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869B1 - 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 - Google Patents

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869B1
KR101801869B1 KR1020150143290A KR20150143290A KR101801869B1 KR 101801869 B1 KR101801869 B1 KR 101801869B1 KR 1020150143290 A KR1020150143290 A KR 1020150143290A KR 20150143290 A KR20150143290 A KR 20150143290A KR 101801869 B1 KR101801869 B1 KR 10180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earing surface
stand
foo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3920A (en
Inventor
마르틴 쇼를레머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4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길이방향 범위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범위의 일단부에 작동 영역(4)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니들 푸트(5)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영역(4) 및 상기 니들 푸트(5) 사이에 장착부(6)를 구비하는 니들 스탠드(2)를 가지는 날실 니트 니들(1)로서, 상기 장착부(6)는 상기 길이방향 범위(3)로 연장되는 베어링면(7) 및 상기 베어링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니들 스탠드(2)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상측면(10)을 구비하되, 상기 니들 푸트(5)는 리테이닝면(8)을 형성하는 날실 니트 니들이 설명된다.
추가로, 상기 날실 니트 니들에 매칭되는 니들 바아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작동 속력에서 날실 니트 기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테이닝면(8)은 상기 상측면(10)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면(7)으로부터 연장되는 간격(9)에 구성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4) at one end of said longitudinal extent and a needle foot (5) at the other end in said longitudinal direction, said operating region (4) and said needle foot (5) 1. A warp knit needle (1) having a needle stand (2) with a mounting portion (6) between a bearing surface (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extent (3) 7, the warp knit needle having an upper side 1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eedle stand 2 facing away from the needle stand 5, the needle foot 5 forming the retaining surface 8 is described.
In addition, a needle bar matching the warp knitted needle is describ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warp knit machine to operate at high operating speeds.
To this end, the retaining surface (8) is provided to be configured in an interval (9) extending from the bearing surface (7)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10).

Description

날실 니트 니들 및 니들 바{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 < RTI ID = 0.0 >

본 발명은 길이방향 범위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범위의 일단부에서 작업 영역을 가지되 길이방향 범위의 타단부에서는 니들 푸트(needle foot)를 가지는 스트랜드와, 상기 작업 구간 및 상기 니들 푸트 사이에 장착부를 가지는 날실 니트 니들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길이방향 범위에서 연장되는 베어링면과 상기 베어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스탠드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상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니들 푸트는 리테이닝면을 형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tool comprising a strand having a longitudinal extent and having a working area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extent and a needle foot at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extent, Wherein the needle portion has a bearing surf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extent and an upper surfa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and facing away from the bearing surface, Thereby forming a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의 전방측과 후방축 사이에 배치되는 니들 리셉터클을 가지는 스탠드를 구비하는 니들 바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니들 리셉터클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웹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각각 하나의 슬롯 베이스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 조립체는 상기 니들 리셉터클의 후방측 상에 배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needle bar having a stand having a needle receptacl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axes of the stand, wherein the needle receptac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web, Wherei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is disposed on a rear side of the needle receptacle.

이러한 유형의 날실 니트 니들 및 이러한 타입의 니들 바아는 예를 들어 DE 44 14 703 C2 에 공지되어 있다..This type of warp knit needle and needle bar of this type are known, for example, from DE 44 14 703 C2.

날실 니트 기계에서 날실 편직된 제품의 제조시에, 동일한 유형의 날실 니트 공구는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일한 유형의 날실 니트 공구는 바아에 배치된다. 상기 날실-니트 공구는 상기 바아가 이동될 때 함께 이동하게 되어, 동일한 움직임은 상기 바아에 고정되는 모든 날실 니트 공구에 의해 실행된다. In the manufacture of warp knitted products in warp knit machines, warp knit tools of the same type must be moved in the same manner. Thus, warp knit tools of the same type are placed in the bar. The warp-knit tool is moved together when the bar is moved, so that the same movement is performed by all warp knit tools that are secured to the bar.

상기 날실 니트 공구가 상기 니들 바아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니들 리셉터클은 니들 바아 상에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니들 리셉터클은 날실 니트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의 슬롯 또는 그루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날실-니트 공구는 그 양측면 벽에 의해 상기 슬롯의 벽 상에 지지되는데, 환언하면 상기 웹 상에 지지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날실 니트 공구의 길이방향 범위에서 가동하게 된다. To allow the warp knit tool to be placed in the needle bar, the needle receptacle is known to be provided on the needle bar. The needle receptacle has a plurality of slots or grooves into which a warp knit tool is inserted. Here, the warp-knit tool is supported on the wall of the slot by both side walls thereof, in other words, it is supported on the web. The slot is operable in a longitudinal extent of the warp knit tool.

