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047B1 -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047B1
KR101803047B1 KR1020170040630A KR20170040630A KR101803047B1 KR 101803047 B1 KR101803047 B1 KR 101803047B1 KR 1020170040630 A KR1020170040630 A KR 1020170040630A KR 20170040630 A KR20170040630 A KR 20170040630A KR 101803047 B1 KR101803047 B1 KR 10180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cleaning
magnetic flux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686A (ko
Inventor
홍정조
김현일
김병호
박재민
김진원
정성현
Original Assignee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0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 자화 센서부를 이용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진단방법은 와이어 로프 진단 로봇 시스템을 와이어 로프에 장착하여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자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N극과 S극 사이의 자속을 생성하여 홀 센서를 통하여 누설 자속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자속 정보에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존재하는 경우 생성되는 누설 자속 정보를 도출하여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와이어 로프의 손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진단 로봇 시스템의 이송부를 구동하여 이송부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자화 센서부 외측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와이어 로프의 손상 부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최종으로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Wirerope Damage Checking Method by using Cleaning and Damage Monitering System and Mobile Phone and Magnetic Sensor}
본 발명은 댐, 수문 및 보 등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의 세척 및 손상을 이동하면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이나 보의 수문을 개폐하거나 와이어 로프에 매달린 스탑퍼를 이동시켜 댐이나 보의 수문을 개폐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용되는 와이어 로프는 높은 곳에 장착되고 있어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을 발견하기가 어려워서 와이어로프 단선 사고로 종종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단 시스템이 와이어로프를 타고 이동하면서 스크레이퍼 및 고온 에어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세척하고 자화 센서부 및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손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629호(2014. 07. 15.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와이어로프 탐상장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와이어로프 탐상 장치는 기판(26) 상에는, 한쌍의 엔드 블록(24)이 고정되고, 양 엔드 블록(24) 간에는 하부 샤프트(2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22)에는 하부 샤프트(23)가 관통하여, 슬라이드 블록(22)이 하부 샤프트(2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 샤프트(23)에는, 하부 샤프트(23)가 관통하여 하부 샤프트(23)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스토퍼(27)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토퍼(27)를 세트 나사(28)로 하부 샤프트(23)의 소망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22)이 하부 샤프트(23) 상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범위가 규제되는 것이다. 즉, 슬라이드 블록(22)은 한쪽의 엔드 블록(24)과 스토퍼(27) 사이를 미끄럼 운동할 수 있지만, 다른 쪽의 엔드 블록(24)과 스토퍼(27) 사이를 미끄럼 운동할 수 없다. 또한 추종 기구(13)는, 센서 유닛(7)이 와이어 로프(1)의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와이어 로프(1)로부터 멀어져 자기 센서(8)와 와이어 로프(1)의 거리가 변동하고, 자기 센서(8)가 오검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추종 기구(13)는 슬라이드와 스프링을 응용한 기구를 예로 하여, 센서 유닛 스테이지(20), 상부 샤프트(21), 슬라이드 블록(22), 스프링(14), 빠짐 방지 나사(29), 빠짐 방지판(31)으로 구성된다. 센서 유닛(7)은 나사(30)로 센서 유닛 스테이지(2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부 샤프트(21)는 센서 유닛 스테이지(20)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슬라이드 블록(22)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며, 선단부에 빠짐 방지 나사(29), 빠짐 방지판(31)을 갖고 있다. 또한 빠짐 방지 나사(29)와 빠짐 방지판(31)에 의해, 상부 샤프트(21)는 슬라이드 블록(22)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스토퍼(27)로 미끄럼 운동 범위가 규제된 슬라이드 블록(22)과 센서 유닛 스테이지(20) 사이에는, 스프링(14)이 압축되어 개재되어 있다. 센서 유닛(7)은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와이어 로프(1)의 변위에 추종하여 와이어 로프(1)와의 접촉이 보지된다. 이때, 스프링 정수는 보호 플레이트(1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크기로 한정하는 동시에, 고유 진동수가 와이어 로프(1)의 진동수와 겹치지 않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프링(14)은 금속 스프링의 예를 나타냈지만, 공기 스프링이라도 좋다. 또한, 센서 유닛 스테이지(20)와 센서 유닛(7)은 나사(30)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으며, 다른 직경의 와이어 로프(1)를 검사할 때에는 U자 형상 단면 치수가 다른 센서 유닛(7)을 사용할 수 있다. 검사를 실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트 나사(28)를 느슨하게 하고 스토퍼(27)를 미끄럼 운동시켜, 슬라이드 블록(22)을 하부 샤프트(23) 상에서 미끄럼 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센서 유닛(7)을 와이어 로프(1)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며 자화기(2)의 한쪽의 자석(3)으로부터 발생한 주 자속(18)이 와이어 로프(1) 안을 통과하여 자화기(2)의 다른 쪽의 자석(3)과 백 요크(6)를 거쳐 상기 한쪽의 자석(3)으로 되돌아오는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와이어 로프(1) 중의 자속 밀도는 대략 자기 포화에 도달하도록 자화기(2)의 기자력이 설정된다. 