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349B1 - rainwater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rainwater stor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349B1
KR101802349B1 KR1020150158415A KR20150158415A KR101802349B1 KR 101802349 B1 KR101802349 B1 KR 101802349B1 KR 1020150158415 A KR1020150158415 A KR 1020150158415A KR 20150158415 A KR20150158415 A KR 20150158415A KR 101802349 B1 KR101802349 B1 KR 10180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orm
stormwater
volum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5355A (en
Inventor
한승원
정명일
김재순
박준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349B1/en
Publication of KR2017005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05Large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e.g. with movable or adjustable walls or wall parts,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우수 저장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은 주름통 형태로 마련되어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탱크; 및 상기 우수탱크에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우수탱크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탱크부피 가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n excellent storage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cellent storage system comprising: an excellent tank provided in a corrugated shape and storing stormwater; And a tank volume variable device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mwater tank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 stored in the stormwater tank.

Description

우수 저장 시스템{rainwater storage system}Rainwater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여 관수로 활용하도록 마련된 우수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ellent storage system provided to store rainwater and utilize it as irrigation water.

계절에 따라 강우량 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는 장마, 호우시 발생하는 다량의 우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하수로 흘려 보내는 경우가 많다. In areas where seasonal rainfall is severely changed, it is often the case that many abundant rainfalls occur in the rainy season.

따라서 최근에는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 이러한 우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관수에 활용하도록 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there have been developed technologies that store these storms in a tank in a heavy rainfall season and use them for irrigation when necessary.

이와 같은 우수저장 탱크는 가뭄 등을 대하여 충분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부피가 크게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큰 부피를 갖는 우수 저장 시설물은 주변의 비가용면적이 줄어들도록 하여 도시농업지역과 같이 충분한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적용이 어렵다. Such an excellent stor- age tank is generally designed to have a large volume so as to store sufficient storm for drought. The storage space having such a large volume will reduce the area of unused area in the vicinity, It is difficult to apply in areas where space is not easily secu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21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216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가용면적을 줄여 주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우수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xcellent storage system that can reduce the unused area and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round the area.

또한 필요에 따라 우수저장 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우수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n excellent storage system capable of varying the storage capacity a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름통 형태로 마련되어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탱크; 및 상기 우수탱크에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우수탱크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탱크부피 가변장치를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cellent tank, which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and stores rainwater; And a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mwater tank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mwater tank.

상기 탱크부피 가변장치는 빗물받이의 물을 전달받아 상기 우수탱크로 전달하도록 상기 우수탱크와 빗물받이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탱크; 상기 우수탱크 상부와 상기 승강탱크 상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중도를 지지하는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includes a lift tank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etween the stormwater tank and the stormwater receiver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stormwater receiver and transfer the water to the stormwater tank; A wir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mwater tan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tank; And a pulley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wire.

상기 탱크부피 가변장치는 상부에 후크를 구비하여 우수탱크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 및 상기 후크에 걸리도록 상기 우수탱크 상부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od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provided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excellent tank so as to catch the hook.

상기 탱크부피 가변장치는 외주에 나선을 구비하여 상기 우수탱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나선봉; 상기 나선봉의 회전시 승강하도록 상기 나선봉 둘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우수탱크의 상부 둘레에 고정된 복수의 너트부재; 및 상기 나선봉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spiral rods provided around the outer tank, the spiral rods having a spiral around the outer tank; A plurality of nut member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erior tank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around the spiral bar so as to move up and down during rotation of the spiral bar; And a rotation driver for rotating the spiral bar.

상기 회전구동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복수의 상기 나선봉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driver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and a gear unit that rotates the plurality of spiral rods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상기 회전구동기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driver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handl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상기 회전구동기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e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은 우수 저장을 위한 우수탱크가 내부로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부피 가변이 가능하므로, 비가용면적을 줄여 시스템이 설치되는 주변의 공간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필요에 따라 우수 저장 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The stormwater stor- ag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volu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 age tank for stor- ing storages, The storage capacity can be varied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수탱크 체적이 증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우수탱크 체적이 증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우수탱크 체적이 증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로, 탱크부피 가변장치의 회전구동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우수탱크 쪽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탱크부피 가변장치의 회전구동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xcellent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m reservoir volume of FIG. 1 is increase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excellent storage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m tank volume of FIG. 3 is increase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n excellent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m reservoir volume of FIG. 5 is increased.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tary actuator of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FIG.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fter cutting along the cutting line AA in FIG.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n excellent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orm tank side in Fig. 9,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otary actuator of the tank volume control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1)은 주름통 형태로 마련되어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탱크(10)와, 우수탱크(10)에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우수탱크(10)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탱크부피 가변장치(20)를 구비한다. 1, the stormwater stor- age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stor- age tank 10 provided in a corrugated shape and storing stormwater, And a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20)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m tank (10).