상기 날실 니트 공구는 날실 니트 니들에 대하여 형성되었던 루트를 통하여 상기 니들이 쓰레드를 당길 수 있는 방식으로 후크를 구비하는 날실 니트 니들을 구비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에 의해 흡수되어져야 하는 인장력은 상기 쓰레드가 당겨질 때 생성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이 슬롯에 배치되거나 심지어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슬롯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상기 장착면을 향하는 그 전방측 상에서 리테이닝면을 형성하는 니들 푸트를 구비한다. 상기 리테이닝면은 상기 니들 바아의 지지면 조립체 상에서 지지된다. 전술한 DE 44 14 703 C2 의 경우, 지지면 조립체는 상기 슬롯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가동하는 그루브의 전방측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니들 바아의 스탠드에서 구성된다. The warp knit tool has a warp knit needle having a hook in such a way that the needle can pull the thread through a route that has been formed with respect to the warp knit needle. The tensile force that must be absorbed by the warp knit needle is created when the thread is pulled. To prevent the warp knitted needle from being placed in the slot or even being extracted from the slot by such tension, the warp knitted needle has a needle foot which forms a retaining surface on its front side towards the mounting surface. The retaining surface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of the needle bar. In the case of DE 44 14 703 C2 mentioned above,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is configured as a front side of a groove transversely movable with respect to said slot and constituted on the stand of said needle bar.

상기 그루브의 영역에서의 스탠드는 이러한 유형의 그루브가 상기 니들 바아의 스탠드에서 장착될 때 약해지게 된다. 이러한 약해지는 현상은 대응하는 많은 양의 물질이 그루브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에 대하여 보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추가적인 양의 물질이 니들 바아의 질량의 증대를 유도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니들 바아의 질량이 커질수록, 작동시에 니들 바아가 가속되거나 감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이 더 커지게 된다. 커진 질량은 니들 바아를 구비한 날실 니트 기계의 작동 속력을 제한하게 된다. The stand in the area of the groove is weakened when this type of groove is mounted on the stand of the needle bar. This weakening phenomenon is compensated for in that a corresponding large amount of material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groove. However,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an additional amount of material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ass of the needle bar. The greater the mass of the needle bar, the greater the force required to cause the needle bar to accelerate or decelerate during operation. Larger masses limit the operating speed of the warp knit machine with the needle bar.

본 발명은 높은 작동 속력에서 날실 니트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object of being able to operate a warp knit machine at high operating speeds.

이러한 목적은 상측의 방향으로 베어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간격에 리테이닝면이 구성되는 구성으로서 언급된 유형의 날실 니트 니들의 도움으로 달성된다. This object is achieved with the aid of a warp knit needle of the type mentioned as a construction in which the retaining surface is constituted at an interval extending from the bearing surface in the upward direction.

이 경우, 적어도 일부의 리테이닝면은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의 상측과 베어링면 사이의 영역에 수용되어서, 상기 베어링면을 넘어서 상기 니들 푸트의 돌출부는 작게 유지된다. 이러한 돌출부가 작을수록 상기 바아의 스탠드에 필요하게 되며 그와 관련된 연약부에 필요하게 되는 그루브도 작아진다. 상기 연약부가 작아질수록 상기 바아는 더 안정적이게 되며, 상기 날실 니트 기계에 의해 달성되는 작동 속력은 더 높아지게 된다. 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taining surface is received in an area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warp knitted needle and the bearing surface,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needle foot over the bearing surface is kept small. The smaller these protrusions are, the smaller the need for the stand of the bar and the grooves required for the associated soft parts. As the softened portion is smaller, the bar becomes more stable and the operating speed achieved by the warp knitting machine becomes higher.

상기 니들 푸트는 상기 베어링면을 넘어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어떠한 그루브도 상기 니들 바아의 스탠드에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이러한 리테이닝면에 의해 인장력을 견디기 위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유지된다. Preferably, the needle foo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bearing surface. In this case, no grooves are needed for the stand of the needle bar anymore. Nevertheless, the warp knitted needles are maintained in a suitable manner to withstand tensile forces by such retaining surfaces.

상기 니들 푸트는 베어링면에 의해 종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거의 선형이며 연속적인 날실 니트 니들의 하부측이 결과적으로 도출되게 되어, 베어링면 및 니들 푸트의 하부측은 간격에 의해서만 상호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대 리테이닝면은 필요한 니들 바아의 스탠드로 돌출되는 그루브 없이도 달성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the needle foot is terminated by a bearing surface. As a result, the lower side of the nearly linear, continuous warp knit needle is consequently drawn,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bearing surface and the needle foo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ly by the spacing. In this way, the maximum retaining surface can be achieved without a groove projecting into the stand of the required needle bar.

하나의 선택적인 설계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 푸트는 최대 1mm의 길이로 상기 베어링면을 넘어서 돌출된다. 날실 니트 니들은 상기 니들 바아의 스탠드 상의 니들 리셉터클에 배치된다. 날실 니트 니들이 삽입되는 그루브 또는 슬롯은 이러한 니들 리셉터클에 제공된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웹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상기 웹은 0.5 내지 1mm의 두께를 가지는 공통 베이스로부터 진행하게 된다. 상기 니들 푸트는 웹들 간의 연결부의 두께의 범위로 상기 베어링면을 넘어서 돌출되게 된다. In one alternative design embodiment, the needle foot protrudes beyond the bearing surface to a length of up to 1 mm. The warp knit needle is disposed in the needle receptacle on the stand of the needle bar. Grooves or slots into which warp knit needles are inserted are provided in these needle receptacles. The groov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web. The web proceeds from a common base having a thickness of 0.5 to 1 mm. The needle foot protrudes beyond the bearing surface in a range of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ebs.