여기서, 와이어 로프(1)에 와이어 로프 손상부(19)가 존재하면, 그 근방에서는 누설 자속(16)이 발생하고 있다. 이 누설 자속(16)이 자기 센서(8) 부근을 통과할 때, 철심(11)의 자속량에 변화가 생겨, 서치 코일(10)의 양단에 유기 전압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로프 손상부(19)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와이어 로프 손상부(19)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기 센서(8) 부근에는 적잖이 와이어 로프 외부 자속(17)이 존재한다. 이들의 크기나 분포는 자화기(2)와 와이어 로프(1)와 자기 센서(8)의 위치 관계에 의존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1)가 진동하여 와이어 로프(1)와 자화기(2)와 자기 센서(8)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와이어 로프 외부 자속(17)의 크기도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센서(8)의 출력이 변동하여 오 검출이 생긴다. 그래서, 자화기(2)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1)의 축방향 전후에 지지 롤러(5)를 설치하고, 지지 롤러(5)로 와이어 로프(1)를 가압하여, 자화기(2)와 와이어 로프(1)의 위치 관계를 비접촉으로 일정 거리로 유지한다. 또한, 추종 기구(13)에 의해 센서 유닛(7)을 와이어 로프(1)에 접촉시켜 자기 센서(8)와 와이어 로프(1)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검사 중에 와이어 로프(1)의 진동이 발생해도, 자기 센서(8)와 와이어 로프(1)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센서 유닛(7)은 스프링(14)으로 와이어 로프(1)에 가압된다. 다만, 보호 플레이트(1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14)의 가압력은, 종래와 같이, 자화기(2)에 의한 강력한 자속으로 보호 플레이트를 거쳐서 자화기(2)를 와이어 로프(1)에 접촉시켰을 때의 가압력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즉, 자화기(2)가 와이어 로프(1)에 접촉하는 마찰력보다, 자기 센서(8)가 와이어 로프(1)에 접촉하는 마찰력을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자화기(2)의 보호 플레이트의 마모보다 실시형태 1의 자기 센서(8)의 보호 플레이트(12)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의 와이어 로프 탐상 장치에 의하면, 자석(3)과 백 요크(6)로 구성되는 자화기(2)를 와이어 로프(1)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배설시켜, 와이어 로프(1)와 자화기(2)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자기 센서(8)를 보호 플레이트(12)를 거쳐서 와이어 로프(1)와 접촉시켜 배설시켜, 자기 센서(8)와 와이어 로프(1)의 거리를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했으므로, 와이어 로프 손상부의 검출 감도나 S/N을 손상하는 일 없이, 자기 센서(8)의 보호 플레이트(12)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장치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한 본 출원인이 선출한 것으로 등록 특허 제10-0979731호(2010. 09. 03.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도 2에서 개시된 종래의 와이어로프 그리스 자동 세척 및 도포 장치에서 세척 유니트는 에어 주입구(944)를 통한 외부의 에어컴퓨레셔 등에 의하여, 주입된 에어가 결합구(916)을 거쳐서 호스(913)를 통하여 양측의 히팅기(917)로 주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히팅기(917)로 주입된 에어는 상기 히팅기(917) 내부에 있는 히팅코일(947)에 의하여 히팅되어, 70℃ 내지 90℃ 정도로 고온 열풍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열풍은 히팅기(917) 하단의 하단부 호스(951)를 통하여 노즐부(920)로 주입되고, 노즐부(920)로 주입된 열풍은 하방 내측에 형성된 써클형 노즐을 통하여 와이어로프로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도 2에서 도시된 세척 유니트의 노즐부(920)는 반분하여 도시된 것으로 한쌍의 도포, 세척, 회수 반원통들(901, 901-1, 907, 907-1, 908, 908-1)이 결합하는 경우 원통형태가 되어 완전한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히팅기(917)의 전원은 원통 외부의 전원 콘센트(943)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구조이다. 또한, 그리스 도포장치(909)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반분된 그리스 도포장치가 결합하여 일체화된 형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실제는 상기 도포장치의 내부에 와이어로프(952)를 삽입하기 위하여 반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그리스를 도포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952)를 내부에 삽입하고, 상부측의 한쌍의 도포 반원통(901, 901-1), 중앙의 한쌍의 세척 반원통(907, 907-1), 및 하부의 한쌍의 회수 반원통(908, 908-1)을 체결 고리(945)에 의하여 체결하면, 상기 도포장치(909)와 같이 완전한 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그리스 도포 유니트는 외부의 그리스 주입 펌프 등과 연결된 그리스 주입구(941)을 통하여 그리스가 주입되고, 상기와 같이 주입된 그리스는 호스(912)를 통하여 그리스 도포장치(909) 내로 다수의 도포 주입구(914)를 통하여 주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입된 그리스는 그리스 충전부(924) 및 도포부(923)로 주입되어 충전되어 있다가, 와이어로프(952)의 표면을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호스(912)에는 T 분기관(915)을 이용하여 분기하고 있으며, 도포장치(909)와 다수의 도포 주입구(914)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 원통에는 와이어로프(952)를 감싸기 위한 내부 원통(921)이 반원통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원통(921)과 노즐부(920) 사이에는 빈 공간이 구성되어, 노즐부(920)에서 분사된 열풍에 의하여 녹아내린 그리스는 내부 원통(921)의 외측으로 흘러내려서, 하부 원통의 내부 공간에 쌓이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와이어로프를 이동시키면서 손상을 검사하는 것으로 현재 댐이나 보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에 대하여는 설치된 상태에서 손상 여부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그리스 도포 두께가 두꺼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리스 세척 시에는 세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스크레이퍼 및 고온 에어를 