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868B1 - Scoliosis brace - Google Patents
Scoliosis br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1868B1 KR101801868B1 KR1020170000033A KR20170000033A KR101801868B1 KR 101801868 B1 KR101801868 B1 KR 101801868B1 KR 1020170000033 A KR1020170000033 A KR 1020170000033A KR 20170000033 A KR20170000033 A KR 20170000033A KR 101801868 B1 KR101801868 B1 KR 101801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and
- present
- support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abstract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060 Abdominal dis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296405 Tis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0 bloa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흉부 또는 복부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골반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일측이 일단에 결합되고 제2 지지부의 일측이 타단에 결합되며 신체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ebral scoliosis orthosis capable of restoring the normal curvature of the vertebrae, comprising a first support part for covering the thorax or abdomen part of the body and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ame, And a third support portion having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one end and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supporting the lumbar region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liosis orthosis that can restore the normal curve of the spine.
일반적으로 척추측만증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고 회전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말하며, 옆으로 휘어진 정도가 약 20°~ 40°인 경우에는 수술보다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옆구리 부위를 압박하도록 착용하는 보조기를 통한 치료가 선호되고 있다.Generally, scoliosis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vertebrae are curved sideways and rotation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1, and when the sideways curvature is about 20 to 40 degrees, Treatment with an orthosis that is worn to compress the side of the neck is preferred.
그런데, 기존의 척추측만증 보조기(예컨대, 밀워키 타입, 보스톤 타입, tiso 타입)는 모두 단단한 경질 플라스틱 재질을 뼈대로 사용하고 있다. However, conventional scoliosis aids (for example, Milwaukee type, Boston type, and tiso type) all use rigid hard plastic materials as the skeleton.
이들 보조기는 대부분 통형 구조로 만들어져, 착용시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의 물건을 집는 것도 힘들 정도로 경직되게 흉부 전체를 감싼다. 이 경우, 숨쉬는 것도 호흡이 가빠오고, 식사시에는 더부룩한 느낌을 있는 등 착용시 닥치는 어려움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Most of these orthoses are made of a tubular structure, so that when worn, the user is able to sit on the floor and pick up things on the floor. In this case, breathing is difficult to breathe, and there is a feeling of bloating when eating.
척추 보조기의 특성상 보조기를 거의 24시간 착용해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하루종일 이러한 종류의 보조기를 입고 있으면 땀띠가 나는 등 매우 고통스럽다. 특히 청소년들이 이러한 보조기를 24시간 착용해야 하는 경우, 미래에 대한 절망으로 극심한 우울증에까지 이를 수 있다.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pine, it is necessary to wear the brace almost 24 hours a day, so it is very painful to wear a brace if you wear this type of brace all day long in winter. Especially when teenagers need to wear these braces 24 hours a day, despair for the future can lead to severe depression.
이러한 어려움을 딛고 장시간 보조기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경직된 플라스틱의 힘으로 척추의 위치를 바로잡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강도의 차이가 없이 척추의 만곡부위를 누르다 보니, 초반에는 눈에 띄는 효과가 있더라도 장시간 착용시에는 그저 지지대로서의 역할밖에 못하게 되는 것이다. Even when the orthosis is worn for a long time after such difficulty, there is a limit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vertebrae by the force of the rigid plastic. When I press the curved part of the vertebra without any difference in strength, even if there is a noticeable effect in the early stage, it will only serve as a supporting member when worn for a long time.