상기 베어링면 및 상부측 사이의 전체 높이의 10% 내지 70%의 범위의 높이로 간격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이 니들 리셉터클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크기로 되는 리테이닝면은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상기 베어링부 및 니들 푸트 사이의 전이부에서 비교적 작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의 나머지 단면은 흡수되는 날실 니트 작업 동안에 쓰레드에 의해 형성되는 인장력에 대하여 적절하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is extended to a height in the range of 10% to 70% of the total height between the bearing surface and the upper side. The retaining surface of a suitable size to achieve the warp knitted needles to be retained in the needle receptacle is achieved in this manner. The warp knit needle has a relatively small height at the transition between the bearing portion and the needle foot, and the remaining cross-section of the warp knit needle becomes appropriate for the tensile force created by the thread during the absorbed warp knit operation.

라운드진 특징부(feature)에 의해 상기 베어링면으로 전이되며 상기 작업 영역을 향하여 배향되는 전방측이 간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간격의 전방측과 상기 베어링면 사이의 날카로운 에지 또는 코너는 회피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이 상기 니들 리셉터클에 삽입될 때 또는 작업시에 상기 슬롯의 베이스 상에서 마모를 일으키는 이러한 날카로운 에지의 위험은 대응하게 작아지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ide which is transferred to the bearing surface by the rounded feature and is oriented toward the working area is formed at the interval. In this way, sharp edges or corners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gap and the bearing surface are avoided. The risk of such a sharp edge causing wear on the base of the slot when the warp knit needle is inserted into the needle receptacle or during operation is correspondingly reduced.

상기 상부측은 간격의 영역에서 상승부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승부를 고려하여, 상기 니들 스탠드의 단면은 이러한 지점에서 확장되어,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부하에 대하여 더 많은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The upper side has a rising portion in the region of the gap. In view of this eleva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needle stand extends at such a point so that the warp knitted needle has more resistance to the load.

이러한 상승부의 영역의 니들 스탠드의 단면 높이는 단면 높이와 간격 높이의 합으로부터 도출되는 거리의 25%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승부가 상기 니들 스탠드의 상부측 상에 존재한다면, 상기 간격 및 리테이닝면은 약간 더 확대되게 된다. 전체 높이에 기여하는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의 소재의 상대적인 비율은 절대적 단면 높이가 허용할 수 없는 방식으로 감소되지 않고서도 상기 상승부의 영역에서 감소하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needle stand in the region of the rising portion is 25% or more of the distance derived from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height of the gap. If the ascen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stand, the gap and retaining surface are slightly enlarged.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 material of the warp knitted needles contributing to the overall height is reduced in the region of the raised portion without reducing the absolute cross-sectional height in an unacceptable manner.

바람직한 설계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부측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측인, 돌출부는 상기 작동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니들 푸트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은 상기 니들 리셉터클로부터 날실 니트 니들을 쉽게 제거하게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sign, the protrusion, which is at least partly the lower side projecting forwardly of the upper sid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eedle foot facing away from the operating area. This protrusion allows easy removal of the warp knit needle from the needle receptacle.

상기 돌출부는 경사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어링면으로부터 떨어진 하나의 방향성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방향성 요소는 상기 작동영역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The protrusions are preferably inclined. The projection has one directional element remote from the bearing surface, and the directional element is away from the operating area. Such a structure facilitates handling.

이러한 방법은 상기 슬롯 베이스가 상기 니들 리셉터클의 후방측을 향하여 상승하고 상기 지지면 조립체가 구성되는 후방 플랭크 상에서 슬롯 베이스 상승부에 의해 종단되게 된다는 점에서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니들 바아에서 달성되게 된다. This method is achieved in a needle bar of the type mentioned at the beginning in that the slot base rises towards the rear side of the needle receptacle and is terminated by a slot base elevation on the rear flank on which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is constructed .

전술한 날실 니트 니들이 상기 니들 바아에 삽입될 때,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는 전술한 간격으로 들어가게 되며, 리테이닝면은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의 후방 플랭크 상에서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레이테닝면은 상기 지지면 조립체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쓰레드 인장에 의한 인장 부하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니들 푸트가 베어링면까지 연장되거나 더 짧게 된다면, 상기 니들 바아의 스탠드의 가공은 그루브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그루브에 의해 약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작은 질량을 가지는 얇은 두께의 벽으로 된 스탠드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벽두께는 날실 니트 니들의 고정을 고려할 필요 없이도 상기 스탠드의 작동 거동을 위해서만 정해지게 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상기 지지면 조립체 및 슬롯을 가지는 니들 리셉터클에 수용된다. When the above-described warp knit needle is inserted into the needle bar, the slot-base elevation portion is inserted at the above-mentioned interval, and the retaining surface can be supported on the rear flank of the slot-base elevation portion, And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The warp knitted needle is fixed against tensile loading by thread tension. If the needle foot extends to or shortens the bearing surface, processing of the stand of the needle bar is not required to form a groove. Therefore, the stand is not weakened by the groove. Thus, a thin walled stand having a small mass can be used. The wall thickness in this case is determined only for the operating behavior of the stand without the need to consider fixing the warp knitted needle. The warp knit needle is received in a needle receptacle having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and the slot.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날실 니트 니들은 상기 니들 리셉터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들 리셉터클에 날실 니트 니들을 고정 장착함으로써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은 상기 니들 리셉터클에 부합하게 되는데, 환언하면 상기 슬롯 베이스 상승부는 상기 간격에 부합하게 된다. Preferably, one or more warp knitted needles as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in the needle receptacle. By fixing the warp knitted needle to the needle receptacle, the warp knitted needle conforms to the needle receptacle, in other words, the slot base riser meets the gap.