이용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손상 진단방법은 와이어 로프 이송장치에 자화 센서부를 일체로 체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를 타고 이송하면서 와이어 로프 전 구간의 세척 및 손상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스의 도포 두께를 적절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세척 장치의 세척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 자화 센서부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은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는 그리스 세척부 및 회수부와 상기 그리스 세척부 및 회수부에 체결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에 체결되는 자화 센서부와, 상지 자화 센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자화 센서부의 출력인 자속 정보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며 손상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자화 센서부를 이용한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방법은 와이어 로프 진단 시스템을 와이어 로프에 장착하여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자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N극과 S극 사이의 자속을 생성하여 홀 센서를 통하여 누설 자속을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자속 정보에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존재하는 경우 생성되는 누설 자속 정보를 도출하여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와이어 로프의 손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식 진단 시스템의 이송부를 구동하여 이송부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자화 센서부 외측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와이어 로프의 손상 부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최종으로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은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진단 시스템을 와이어 로프를 타고 이동시키면서 진단함으로써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 전 구간에 대하여 손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와이어로프에 도포되는 그리스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와이어로프에 도포된 그리스 세척 시 와이어로프의 외측면과 같은 형상의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탐상 장치 구성도,
도 2는 종래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자동 세척 및 도포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1실시 예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1실시 예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자화 센서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도포부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세척 회수부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이송부 상세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단면 사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히팅부의 사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노즐 몸체부의 사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을 이용한 손상 진단방법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을 이용한 손상 진단방법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을 도 3 내지 도 1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1실시 예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 제1실시 예는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송하는 이동식 진단 시스템과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의 자속 정보를 수신하고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판단하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와이어로프의 영상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이동식 진단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에 의하여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어 세척부에서 탈락된 그리스를 모이도록 하여 그리스를 회수하는 회수부(200)와, 상기 회수부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에 부착된 오래된 그리스를 벗겨내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체결되고 이송부와 같이 상하로 이송되는 것으로 그리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와이어로프 외측에 주입하여 도포하는 도포부(400)와, 상기 도포부 상부에 체결되어 이송부와 같이 상하로 이송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 손상 시 생성되는 누설 자속에 의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감지하는 자화 센서부(500)와 상기 자화 센서부 일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를 촬영하고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메라부(600)로 구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화 센서부(500)는 센서부 내부에 위치하는 N극과 S극 및 홀 센서로 구성되고 와이어로프의 손상이 있는 경우 누설 자속이 존재하여 전체 자속량이 변화하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7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자화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며 누설 자속에 의하여 손상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1실시 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 제1실시 예는 내부에 와이어 로프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모터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부가 구성되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 상부와 세척부 하부에 체결되며 세척부에서 세척된 그리스를 회수하는 회수부(200)와, 상기 