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36B1 -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36B1
KR101801736B1 KR1020170081727A KR20170081727A KR101801736B1 KR 101801736 B1 KR101801736 B1 KR 101801736B1 KR 1020170081727 A KR1020170081727 A KR 1020170081727A KR 20170081727 A KR20170081727 A KR 20170081727A KR 101801736 B1 KR101801736 B1 KR 10180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waste
tank
plate
sterilization cha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최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철 filed Critical 최성철
Priority to KR102017008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B09B3/0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02W30/5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소형화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어 일시적 저장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제공된 의료 폐기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감압 고온 환경이 조성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부;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부는,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의료 폐기물이 공급되는 멸균챔버; 상기 멸균챔버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혼합 및 이송하는 스크류; 및 상기 멸균챔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멸균챔버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챔버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멸균챔버는, 내측 하면이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중앙에는 포집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포집로에 배치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MEDICAL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DICAL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 폐기물 또는 감염성 폐기물을 분쇄 및 멸균 처리할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폐기물은 의료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로서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을 지칭한다. 경우에 따라 감염성 폐기물로 지칭되기도 한다. 의료 폐기물의 예로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 주사기, 수액 세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폐기물은 혈액, 체액, 분뇨, 수액 등으로 오염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의료 폐기물은 인체에 유해성분을 함유하고 있거나 감염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통상 일반 폐기물과 구분되어 엄격한 관리하에 처리되고 있다.
의료 폐기물을 처리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소각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국내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의료 폐기물이 소각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각 장치는 의료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소각로, 연소 중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집진기,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2892호(발명의 명칭: 감영성 폐기물 소각로)는 의료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소각 방식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492호(발명의 명칭: 의료 폐기물 열처리장치) 등에서와 같이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각 방식은 근래 들어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의료 폐기물을 소각하면 유해성분이 배기가스 중에 함유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소각 설비가 병원 등 의료 폐기물의 발생원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의료 폐기물의 장거리 운송이 불가피한데 운송 과정에서 2차적인 감염이나 오염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소각 설비는 충분한 부지가 필요하고 유해 시설 중 하나이기 때문에, 병원 등의 폐기물 발생원과 가깝게 위치하기도 어렵다. 한편, 병원 등 의료기관의 입장에서는 의료 폐기물의 장거리 운송으로 인해 막대한 폐기물 처리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문제도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좀 더 새로운 방식의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이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소각이 아닌 분쇄 및 멸균 처리를 통해 의료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0065호(발명의 명치: 감염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는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분쇄하고, 증기나 마이크로파를 통해 멸균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분쇄 및 멸균 방식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최근까지 소각 설비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개발되어 대형화된 설비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앞서의 소각 설비와 마찬가지로 의료기관 등 폐기물 발생원과 원거리에 위치됨이 불가피하며, 운송상의 문제나 높은 처리비용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와 같은 방식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현재까지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앞서 본 바와 같이 의료 폐기물의 처리설비가 폐기물 발생원인 의료기관 등과 인접하게 위치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하여,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를 소형화하여 의료기관 등에 인접하게 설치하는 방안이 시도된 바 있다. 처리장치가 의료기관 등에 인접하게 설치 또는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면, 운송상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처리비용 또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885호(발명의 명칭: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 시스템)에서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직접 설치 가능한 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형화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그 처리 성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실용화가 미진한 상태이며, 국내의 경우 현재까지 거의 도입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2892호 (2006년 9월 28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7492호 (2017년 2월 15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0065호 (2010년 9월 15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885호 (2013년 4월 4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료 폐기물을 분쇄 및 멸균 처리할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형화되어 의료기관 등 의료 폐기물의 발생원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의료 폐기물의 적절한 처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어 일시적 저장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제공된 의료 폐기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감압 고온 환경이 조성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부;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부는,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의료 폐기물이 공급되는 멸균챔버; 상기 멸균챔버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혼합 및 이송하는 스크류; 및 상기 멸균챔버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멸균챔버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챔버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멸균챔버는, 내측 하면이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중앙에는 