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482B1 -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 Google Patents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482B1
KR101801482B1 KR1020160125403A KR20160125403A KR101801482B1 KR 101801482 B1 KR101801482 B1 KR 101801482B1 KR 1020160125403 A KR1020160125403 A KR 1020160125403A KR 20160125403 A KR20160125403 A KR 20160125403A KR 101801482 B1 KR101801482 B1 KR 10180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in body
plunger
patient
rec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사환자에게서의 대변 검체 채취가 수월토록 함에 더해 그 대변 검체 채취과정에서의 외부오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한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에 삽입된 상태로 직장 안에 남아있는 대변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일측으로부터 외부진출이 가능한 극세사볼; 상기 극세사볼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사용자에 의한 강제 가압시 상기 극세사볼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밀대; 및, 상기 밀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극세사볼이 상기 본체 내부로 재수용되도록 한 상기 밀대의 후퇴이동을 위해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당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THE FECES SPECIMEN COLLECTION TOOL FOR A FECES SPECIMEN OF DIARRHEA PATIENT}
본 발명은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사환자에게서의 대변 검체 채취가 수월토록 함에 더해 그 대변 검체 채취과정에서의 외부오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한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에 관한 것이다.
설사환자(diarrhea patient, 泄瀉患者)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사의 주된 원인으로 세균, 바이러스 또는 기생충 같은 미생물체와 이들 미생물체가 생산하는 독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각 나라마다의 생활양식, 음식물 섭취방법, 보건위생의 수준에 따라 그 주된 원인이 다른데, 후진국에서는 세균성에 의한 경우가 많고 선진국에서는 비세균성인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도 개인적 혹은 집단적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고, 특히 학교 또는 직장에서의 집단급식의 보편화, 해산물의 날 회를 선호하는 식생활 등으로 감염성 설사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설사(diarrhea)는 그 발생기전에 따라 염증성 설사(acute inflammatory diarrhea)와 비염증성 설사(acute noninflammatory diarrhea)로 분류할 수 있는바, 응급실에서 설사환자가 내원하였을 경우 그 원인이 염증성인지 혹은 비염증성인지의 감별이 환자의 경과를 추정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치료의 지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즉, 설사환자를 감별할 때 먼저 잠복기, 복통이나 구토의 동반 여부, 발열 유무, 설사 기간, 탈수의 동반, 대변의 양 및 독성증상 등과 같은 병력을 세밀하게 조사하고, 임상적으로 염증성 설사가 의심되면 신선한 대변에서 백혈구 검사를 시행하며, 최종적으로 대변의 배양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변의 배양검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모든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시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사용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임상증상, 말초혈액검사 및 대변의 현미경검사 결과에 따라 대변의 배양검사를 시행할 것인지 혹은 항생제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대변의 배양검사의 시행을 위해서는, 환자에게서 대변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하는바, 일반적으로는 멸균된 플라스틱 용기를 주로 활용한다.
그러나, 자기 자신의 배설물일지라 하더라도 별도의 스푼 등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에 대변을 옮겨담는 행위 자체가 매우 거북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다른 병원체에 의한 오염이 유발될 수 있는 위생상의 이유로 정확한 배양검사를 실시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613호를 통해, 검사에 필요한 대변 시료를 채취함과 더불어 대변 검사를 위한 검사 전용용기로 시료를 옮길 필요없이 채취한 대변 시료의 검사까지 하나의 용기에서 모두 처리함이 가능토록 한 대변 시료채취 및 검사용 용기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변 시료채취 및 검사용 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상기 대변 시료채취 및 검사용 용기(900)는, 대변 시료(이하 "검체"라 함)를 채취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시료채취수용부(910), 상기 시료채취수용부(910)와 결합되는 덮개부(9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시료채취수용부(910)는 상기 덮개부(920)와의 결합 및 취부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손잡이(912)와, 상기 손잡이(912)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대롱형상의 관체이되 끝단이 주사바늘의 형태로 뾰족하게 형성되고 끝단에서 손잡이 측 방향을 향하여 일부 절개에 의해 슬릿형 개구(914a)가 형성된 시료채취수용체(91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912) 측에는 상기 시료채취수용체(914)와 연통하는 시약주입홀(930)이 형성된다.