이러한 명백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나온 밴드형 보조기의 경우, 단단한 밴드로 척추만곡부위를 계속 누르기 때문에, 기존의 것보다 만곡 정도를 줄이는데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어깨부터 허벅지까지 감싸는 구조는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주고 있다. 예컨대, 엉덩이에 구비되는 2개의 단추와, 배꼽과 생식기 사이의 부분에 구비되는 2개의 단추로 어깨에서 등을 총 4번 가로지르는 밴드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화장실에 갈 때마다 밴드를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허벅지까지 밴드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바지는 물론이고 상의와 하의 모두 몸에 밀착되는 옷을 입을 수가 없으며, 걸을 때에도 불편한 느낌이 있다.In the case of a banded orthosis to overcome these obvious shortcomings,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gree of curva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since the hard band keeps pressing the curved portion of the vertebrae. However, the structure from the shoulder to the thigh is very disconcerting to daily life. For example, two buttons on the buttocks and two buttons on the part between the navel and the genitalia fix the band across the back four times from the shoulder. Whenever you go to the bathroom, loosen the band and tighten it again.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repeat the process. Moreover, since it is necessary to fix the band to the thigh,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pants as well as the top and bottom can not wear clothes which are close to the body, and there is an uncomfortable feeling when walking.
이와 같이, 착용하는데 걸리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 그리고 착용시 거추장스런 느낌 때문에, 밴드형 보조기의 24시간 착용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is way, the wearer is reluctant to wear a band-type brace 24 hours because of the tremendous amount of time and effort required to wear it, and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i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이 간편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to-wear spinal scoliosis orthos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의 만곡 정도나 부위에 따라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oliosis orthosis that can control the degree of compression according to the degree or extent of the vertebrae of the spin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흉부 또는 복부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골반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이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이 타단에 결합되며, 신체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blood pressure monitor comprising: a first support part for covering and supporting a chest or abdomen part of a body; A second support por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pressing and supporting the pelvis region of the body; And a third support part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supports a lumbar part of the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지지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신체의 허리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압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ushing b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and pressing and supporting the waist portion of the body.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공기 주입에 의해 신체의 허리부위를 압박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압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to which the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press the waist portion of the body by air inj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가 연질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of a soft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는 일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밴드는 양단이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3 지지부에 각각 탄성 지지되어 요추의 만곡부위를 압박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bent downward at one end, and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band ar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It can be pressed and suppo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압박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요추의 만곡부위를 압박하는 팽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may include a plate-shaped base portion, and an expand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expanded by air injection to press the curved portion of the lumbar vertebra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지지부는 요추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of a lenticular metal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신체의 골반부위 양측에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서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elastic pad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espective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pelvis region of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신체의 허벅지 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탄성패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패드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보조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d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auxiliary bands coupl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pad so as to surround the thigh of the body to prevent the elastic pad from flowing.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연질 플라스틱에 일단이 고정된 밴드로 요추 만곡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척추 측만증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coliosis orth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scoliosis can be improved by pressing the lumbar curve with a band fixed at one end to the soft plasti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착탈식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시 활동이 자유로우며 거추장스런 느낌이 없다.Further, according to the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vable band, the wearer is easy to wear, the activity is free when worn,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의하면, 척추측만증에서 가장 흔한 C자형 요추 만곡에 있어서, 각도 진행이 20° 이내인 경우에는 예방 차원에서, 30°~ 50°인 경우에는 현저한 통증 감소의 효과가 있다. 실제 발명자의 경우, 본 발명을 사용한 결과 요추 만곡이 45°에서 20° 정도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st common C-shaped lumbar curve in scoli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gle progression is within 20 °, the prevention effect is remarkably reduced in the case of 30 ° to 50 ° . In the case of the actual inven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d the lumbar curve from 45 degrees to 20 degrees.