포집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포집로에 배치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의료 폐기물을 분쇄 및 멸균 처리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상하 구조로 배치된 투입부, 분쇄부 및 멸균부를 구비하고 분쇄 및 멸균처리를 포함한 일련의 의료 폐기물 처리과정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상하 배치 구조, 하나의 커터구동부, 멸균챔버의 공간 활용, 2개의 탱크로 구성된 증기발생기 등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 장치의 크기를 대폭 소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의료기관 등에 직접 또는 매우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종래 대규모의 처리시설을 대체하여 의료 폐기물의 운송이나 처리비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이한 속도로 구동되는 제1, 2커팅유닛, 특유한 형상의 분쇄날을 가진 제1, 2커터,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순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블레이드 등을 통해 의료 폐기물 처리에 필요한 충분한 처리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상시 운용되는 대형화된 설비와 달리 빈번하게 장치가 가동 및 중단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제1탱크를 예열 탱크로 사용하는 증기발생기, 멸균챔버 내 고온환경의 조성을 보조하는 챔버히터, 분쇄된 의료 폐기물과 증기를 고르게 혼합시켜주는 스크류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른 처리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은 상기와 같은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 및 이점을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쇄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쇄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쇄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커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구동기어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멸균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멸균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멸균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증기발생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증기발생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블로워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블로워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의료 폐기물이 장치 내로 투입되는 투입부(110),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부(120) 및,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멸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10), 분쇄부(120) 및 멸균부(130)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순차적 배치될 수 있다. 의료 폐기물은 투입부(110) 상측으로부터 장치 내로 투입될 수 있다. 투입된 의료 폐기물은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며 투입부(110), 분쇄부(120) 및 멸균부(130)를 거칠 수 있다. 하단의 멸균부(130)에서 멸균 처리된 의료 폐기물은 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이후 적절한 폐기물 처리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의료 폐기물이 분쇄 및 멸균 처리되어 외부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된 의료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과 유사한 처리과정을 거쳐 폐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기(140), 감압을 위한 컴프레셔(150) 및, 증기 등을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입부(110)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증기발생기(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우측에는 컴프레셔(150)가 배치될 수 있다. 블로워(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부(13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각 구성 부품들이 소정의 케이스(C) 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의 케이스(C)는 대략 2미터 내외의 함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실내 등에 설치 가능하도록 소형화된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의료기관 등 의료 폐기물의 발생원에 직접 처리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어 의료 폐기물의 이송에 따른 문제점이나 과다한 처리비용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투입부(110)는 호퍼(111)를 구비할 수 있다. 호퍼(111)는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하측의 분쇄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호퍼(111)는 상단의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의료 폐기물은 투입구를 통해 호퍼(111)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투입구는 커버(1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커버(112)는 실린더(113)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호퍼(111)는 하단의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호퍼(111) 내에 저장된 의료 폐기물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분쇄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투입부(110) 및 분쇄부(120)로 상하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므로, 투입부(110)로부터의 의료 폐기물 배출이나 분쇄부(120)로의 공급은 의료 폐기물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하배치구조는 장치 내부에 별도의 이송수단 등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고 소형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투입부(110)에는 의료 폐기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이 부가될 수 있다. 예컨대, 로드셀은 호퍼(111)를 개폐하는 커버(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의료 폐기물이 커버(112)에 놓여지면, 로드셀은 놓여진 의료 폐기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는 과다한 용량의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쇄부(12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쇄부(12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쇄부(120)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분쇄부(120)는 커터를 구비하고 의료 폐기물을 잘게 분쇄시키는 커터부(121)와, 커터부(121)를 구동시키는 커터구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부(121)는 호퍼(111) 하단의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터구동부(122)는 커터부(121)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기어부(122c)를 통해 커터부(121)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경우 편의상 커터부(121)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커터구동부(122)는 생략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커터부(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팅유닛(121a) 및 제2커팅유닛(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커팅유닛(121a, 121b)은 각각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커팅유닛(121a)은 좌우로 연장된 제1축(121c)과, 제1축(121c)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1커터(121d)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커팅유닛(121b)은 제1축(121c)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연장된 제2축(121e)과, 제2축(121e)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2커터(121f)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2커터(121d, 121f)는 각각 제1, 2축(121c, 121e)에 키를 통해 결합되어 제1, 2축(121c, 121e)과 함께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제1, 2커팅유닛(121a, 121b)은 상호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제1커팅유닛(121a)을 중심으로 부연키로 한다.