종래의 상기 대변 시료채취 및 검사용 용기(900)에 따르면, 검사에 필요한 대변 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함과 더불어 대변 검사를 위한 검사 전용용기로 검체를 옮기는 과정 없이 채취된 용기에 바로 액상 시약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채취한 대변 시료의 검사까지 모두 완료할 수 있음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변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설사의 경우, 체내(항문)로부터 배설되는 그 즉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어떠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대변 시료채취 및 검사용 용기(900)로는 대변 검체의 채취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는 설사환자의 항문 근처에 묻어있는 미량의 설사를 채취하고는 있으나, 그 과정만으로는 적절한 양의 대변 검체를 획득하기 어렵고, 그러한 검체 채취과정이 번거롭고 불결하여 대변 검체 채취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대변 검체 채취 중 항문 주위의 다른 병원체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고, 검체 채취 후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의 증발로 적절한 대변 검체를 얻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C. difficile associated colitis) 등과 같이 장벽에 붙어있는 병원체의 검출이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613호(공개일자 : 2016. 05. 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채취도구가 원통형 본체의 일측으로 외부진출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채취도구가 외부진출과 동시에 환자의 항문을 통한 직장(rectum, 直腸) 내 즉시 삽입상태로 대변 검체를 채취함을 통한 채취도구의 외부오염 방지 및 설사환자에게서의 대변 검체 채취 과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채취도구를 설사 대변 검체의 흡수 및 흡착이 용이한 극세사볼로 이루어, 변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설사로부터의 대변 검체 채취 능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에 삽입된 상태로 직장 안에 남아있는 대변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일측으로부터 외부진출이 가능한 극세사볼; 상기 극세사볼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사용자에 의한 강제 가압시 상기 극세사볼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밀대; 및, 상기 밀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극세사볼이 상기 본체 내부로 재수용되도록 한 상기 밀대의 후퇴이동을 위해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당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극세사볼과 상기 밀대의 내재수용 및 진퇴이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되고, 상기 극세사볼이 출입하는 전단개구부에는, 대변 검체를 위해 환자의 항문에 밀착시킬 때의 피부자극 억제를 위한 쿠션러버가 일체로 구비결합되며, 상기 극세사볼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 일측을 밀폐하는 마감캡이 조립되고, 상기 전단개구부와 대향하는 후단개구부의 근접 내면에는, 상기 밀대의 후퇴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테가 돌출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극세사볼은, 환자의 항문을 통한 직장 내 삽입이 수월한 둥근 구형으로써, 직장 안에 남아있는 설사 대변 검체의 흡수 및 흡착 능력 증대와 더불어 피부자극 억제를 위해, 굵기가 0.5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밀대는, 항문 내 직장의 방향성을 고려한 유연성 합성수지 소재로 된 막대형 구조체로써, 상기 극세사볼과 대향하는 일측 선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경 지름과 동일한 직경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 가압이 가능한 원반형의 슬라이딩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디스크의 테두리부위에는, 상기 본체 간 틈새의 형성방지를 위한 수밀패킹이 구비결합된다.
더하여, 상기 당김부재는, 손으로 잡아당겨 상기 슬라이딩디스크를 후퇴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회수용 실이다.
또한,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밀대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손가락을 이용한 강제 가압이 가능케 된 누름대이다.
더하여, 상기 후단개구부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디스크를 밀어넣는 손가락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손가락을 걸어 파지력이 증대되도록 한 하나 이상의 손가락받침이 돌출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는, 원통형 본체로부터 외부진출을 이루는 극세사볼이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에 삽입된 상태로 직장 안에 남아있는 대변 검체를 채취하는 것이 가능케 됨으로써, 일반적인 대변 검체는 물론이거니와 변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설사로부터의 대변 검체까지 보다 수월하고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기존과 같이 채취도구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가 아니라 외부진출 및 후퇴수용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채취도구 사용의 편의성 확보와 더불어 채취과정에서의 시간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대변 검체 과정에서의 채취도구 노출에 의한 외부오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을 통해, 매우 정확한 대변 검체의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바, 특히 대변 검체를 채취하기가 어려운 설사환자에게서의 대변 검체 채취가 용이하여, 설사를 유발하는 원인 및 그에 따른 치료방안의 명확한 제시와 더불어 이를 통한 관련 의료분야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변 시료채취 및 검사용 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A)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되되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직장 안에 남아있는 대변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 일측으로부터 외부진출이 가능한 극세사볼(2)과, 상기 극세사볼(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되되 사용자에 의한 강제 가압시 상기 극세사볼(2)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밀대(3)와, 상기 밀대(3)의 일측에 연결되고 본체(1)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극세사볼(2)이 상기 본체(1) 내부로 재수용되도록 하는 밀대(3)의 후퇴이동을 위해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당김부재(4)로 구성된다.
