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571B1 -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571B1
KR101801571B1 KR1020100117539A KR20100117539A KR101801571B1 KR 101801571 B1 KR101801571 B1 KR 101801571B1 KR 1020100117539 A KR1020100117539 A KR 1020100117539A KR 20100117539 A KR20100117539 A KR 20100117539A KR 101801571 B1 KR101801571 B1 KR 10180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ystem
flag
application
hibernation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034A (ko
Inventor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5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08Boot 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3Processor initi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68Immediately runnable code
    • G06F9/44578Preparing or optimising for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시키는 과정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빠른 부팅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하고, 시스템을 종료한 후 재시작시키며, 상기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상기 플래그를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시스템이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시키는 과정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빠른 부팅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은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형 컴퓨터 시스템(mobile/portable computer system) 및 고정형 컴퓨터 시스템(stationary computer system)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형 컴퓨터 시스템은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notebook computer system), 넷북 컴퓨터 시스템(netbook computer system), 테블릿 컴퓨터 시스템(tablet computer system)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고 이동성을 구비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는 최대 절전 모드나 동면 모드 등으로 불리는 전원 관리 형태의 하나로, 컴퓨터의 전원을 끄기 직전의 상태를 보존하였다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보존한 상태부터 작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기 기능은 전원을 끄기 직전의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의 모든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전원이 재공급되는 경우 하드디스크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딩(loading)함으로써 제공된다.
이를 통해 사용하지 않는 기간 중의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고, 빠른 부팅을 제공할 수 있어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는 빈번하게 사용된다.
다만,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작업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디스크의 일정 부분이 사용되고, 메모리 상에 기존의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들이 모두 누적되어 저장되므로, 프로그램 오류 등이 자주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시스템을 다시 새롭게 부팅해야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시키는 과정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빠른 부팅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하고, 시스템을 종료한 후 재시작시키며, 상기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상기 플래그를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시스템이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 제어방법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입력되는 단계,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명하는 플래그(flag)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되는 단계, 시스템이 종료되고, 재시작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상기 플래그(flag)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 종료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하는 플래그(flag)를 설정하고 시스템을 재시작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오류의 발생없이 빠른 부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플래그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시키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래그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의 키 조합을 통해 시스템을 종료하고 재시작시키면서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시키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에는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notebook computer system), 넷북 컴퓨터 시스템(netbook computer system), 테블릿 컴퓨터 시스템(tablet computer system) 등이 포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컴퓨터 시스템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와 같은 고정 기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은 메모리(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메모리부(11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1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보드(keyboard), 터치 패드(정압/정전),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컴퓨터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컴퓨터 시스템(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컴퓨터 시스템(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컴퓨터 시스템(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컴퓨터 시스템(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시키는 고정 장치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1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컴퓨터 시스템은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notebook computer system)인 것을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부(미도시)와 키보드(220)가 일체로써 본체부(210)를 구성하고 있다. 본체부(2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210)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체부(210)에는 음향출력부(152), 사용자 입력부(13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180) 등이 배치된다.
키보드(220)는 복수의 키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키들 중 핫키(hot key) 또는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사용자가 누르면 컴퓨터 시스템의 일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일체로 된 본체부(210)의 일측에 액정 디스플레이(230)가 구비된다. 액정 디스플레이(230)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는 최대 절전 모드나 동면 모드 등으로 불리는 전원 관리 형태의 하나로, 컴퓨터의 전원을 끄기 직전의 상태를 보존하였다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보존한 상태부터 작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하이버네이션 모드에서는 실제로 전원이 끊어진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의 자연 방전 이외에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의 재부팅시 전원을 끄기 직전의 상태의 데이터를 로딩하여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하므로 빠른 부팅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작업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디스크의 일정 부분이 사용되고, 메모리 상에 기존의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들이 모두 누적되어 저장되므로, 프로그램 오류 등이 자주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시스템을 또다시 부팅해야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시스템 종료를 위한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설정하고, 시스템이 종료되면 다시 시스템을 재시작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 오류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시키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S310). 상기 소정의 입력은 후술할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설정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시키기 위한 입력이다. 소정의 입력은 특정 키 버튼 입력 또는 핫키(hot key) 버튼 입력 등이 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시스템이 종료되기 전에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될 수 있다(S320).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구동시 항상 상주하고 있고,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가 설정된 경우에만 컴퓨터 시스템을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로 진입시킨다.
플래그(flag)가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되면,제어부(18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시킨 후 다시 재시작시킨다(S330).
따라서, 이때 시스템이 일단 종료된 상태가 되므로, 메모리 상에 기존의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들이 누적되지 않게 되므로 프로그램 오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컴퓨터 시스템이 다시 재시작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가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것을 확인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시작 과정을 통해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한 후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부팅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효과인 사용하지 않는 기간 중의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고, 빠르게 부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에 데이터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류 발생을 예방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가 제공된다.
단, 상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비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운영체제에서의 별도 메뉴를 통해서도 컴퓨터 시스템이 재부팅된 후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가 바로 설정되고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플래그(flag) 설정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래그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플래그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410)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예(411)/아니오(412)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플래그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명확한 의사에 따라 하이버네이션 실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지만 특히, 특정 키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와 핫키(hot key)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는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의 키 조합을 통해 시스템을 종료하고 재시작시키면서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시키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키 버튼(510)을 눌러 시스템의 전원을 종료시키는 과정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서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로 진입시키고 있다.
이때, 특정 키는 키보드 상의 복수의 키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이는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핫 키(hot key)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시키면서 시스템을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시키고 있다.
사용자는 2개의 키(521, 522) 조합인 핫 키를 눌러 소정의 입력으로 사용하고 있고, 핫키는 2개의 키 조합 이외에도 3개 이상의 키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메뉴를 거치지 않고 특정 키 버튼이나 핫 키(hot key)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3)