제1커팅유닛(121a)은 복수의 제1커터(121d)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커터(121d)는 제1축(12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커터(121d)는 제2커팅유닛(121b)에 구비된 복수의 제2커터(121f)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커터(121d)는 평면상 복수의 제2커터(121f)와 소정의 겹침 부위(P)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겹침 부위(P)가 형성됨으로써, 커터부(121)는 주사 바늘 등의 작은 폐기물도 효과적으로 분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커터(121d)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커터(121d)는 제1축(121c)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21g)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홀(121g)은 제1커터(121d)에 좌우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터(121d)는 복수의 분쇄날(T)이 구비된 커터블록(121h)과, 커터블록(121h)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스페이서블록(121i)을 구비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커터블록(121h) 및 스페이서블록(121i)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커터블록(121h) 및 스페이서블록(121i)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블록(121h)의 두께(D1)는 스페이서블록(121i)의 두께(D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터블록(121h) 및 스페이서블록(121i)의 두께(D1, D2)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1커터(121d)의 제작이 용이해지며, 제2커터(121f)와 제1커터(121d)가 도 6과 같이 맞물리게 배치되는 것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블록(121h)의 외측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쇄날(T)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쇄날(T)은 제2커터(121f)의 분쇄날과 소정범위 겹침 부위(P)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블록(121i)은 커터블록(121h)의 직경(M1)보다 소정정도 작은 직경(M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분쇄날(T)이 겹침 부위(P)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제1커터(121d)는 제1축(121c)을 따라 복수개가 체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제1커터(121d)가 커터블록(121h)과 스페이서블록(121i)을 구비함에 따라, 복수의 제1커터(121d)는 각 분쇄날(T)이 제1축(121c)을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축(121c) 방향으로 인접한 분쇄날(T)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F)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터(121f)의 각 분쇄날은 이와 같은 공간(F)에 배치되어 제1커터(121d)의 분쇄날(T)과 소정의 겹침 부위(P)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커터(121d)의 체결홀(121g)에는 키(K)가 형성될 수 있다. 키(K)는 제1축(121c)과 결합되어 제1커터(121d)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1축(121c) 방향으로 인접한 제1커터(121d)는 키(K)의 원주방향 위치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축(121c)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커터(121d)는 각 키(K)가 소정의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1커터(121d)에 형성된 각 키(K)는 원주방향으로 120도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제1커터(121d)를 기준으로 키(K)가 형성된 위치를 0도 라고 가정하면, 이에 제1축(121c)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1커터(121d)는 상기의 키(K)과 원주방향으로 120도를 이루도록 키(K)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키(K)의 원주방향 위치에 따라 제1축(121c)에 체결된 복수의 제1커터(121d)를 제1축(121c)을 따라 분쇄날(T)이 대략 나선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투입되는 의료 폐기물을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분쇄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분쇄 성능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분쇄 성능의 향상 측면에서는 각 키(K)를 비교적 작은 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은 경우 제1커터(121d)의 제작이 번거롭게 되며, 조립 과정에서의 오조립 또한 우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키(K)의 각도 간격은 120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0도, 120도 240도의 3가지 제1커터(121d)만이 취급되므로, 제작이나 조립상의 난점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커터블록(121h)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각 분쇄날(T)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V자형의 분쇄날(T)은 거즈, 천과 같은 직물류의 의료 폐기물 또한 분쇄부(120)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쇄 또는 파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직선형 또는 경사진 형태의 분쇄날은 직물류가 회전되는 분쇄날 사이로 끼어들어 분쇄가 이뤄지지 않고 분쇄날을 통과해버릴 수 있는데 반해, V자형의 분쇄날(T)은 직물류 등이 분쇄날(T)의 형상에 걸려 보다 완전하게 분쇄 또는 파쇄가 이뤄지는 것이다.
다시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제2커팅유닛(121b)은 제2축(121e)을 따라 체결된 복수의 제2커터(121f)가 제1커터(121d)와 엇갈리며 소정의 겹침 부위(P)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커터(121f)는 전술한 제1커터(121d)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터구동부(122)는 커터부(121) 일측에 배치되어 제1, 2축(121c, 121e)을 각각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축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커터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분쇄부(120)는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1개의 커터구동부(122)로 이를 대체하고 있다. 또한, 커터구동부(122)는 구동기어부(122c)를 통해 각 제1, 2축(121c, 121e)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2개의 커터구동부가 구비된 경우와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터구동부(122)는 구동모터(122a)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모터(122a)는 기어박스 등을 거쳐 소정의 감속비로 구동축(122b)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터구동부(122)는 구동축(122b)으로부터 각 제1, 2축(121c, 121e)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부(122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부(122c)는 제1, 2축(121c, 121e)을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제1, 2커팅유닛(121a, 121b)이 독립적 구동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구동기어부(122c)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기어부(122c)는 구동축(122b)과 체결되는 구동기어(122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22d)는 구동축(122b)에 키 결합되어 구동축(122b)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동기어(122d)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제조단가가 크기를 고려하여 평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부(122c)는 구동기어(122d)에 치합되는 제1기어(122e) 및, 제1기어(122e)에 치합되는 제2기어(12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122e)는 제1축(121c)에 키 결합되어 