증폭기(30)의 말단에 설치되어 VHF 대역으로 충분한 출력을 주기 위한 파워증폭기(40)와, 파워증폭기(40)에 설치되어 신호를 주고 받는 안테나(50)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증폭기(30)는 각 층에 설치되되,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관리된다. 어드레스가 지정된 각 선로증폭기(30)는 구역을 할당받게 되고, 각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주변이나 선로증폭기(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10)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선로증폭기(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선로증폭기(30)는 송신증폭부(30-1)와 수신증폭부(30-2) 및 중앙처리장치부(370)로 구성된다.
도 2는 송신증폭부(30-1)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증폭부(30-1)는 무전기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310)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송신용 DC 커플러부(300)가 송신선로(301, 307) 상에 병렬(302, 306)로 연결된다.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310)는 송신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고역통과필터(311)와, 제1고역통과필터(311)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1감쇠기(312)와, 제1감쇠기(312)에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313)와, 제1증폭기(313)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는 제2감쇠기(315)와, 제2감쇠기(315)에서 감쇠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저역통과필터(316)와, 제1증폭기(313)와 제2감쇠기(315) 사이에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송신선로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선로상태 전송부(320)로 구성된다. 전송되는 무전신호에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일정한 대역통과필터의 역할을 하도록 고역통과필터(311)와 저역통과필터(316)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송신선로를 따라 전송되는 무전기의 음성신호를 깨끗한 음질로 전송할 수 있게 뙨다. 송신선로용 DC 커플러부(300)는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310)와 병렬(302)로 연결되고, 한 쌍의 DC 커플러(303, 305)로 구성된다. DC 커플러(303, 305)는 소방용 무전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선로용 DC 커플러(303, 305)는 DC 5V 레귤레이터 회로(304)에 의해 조절된다. 송신선로상태 전송부(320)는 제1증폭기(313)와 제2감쇠기(315) 사이에 연결(314)되며, 제2고역통과필터(321)와, 제2고역통과필터에서 고주파 영역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322)와, 제2증폭기(322)에서 증폭된 신호의 신호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검파기(323)와, 제1검파기(323)에서 감지된 신호 레벨에서 증폭하기 위한 제1DC증폭기(324)로 구성되어, 송신선로 상의 신호 레벨을 신호전송부(325)를 통해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전송하게 된다. 수신신호강도(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전송됨으로써, 송신선로 상의 전압, 전류 또는 증폭기의 출력레벨 등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점검된 값들은 무선통신을 통해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되고, 따라서 방재실에서는 어드레스가 지정된 선로증폭기의 송신선로 상의 상태를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현재 어떠한 선로증폭기의 선로상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파악할 수 있어서, 어느 어드레스에 지정된 선로증폭기가 고장이나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빠른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어드레스가 지정된 선로증폭기의 송신선로의 상태값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는 수신신호강도값(전압, 전류, 증폭기 신호레벨 등)이 어드레스가 지정된 선로증폭기의 중앙처리장치부(370)로부터 전송되면 방재실의 관리자가 점검하거나,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10)에 표시되는 글씨를 녹색과 적색으로 하여 적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조치를 취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신호강도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등이나 알람을 울려서 관리자가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부(370)가 일정 주기로 어드레스가 지정된 각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스캔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1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주기적으로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관리자는 각 어드레스별로 선로증폭기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화재나 문제 발생 등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수신증폭부(30-2)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신증폭부(30-2)는, 수신선로 용 DC 커플러부(330)와, 수신용 무전신호 증폭부(340)와, FM 라디오 증폭부(350)가 수신선로(331, 337) 상에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수신선로용 DC 커플러부(330)는, 한 쌍의 DC 커플러(333, 335)로 구성되고, DC 커플러(333, 335)는 소방용 무전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DC 커플러(333, 335)는 DC 5V의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조절된다. 수신용 무전신호 증폭부(340)는, 수신된 무전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고역통과필터(341)와, 제3고역통과필터(341)에서 필터링된 무전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3감쇠기(342)와, 제3감쇠기(342)에 의해 감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3증폭기(343)와, 제3증폭기(343)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4감쇠기(344)와, 제4감쇠기(344)에서 감쇠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저역통과필터(345)와, 제3증폭기(343)와 제4감쇠기(344) 사이에서 연결(346)되어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수신선로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선로상태 전송부(360)로 구성된다. FM 라디오 증폭부(350)는,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저역통과필터(351)와, 제3저역통과필터(351)에서 필터링된 라디오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5감쇠기(352)와, 제5감쇠기(352)에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4증폭기(353)와, 제4증폭기(353)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6감쇠기(354)와, 제6감쇠기(354)에서 감쇠된 신호를 저주파 대역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제4저역통과필터(355)로 구성된다. 