상기 지지면 조립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의 슬롯-베이스 상승부는 곡면 형태를 가진다. 슬롯은 제조하는 간단한 과정은 측면 밀링 커터를 사용하는 것에도 존재한다. 상기 측면 밀링 커터는 상기 니들 리셉터클 외부로 가이드되어, 상기 지지면 조립체를 향하는 슬롯의 단부에 전자(커터)가 도달하게 된다. 상기 슬롯 베이스의 만곡된 형상은 자동적으로 얻어지게 된다. The slot-base elevation on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has a curved shape. The simple process of manufacturing slots also exists in the use of side milling cutters. The side milling cutter is guided outside the needle receptacle so that electrons (cutters) reach the end of the slot facing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The curved shape of the slot base is automatically obtained.

만곡된 형상은 상기 스탠드의 원형 라인을 따르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간편한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측면 밀링 커터 또는 그 유사한 공구는 버클-프리 트랙을 따라 가이드된다. The curved shape preferably follows a circular line of the stand. Such a construction allows for easy manufacture, since a side milling cutter or similar tool is guided along the buckle-free track.

상기 지지면 조립체는 그루브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후방측은 쓰러스트면을 형성하며, 상기 쓰러스트면은 상기 지지면 조립체보다 높이가 더 높다. 이 경우의 쓰러스트면은 인장 방향에 반대방형으로 상기 니들 리셉터클에서 날실 니트 니들의 변위에 반대로 작용한다. 상기 니들 리셉터클의 날실 니트 니들은 간단한 방식으로 모든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하여 고정된다.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preferably forms the front side of the groove and the rear side thereof forms a thrust surface and the thrust surface is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The thrust face in this case acts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warp knitted needle in the needle receptac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ensile direction. The warp knit needle of the needle receptacle is secured against movement in all directions in a simple manner.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날실 니트 니들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니들 바아의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수정된 날실 니트 니들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수정된 니들 푸트의 상세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below by way of example embodiments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detailed view of a warp knitted need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needle bar.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a modified warp knit needl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modified needle foot.

도 1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길이방향 (3) 으로 연장되는 니들 스탠드(2)를 가지는 날실 니트 니들(1)을 도시한다. 길이방향(3)에서의 일단부에서,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은 작동영역(4)을 가지며, 길이방향(3)의 타단부에서 니들 푸트(5)를 가진다. 장착부(6)는 상기 작동 영역(4) 및 니들 푸트(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장착부는 베어링면(7)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날실 니트 니들(1)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면(7)은 하측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용어 "하측면" 및 "상측면"은 도면의 도시 사항에 대한 것이며,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한 것이다. 날실 니트 니들(1)은 다른 공간적 방향을 가지도록 채용될 수도 있다. Figure 1 shows a warp knit needle 1 with a needle stand 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 indicated in double arrows, in a simple manner.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 the warp knit needle 1 has an operating region 4 and has a needle foot 5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 The mounting portion 6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ng region 4 and the needle foot 5. The mounting portion has a bearing surface (7). In the direction of the warp knitted needle 1 shown in Fig. 1, the bearing surface 7 forms a lower side. The terms "lower side" and "upper side" described below are for the illustration of the drawings and a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warp knitted needles 1 may be employed to have different spatial orientations.

상기 장착부를 향하는 측면에서의 상기 니들 푸트(5)는 리테이닝면(8)을 가진다. 상기 리테이닝면(8)은 상기 베어링면(7)로부터 상기 니들 스탠드(2)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측면(10)으로 연장되는 간격(9)으로 형성된다. 전체 높이(11)는 상기 베어링면(7) 및 상기 상측면(10)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은 상기 작동 영역(4)를 향하여 테이퍼지게 된다. The needle foot (5) on the side facing the mounting portion has a retaining surface (8). The retaining surface 8 is formed with a gap 9 extending from the bearing surface 7 to an upper side 10 disposed opposite the needle stand 2. The overall height 11 is formed by separating between the bearing surface 7 and the top side 10.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tapered toward the operating region 4. [

최대 높이의 영역에서, 상기 간격(9)는 상기 베어링면(7) 및 상기 상측면(10) 사이의 전체 높이(11)의 10% 내지 70%의 높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영역(12)은 전체 높이(11)이 30% 이상의 높이를 영역(12)이 가지는, 상기 작동 영역(4) 및 니들 푸트(5) 사이에 남게 된다. In the region of maximum height, the gap 9 extends to a height of 10% to 70% of the total height 11 between the bearing surface 7 and the top side 10. The region 12 thus remains between the operating region 4 and the needle foot 5, where the entire height 11 has a height above 30%.