도 1은 척추측만증에 의해 척추가 휘어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앞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뒷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옆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뒷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신체의 옆모습을 도시한 개략도.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ebra is bent by scoliosis.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scoliosis br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rontal view of a body wearing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ack view of a body wearing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body wearing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ack view of a body wearing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body wearing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전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각각 신체의 앞모습(도 3)과 뒷모습(도 4), 옆모습(도 5)을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developed view of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coliosis orthosis practi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rear view (FIG. 4), and a side view (FIG. 5).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는 신체의 흉부 또는 복부부위를 둘러서 감싸는 제1 지지부(200)와, 신체의 골반부위를 둘러서 감싸는 제2 지지부(300)와,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신체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2 to 5, the
여기서, 제1 지지부(20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 등의 연질 플라스틱 소재로서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신체의 흉부 또는 복부부위를 둘러서 감싸게 된다. 제1 지지부(200)의 양단에는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흉부 또는 복부부위를 조여서 압박 지지하게 된다.Here, the
제2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200)의 하부에 이격하여 제1 지지부(200)와 나란히 착용되며, 탄성을 가진 면직 소재의 띠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지지부(300)는 신체의 골반부위를 둘러서 감싸며, 후술하는 제3 지지부(4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제2 지지부(300)의 양단에는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시 골반부위를 조여서 압박 지지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asteners such as a Velcro
제3 지지부(400)는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착용시 신체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일 예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200)가 제3 지지부(400)의 상단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제2 지지부(300)의 일측에서 제1 결합부(310)가 상향 연장 형성되어 리벳(30) 등의 체결구에 의해 제3 지지부(4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3 지지부(400)의 상단과 하단이 리벳(30) 등의 체결구에 의해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에 각각 결합되거나,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2 to 5, the first supporting
이때, 제3 지지부(400)는 신체의 요추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요추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1 지지부(200)의 일단에서 연장부(210)가 하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제2 지지부(300)에서 연장부(210)를 향해 상향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부(320)가 리벳(30) 등의 체결구에 의해 연장부(2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아울러, 제1 지지부(200)의 연장부(210)와 제3 지지부(4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박밴드(500)가 연결된다. A
즉, 사용자가 척추측만증 보조기(100)를 착용하면, 제1 지지부(200)의 연장부(210)가 신체의 앞쪽 배 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제3 지지부(400)가 신체 뒤쪽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연장부(210)로부터 옆구리 쪽을 지나서 제3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압박밴드(500)가 옆구리부위를 요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볼록하게 만곡된 요추부위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wears the
압박밴드(500)는 연장부(210)와 제3 지지부(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압박밴드(500)의 개수와 폭과 길이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압박밴드(500)는 고무나 합성섬유 등 탄성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pushing
압박밴드(500)의 일단은 연장부(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3 지지부(4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신체 사이즈 및 요추의 만곡 정도에 따라 압박밴드(5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요추의 만곡부위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pushing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400)의 일측에 결합홈(410)이 관통 형성되고, 연장부(210)의 일측에는 밴드고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박밴드(500)의 일단이 밴드고리(211)에 결합되며, 타단을 결합홈(410)에 끼우고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후,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착탈 가능한 체결구로 고정한다. 착용시에는 결합홈(410)에 끼워진 압박밴드(500)의 일단을 연장부(210) 쪽으로 잡아당겨서 죈 후 체결구로 고정함으로써, 압박밴드(500)에 의해 신체의 옆구리 부위가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게끔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한편, 제2 지지부(300)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제2 지지부(300)에 서로 이격하여 한 쌍의 탄성패드(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탄성패드(600)는 예컨대 실리콘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착용시 신체의 양측 골반부위에 각각 밀착 지지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부(300)가 각각의 탄성패드(60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각각의 탄성패드(600)가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에 의해, 제2 지지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패드(600)의 유동 방지를 위해 탄성패드(600)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밴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밴드(700)는 고무나 합성섬유 등 탄성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체의 허벅지 부위를 둘러서 감싸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일 예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패드(600)의 상단부에 제2 지지부(300)가 관통 결합되고, 탄성패드(600)의 하단부에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에 의해 보조밴드(7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탄성패드(600)의 하단부에 보조밴드(700)가 관통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2 to 5, a second suppor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의 착용시에는, 각각의 보조밴드(700)를 허벅지에 끼운 후, 탄성패드(600)가 골반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골반부위를 둘러서 제2 지지부(300)의 양단을 결합한다. 