탱크부피 가변장치(20)는 빗물받이(a)의 물을 전달받아 우수탱크(10)로 전달하도록 우수탱크(10)와 빗물받이(a)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탱크(30)와, 우수탱크(10) 상부와 승강탱크(30) 상부를 연결하는 와이어(40)와, 와이어(40)의 중도를 지지하는 도르래(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ank volume changer 20 includes a lift tank 30 installed between the excellent tank 10 and the rainwater receiver a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receive water from the rainwater receiver a and to transfer the water to the stormwater tank 10, A wire 40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m tank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tank 30 and a sheave 50 supporting the midway of the wire 40.

빗물받이(a)는 시스템 주변의 건물에 설치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우수탱크(10)는 저면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rainwater receiver (a)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near the system, and the stormwater tank (10) may be installed so that its bottom surface is fixed on the ground.

빗물받이(a)와 승강탱크(30) 사이와, 승강탱크(30)와 우수탱크(10) 사이는 연결호스(61,62)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호스(61,62)는 승강탱크(30)의 승강동작을 감안하여 그 길이를 정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hoses 61 and 62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receiver a and the elevating tank 30 and between the elevating tank 30 and the stormwater tank 10 through the connecting hoses 61 and 62, The length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motor 30.

도르래(50)는 복수로 구성되어 우수탱크(10)와 승강탱크(30) 사이의 중도 상부 쪽에 설치되며, 중도가 도르래(50)에 권취된 와이어(40)는 일단이 우수탱크(10)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승강탱크(30)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ulley 50 is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pulleys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middle portion between the storm tank 10 and the elevation tank 30. The wire 40 wound around the pulley 50 has a singl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tank 30.

따라서 이와 같은 탱크부피 가변장치(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비가 오게 되면, 빗물받이(a)로 유입된 우수가 연결호스(61)를 통해 승강탱크(30)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우수에 의해 무게가 증가한 승강탱크(30)는 저부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40)에 연결된 우수탱크(10) 상부가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우수탱크(10)는 상부로 점차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승강탱크(30)에 채워진 우수는 연결호스(62)를 통해 우수탱크(10) 내부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도 2에는 승강탱크(3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부로 펼쳐지면서 체적이 증가된 우수탱크(10)의 구조가 도시된다.Therefore, when the tank volume control device 20 is installed,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receiver (a) flows into the lift tank 3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61. The upper portion of the superior tank 10 connected to the wire 40 is pulled upward and the superior tank 10 is gradually moved upward . In this process, the rainwater filled in the elevating tank 30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tormwater tank 10 through the connecting hose 62 and stored.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excellent tank 10 having the volume increased as it is spread upward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tank 30.

승강탱크(30)의 우수가 연결호스(61)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연결호스(61)의 출구 쪽에는 체크밸브(70)가 설치될 수 있다. A check valve 70 may be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connecting hose 61 to prevent the bleed of the lift tank 30 from flowing back to the connecting hose 61.

비가 오지 않을 때도 우수탱크(10)에 물을 저장하고자 할 경우를 대비하여 승강탱크(30)에는 상수도(80)가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81은 상수도(80)와 승강탱크(3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가리킨다. The water tank 80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elevating tank 30 in case water is to be stored in the stor- age tank 10 even when no rain is present. Reference numeral 81 denotes a connecting hos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tank 80 and the elevating tank 30.

우수탱크(10)와 재배지(b) 사이는 관수용 호스(91)로 연결될 수 있다. 우수탱크(10)의 출구 측으로는 우수의 출입을 단속하도록 개폐밸브(92)가 설치되며, 재배지(b)에는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센서(93)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92)와 수분센서(93)는 제어부(94)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94)는 수분센서(93)를 통해 감지된 재배지(b) 토양의 수분이 미리 정해 놓은 기준치 이하일 경우 개폐밸브(92)를 개방시켜 우수탱크(10)의 우수가 관수용 호스(91)를 통해 재배지(b)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hose 9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tormwater tank 10 and the plantation site b. An opening / closing valve 92 is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stormwater tank 10 so as to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stormwater. A moisture sensor 93 for measuring the moisture of the soil can be installed at the cultivation site b. The control unit 94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92 and the water sensor 93 and the control unit 94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92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cultured by the water sensor 93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valve 92 is opened to allow the storm of the stormwater tank 10 to be supplied to the plantation site b through the pipe hose 91.