상기 간격(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그 측면상에서의 니들 푸트(5)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면(13)을 가진다. The needle foot (5) on its side facing away from said gap (9) has a support surface (13) as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니들 푸트는 돌출부(14)를 가지며, 그 하측면(15)은 상기 상측면(10)을 넘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4)는 길이방향 범위(3)에 나란한 하나의 방향 요소를 가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14)는 전체 높이(11)에 나란한 하나의 방향 요소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14)는 니들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의 사후적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The needle foot also has a projection 14, the lower side 15 of which projects at least partially beyond the upper side 10. The protrusions 14 have one directional element which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extent 3. Further, the projecting portion 14 has one directional element aligned with the entire height 11. The protrusion 14 facilitates the posterior removal of the warp knit needles from the needle receptacle.

상기 간격(9)은 상기 작동 영역(4)를 향하여 배향되며 라운드진 특징부(17)에 의해 베어링면(7)으로 전이되는 전방측(16)을 구비한다. 이후의 작동시에 또는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이 니들 리셉터클에 삽입될 때 니들 리셉터클에 손상을 주게되는 에지는 회피할 수 있게 된다. The clearance 9 has a front side 16 which is oriented towards the operating area 4 and which is transferred to the bearing surface 7 by a rounded feature 17. It becomes possible to avoid an edge which will cause damage to the needle receptacle during a subsequent operation or when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inserted into the needle receptacle.

그러나, 상기 간격(9)의 전방측(16)은 만곡되어, 전자는 니들의 원형 라인을 따르게 되며, 그 원형 라인은 반경 R1을 가지게 된다. 상기 간격(9)의 전방측(16)은 다른 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으로부터 도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16)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However, the front side 16 of the gap 9 is curved so that the electrons follow the circular line of the needle, and the circular line has a radius R1. The front side 16 of the gap 9 may have a different formation. 3, the front side 16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상기 니들 푸트(5)는 상기 베어링면(7)에 높이를 맞추어 종단되는데, 환언하면, 니들 푸트는 베어링면(7)으로부터 나아가지 않는다. 대신에, 상기 니들 푸트(5)의 하측면(18) 및 베어링면(7)은 하나의 라인(19) 상에 놓인다. The needle foot (5) is terminated with its bearing surface (7) aligned in height, in other words, the needle foot does not extend from the bearing surface (7). Instead, the lower side 18 and the bearing surface 7 of the needle foot 5 lie on one line 19.

그러나, 상기 니들 푸트(5)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면(7)을 약간 넘어서 돌출된다. 그러나, 상기 베어링면(7) 및 라인(19)을 넘어서는 돌출부는 매우 작다. 상기 돌출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최대 1mm 수준이다. 더 작을 수도 있다.However, the needle foot 5 protrudes slightly above the bearing surface 7 as described below. However, the projections beyond the bearing surface 7 and the line 19 are very small. The protrusion is in any case at most 1 mm level. It may be small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9)의 영역의 상측면(10)에는 상승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상승부(40)는 원형 라인으로 도시된다. 상기 상승부(40)는 상기 베어링면(7)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직선을 따르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상승부(40)는 상기 간격(9)을 고려하여 누락되는 물질을 보상하게 되며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의 부하에 대한 저항을 다시 증가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upper side 10 of the region of the gap 9 is provided with a rising portion 40. The raised portion 40 is shown as a circular line. The raised portion 40 follows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bearing surface 7. This type of lifting portion 40 compensates for the missing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gap 9 and increases the resistance against the load of the warp knitted needle 1 again.

이러한 유형의 상승부(40)가 존재한다면,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의 나머지 단면 높이(12)는 나머지 단면 높이(12) 및 간격(9)의 높이의 합으로부터 도출되는 거리의 25%로 감소하게 된다. The remaining cross sectional height 12 of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25% of the distance derived from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remaining cross sectional height 12 and the spacing 9 .

도 2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바아 스탠드를 가지는 결합된 니들 바아(20)를 도시한다. 니들 리셉터클(22)은 예를 들어 이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바아 스탠드(21)에 고정된다. 상기 니들 리셉터클은 서로 나란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웹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슬롯(23)을 구비한다. 단지 하나의 슬롯(23)만이 도 2에 도시된다. 그러나, 다수의 슬롯이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Fig. 2 shows a combined needle bar 20 having a bar stand formed, for example, of a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The needle receptacle 22 is secured, for example, to a bar stand 21 which is glued thereto. The needle receptacles are provided with slots (23)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web. Only one slot 23 is shown in Fig. However, it is contiguously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slots ar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drawing.

상기 바아 스탠드(21)는 전방측(25) 및 후방측(26)을 구비한다. 또한, 여기서 용어 "전방측" 및 "후방측"은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니들 바아(20)는 작동시에 다른 공간 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전방측(25)은 날실 니트 니들(1)이 니들 리셉터클(22)에 삽입될 때 날실 니트 니들(1)의 작동 영역(4)이 위치되는 쪽이다. The bar stand 21 has a front side 25 and a rear side 26. Further, the terms "front side" and "rear side" The needle bar 20 has a different spatial orientation during operation. The front side 25 is the side where the operating area 4 of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positioned when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inserted into the needle receptacle 22.