회수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 형상이 와이어 로프의 외형상과 동일 유사하도록 구성하여 이동식 진단시스템이 상하로 이송함에 따라 와어어로프 외형상과 유사한 음각 형상의 구조에 의하여 그리스가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 상부에 체결되며 그리스를 공급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도록 작용하는 도포부(400)와, 상기 도포부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에 N극 S극 및 홀 센서로 구성되어 자속 정보를 검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자화 센서부(500)와, 상기 자화 센서부 외측면 또는 이송부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와이어 로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메라부(60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이송부(100), 회수부(200), 세척부(300), 도포부(400) 및 자화 센서부(500)는 반원통형으로 반분되는 구조이며 각각의 반원통형이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하고 체결부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의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a)는 자석 몸체부의 일측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b)는 자석 몸체부가 반원통형부에 각각 체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c)는 반원통형부를 체결한 상태의 자화 센서부 사시도 이다. 또한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500)는 힌지부(540)에 의하여 체결되는 2개의 반원통형부(550-1, 550-2) 내부에 체결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의 외측면에 N극(520)과 S극(530)을 구비한 자석 몸체부(510)가 각각의 반원통형부(550-1, 550-2)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N극과 S극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이 와이어 로프의 손상 부위에서 누설되는 것을 홀 센서가 센싱하여 누설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유선 방식으로 PC로 전송하는 자화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홀 센서는 와이어로프 외측으로 N극과 S 극 사이에 위치하여 와이어로프 손상 시 생성되는 누설 자속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도포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a)는 도포부의 단면 사시도 이고, (b)는 도포부가 일측 반원통형부의 몸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c)는 반원통형부가 도포 힌지부를 이용하여 체결된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도포부(400)는 그리스를 압력으로 공급하는 그리스 노즐(410)이 부착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420)와, 상기 몸체부 하부에 위치하고 세척부와 체결되는 보조 몸체부(430)와, 상기 몸체부(420) 상부에 부착되어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 하며 와이어로프에 도포되는 그리스 두께를 얇게 하는 볼록부(460)가 구성된 가이드 원통부(4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포부(400)는 와이어 로프가 내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몸체부(420)에 형성된 그리스 노즐(410)을 통하여 그리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하면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 로프의 외측면에 그리스가 도포될 수 있는 것이고 와이어 로프를 타고 상부로 이송하면 볼록부(460)가 형성된 가이드 원통부(450)에 의하여 내측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두께가 일정하고 얇게 도포 되도록 작용하는 것이고 도포 후 잔존 그리스는 몸체부(420) 하부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원통부(450), 몸체부(420) 및 보조 몸체부(430)는 힌지부(440)에 의하여 체결되는 2 개의 반원통형부(450-1, 450-2) 중에 하나의 반원통형부에 체결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2개의 반원통형이 결합되면 완전한 형태의 도포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세척부와 회수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a)는 세척부와 회수부의 단면 사시도이고, (b)는 세척부와 회수부가 2개의 반원통형부가 힌지부로 체결된 상태에서 각 반원통형 내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c)는 2개의 반원통형부가 체결부에 의하여 체결된 사시도 이다. 또한 상기도 7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세척부 및 회수부는 힌지부(340)에 의하여 체결되는 2개의 반원통형부(350-1, 350-2) 내부에 체결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의 외측 형상(310)이 음각으로 조각된 원통 형상의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세척부(300)에서 세척되어 탈락된 오래된 그리스 잔여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부(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부(300)는 회수부(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세척부에서 와이어로프에서 벗겨진 그리스가 탈락되어 회수부에 쌓이게 되고 회수부에 쌓인 그리스는 작업 후 제거하여 버리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이송부 상세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a)는 2개의 몸체부가 힌지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몸체부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c)는 제1몸체부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d)는 이송부의 평면 투시도이고, (e)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체결부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도, (f)는 제2몸체부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도 이다. 또한, 상기도 8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 이동식 진단 시스템 이송부(100)는 이송 힌지부(140)에 의하여 회전되는 2개의 반원통부(150-1, 150-2)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제2몸체부(150-2) 외측면에 구성되고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30)와, 모터의 회전에 따라 모터 구동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체인(150)과 상기 동력 전달 체인(150)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 축(160)과 상기 체인 축(160)에 구성되는 H 형 소형 제2기어(176)와, 제2몸체부(150-2) 내부 상측에서 상기 H형 소형 제2기어(170) 상부에 구성되는 H 형 제3기어(172)와 상기 제2몸체부 내부 하측에서 상기 H형 소형 제2기어(176) 하부에 구성되는 H 형 제4기어(174)가 구성되는 제2몸체부(150-2)와, 상기 제2몸체부(150-2)와 이송 힌지부(140)에 의하여 체결되며 제1몸체부(150-1) 내부에 구성되는 "