여기서 개폐밸브(92)와, 수분센서(93)와, 관수용 호스(91)와, 제어부(94)는 자동관수장치(90)를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opening / closing valve 92, the water sensor 93, the pipe hose 91, and the control unit 94 can constitute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9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2)에서 탱크부피 가변장치(100)는 상부에 후크(111)를 구비하여 우수탱크(10)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110)과, 후크(111)에 걸리도록 우수탱크(10) 상부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부(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in the storm reservoir syste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tank volume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hook 1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20 provided around the superior tank 10 so as to be hooked on the hooks 111. [

우수탱크(10)는 저면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봉(110)은 저부가 우수탱크(10) 주변의 지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우수탱크(10) 둘레에 세워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excellent tank 10 may be fix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fixed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 guide rod 110 may be fixed so as to stand around the excellent tank 10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round the excellent tank 10 .

이러한 탱크부피 가변장치(100)는 이용자가 우수탱크(10) 상부의 걸림부(120)를 가이드봉(110)의 후크(111)에 거는 방식으로 우수탱크(10)가 펼쳐지거나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우수탱크(10)의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우수탱크(10)의 체적이 증가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The tank volume control apparatus 1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unfolds or contracts the excellent tank 10 in such a manner that the catching portion 120 on the superior tank 10 is hooked on the hook 111 of the guide rod 110 The volume of the excellent tank 10 can be varied. Fig.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volume of the storm reservoir 10 is increased.

우수탱크(10)의 체적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각 가이드봉(110)에는 복수의 후크(111)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ooks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volume of the storm reservoir 10 can be varied stepwise.

빗물받이(a)와 우수탱크(10) 사이는 연결호스(63)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호스(63) 중도에는 우수탱크(10)의 우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기 위한 체크밸브(70)가 설치될 수 있다. A check valve 70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stormwater of the stormwater tank 1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hose 63 Can be installed.

이때 상수도(80)는 연결호스(82)를 통해 우수탱크(10)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8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torm tank 1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82.

그리고 본 실시 예의 경우에도 자동관수장치(90)는 제1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Also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automatic watering apparatus 90 can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5 내지 도 8에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3)이 도시된다. 5 to 8 show an excellent storage system 3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의 우수 저장 시스템(3)에서 탱크부피 가변장치(130)는 외주에 나선을 구비하여 우수탱크(10)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나선봉(140)과, 나선봉(140)의 회전시 승강하도록 나선봉(140) 둘레에 체결된 상태에서 우수탱크(10)의 상부 둘레에 고정된 복수의 너트부재(150)와, 나선봉(140)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5, in the stormwater storage system 3 of the third embodiment, the tank volume control device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pools 140 (shown in FIG. 5) provided with spirals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stormwater tank 10, A plurality of nut members 150 fix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excellent tank 10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around the barb 140 so as to move up and down during rotation of the barb 140, And a rotation driver 160 for driving the rotation.

너트부재(150)는 우수탱크(10)의 상부 가장자리에 반경반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nut member 150 may be secured to the extension 11 extending radially to the upper edge of the storm reservoir 10.

본 실시 예와 달리 너트부재(150)는 우수탱크(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연장부(11)에 일체로 가공되는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The nut member 150 may be fixed directly to the storm tank 10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11. [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기(160)는 회전축(161)과, 회전축(161)의 회전시 복수의 나선봉(140)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 6 to 8, the rotation driver 16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161 and a gear unit 162 that rotates a plurality of spiral rods 140 when the rotation shaft 161 rotates .

기어유닛(162)은 우수탱크(10) 저부에 마련된 기어박스(160a)를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160a) 저부 모서리에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지지다리(160b)가 연장될 수 있다.The gear unit 162 may be installed through a gear box 160a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orm tank 10 and the support leg 160b may be extended to the bottom edge of the gear box 160a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회전축(161)은 기어박스(160a) 측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기어유닛(162)은 태양기어(162a)와, 태양기어(162a)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위성기어(162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161 may be installed laterally of the gear box 160a and the gear unit 162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cluding a sun gear 162a and a plurality of satellite gears 162b disposed around the sun gear 162a ≪ / RTI >

각각의 나선봉(14)은 위성기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저부가 기어박스(160a)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각 위성기어(162b)에 연결될 수 있다. Each spiral rod 14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atellite gears 162b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gear box 160a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atellite gears.