각각의 슬롯(23)은 상기 바아 스탠드(21)의 후방측(26)을 향하여 상승하게 되며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의 후방측으로 향하여 상승하게 되는 슬롯 베이스(27)을 가지며,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28)까지 연장되어 상승부에서 종단된다.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28)는 지지면 조립체(29)가 구성되는 후방 플랭크를 구비한다. Each slot 23 has a slot base 27 that rises toward the rear side 26 of the bar stand 21 and rise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needle receptacle 22, Section 28 and is terminated at the riser. The slot-base elevation 28 has a rear flank in which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is constructed.

상기 슬롯 베이스(27)는 상기 바아 스탠드(21)로부터 타이트하게 이격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은 연속적인 "저부"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상기 베어링면(7)을 넘어서 상기 니들 푸트(5)의 돌출부는 상기 바아 스탠드(21)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의 저부의 두께와 같게 된다. The slot base 27 is tightly spaced from the bar stand 21 because the needle receptacle 22 has a continuous "bottom ". The projection of the needle foot 5 beyond the bearing surface 7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ottom of the needle receptacle 22 without the need of machining the bar stand 21.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쪽의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28)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탠드의 원형 라인을 따르는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스탠드의 원형 라인은 반경 R2 를 가진다. 상기 스탠드의 원형 라인의 반경(R2)은 상기 니들의 원형 라인의 반경(R1)보다 크다. 상기 전방측(16)으로서 상기 날실 니트 니들이 니들의 원형 라인을 가지지 않고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면, 그 유일한 요건은 상기 간격(9)에 체결되는 슬롯-베이스 상승부(28)의 그것이다. The slot-base elevation 28 on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circular line of the stand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circular line of the stand has a radius R2. The radius R2 of the circular line of the stand is larger than the radius R1 of the circular line of the needle. If the warp knit needle as the front side 16 has a different shape without having a circular line of needles, the only requirement is that of the slot-base riser 28 fastened to the gap 9.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는 그루브(31)의 전방측을 형성한다. 상기 그루브(31)의 후방측은 쓰러스트면(32)을 형성한다. 상기 쓰러스트면(32)은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forms the front side of the groove 31. The rear side of the groove 31 forms a thrust face 32. The thruster surface 32 has a height greater tha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도 1에 도시된 날실 니트 니들(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니들 바아(20)의 니들 리셉터클(22)에 삽입된다.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28)는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의 간격(9)에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리테이닝면(8)은 상기 지지면 조립체(29) 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지지면(13)은 상기 쓰러스트면(32)상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은 길이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warp knitted needle 1 shown in Fig. 1 is inserted into the needle receptacle 22 of the needle bar 20 as shown in Fig. The slot-base lifting portion 28 enters the gap 9 of the warp knitted needle 1. Due to this construction, the retaining surface 8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and the support surface 13 is supported on the thrust surface 32. In this way,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firmly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러나, 이러한 견고한 고정 구조는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에서 배타적으로 행해지는데, 환언하면, 상기 바아 스탠드를 연약하게 하는 비교되는 구조 또는 그루브가 상기 바아 스탠드(21) 에 제공될 필요가 없게 된다.However, such a rigid fixing structure is exclusively performed on the needle receptacle 22, in other words, no comparative structure or groove for softening the bar stand is required to be provided on the bar stand 21.

상기 측면(30)상의 스탠드 상의 원형 라인의 반경(R2)가 상기 간격(9)의 전방측(30) 상의 반경(R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은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28)와 명시적으로 충돌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는 상기 리테이닝면(8)의 영역의 간격(9)의 범위보다 작은 높이를 가진다. Since the radius R2 of the circular line on the stand on the side surface 30 is larger than the radius R1 on the front side 30 of the gap 9, the warp knitted needle 1 has the slot- Lt; RTI ID = 0.0 > 28 < / RTI > With this structure,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has a height that is less than the range of the spacing 9 of the areas of the retaining surface 8.

상기 날실 니트 니들(1)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은 이러한 유형의 날실 니트 니들(1)을 구비한 날실 니트 기계의 작동시에 형성된다. 비교적 작은 범위를 가지는 영역(12)의 경우에 조차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다.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warp knitted needle 1 is formed during operation of a warp knit machine with this type of warp knitted needle 1. Even in the case of the region 12 having a relatively small range, it is nevertheless able to absorb this tensile force.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은 탄소로 형성되는 강화 섬유를 가지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23)는 예를 들어 접근시에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의 후방측이 니들 리셉터클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는 측면 밀링 커터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측면(30)의 만곡된 형상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복잡하게 되지 않고서도 얻어진다. 상기 니들 리셉터클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쓰러스트면(32)은 상기 연결 웹(34)를 통하여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의 리셉터클 영역에 연결되는 단부 돌출부(3) 상에서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영역은 슬롯(23)을 담게 된다. 상기 연결 웹(34)은 상기 그루브(31)의 베이스를 형성하게 된다. The needle receptacle 22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no reinforcing fibers formed of carbon. The slot 23 is formed, for example, by a side milling cutter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needle receptacle 22 is moved outwardly from the needle receptacle during approach, so that the curved shape of the side 30 has a relatively high level Without being complicated. The needle receptacle is integrally formed. The thrust surface 32 is formed on the end protrusion 3 connected to the receptacle area of the needle receptacle 22 via the connecting web 34. The receptacle area contains a slot (23). The connecting web 34 forms the base of the groove 31.