Figure 112017031236131-pat00001
" 형상의 제1몸체 프레임(180)과 상기 제1몸체 프레임 내측 상부에 구성되는 H 형 제1기어(182)와 상기 제1몸체 프레임 하부에 구성되는 H형 제2기어(184)와 상기 H형 제1기어와 상기 H형 제2기어 사이에 양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는 H 형 소형 제1기어(186)와 상기 제1몸체 프레임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다수의 장력 스프링(190)과 상기 장력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는 판형 프레임(195)과 상기 판형 프레임(195)에 구성되는 회전 볼트(197)가 구성되는 제1몸체부(15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부(100)는 제1몸체부(150-1)와 제2몸체부(150-2)를 체결하면 내부에 와이어로프(1)가 위치할 수 있는 동공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동공(199)에 와이어로프가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 볼트(197)를 회전시키면 장력 스프링(190)이 압착되면서 장력 스프링에 체결되는 제1몸체프레임(180)이 와이어로프방향으로 밀리면서 H형 제1기어(182), H형 제2기어(184), H형 제3기어(172) 및 H형 제4기어(174)가 와이어로프를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로프를 압착한 상태에서 모터를 회전시키면 동력 전달 체인(150)이 회전하게 되고 동력 전달 체인이 회전하면 체인 축(160)이 회전하며 상기 체인 축(160)에 체결되는 H형 소형 제2기어(186)가 회전하면서 상기 H형 제3기어(172)와 H형 제4기어(174)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H형 제3기어(172)와 H형 제4기어(174)에 대응되고 맞물리게 되는 제1몸체부(150-1)의 H형 제1기(182)와 H형 제2기어(184)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이송부(100)가 내부의 와이어로프(1)의 외측 굴곡면(와이어를 꼬음으로 생성되는 외측 굴곡면임)을 타고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는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송하며 고온 열풍에 의하여 와이어로프의 그리스를 탈착 제거할 수 있는 이동식 진단 시스템과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의 자속 정보를 수신하고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판단하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와이어로프의 영상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이동식 진단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온 에어 공급에 의한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에 의하여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며 세척부 및 히팅부에서 탈락 제거된 그리스를 모으는 회수부(200)와, 회수부 상부에 체결되며 와이어로프의 외측면 형상을 음각으로 형성한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 상부에 체결되며 고온 열기를 와이어로프로 공급하여 그리스를 연화되도록 하거나 녹아내리도록 하는 히팅부(800)와, 상기 히팅부에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그리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와이어로프 쪽으로 공급하여 도포 되도록 하는 도포부(400)와 상기 도포부 상부에 체결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자속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화 센서부(500)와 자화 센서부 외측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메라부와 자화 센서부로부터 자속 정보를 수신하고 카메라부로부터 와이어로프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속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기초로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화 센서부(500)는 센서부 내부에 위치하는 N극과 S극 및 홀 센서로 구성되고 와이어로프의 손상이 있는 경우 누설 자속이 존재하여 전체 자속량이 변화하는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미도시)는 상기 자화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며 누설 자속에 의하여 손상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자화 센서부 및 카메라부는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10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는 내부에 와이어 로프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모터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부가 구성되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 상부와 세척부 하부에 체결되며 세척부 및 히팅부에서 세척 탈락된 그리스를 회수하는 회수부(200)와, 상기 회수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 형상이 와이어 로프의 외형상과 동일 유사하도록 구성하여 이동식 진단시스템이 상하로 이송함에 따라 와어어로프 외형상과 유사한 음각 형상의 구조에 의하여 그리스가 자동으로 제거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성되는 히팅 코일이 공급받는 에어를 가열하여 고온의 열기를 와이어로프로 공급하여 와이어로프를 연화시키고 녹이는 히팅부(800)와, 상기 히팅부 상부에 체결되며 그리스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에 그리스를 도포하도록 작용하는 도포부(400)와, 상기 도포부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에 N극 S극 및 홀 센서로 구성되어 자속 정보를 검출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자화 센서부(500)와, 상기 자화 센서부 외측면 또는 이송부의 하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내측의 와이어 로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메라부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이송부(100), 회수부(200), 세척부(300), 도포부(400), 히팅부(800) 및 자화 센서부(500)는 반원통형으로 반분되는 구조이며 각각의 반원통형이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하고 체결부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의 단면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11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는 최하위에 제1몸체부(150-1) 내부에 구성되는 "