태양기어(162a)와 회전축(161) 사이에는 회전축(161)의 회전운동을 태양기어(162a)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결기어(162c)가 연결될 수 있고, 연결기어는 베벨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A connecting gear 162c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shaft 161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n gear 162a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un gear 162a and the rotating shaft 161, .

따라서 이와 같은 기어유닛(162)의 구조를 통해 회전축(161)을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기어(162c)에 의해 각 태양기어(162a)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위성기어(162b)가 회전하게 되면서, 복수의 나선봉(140)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rotary shaft 161 is rota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gear unit 162, the respective sun gears 162a are rotated by the connecting gear 162c, whereby each of the satellite gears 162b is rotated The plurality of spindle rods 140 can rotate at the same time.

회전축(161)의 끝단에는 수동식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163)가 연결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rotary shaft 161, a rotary knob 163 for manually rotating the rotary shaft may be connected.

따라서 이와 같은 탱크부피 가변장치(130)의 구조에서는 이용자가 회전손잡이(163)를 회전시킴에 따라 너트부재(150)들이 복수의 나선봉(140)을 따라 승강하면서 우수탱크(10)의 체적을 가변시키게 된다. Therefore, in the structure of the tank volume control device 130,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163, so that the nut members 150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plurality of spiral rods 140 while the volume of the excellent tank 10 .

이때 너트부재(150)는 회전손잡이(163)의 회전방향에 따른 나선봉(140)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나선봉(1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우수탱크(10)는 상부가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로 압축되면서 체적이 가변된다. . At this time, the nut member 150 is moved along the spindle 140 to the upper or lower part b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pindle 140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ry knob 163, The volume is variable as the top is lifted up or compressed down. .

이때도 자동관수장치(90)나, 빗물받이(a)와 우수탱크(10) 사이의 물공급구조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structure between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90 and the storm water receiver (a) and the stormwater tank 10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시스템(4)이 도시된다. 9-10 show an excellent storage system 4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실시 예의 우수 저장 시스템(4)은 회전구동기(160)의 회전축(161)이 상기 회전손잡이(163) 대신 구동모터(163´)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In the good storagesystem 4 of FIG. 4 embodiment, the rotation axis 161 of the rotation driver 16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163 'instead of the rotation knob 163.

상기 우수 저장 시스템(4)의 경우, 상기 회전손잡이(163) 대신 구동모터(165)에 의해 회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3실시 예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60c는 구동모터(165)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를 가리킨다. In the case of the excellent storagesystem 4,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165 instead of the rotary knob 163. [ Reference numeral 160c denot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rive motor 165. [

참고로 이상에서는 우수탱크(10)가 하나로 마련된 경우에 한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내용과 달리 우수탱크(10)는 복수로 구성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case where the excellent tanks 10 are provided as one unit has been described. However,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excellent tanks 10 can be configured in plural.

이때 각 우수탱크(10) 사이는 연결유로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어 한 쪽 우수탱크(10)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다음의 우수탱크 쪽으로 우수가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stormwater tanks 10 is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and when the water level of one stormwater tank 10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tormwater can be directed to the next stormwater tank.

1: 우수 저장 시스템 10: 우수탱크
20: 탱크부피 가변장치 30: 승강탱크
40: 와이어 50: 도르래
61,62: 연결호스 70: 체크밸브
80: 상수도 90: 자동관수장치
91: 관수용 호스 92: 개폐밸브
93: 수분센서 94: 제어부
1: Excellent storage system 10: Excellent tank
20: tank volume variable device 30: lift tank
40: wire 50: pulley
61, 62: connecting hose 70: check valve
80: Waterworks 90: Automatic watering device
91: tube hose 92: open / close valve
93: Moisture sensor 94:

Claims (7)