1: 니들 2: 니들 스탠드
3: 길이방향 범위 4: 작동 영역
5: 니들 푸트 6: 장착부
7: 베어링면 8: 리테이닝면
9: 간격 10: 상측면
1: Needle 2: Needle stand
3: longitudinal range 4: operating range
5: Needle foot 6: Mounting part
7: Bearing surface 8: Retaining surface
9: Interval 10: Top side

Claims (15)

길이방향 범위(3)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범위(3)의 일단부에 작동 영역(4)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방향 범위(3)의 타단부에 니들 푸트(5)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영역(4)과 상기 니들 푸트(5) 사이에 장착부(6)를 구비하는 니들 스탠드(2)를 가지되,
상기 장착부(6)는 상기 길이방향 범위(3)에서 연장되는 베어링면(7) 및 상기 베어링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니들 스탠드(2)의 측면 상에 배치된 상측면(10)을 구비하되, 상기 니들 푸트(5)는 리테이닝면(8)을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닝면(8)은 상기 상측면(10)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면(7)으로부터 연장되는 간격(9)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면(10)은 상기 간격(9)의 영역에 상승부(40)를 구비하며,
상기 니들 푸트(5)는 상기 베어링면(7)을 넘어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3) and having an operating region (4)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extent (3) and a needle foot (5) at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extent (3) 4) and the needle foot (5), the needle stand (2) having a mounting portion (6)
The mounting portion 6 includes a bearing surface 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extent 3 and an upper surface 1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eedle stand 2 facing away from the bearing surface 7 , The needle foot (5) forming a retaining surface (8)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ining surface (8) comprises an interval (9) extending from the bearing surface (7)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10)
The upper side 10 has a raised portion 40 in the region of the gap 9,
Characterized in that the needle foot (5) does not protrude over the bearing surface (7).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푸트(5)는 상기 베어링면(7)에 의해 종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needle foot (5) is terminated by said bearing surface (7).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9)은 상기 베어링면(7) 및 상측면(10) 사이의 전체 높이(11)의 10% 내지 70%의 범위의 높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clearance (9) extends to a height in the range of 10% to 70% of the total height (11) between said bearing surface (7) and said top surface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9)은 상기 작동 영역(4)을 향하여 배향되며 라운드진 특징부(17)에 의해 상기 베어링면(7)으로 전이되는 전방측(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gap (9) has a front side (16) which is oriented towards said operating area (4) and which is transferred to said bearing surface (7) by a rounded feature (17) On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40)의 영역의 니들 스탠드(2)의 단면 높이(12)는 상기 단면 높이(12) 및 상기 간격(9)의 높이의 합으로부터 도출되는 거리의 25% 이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ectional height 12 of the needle stand 2 in the area of the rising part 40 is not less than 25% of the distance derived from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sectional height 12 and the height of the gap 9. [ Needle knit needles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10)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워져 있는 하측면(15)인 돌출부(14)는 상기 작동 영역(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니들 푸트(5)의 측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14), which is a lower side (15) at least partially standing on said upper side (1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needle foot (5) in a direction away from said operating area (4) Needle (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4)는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니트 니들(1).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14) is inclined.
바아 스탠드(21)의 전방측(25) 및 후방측(26) 사이에 배치되는 니들 리셉터클(22)을 가지는 바아 스탠드(21)를 구비하는 니들 바아(20)로서,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은 슬롯(23)들을 구비하되, 상기 슬롯(23)들은 서로 나란하게 되도록 배치되며 웹(2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 하나의 슬롯 베이스(27)를 가지며, 지지면 조립체(29)는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의 후방측 상에 제공되며,
상기 슬롯 베이스(27)는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의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지지면 조립체(29)가 구성되는 후방 플랭크 상의 슬롯-베이스 상승부(28)에 의해 종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바아(20).
A needle bar (20) having a bar stand (21) having a needle receptacle (22) disposed between a front side (25) and a rear side (26) of a bar stand (21)
The needle receptacle 22 has slots 23 that are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web 24 and each having a slot base 27, The assembly 29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needle receptacle 22,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base (27) is protrud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needle receptacle (22) and is terminated by a slot-base elevation portion (28) on the rear flank on which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The bar (20).
제 1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날실 니트 니들(1)은 상기 니들 리셉터클(22)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날실 니트 니들(1)은 길이방향 범위(3)를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 범위(3)의 일단부에 작동 영역(4)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방향 범위(3)의 타단부에 니들 푸트(5)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영역(4)과 상기 니들 푸트(5) 사이에 장착부(6)를 구비하는 니들 스탠드(2)를 가지되,
상기 장착부(6)는 상기 길이방향 범위(3)에서 연장되는 베어링면(7) 및 상기 베어링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니들 스탠드(2)의 측면 상에 배치된 상측면(10)을 구비하되, 상기 니들 푸트(5)는 리테이닝면(8)을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닝면(8)은 상기 상측면(10)의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면(7)으로부터 연장되는 간격(9)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면(10)은 상기 간격(9)의 영역에 상승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바아(20).
12. The method of claim 11,
One or more warp knitted needles (1) are disposed on the needle receptacle (22)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said warp knit needles (1) has a longitudinal extent (3) and an operating area (4) at one end of said longitudinal extent (3) (2) having an operating region (5) and a mounting portion (6) between the operating region (4) and the needle foot (5)
The mounting portion 6 includes a bearing surface 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extent 3 and an upper surface 1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eedle stand 2 facing away from the bearing surface 7 , The needle foot (5) forming a retaining surface (8)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ining surface (8) comprises an interval (9) extending from the bearing surface (7)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10) comprises a raised portion (40) in the region of the gap (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의 상기 슬롯-베이스 상승부(28)는 만곡된 형상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바아(20).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lot-base elevation (28) on a side facing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comprises a curved configuration (3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형상부(30)는 상기 니들 스탠드(2)의 만곡된 표면을 따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바아(20).
14. The method of claim 13,
Characterized in that said curved features (30) follow the curved surface of said needle stand (2).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는 그루브(31)의 전방측을 형성하며, 그 후방측은 쓰러스트면(32)을 형성하며, 상기 쓰러스트면(32)의 높이는 상기 지지면 조립체(29)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바아(20).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defines a front side of the groove 31 and a rear side thereof defines a thrust surface 32 which is higher in height than the support surface assembly 29 (20).
KR1020150143290A 2014-10-14 2015-10-14 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 KR1018018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8724.0 2014-10-14
EP14188724.0A EP3009550B1 (en) 2014-10-14 2014-10-14 Warp-knitting needle and needle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920A KR20160043920A (en) 2016-04-22
KR101801869B1 true KR101801869B1 (en) 2017-12-28