Figure 112017031236131-pat00002
" 형상의 제1몸체 프레임(180)과 상기 제1몸체 프레임 내측 상부에 구성되는 H형 제1기어(182)와 상기 제1몸체 프레임 하부에 구성되는 H형 제2기어(18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몸체부(15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부(10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이송부 상부에는 회수부(200)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회수부(200) 상부에는 와이어 외부 형상이 음각으로 조각된 세척부(300)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세척부(300) 상부에는 히팅부(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히팅부(800)는 에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내부 히팅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고온의 열기를 생성하여 노즐부 몸체를 통하여 내측의 와이어로프로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오래된 그리스를 녹아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팅부(800) 상부에는 도포부(400)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도포부를 통하여 세척된 와이어로프의 그리스를 새롭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포부 상부에는 자화 센서부(500)를 구성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의 손상에 의하여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와이어 로프 손상 시 생성되는 누설 자속을 기초로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의 히팅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12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의 히팅부(800)는 세척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810)과,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것으로 내부에 히팅 코일이 설치되는 히팅기(840)와, 상기 히팅기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열기를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로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인 얇은 원통 형상의 노즐부 몸체(850)와 상기 노즐부 몸체 상부에 구성된 에어 공급 홀(852)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히팅부의 노즐부 몸체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1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히팅부의 노즐부 몸체는 노즐부 몸체 내측 하부 꼭지면에 형성되는 경사 노즐(85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에어 공급 홀(852)에 공급된 열기는 내부 중공을 거쳐 상기 경사 노즐(854)로 열풍으로 분사되므로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의 오래된 그리스를 가열시켜 연화하거나 녹이므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부 몸체는 I 형 몸체부(850-2)와 I 형 몸체부 내측면에 체결되어 내부 중공부와 경사 노즐를 형성하는 보조 몸체부(850-1)로 구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손상 진단시스템 제2실시 예의 이송부, 회수부, 도포부 세척부, 자화 센서부의 구성은 제1실시 예와 같은 구조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손상 진단방법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14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손상 진단방법 제1실시 예는 와이어 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을 와이어 로프에 장착하여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S11)와, 상기 이동식 진단 시스템의 세척부가 와이어로프의 표면에 있는 잔존 그리스를 제거하는 단계(S12)와,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N극과 S극 사이의 자속을 생성하고 홀 센서를 통하여 자속을 검출하고 상기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4)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자속 정보에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존재하는 경우 생성되는 누설 자속 정보를 도출하여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와, 와이어 로프의 손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이송부를 구동하여 이송부를 다시 하부 또는 상부로 이송시키는 단계(S16)와, 자화 센서부 외측 상부 또는 이송부 외측 하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와이어 로프의 손상 부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하는 단계(S17)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상기 카메라 영상 정보를 기초로 최종으로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와이어로프의 지름이 작은 경우 S11 단계 이전에 이송부의 각 H 형 기어에 보완 키트를 설치하는 단계가 추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손상 진단방법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15에서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손상 진단방법 제2실시 예는 와이어 로프 이동식 진단시스템을 와이어 로프에 장착하여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S21)와, 상기 이동식 진단 시스템의 히팅부가 고온 열풍을 생성하여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로프로 분사하여 와이어로프 외측면 잔존 그리스를 연화하거나 탈락시키는 단계(S22)와, 상기 이동식 진단 시스템의 세척부가 와이어로프의 표면에 있는 잔존 그리스를 제거하는 단계(S23)와,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N극과 S극 사이의 자속을 생성하고 홀 센서를 통하여 자속을 검출하고 상기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하는 단계(S24)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5)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자속 정보에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존재하는 경우 생성되는 누설 자속 정보를 도출하여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와, 와이어 로프의 