수신선로상태 전송부(360)는, 수신선로 상의 수신신호강도를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전송하고, 중앙처리장치부(370)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선로 상의 문제점이나 선로의 손상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3증폭기(343)와 제4감쇠기(344) 사이에 연결되는 제4고역통과필터(361)와, 제4고역통과필터(361)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5증폭기(362)와, 제5증폭기(362)에서 증폭된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2검파기(363)와, 제2검파기(363)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DC증폭기(364)로 구성된다. 제2DC증폭기(364)에서 증폭된 신호는 신호전송부(325)를 통해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전송된다. 수신신호강도(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중앙처리장치부(370)로 전송됨으로써, 수신선로 상의 전압, 전류 또는 증폭기의 출력레벨 등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점검된 값들은 무선통신을 통해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되고, 따라서 방재실에서는 어드레스가 지정된 선로증폭기의 수신선로 상의 상태를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현재 어느 어드레스의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빠른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어드레스가 지정된 선로증폭기의 수신선로의 상태값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는 수신신호강도값(전압, 전류, 증폭기 신호레벨 등)이 어드레스가 지정된 선로증폭기의 중앙처리장치부(370)로부터 전송되면 방재실의 관리자가 점검하거나,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에 표시되는 글씨를 녹색과 적색으로 하여 적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조치를 취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신호강도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등이나 알람을 울려서 관리자가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부(370)가 일정 주기로 어드레스가 지정된 각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스캔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주기적으로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관리자는 각 어드레스별로 선로증폭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서 화재나 문제 발생 등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처리장치부(370)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부(370)는 CPU(371)와, CPU(371)에 연결되어 선로 증폭기와 선로증폭기 주위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372)와, 리모콘(미도시)과 서로 통신하며 CPU(371)에 연결된 적외선 센서(373)와, 온도센서(372)에서 센싱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374)와, 측정된 온도를 CPU(371)의 제어에 따라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1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375)와, CPU(371)를 컴퓨터 또는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381, 382)와, 송신선로의 수신신호강도를 수신하는 제1수신신호강도 포트(379)와, 수신선로의 수신신호강도를 수신하는 제2수신신호강도 포트(380)로 구성된다. 중앙처리장치부(370)는 송신선로나 수신선로로부터 수신신호강도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선로 상의 전압, 전류 또는 증폭기의 신호레벨 등의 신호가 적정신호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고, 적정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를 함으로써 선로 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부(370)는 온도센서(372)에 의해 측정된 선로증폭기나 주변의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메인 컨트롤러(10)로 전송한다. 온도신호를 전송받은 메인 컨트롤러(10)는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선로증폭기에 설정된 구역에서 설정 온도 이상이 되었음을 음성신호와 함께 경고음으로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선로증폭기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선로증폭기가 과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하여, 화재 등의 경우에 재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선로증폭기에 LED 표시부(374)가 설치되어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게 하여, 선로증폭기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현재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CPU(371)에는 적외선 센서(373)이 장착되어 리모콘(미도시)과 통신하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선로증폭기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선로증폭기의 어드레스는 통상적으로 층수와 번호로 표현할 수 있다. 즉, 각 층에 설치된 선로증폭기에 의해 각 구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구역에 대한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선로증폭기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층의 12구역인 경우에는 어드레스는 0112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방재실의 미리 녹음된 음성신호기는 '1층의 12구역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등의 코멘트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고음과 경보등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CPU(371)와 메인 컨트롤러(10)는 무선통신부(375)를 통해 서로 통신하게 되며, 무선통신부(375)에는 온도보상발진기(376)가 형성되어 온도에 의한 출력편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메인 컨트롤러(10)로 정확한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CPU(371)에는 통신포트(381, 382)가 형성되고, 통신포트(381, 382)를 통해서 직접 PC와 연결시키거나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PU(371)는 DC 5V의 전원이 공급되고 3.3V의 레귤레이터 회로(383)에 의해 전원이 조절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메인 컨트롤러 20 : 메인 분배기
30 : 선로증폭기 30-1 : 송신 증폭부
30-2 : 수신 증폭부 40 : 파워증폭기
50 : 안테나
300 : 송신선로용 DC 커플러부 310 :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
320 : 송신선로상태 전송부 330 : 수신선로용 DC 커플러부
340 : 수신용 무전신호 증폭부 350 : FM 라디오 증폭부
360 : 수신선로상태 전송부 370 : 중앙처리장치부