이어서, 제3 지지부(400)가 요추 부위에 밀착되도록 흉부 또는 복부부위를 둘러서 제1 지지부(200)의 양단을 결합하며, 압박밴드(500)가 신체의 일측 옆구리부위를 압박하도록 조여서 고정한다. 다만, 상술한 착용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착용 순서를 달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case of wear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각각 신체의 뒷모습(도 7)과 옆모습(도 8)을 도시하고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oliosis orthos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7) and a side view (Fig. 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100')는, 압박밴드(500) 대신에 압박부재(800)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제1~제3 지지부(200~400), 탄성패드(600) 및 보조밴드(70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coliosis orthosi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scoliosis orthosis 100' in that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재(800)는 사용자의 옆구리부위에 장착되며,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요추의 만곡부위를 눌러주게 된다.The press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재(8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단이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810)와, 베이스부(810)의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6, the pressing
베이스부(81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서,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 사이의 옆구리부위를 덮을 수 있는 형태, 예컨대 직사각 형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베이스부(810)의 일면에는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820)가 형성되며, 착용시 팽창부(820)는 신체의 옆구리부위와 대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820)는 내부에 공기 주입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에 충진된 공기의 누설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땀 흡수 및 촉감 향상 또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해,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일면에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제직된 직물을 덧댈 수도 있다.On the one surface of the
팽창부(820)는 신체의 옆구리부위와 대응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끝단에 비해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중앙부로부터 양쪽 끝단으로 경사면이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expanding
베이스부(810)의 내측면 양단에는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가 구비되며, 이 체결구에 의해 베이스부(810)의 양단이 제1 지지부(200) 및 제2 지지부(30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옆구리 쪽을 지나는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의 일측에도 벨크로테이프(10) 또는 스냅단추(20) 등의 대응 체결구가 구비된다. Both ends of the
한편, 제2 지지부(300)에 탄성패드(6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재(800)의 베이스부(810) 하단이 탄성패드(600)에 구비되는 스냅단추(20) 등의 체결구에 결합될 수 있다.7 and 8, the lower end of the
팽창부(820)의 일측에는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연성 재질의 공기주입관(821)이 연장 형성되며, 이 공기주입관(821)의 끝단에는 신축 작용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스포이드(822)가 구비된다. 또한, 공기주입관(821)과 결합하는 스포이드(822)의 일측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개폐밸브(823)가 구비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한 별도의 공기주입장치가 스포이드(822)와 개폐밸브(823)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n
사용시, 압박부재(800)는 베이스부(810)의 양단이 제1 지지부(200)와 제2 지지부(300)에 각각 결합되어 신체의 옆구리부위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스포이드(822)를 펌프질하여 팽창부(820)에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부(820)가 팽창하면서 옆구리 부위를 압박하여 요추의 만곡부위를 누르게 되는데, 사용자는 팽창부(820)에 공급되는 공기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요추의 만곡부위에 가해지는 압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100' : 척추측만증 보조기
200 : 제1 지지부
210 : 연장부
300 : 제2 지지부
400 : 제3 지지부
500 : 압박밴드
600 : 탄성패드
700 : 보조밴드
800 : 압박부재
810 : 베이스부
820 : 팽창부100,100 ': scoliosis brace
200: first support part
210: extension part
300: second support portion
400: third support portion
500: Compression band
600: elastic pad
700: auxiliary band
800:
810:
820:
Claims (4)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이격하여 신체의 골반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며, 탄성을 가진 면직 소재의 띠 형태인 제2 지지부; 및
착용시 신체의 요추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A first support portion which is in the form of a band of a soft plastic material while pressing and supporting the chest or abdomen portion of the body;
A second support par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presses and supports the pelvis part of the body, and which is in the form of a band of resilient knitted fabric; And
And a third support vertically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to support the lumbar region of the body when worn.