손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이송부를 구동하여 이송부를 다시 하부 또는 상부로 이송시키는 단계(S27)와, 자화 센서부 외측 상부 또는 이송부 외측 하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와이어 로프의 손상 부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하는 단계(S28)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상기 카메라 영상 정보를 기초로 최종으로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카메라부에 의하여 와이어로프 손상 검사인 S27 내지 S29 단계는 생략하고 자화 센서부만으로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카메라부가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 정보에 의한 손상 여부 판단은 육안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에 기 저장된 와이어로프의 손상 영상과 비교하여 와이어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손상 진단방법 제2실시 예에서도 S21 단계 이전에 보완 키트를 이송부의 H형 기어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상승하도록 하면서 세척 및 진단을 수행하고 세척 진단이 완료되면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하강하도록 하면서 도포부를 이용하여 내부의 와이어로프의 외측면에 그리스를 공급하여 도포하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100 : 이송부, 200 : 회수부,
300 : 세척부, 400 : 도포부,
500 : 자화센서부, 600 : 카메라부

Claims (3)

  1. 댐, 수문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식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식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방법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에 의하여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고 와이어로프 외측면의 오래된 그리스를 벗겨내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세척부(300)에서 세척되어 탈락된 오래된 그리스 잔여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부(200)와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체결되고 이송부와 같이 상하로 이송되는 것으로 그리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와이어로프 외측에 주입하여 도포하는 도포부(400)와 상기 도포부 상부에 체결되어 이송부와 같이 상하로 이송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 손상 시 생성되는 누설 자속에 의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감지하는 자화 센서부(500)와 상기 자화 센서부 일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를 촬영하고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메라부(600)로 구성된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을 와이어 로프에 장착하여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키는 단계(S11)와;
    상기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의 세척부가 와이어로프의 표면에 있는 잔존 그리스를 제거하는 단계(S12)와;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자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N극과 S극 사이의 자속을 생성하고 홀 센서를 통하여 자속을 검출하고 상기 자속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수신한 자속 정보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4)와;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자속 정보에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존재하는 경우 생성되는 누설 자속 정보를 도출하여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와;
    와이어 로프의 손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와이어로프 세척 및 이동식 진단시스템의 이송부를 구동하여 이송부를 다시 하부 또는 상부로 이송시키는 단계(S16)와;
    자화 센서부 외측 상부 또는 이송부 외측 하부에 설치된 카메라부가 와이어 로프의 손상 부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로 전송하는 단계(S17);
    및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가 상기 카메라 영상 정보를 기초로 최종으로 와이어 로프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100)는 이송 힌지부(140)에 의하여 회전되는 2개의 반원통부(150-1, 150-2)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제2몸체부(150-2) 외측면에 구성되고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30)와, 모터의 회전에 따라 모터 구동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체인(150)과 상기 동력 전달 체인(150)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 축(160)과 상기 체인 축(160)에 구성되는 H 형 소형 제2기어(176)와, 제2몸체부(150-2) 내부 상측에서 상기 H형 소형 제2기어(170) 상부에 구성되는 H 형 제3기어(172)와 상기 제2몸체부 내부 하측에서 상기 H형 소형 제2기어(176) 하부에 구성되는 H 형 제4기어(174)가 구성되는 제2몸체부(150-2)와, 상기 제2몸체부(150-2)와 이송 힌지부(140)에 의하여 체결되며 제1몸체부(150-1) 내부에 구성되는 "
    Figure 112017075422776-pat00020
    " 형상의 제1몸체 프레임(180)과 상기 제1몸체 프레임 내측 상부에 구성되는 H 형 제1기어(182)와 상기 제1몸체 프레임 하부에 구성되는 H형 제2기어(184)와 상기 H형 제1기어와 상기 H형 제2기어 사이에 양 기어의 동력을 전달하는 H 형 소형 제1기어(186)와 상기 제1몸체 프레임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다수의 장력 스프링(190)과 상기 장력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는 판형 프레임(195)과 상기 판형 프레임(195)에 구성되는 회전 볼트(197)가 구성되는 제1몸체부(15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식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힌지부(340)에 의하여 체결되는 2개의 반원통형부(350-1, 350-2) 내부에 체결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1)의 외측 형상이 음각으로 조각된 원통 형상의 세척부(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세척 및 이동식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식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방법.