Claims (6)

  1.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메인분배기와, 상기 메인 분배기에서 각 연결되는 건물의 각층별 소방선로 상에 설치되어 어드레스가 지정되는 소방선로 상의 어드레스 지정형 열감지 선로 증폭기와, 상기 선로 증폭기의 말단에 설치되어 VHF 대역으로 충분한 출력을 주기 위한 파워증폭기와, 파워증폭기에 설치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로 증폭기는,
    송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해, 송신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1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1감쇠기와, 상기 제1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와, 제1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는 제2감쇠기와, 상기 제2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제2감쇠기 사이에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부로 송신선로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선로상태 전송부로 구성되는 송신용 무전신호 증폭부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한 쌍의 송신선로용 DC 커플러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송신 증폭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해, 수신된 무전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3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무전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3감쇠기와, 상기 제3감쇠기에 의해 감쇠된 무전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3증폭기와, 상기 제3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4감쇠기와, 상기 제4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3증폭기와 상기 제4감쇠기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로 수신선로의 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선로상태 전송부로 구성되는 수신용 무전신호 증폭부와;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기 위해, 수신된 FM 라디오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3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3저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라디오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5감쇠기와, 상기 제5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4증폭기와, 상기 제4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감쇠하기 위한 제6감쇠기와, 상기 제6감쇠기에서 감쇠된 신호를 저주파 대역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제4저역통과필터로 구성되는 FM 라디오 증폭부와, 전원을 주고 받기 위한 한 쌍의 수신선로용 DC 커플러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수신 증폭부;
    상기 송신 증폭부와 상기 수신 증폭부로부터 소방선로의 상태를 전송받고, 선로증폭기 주변의 온도 신호와,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수신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기 위해,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선로 증폭기 주위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리모콘과 서로 통신하며 상기 CPU에 연결된 적외선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센싱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와, 상기 선로증폭기의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CPU를 컴퓨터 또는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와, 송신선로의 수신신호강도를 수신하는 제1수신신호강도 포트와, 수신선로의 수신신호강도를 수신하는 제2수신신호강도 포트로 구성되는 중앙처리장치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와 서로 통신하며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리모콘;
    으로 구성되되,

    상기 송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제2감쇠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2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2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증폭기와, 상기 제2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검파기와, 상기 제1검파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DC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1DC증폭기에서 증폭된 선로 상의 신호 레벨을 중앙처리장치부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3증폭기와 상기 제4감쇠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4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제4고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5증폭기와, 상기 제5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2검파기와, 상기 제2검파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DC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선로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2DC증폭기에서 증폭된 선로 상의 신호 레벨을 중앙처리장치부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온도보상발진기가 구비되어 온도에 의한 출력편차를 줄여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부가 일정 주기로 어드레스가 지정된 각 선로증폭기의 선로 상태를 스캔하여 방재실의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선로증폭기나 주변의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온도신호를 전송받은 메인 컨트롤러는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선로증폭기에 설정된 구역에서 설정 온도 이상이 되었음을 음성신호와 함께 경고음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22358A 2016-02-25 2016-02-25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KR10180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58A KR101803304B1 (ko) 2016-02-25 2016-02-25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58A KR101803304B1 (ko) 2016-02-25 2016-02-25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688A KR20170100688A (ko) 2017-09-05
KR101803304B1 true KR101803304B1 (ko) 2017-12-29

Family

ID=5992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58A KR101803304B1 (ko) 2016-02-25 2016-02-25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705B1 (ko) * 2017-10-25 2018-06-27 채인석 무전기 중계 장치
KR102488758B1 (ko) * 2022-02-09 2023-01-17 삼성넥스텍(주) 소방용 무선중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보조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134A (ja) * 2008-02-27 2008-07-31 Maspro Denkoh Corp 増幅装置
JP2013025503A (ja) * 2011-07-19 2013-02-04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134A (ja) * 2008-02-27 2008-07-31 Maspro Denkoh Corp 増幅装置
JP2013025503A (ja) * 2011-07-19 2013-02-04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688A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4955A (en)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failure detection
US4363031A (en) Wireless alarm system
US9760853B2 (en) Low-power wirelessly-linked RFID tracking system
US9390605B2 (en) Auxiliary device for a hazard alarm constructed as a point type detector for function monitoring of the hazard alarm, and an arrangement and method of monitoring using a device of this kind
EP3208785B1 (en) Methods of location based awareness of life safety sensors
JPH0217840B2 (ko)
US107287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69919B2 (en) Additional function-expandable fire detector
KR100704018B1 (ko)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US11694532B2 (en) Fire alarm equipment
KR101803304B1 (ko) 소방용 무전기 통신시스템
KR101950793B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JP2023055960A (ja) 防災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器
KR101220092B1 (ko) 화재탐지기 관리 장치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US201901742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JP2011203044A (ja) 航空機用の航法支援装置、航法支援方法、及び航法支援プログラム
US8717161B1 (en) Lockout for hydrogen sulfide monitoring system
KR102091348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통합 경보시스템
JPH02183397A (ja) 伝播チェック機能を有する無線式警備システム
JP3739171B2 (ja) 無線通信装置
KR101060129B1 (ko) 소방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