상기 제3 지지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신체의 허리부위를 감싸서 압박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압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ilient compression b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and wrapped around and supporting the waist of the body.
신체의 골반부위 양측에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서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elastic pa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espective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pelvis region of the body.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부가 하향 연장되어 신체의 앞쪽 배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3 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박밴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t least one push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Wherein a band is connected to the scoliosis br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033A KR101801868B1 (en) | 2017-01-02 | 2017-01-02 | Scoliosis br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033A KR101801868B1 (en) | 2017-01-02 | 2017-01-02 | Scoliosis bra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3300A Division KR101695276B1 (en) | 2015-06-12 | 2015-06-12 | Scoliosis bra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9563A Division KR101895004B1 (en) | 2017-08-29 | 2017-08-29 | Scoliosis bra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5173A KR20170005173A (en) | 2017-01-11 |
KR101801868B1 true KR101801868B1 (en) | 2017-11-27 |
Family
ID=5783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0033A KR101801868B1 (en) | 2017-01-02 | 2017-01-02 | Scoliosis br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18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71018B1 (en) | 2017-01-19 | 2024-10-02 | Vanderbilt University | Wearable assistanc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
WO2020243366A1 (en) * | 2019-05-28 | 2020-12-03 | Vanderbilt University | Moment arm extension system for exosuit |
CN110664527B (en) * | 2019-09-30 | 2024-10-29 | 广东银纳增材制造技术有限公司 | Adjustable device scoliosis brace |
CN111920565B (en) * | 2020-08-03 | 2023-05-05 | 山东威尔信医疗科技有限公司 | Scoliosis correcting device for medical rehabilit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684Y1 (en) * | 2001-12-10 | 2002-05-16 | 이상배 | The spine proofreading path. |
US20050203453A1 (en) | 1999-04-30 | 2005-09-15 | Stig Willner | Adjustable spinal brace |
US6962572B1 (en) | 2004-06-16 | 2005-11-08 | Hormoz Zahiri | Dynamic lumbar brace |
-
2017
- 2017-01-02 KR KR1020170000033A patent/KR1018018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03453A1 (en) | 1999-04-30 | 2005-09-15 | Stig Willner | Adjustable spinal brace |
KR200275684Y1 (en) * | 2001-12-10 | 2002-05-16 | 이상배 | The spine proofreading path. |
US6962572B1 (en) | 2004-06-16 | 2005-11-08 | Hormoz Zahiri | Dynamic lumbar br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5173A (en) | 2017-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40881B2 (en) | Waist supporter | |
US606610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acroiliac joint injuries | |
US4794916A (en) | Lumbar stabilizer | |
US20100204629A1 (en) | Adjustable lower back brace with posture alignment guide | |
KR101801868B1 (en) | Scoliosis brace | |
US9839554B2 (en) |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 |
MX2008011070A (en) | Devices for alleviating back strain and back pain. | |
CN111700720B (en) | Trunk orthosis | |
KR101695276B1 (en) | Scoliosis brace | |
US9504595B2 (en) |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 |
JP5750396B2 (en) | Spinal deformity orthosis | |
KR101895004B1 (en) | Scoliosis brace | |
KR200472601Y1 (en) | A belt for correction of the pelvis | |
KR200249325Y1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pine | |
KR200476376Y1 (en) | Ergonomic belly band for medical use | |
JP6037271B2 (en) | Iliac crest belt | |
KR20210136528A (en) | Scoliosis brace | |
CN219679836U (en) | Dual pressurization waist support | |
US20120289874A1 (en) | Spinal Posture Brace | |
KR200249326Y1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pine | |
KR101447242B1 (en) | Waist suport belt | |
KR200305905Y1 (en) | Spine correcting belt used as stomach band | |
CN219763668U (en) | Scoliosis support for correcting upper chest curve | |
JP6949308B2 (en) | Orthodontic tightening waist belt and its tightening method | |
CN212878756U (en) | Multifunctional waist and neck protection pil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