제1축(121c)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제2기어(122f)는 제2축(121e)에 키 결합되어 제2축(121e)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기어부(122c)는 구동축(122b)이 회전되면, 제1기어(122e) 및 제2기어(122f)가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제1, 2축(121c, 121e)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2기어(122e, 122f)는 구동기어(122d)와 마찬가지로 평기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소정의 기어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기어(122e) 및 제2기어(122f)는 각각 상이한 기어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기어(122e)의 구동기어(122d)에 대한 기어비는 제2기어(122f)의 구동기어(122d)에 대한 기어비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구동기어(122d)에 대한 기어비는 제1기어(122e) 또는 제2기어(122f)의 잇수를 구동기어(122d)의 잇수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기어비가 상이하게 형성된 제1, 2기어(122e, 122f)는 구동기어(122d)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각각의 제1, 2축(121c, 121e)을 서로 상이한 속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 2커팅유닛(121a, 121b)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투입된 폐기물을 분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분쇄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122a)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마치 2개의 구동모터에 의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게 되어 2개의 구동모터 대비 장치를 소형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멸균부(130)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멸균부(130)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멸균부(130)의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멸균부(130)는 멸균챔버(131)를 포함할 수 있다. 멸균챔버(131)는 분쇄부(120)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멸균챔버(131) 상측에는 투입구가 구비되어 분쇄 처리된 의료 폐기물이 멸균챔버(131)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멸균챔버(131)의 하단 측면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멸균 처리된 의료 폐기물이 멸균챔버(13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는 캡(131a)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멸균챔버(13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멸균챔버(131) 내부의 공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131b)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다공판(131b)은 멸균챔버(131) 내부를 처리공간(S1)과 보조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처리공간(S1)에는 멸균 처리를 위한 의료 폐기물이 위치될 수 있으며, 보조공간(S2)에는 후술할 챔버히터(13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 구분은 의료 폐기물이 보조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챔버히터(133) 등이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멸균챔버(131)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활용함으로써, 멸균챔버(131)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공판(131b)은 소정 두께를 가진 판(plate) 형의 부재로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관통홀은 보조공간(S2)에 배치된 챔버히터(133)의 열이나 증기가 처리공간(S1)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관통홀은 보조공간(S2)으로의 의료 폐기물 유입을 제한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챔버(131)의 내측 하면은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131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멸균챔버(131)의 하단 중앙에는 포집로(131d)가 마련될 수 있다. 포집로(131d)는 양측 경사면(131c)이 만나는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멸균챔버(131)의 내측 하면에 좌우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131c) 및 포집로(131d)는 멸균챔버(131)로 유입된 의료 폐기물이 하단 중앙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멸균부(130)는 상기와 같은 포집로(131d)를 따라 배치되는 스크류(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32)는 하단 일부가 포집로(131d)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32)는 포집로(131d)를 따라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132)의 일단은 멸균챔버(131) 외부에 배치된 스크류구동부(132a, 도 1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132)는 스크류구동부(132a)에 의해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스크류(132) 타단은 멸균챔버(131) 하단 측면의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류(132)는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구동되어 포집로(131d)에 모인 의료 폐기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멸균챔버(131) 내의 의료 폐기물이 경사면(131c)에 의해 포집로(131d)로 모이게 되면, 스크류(132)가 이를 배출구로 이송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부스러기 형태로 분쇄된 의료 폐기물은 약물 등의 점성 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며, 멸균챔버(131) 내에서 증기와 혼합되면서 소정의 점성을 가지게 되는바, 이와 같은 스크류(132)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이송 및 배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크류(132)는 멸균챔버(131) 내에서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골고루 혼합하여 의료 폐기물이 증기가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증기를 통한 멸균 과정에서 스크류(132)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분쇄된 의료 폐기물의 일부에만 증기 접촉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류(132) 또는 스크류구동부(132a)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멸균부(130)는 멸균챔버(131) 내에 배치되는 챔버히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챔버히터(133)는 멸균챔버(131) 내부의 보조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히터(133)는 멸균챔버(131)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는, 챔버히터(133)는 멸균에 필요한 고온 환경의 조성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멸균부(130)는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를 위해 증기 등에 의해 멸균챔(131) 내부에 소정의 고온 환경이 조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증기발생기(140)에 의해 증기가 공급되고, 컴프레셔(150)에 의해 감압이 이뤄지면서 멸균챔버(131)에 소정의 고온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멸균챔버(131)는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를 위해 120도 이상의 고온 환경이 요구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위와 같은 고온 환경은 증기발생기 및 컴프레셔만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는 증기발생기 및 컴프레셔의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시 운용되지 않는 경우, 고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당한 초기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도 있다.