Family

ID=5169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290A KR101801869B1 (en) 2014-10-14 2015-10-14 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09550B1 (en)
KR (1) KR101801869B1 (en)
CN (1) CN105821577B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763A (en) 2000-04-14 2001-12-21 Sipra Patentwickl & Beteiligung Gmbh Needle of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59184A1 (en) * 1981-05-29 1983-02-23 Andreas Hering ASSEMBLY FOR MOUNTING THE WIRELESS PINS ON CHAIN EQUIPMENT
DE4414703C2 (en) 1994-04-14 1996-09-19 Liba Maschf Knitting needle for a warp knitting machine
EP1988198B1 (en) * 2007-05-03 2010-03-03 Groz-Beckert KG Tool set and bar for a warp knitting machine
EP1988199B1 (en) * 2007-05-03 2009-10-28 Groz-Beckert KG Warp knitting tool, especially for fine gauges
DE102007038589B4 (en) * 2007-08-16 2014-02-2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Barre for a warp knitting machine
EP2045384B1 (en) * 2007-10-02 2012-08-22 Groz-Beckert KG Warp-knitting needle
DE102012007109B4 (en) * 2012-03-07 2014-08-2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nitting tool bar and method for producing a knitting tool b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763A (en) 2000-04-14 2001-12-21 Sipra Patentwickl & Beteiligung Gmbh Needle of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9550A1 (en) 2016-04-20
KR20160043920A (en) 2016-04-22
CN105821577B (en) 2017-12-22
CN105821577A (en) 2016-08-03
EP3009550B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694B2 (en) System component having a braking spring
US20120097082A1 (en) Tufting Machine for Creating a Cut Pile Carpet with Two Different Pile Heights
JP5890269B2 (en) Fishing line guide
US9556544B2 (en) Heddle for a loom, in particular a circular loom
US10738400B2 (en) Tool module for textile machines
KR101801869B1 (en) warp-knitting neddle and needlebar
KR100790674B1 (en) Embossed tufting needle
CN1940160B (en) Bar for a warp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285359B1 (en) Compound needle for a warp knitting machine
US9284671B2 (en) Tool module for textile machine
KR102469394B1 (en) Gripper for a tufting machine
JP2010248679A (en) Needle for textile machine
KR102556570B1 (en) Sewing machine needle, sewing machine needle manufacturing method and sewing method
JP6161672B2 (en) Line guide for swing pad and swing pad
CN109415860B (en) Felting needle and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felting needle
JP6760761B2 (en) Fishing rod with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line guide
CN112996959A (en) Hook for tufting machine
JP2992011B2 (en) Stamped knitting tools for textile machines, especially for weft and warp knitting machines
US20190111580A1 (en) Stripper clip
CN209094796U (en) A kind of sword mountain protective device and laser cutting machine
JP7334981B2 (en) felt needle
JP5838822B2 (en) Press machine
KR101560942B1 (en) Burring punching-tip and punch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102106284B1 (en) Bolster cushion pin guide for press
JP2018531787A (en) Crushing blade mechanism of crushing 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