삭제delete 주름통 형태로 마련되어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탱크; 및
상기 우수탱크에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우수탱크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탱크부피 가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부피 가변장치는,
빗물받이의 물을 전달받아 상기 우수탱크로 전달하도록 상기 우수탱크와 빗물받이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탱크;
상기 우수탱크 상부와 상기 승강탱크 상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중도를 지지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
An excellent tank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for storing storms; And
And a tank volumetric device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m tank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 stored in the storm tank,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includes:
An elevating tank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etween the stormwater tank and the storm water receiver so as to transfer water from the stormwater receiver to the stormwater tank;
A wir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mwater tan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tank; And
And a pulley for suppor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ire.
주름통 형태로 마련되어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탱크; 및
상기 우수탱크에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우수탱크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탱크부피 가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부피 가변장치는,
상부에 후크를 구비하여 우수탱크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 및
상기 후크에 걸리도록 상기 우수탱크 상부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
An excellent tank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for storing storms; And
And a tank volumetric device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m tank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 stored in the storm tank,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ods provided on the top of the excellent tank and provided with hooks on the top; And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provid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excellent tank so as to catch the hook.
주름통 형태로 마련되어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탱크; 및
상기 우수탱크에 저장되는 우수량에 대응하여 상기 우수탱크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탱크부피 가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부피 가변장치는,
외주에 나선을 구비하여 상기 우수탱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나선봉;
상기 나선봉의 회전시 승강하도록 상기 나선봉 둘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우수탱크의 상부 둘레에 고정된 복수의 너트부재; 및
상기 나선봉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기를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
An excellent tank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for storing storms; And
And a tank volumetric device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m tank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 stored in the storm tank,
The tank volume adjus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piral rods provided with spirals on the outer periphery and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excellent tank;
A plurality of nut member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erior tank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around the spiral bar so as to move up and down during rotation of the spiral bar; And
And a rotary actuator for rotatingly driving the spir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복수의 상기 나선봉을 회전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 driver includes a rotation shaft and a gear unit that rotates a plurality of spiral rods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기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ry actuator further comprises a rotary knob coupled to the rotary shaft to rotate the rotary shaf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기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우수 저장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ry actuator further comprises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KR1020150158415A 2015-11-11 2015-11-11 rainwater storage system KR101802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15A KR101802349B1 (en) 2015-11-11 2015-11-11 rainwater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15A KR101802349B1 (en) 2015-11-11 2015-11-11 rainwater storag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55A KR20170055355A (en) 2017-05-19
KR101802349B1 true KR101802349B1 (en) 2017-11-28

Family

ID=5904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415A KR101802349B1 (en) 2015-11-11 2015-11-11 rainwater stor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3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51B1 (en) * 2019-05-14 2019-10-08 주식회사 이엘 rainwater recycle autonomous oper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6842B2 (en) 2006-06-14 2012-11-07 東洋紡績株式会社 Stretchable plastic container
KR101336361B1 (en) * 2011-10-14 2013-12-04 박세재 Water supply equipment for plant cul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6842B2 (en) 2006-06-14 2012-11-07 東洋紡績株式会社 Stretchable plastic container
KR101336361B1 (en) * 2011-10-14 2013-12-04 박세재 Water supply equipment for plant cul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55A (en)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99B1 (en)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nd facility for using rainwater with the device
US20100288375A1 (en) Constant Pressure Rainwater Harvesting Distribution Device and System
US11178828B2 (en) Irrigation system
US20090097961A1 (en) Hydroelectric System
WO2012035301A1 (en) Rainwater irrigation system
CN108782118B (en) Afforestation plants auxiliary assembly with trees
DE1020191228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rainwater
KR101802349B1 (en) rainwater storage system
CN208309955U (en) A kind of architectural design roof cornice water-tight device
JP6535945B1 (en) Automatic irrigation type three-dimensional planting device
US20160366843A1 (en) Liquid irrigation system
AU2013311431B2 (en)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GB2321926A (en) Water storage apparatus
US3180570A (en) Hydraulic wind machine
CN216108752U (en) Sponge city rainwater garden
CN206895301U (en) A kind of flowerpot
JP2010200733A (en) Automatic watering-water supply equipment
CN206547531U (en) Timing automatically watering device
CN206851612U (en) A kind of deserted mountain rainwater collection irrigation system
CN217117083U (en) Irrigation equipment for big-arch shelter
CN201011802Y (en) Automatic water-feeding moisture-keeping device
CN117546768B (en) Plant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repairing high-steep rock slope
GB2556979A (en) Liquid irrigation system
CN219182316U (en) Irrigation and drainage device
CN204919662U (en) Small -size album of rain jar water storage device that catch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