본 실시예의 멸균부(130)는 전술한 챔버히터(133)를 통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멸균챔버(131) 내부를 직접적으로 빠르게 가열함으로써, 증기발생기(140)나 컴프레셔(150)에 의한 고온 환경을 조성을 보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필요한 증기발생기(140)나 컴프레셔(150)의 용량을 줄여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멸균 처리에 필요한 초기 셋팅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며, 상시 운용되지 않는 소형화된 장치에서도 효과적인 운용이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증기발생기(140), 컴프레셔(150) 및 블로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발생기(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공간(S2)으로 연통되는 증기투입구(131g)를 통해 멸균챔버(131)로 고온의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셔(150)는 멸균챔버(131) 내부를 감압시켜 멸균에 필요한 100도 이상의 고온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블로워(160)는 도 11에 도시된 제1, 2증기순환구(131e, 131f)에 연결되어 멸균챔버(131) 내부의 증기와 열을 순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소형화를 목적으로 증기발생기(140) 등이 최소화된 용량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블로워(160)의 순환 기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빠르게 처리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증기발생기(14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증기발생기(140)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증기발생기(140)는 제1탱크(141) 및 제2탱크(1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2탱크(141, 142)는 각각 내부의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저장공간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단, 제1탱크(141)는 저장된 물을 예열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2탱크(142)는 예열된 물을 가열하여 직접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인 점에서 기능상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기발생기(140)를 제1, 2탱크(141, 142)로 구분함은 증기 발생을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동일 용량의 단일 탱크와 비교하여, 절반의 용량을 가지고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빠른 증기의 생성은 본 실시예와 같이 상시 운용되지 않는 소형화된 장치에서도 장치의 효과적인 운용이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1탱크(141)는 일측에 워터공급관(145)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탱크(141)와 제2탱크(142)는 하부에 연결호스(14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탱크(141)로 공급된 물은 제1탱크(141) 및 연결호스(143)를 거쳐 제2탱크(142)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탱크(141)에는 제1수위센서(14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워터공급관(145)에는 개폐밸브(145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수위센서(144)는 수면에 부유되는 부이를 구비하고, 부이의 위치를 통해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45a)는 제1수위센서(144)로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최대 수위 이상이면 워터공급관(145)을 폐쇄시키고, 수위가 기 설정된 최저 수위 이하이면 워터공급관(145)을 개방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1탱크(141) 및 제2탱크(142)는 기 설정된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1수위센서(144)는 제2수위센서(148)로 대체될 수 있다. 제2수위센서(148)는 제1탱크(141) 내부의 소정 높이에 배치되는 제1센서(148a)와, 제1센서(148a)의 하측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센서(148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2센서(148a, 148b)는 각각 대응되는 높이의 수위에 대해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1센서(148a)의 높이는 기 설정된 최대 수위, 제2센서(148b)의 높이는 기 설정된 최저 수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개폐밸브(145a)는 제2센서(148b)에서만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때 워터공급관(145)을 개방할 수 있으며, 제1, 2센서(148a, 148b)에서 모두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때 워터공급관(145)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제1, 2센서(148a, 148b)에서 모두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개폐밸브(145a)는 워터공급관(145)을 개방하도록 구동 제어되는 한편, 시청각적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장치의 오작동을 확인하게 하고, 폐기물의 처리가 불가함을 알리기 위함이다. 또한, 제1센서(148a)에서만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시청각적 수단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림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센서(148a) 또는 제2센서(148b)에 오작동이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적절한 유지 보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제1수위센서(144)는 비교적 저가로 단순한 구조를 통해 구현이 가능한 반면, 상술한 제2수위센서(148)는 장치의 오작동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증기발생기(140)는 제2탱크(142)에 설치되는 가열히터(14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히터(146)는 제2탱크(14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생성된 증기는 제2탱크(142) 상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142a)를 통해 배출되어 멸균챔버(13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탱크(141)와 제2탱크(142) 간에는 전도판(147)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도판(147) 및 제1, 2탱크(141, 142)는 각각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도판(147) 및 제1, 2탱크(141, 142)는 일부 또는 전부에 스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전도판(147) 및 제1, 2탱크(141, 142)는 전체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판(147)은 제1탱크(141) 및 제2탱크(142)의 외면에 접촉 설치될 수 있으며, 제2탱크(142)의 열을 소정정도 제1탱크(14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탱크(141)는 별도의 가열원이 없이도 저장된 물을 예열시킬 수 있으며, 예열된 물이 제2탱크(142)로 공급됨에 따라 제2탱크(142)에서 증기가 보다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블로워(160)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블로워(160)의 정면도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블로워(160)는 블로워케이스(16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케이스(161)는 내부에 블레이드(162)가 배치되는 소정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로워케이스(161) 하단에는 순환유입구(161a) 및 순환배출구(161b)가 형성될 수 있다. 증기는 순환유입구(161a)를 통해 블로워케이스(161)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배출구(161b)를 통해 다시 블로워케이스(16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입구(161a) 및 순환배출구(161b)를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순환유입구(161a)는 제1순환덕트(161c)를 통해 멸균챔버(131)의 제1증기순환구(131e)에 연결될 수 있으며, 순환배출구(161b)는 제2순환덕트(161d)를 통해 멸균챔버(131)의 제2증기순환구(131f)에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4는 블로워(160) 측면을 도시하고 있는바, 제2순환덕트(161d)만이 도면상 표시되고 있다.