본체(1)는, 상기 극세사볼(2)의 내재수용을 통한 오염방지와 더불어 환자의 항문을 통한 직장 내 삽입의 진출(및 후퇴) 가이드 수단인 것으로, 상기 극세사볼(2)과 밀대(3)의 내재수용 및 진퇴이동을 위한 내부공간(1a)이 마련된 되고 길이방향 양단이 개구된 관통형 원통체로써, 상기 극세사볼(2)이 출입하는 전단개구부(1b)에는, 대변 검체를 목적으로 설사환자의 항문에 밀착시킬 때의 피부자극 억제를 위한 쿠션러버(cushion rubber, 11)가 일체로 구비결합됨에 더해, 극세사볼(2)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a) 일측의 밀폐를 위한 마감캡(12)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전단부개구부(1b)와 근접한 외둘레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캡(12)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21)의 나사식 체결조립을 위한 수나사산(13)이 대응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단개구부(1b)와 대향하는 후단개구부(1c)의 근접 내면에는, 상기 밀대(3)의 후퇴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테(14)가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단개구부(1c)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디스크(31)를 강제로 밀어넣을 때 사용하는 손가락(이하 "엄지손가락"이라 함) 외 다른 손가락(이하 "검지와 중지손가락"이라 함)을 걸칠 수 있도록 된 하나 이상의 손가락받침(15)이 돌출형성되는바, 이는 파지력 증대를 통해 슬라이딩디스크(31)를 밀어넣는 엄지손가락이 충분한 가압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극세사볼(superfine fibres ball, 2)은, 직장 안에 남아있는 설사 대변 검체를 채취하게 된 채취도구가 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둥근 구형(sphere, 球形)을 이룬다.
또한, 직장 안에 남아있는 설사 대변 검체의 흡수/흡착 능력 증대와 더불어 피부자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굵기가 0.5데니어(denier /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이하의 극세사(極細絲)로 만든다. 그리고, 배양액(culture fluid, 培養液) 또는 생리식염수(saline solution, 生理食鹽水)로 적셔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오염이 미리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밀대(3)는, 상기 극세사볼(2) 외부진출의 이동매체가 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강제 가압시 상기 극세사볼(2)이 본체(1)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는 외부진출을 이루도록 하는데 적당한 일정길이로 된 막대형 구조체로써, 형상복원의 탄성을 발휘하는 유연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 항문 내 직장의 방향성을 고려한 상기 극세사볼(2)의 원활한 삽입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a)과 동일한 직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극세사볼(2)이 본체(1)의 내부공간(1a)에서 안정적으로 내재수용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에 의한 강제 가압의 대상이 되는 원반형의 슬라이딩디스크(31)가 극세사볼(2)과 대향하는 일측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디스크(31)의 테두리부위에는, 틈새의 형성방지를 위한 수밀패킹(311)이 더 구비결합된다.
당김부재(4)는, 외부로 진출된 극세사볼(2)을 상기 본체(1) 내측으로 재수용시키기 위한 후퇴이동의 수단으로,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후단개구부(1c)를 향하는 상기 슬라이딩디스크(31)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당겨 슬라이딩디스크(31)를 후퇴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회수용 실(retraction string)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상기 당김부재(4)의 구조적 형태를 달리하여 상기 밀대(3)의 후퇴이동은 물론 강제 가압을 통한 상기 극세사볼(2)의 외부진출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부재(4)는, 슬라이딩디스크(31)의 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1)의 후단개구부(1c)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어느 한 손가락을 이용한 강제 가압이 용이한 구조로 된 누름대(41)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의 내부공간(1a) 일측을 밀폐하도록 전단개구부(1b)에 체결조립된 마감캡(12)을 분리하여, 상기 본체(1)에 내재수용된 극세사볼(2)의 외부진출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설사환자에게서 대변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개구부(1b)를 환자의 항문에 밀착시키게 되는바, 이때 연질의 소재로 된 상기 쿠션러버(11)가 피부와 맞닿게 됨으로써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중 검지와 중지손가락을 상기 본체(1)의 후단개구부(1c)에 형성된 손가락받침(15)에 걸친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밀대(3)의 슬라이딩디스크(31)를 가압함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디스크(31)가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되도록 하고, 그로써 상기 극세사볼(2)이 본체(1)의 전단개구부(1b)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부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에 의해 상기 본체(1) 외부로 진출되는 극세사볼(2)이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으로 즉시 삽입되는 것이며, 그 상태로 직장 안에 남아있는 대변 검체를 상기 극세사볼(2)이 채취하게 된다.