  1. 소프트웨어 코드로 구현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 상태 진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시스템이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플래그의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스템의 구동 중 상기 메모리에 상주하고, 실행을 지시하는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시스템을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시키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키 버튼 중 사전에 설정된 특정 키 버튼을 누르는 입력에 반응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그를 설정하도록 하는 제1 선택 신호에 반응하여, 시스템을 종료한 후 재시작시키고, 상기 시스템이 재시작된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플래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시스템이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플래그를 설정하지 않도록 하는 제2 선택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시스템이 상기 하이버네이션 모드 상태로 진입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 삭제
  3. 삭제
KR1020100117539A 2010-11-24 2010-11-24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0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39A KR101801571B1 (ko) 2010-11-24 2010-11-24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39A KR101801571B1 (ko) 2010-11-24 2010-11-24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34A KR20120056034A (ko) 2012-06-01
KR101801571B1 true KR101801571B1 (ko) 2017-12-28

Family

ID=466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539A KR101801571B1 (ko) 2010-11-24 2010-11-24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81B1 (ko) * 2012-09-14 2013-02-26 (주)나래소프트 히든 영역을 이용한 하이버네이션 부팅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587A (ja) * 1999-11-15 2001-05-25 Seiko Instruments Inc 擬似ハイバネーション処理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7148633A (ja) * 2005-11-25 2007-06-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制御方法
US20100064126A1 (en) * 2008-09-05 2010-03-11 Hyejung Yi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shutdown and fast startup proces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587A (ja) * 1999-11-15 2001-05-25 Seiko Instruments Inc 擬似ハイバネーション処理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7148633A (ja) * 2005-11-25 2007-06-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制御方法
US20100064126A1 (en) * 2008-09-05 2010-03-11 Hyejung Yi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shutdown and fast startup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34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147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reducir el consumo de potencia del terminal móvil, medio de almacenamiento y terminal móvil
US201602830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wakening an Element
KR2018008909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JP6328762B2 (ja) シャットダウン状態におけるリマインド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90066256A (ko) 정보 처리 장치, 전원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0800659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sume Control Method
KR101832772B1 (ko)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1139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remaining amount of electric power of batte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863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oot control method
US201601705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126028B1 (ko)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97802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613848B2 (en) Firmware refreshing method and device
CN108182085B (zh) 终端屏幕的唤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50317185A1 (en) Method for switching operat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JP5696071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01571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37969A1 (en)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24966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KR101792503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345960B1 (en) Method of processing a call in a mobile terminal
KR20210045768A (ko) 전력 관리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상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방법
CN112202952B (zh) 移动终端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9354942B2 (en) Coordinating power states in a hybrid information handling device
US20230030973A1 (en) Change of firmware se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