블로워(160)는 블로워케이스(161) 내부에 수용되어 증기를 순환시키는 블레이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62)는 블로워케이스(161)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블로워구동부(163)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블로워구동부(16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케이스(161) 후방에 배치되어 구동축이 블레이드(162)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블레이드(162)의 제작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162)는 적절한 순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6의 (a) 내지 (c)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작방법은 블레이드(162)의 제조단가를 낮추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먼저 평면 형태의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편의상 소정 형상의 절단된 금속판을 블레이드판(B1)으로 지칭한다. 블레이드판(B1)은 중앙의 허브판(B11)과, 허브판(B11)을 중심으로 방사형 배치된 복수의 연장판(B12)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판(B11) 및 연장판(B12)은 일체의 금속판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허브판(B11)은 연장판(B12)의 개수에 따라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연장판(B12)을 6개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허브판(B11)은 대략 육각형을 이루고 있다.
연장판(B12)은 다시 허브판(B11)에 인접한 기단부(B121)와, 기단부(B121)로부터 연장판(B1)의 단부에 이르는 팁부(B122)로 구성될 수 있다. 기단부(B121) 및 팁부(B122)는 폭의 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기단부(B121)와 팁부(B122)는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단부(B121)의 폭(W1)은 팁부(B122)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단부(B121) 및 팁부(B122)는 연장판(B12)의 한쪽 측부에서는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폭(W1, W2)의 차이로 인해 연장판(B12)의 반대쪽 측부에서는 소정정도 다단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허브판(B11) 및 복수의 연장판(B12)이 형성되고, 각 연장판(B12)은 다시 기단부(B121) 및 팁부(B122)를 가지도록 블레이드판(B1)이 절단 완료되면, 허브판(B11)의 중심에 축홀(B13)이 천공될 수 있다. 축홀(B13)은 블레이드(162)의 중심축이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연장판(B12)와 허브판(B11)이 만나는 기단 측에 절단선(L1)이 가공될 수 있다. 절단선(L1)은 연장판(B12)의 기단 측 한쪽 측부에서 반대쪽 측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되, 팁부(B122)의 폭(W2)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연장판(B12)의 반대쪽 측부와 소정정도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단선(L1)은 축홀(B13)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축홀(B13) 및 절단선(L1)이 가공된 블레이드판(B1)은 절단선(L1)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 연장판(B12)이 절곡 가공될 수 있다. 즉, 절단선(L1)의 단부에서 절단선(L1)에 직교하도록 연장된 제1절곡라인(L2)을 중심으로 연장판(B12)이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1절곡라인(L2)은 팁부(B122)의 한쪽 측부와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된 것이다. 각 연장판(B12)은 이러한 제1절곡라인(L2)을 따라 초기의 평면상태에서 대략 90도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곡 가공이 이뤄지면, 각 연장판(B12)에는 허브판(B11)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기단부(B121)의 일부(B123)와, 허브판(B11)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나머지 부위(B124)가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초기의 평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단부(B121)의 일부(B123)를 기단리브(B123)로 지칭하고, 절곡되어 허브판(B11)에 직교하도록 배치된 나머지 부위(B124)를 날개면(B124)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 16의 (a)와 같은 평면형태의 블레이드판(B1)은 절곡 가공되어 도 16의 (b)와 같은 기단리브(B123) 및 날개면(B124)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기단리브(B123) 및 날개면(B124)이 형성된 이후, 팁부(B122)가 다시 소정각도 절곡될 수 있다. 즉, 날개면(B124)이 형성된 상태에서 팁부(B122)와 기단부(B121)가 만나는 제2절곡라인(L3)을 중심으로 팁부(B122)가 다시 소정각도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팁부(B122)의 절곡 각도(θ)는 10 내지 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절곡 가공의 과정에 완료되면, 허브판(B11)에 원통부재(B2)가 배치되어 블레이드판(B1)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원통부재(B2)는 다각 형상의 허브판(B11)에 내접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된 날개면(B124)의 높이(H1)에 대해 원통부재(B2)는 상기 높이(H1)의 2배에 대응되는 제2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부재(B2)에 하나의 블레이드판(B1)이 접합된 경우,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재(B2)가 날개면(B124)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통부재(B2)에는 다른 블레이드판이 기 결합된 블레이드판(B1)의 반대편에 결합되어 블레이드(162)가 제작 완료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원통부재(B2)에 2개의 블레이드판이 결합되어 블레이드(16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다른 블레이드판은 전술한 블레이드판(B1)의 절단 및 절곡 과정을 거쳐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블레이드(162)는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고, 