  3. 삭제
KR1020170040630A 2017-03-30 2017-03-30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KR10180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30A KR101803047B1 (ko) 2017-03-30 2017-03-30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30A KR101803047B1 (ko) 2017-03-30 2017-03-30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18A Division KR101753285B1 (ko) 2016-04-22 2016-04-22 자화 센서부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손상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686A KR20170121686A (ko) 2017-11-02
KR101803047B1 true KR101803047B1 (ko) 2017-11-30

Family

ID=6038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30A KR101803047B1 (ko) 2017-03-30 2017-03-30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217B1 (ko) * 2021-06-15 2021-11-18 고기영 선박용 와이어로프의 도유 장치
CN114314358A (zh) * 2021-12-24 2022-04-12 江运全 一种单梁起重机电动葫芦
CN116046883B (zh) * 2023-04-03 2023-06-09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起重机钢丝绳漏磁-视觉多模态融合检测装置及方法
CN116119535B (zh) * 2023-04-17 2023-06-20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一种桥门式起重机钢丝绳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985A (ja) * 2003-11-19 2005-06-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ワイヤロープの磁気探傷装置
KR100979731B1 (ko) * 2009-12-28 2010-09-03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자동세척 및 도포장치
KR101292073B1 (ko) * 2013-03-04 2013-07-31 정평기 와이어 로프 손상 검출 및 확인장치
KR101509305B1 (ko) * 2013-04-23 2015-04-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손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985A (ja) * 2003-11-19 2005-06-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ワイヤロープの磁気探傷装置
KR100979731B1 (ko) * 2009-12-28 2010-09-03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자동세척 및 도포장치
KR101292073B1 (ko) * 2013-03-04 2013-07-31 정평기 와이어 로프 손상 검출 및 확인장치
KR101509305B1 (ko) * 2013-04-23 2015-04-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손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686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047B1 (ko)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 및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어로프 손상 진단 방법
KR101900301B1 (ko) 스크레이퍼와 고온 에어 공급에 의한 와이어로프 이동식 세척 및 진단시스템
KR101747857B1 (ko)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시스템
US7131791B2 (en) Pipeline rehabilitation systems
KR101803045B1 (ko) 히팅부, 카메라, 모바일 단말기 및 자화 센서부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손상 진단방법
KR101131604B1 (ko) 송전선로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CN101118409B (zh) 图像形成装置
KR101753285B1 (ko) 자화 센서부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손상 진단방법
CN108603624A (zh) 具有集成传感器阵列的旋转接头
CN104062710B (zh) 一种光纤熔接机
EP0881040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monitoring of thickness using a multi-wavelength spectrometer during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EP1422923A3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area of importance in an image using eye monitoring information
KR101753288B1 (ko) 자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손상 진단방법
WO2007015917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ptical insertion loss
KR101679519B1 (ko) 배관의 비파괴 검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검사방법
SG156635A1 (en)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358846B1 (ko) 파이프 조사용 로봇
SG170770A1 (en) Testing surveillance camera installations
EP0949797A3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571185B2 (ja) くぐり抜け不能な配管について浄化、測定、点検などをする方法と装置と作業機器
KR101849618B1 (ko) 비굴착 하수관 보수장치 및 그 방법
CN220650338U (zh) 钢筋原材弯曲性能测试及验证一体化装置
KR20120023415A (ko)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 로봇과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
CN116952744A (zh) 钢筋原材弯曲性能测试及验证方法、一体化装置
JP6305794B2 (ja) 配管内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