이를 원통부재(B2)에 용접 접합하여 제작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제작 과정은 절단, 절곡, 용접 등 비교적 쉽게 구현 가능한 방법들로 이루어져 블레이드(162)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162)는 날개면(B124)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기단 측 일부 구간에 배치되는 기단리브(B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단리브(B123)는 블레이드(162)의 중심 부위에서 블레이드(162) 외측으로 흘러나갈 수 있는 공기(증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잡아주어 블로워(160)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블레이드(162) 또는 블로워(160)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상하 구조로 배치된 투입부(110), 분쇄부(120) 및 멸균부(130)를 구비하고 분쇄 및 멸균처리를 포함한 일련의 의료 폐기물 처리과정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상하 배치 구조, 하나의 커터구동부(122), 멸균챔버(131)의 공간 활용, 2개의 탱크(141, 142)로 구성된 증기발생기(140) 등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 장치 크기를 대폭 소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의료기관 등에 직접 또는 매우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종래 대규모의 처리시설을 대체하여 의료 폐기물의 운송이나 처리비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이한 속도로 구동되는 제1, 2커팅유닛(121a, 121b), 특유한 형상의 분쇄날(T)을 가진 제1, 2커터(121d, 121f),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순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블레이드(162) 등을 통해 의료 폐기물 처리에 필요한 충분한 처리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는 상시 운용되는 대형화된 설비와 달리 빈번하게 장치가 가동 및 중단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제1탱크(141)를 예열 탱크로 사용하는 증기발생기(140), 멸균챔버(131) 내 고온환경의 조성을 보조하는 챔버히터(133), 분쇄된 의료 폐기물과 증기를 고르게 혼합시켜주는 스크류(132)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른 처리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은 전술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100)를 이용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 및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110: 투입부
111: 호퍼 112: 커버
113: 실린더 120: 분쇄부
121: 커터부 122: 커터구동부
130: 멸균부 131: 멸균챔버
132: 스크류 140: 증기발생기
141: 제1탱크 142: 제2탱크
150: 컴프레셔 160: 블로워
161: 블로워케이스 162: 블레이드

Claims (6)

  1.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어 일시적 저장되는 투입부(110);
    상기 투입부(110)로부터 제공된 의료 폐기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120); 및
    감압 고온 환경이 조성되어 상기 분쇄부(120)에서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부(130); 및
    상기 멸균부(130)의 증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160);를 포함하되,
    상기 멸균부(130)는,
    상기 분쇄부(120)로부터 분쇄된 의료 폐기물이 공급되는 멸균챔버(131);
    상기 멸균챔버(13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혼합 및 이송하는 스크류(132); 및
    상기 멸균챔버(13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멸균챔버(131)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챔버히터(133);를 포함하며,
    상기 멸균챔버(131)는, 내측 하면이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131c)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31c)의 중앙에는 포집로(131d)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132)는, 상기 포집로(131d)에 배치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로워(160)는,
    하단에 순환유입구(161a) 및 순환배출구(161b)가 좌우로 이격 형성된 블로워케이스(161);
    상기 순환유입구(161a)와 상기 멸균챔버(131)의 제1증기순환구(131e)를 연결하는 제1순환덕트(161c);
    상기 순환배출구(161b)와 상기 멸균챔버(131)의 제2증기순환구(131f)를 연결하는 제2순환덕트(161b); 및
    상기 블로워케이스(161) 내부에 설치되어 블로워구동부(16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블레이드(162);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162)는,
    금속판을 소정 형상의 블레이드판(B1)으로 가공하는 제1단계;
    상기 블레이드판(B1)에 축홀(B13) 및 절단선(L1)을 가공하는 제2단계;
    제1절곡라인(L2)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판(B1)을 절곡시켜 날개면(B124) 및 기단리브(B123)를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절곡된 블레이드판(B1)에 원통부재(B2)를 접합하고, 상기 제1 내지 3단계를 거쳐 제작된 다른 하나의 절곡된 블레이드판(B1)을 상기 원통부재(B2)에 접합하는 제4단계;를 거쳐 제작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블레이드판(B1)은, 중앙의 허브판(B11)과, 상기 허브판(B11)을 중심으로 방사형 배치되는 복수의 연장판(B12)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판(B12)은, 상기 허브판(B11)에 인접한 기단부(B121)와, 상기 기단부(B121)의 폭(W1)보다 소정정도 작은 폭(W2)으로 형성되는 팁부(B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절단선(L1)은, 상기 연장판(B12)의 기단 측 한쪽 측부에서 반대쪽 측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되, 상기 팁부(B122)의 폭(W2)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판(B12)의 반대쪽 측부와 소정정도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절곡라인(L2)은, 상기 절단선(L1)의 단부에서 상기 절단선(L1)에 직교하도록 연장된 것인,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멸균챔버(131)는, 내부 공간을 처리공간(S1)과 보조공간(S2)으로 구획하는 다공판(131b)을 구비하되,
    상기 처리공간(S1)에는 분쇄된 의료 폐기물이 위치되고, 상기 보조공간(S2)에는 외부로부터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는 한편 상기 챔버히터(133)가 배치되며,
    상기 다공판(131b)은, 판(plate) 형의 부재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공간(S2)의 증기 및 열이 상기 처리공간(S1)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멸균챔버(131)로 고온의 증기를 제공하는 증기발생기(140);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발생기(140)는,
    워터공급관(143)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제1탱크(141);
    상기 제1탱크(141)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연결호스(143)를 통해 상기 제1탱크(141)와 연결되어 상기 제1탱크(141)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제2탱크(142);
    상기 제2탱크(142)에 설치되며, 상기 제2탱크(14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히터(146); 및
    상기 제1탱크(141)와 상기 제2탱크(142)의 외면에 접촉 설치되는 전도판(147);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판(147)은, 상기 제1탱크(141)로부터 상기 제2탱크(142)로 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2탱크(142)에 저장된 물을 예열시키는,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의료 폐기물을 분쇄 및 멸균 처리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KR1020170081727A 2017-06-28 2017-06-28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KR10180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27A KR101801736B1 (ko) 2017-06-28 2017-06-28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27A KR101801736B1 (ko) 2017-06-28 2017-06-28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36B1 true KR101801736B1 (ko) 2017-11-27

Family

ID=6081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27A KR101801736B1 (ko) 2017-06-28 2017-06-28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014A (zh) * 2022-01-06 2022-04-26 江西鹏琨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高温旋切灭菌装置
WO2023093915A1 (zh) * 2021-11-23 2023-06-01 浙江微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灭菌处理设备的出料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908A (ja) 1999-08-31 2001-03-13 Yamaki:Kk 医療廃棄物の無害化処理装置
JP2003001130A (ja) * 2001-04-20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感染性廃棄物処理装置とその滅菌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908A (ja) 1999-08-31 2001-03-13 Yamaki:Kk 医療廃棄物の無害化処理装置
JP2003001130A (ja) * 2001-04-20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感染性廃棄物処理装置とその滅菌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3915A1 (zh) * 2021-11-23 2023-06-01 浙江微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灭菌处理设备的出料机构
CN114393014A (zh) * 2022-01-06 2022-04-26 江西鹏琨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高温旋切灭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738B1 (ko)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KR102126463B1 (ko) 스팀과 고주파를 이용한 의료폐기물 처리장치
KR101336056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US5217688A (en) Process for the disposal of medical waste
US5270000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medical hazardous wastes
JP4555399B2 (ja) 医療廃棄物処理装置
KR101801736B1 (ko)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CN103748045A (zh) 用于处理废料的系统和方法
JPH06147B2 (ja) 危険性医療廃棄物を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100237289A1 (en) Infectious wast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214719295U (zh) 一种多种灭菌方法组合式医疗废物处理设备
KR101806866B1 (ko)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처리방법
ES2266268T3 (es) Tratamiento de desechos.
CN205289216U (zh) 一种医疗垃圾处理系统
US201802970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infectious waste material into material usable as fuel for a cement kiln
CN204170149U (zh) 一种医疗废弃物的消毒粉碎装置
WO2012003507A1 (en) Waste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waste handling capabilities
CN208340821U (zh) 一种兼具搅拌和杀菌功能的医疗废物处理装置
KR102437474B1 (ko)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KR102021433B1 (ko) 폐사가축처리기
CN206911928U (zh) 动物尸体无害化处理装置
CN107214182A (zh) 动物尸体无害化处理装置
CN214076851U (zh) 一种废弃药物清理装置
CN202802277U (zh) 一种医疗废弃物现场加热灭菌的灭菌设备
CN211797784U (zh) 医疗废物处理专用双螺旋空心轴旋转干热灭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