즉, 상기 극세사볼(2)이 직장으로 삽입된 상태가 약 10초에서 20초간 지속되도록 하여 대변이 극세사볼(2)에 충분히 흡수/흡착되도록 함으로써 대변 검체를 충분히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극세사볼(2)의 항문 내 즉시 삽입에 따라 대변 검체 채취 과정에서의 외부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대변 검체의 채취가 완료되면, 상기 극세사볼(2)을 다시 본체(1)의 내부공간(1b)으로 재수용시키게 되는바, 상기 슬라이딩디스크(31)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당김부재(4)를 잡아당겨 상기 밀대(3)가 후퇴이동되도록 하고, 그로써 상기 밀대(3)와 일체로 된 극세사볼(2)이 더불어 후퇴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사환자의 대변 검체 채취가 완료되면, 다시 상기 마감캡(12)을 상기 전단개부(1b)에 체결조립하여 상기 극세사볼(2)이 내재수용된 상기 본체(1)의 내부공간(1a) 일측을 밀폐시키는 것을 끝으로 대변 검체의 채취과정을 최종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으며, 이렇듯 대변 검체의 채취를 완료한 본 발명의 채변기(A)를 검사실로 보내 배양검사를 실시케 된다.
참고로, 검사실에서는 대변 검체가 흡수/흡착되어 있는 상기 극세사볼(2)을 밀대(3)로부터 따로 분리하거나, 아니면 다시 상기 밀대(3)를 본체(1)의 외부로 진출시키는 것을 통해 대변 검체의 배양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A)를 이용하여, 환자에게서의 대변 검체 채취 특히, 변이 무르고 물기가 많은 설사환자에게서의 대변 검체 채취가 가능함은 물론이거니와 채취도구의 노출로 인한 외부오염을 미리 차단하여 설사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기 위한 대변 검체의 효율적 채취가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채취키트, 1 : 본체, 1a : 내부공간
1b : 전단개구부, 1c : 후단개구부, 2 : 극세사볼
3 : 밀대, 4 : 당김부재, 11 : 쿠션러버
12 : 마감캡, 13 : 수나사산, 14 : 돌출테
15 : 손가락받침, 31 : 슬라이딩디스크, 41 : 누름대
121 : 암나사산, 311 : 수밀패킹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환자의 항문을 통해 직장에 삽입된 상태로 직장 안에 남아있는 대변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일측으로부터 외부진출이 가능한 극세사볼;
    상기 극세사볼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사용자에 의한 강제 가압시 상기 극세사볼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밀대; 및,
    상기 밀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극세사볼이 상기 본체 내부로 재수용되도록 한 상기 밀대의 후퇴이동을 위해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당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극세사볼과 상기 밀대의 내재수용 및 진퇴이동을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극세사볼이 출입하는 전단개구부에는, 대변 검체를 위해 환자의 항문에 밀착시킬 때의 피부자극 억제를 위한 쿠션러버가 일체로 구비결합되며, 상기 극세사볼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 일측을 밀폐하는 마감캡이 조립되고,
    상기 전단개구부와 대향하는 후단개구부의 근접 내면에는, 상기 밀대의 후퇴이동을 제한하는 돌출테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밀대는, 항문 내 직장의 방향성을 고려한 유연성 합성수지 소재로 된 막대형 구조체로써,
    상기 극세사볼과 대향하는 일측 선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경 지름과 동일한 직경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 가압이 가능한 원반형의 슬라이딩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디스크의 테두리부위에는, 상기 본체 간 틈새의 형성방지를 위한 수밀패킹이 구비결합되고,
    상기 후단개구부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디스크를 강제로 밀어넣을 때 사용하는 엄지손가락 외 다른 손가락을 걸칠 수 있도록 된 하나 이상의 손가락받침이 돌출형성되는 바, 상기 손가락받침은 파지력 증대를 통해 슬라이딩디스크를 밀어넣는 엄지손가락이 충분한 가압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극세사볼은, 환자의 항문을 통한 직장 내 삽입이 수월한 둥근 구형으로써, 직장 안에 남아있는 설사 대변 검체의 흡수 및 흡착 능력 증대와 더불어 피부자극 억제를 위해, 굵기가 0.5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로 만들어지고,
    상기 당김부재는, 손으로 잡아당겨 상기 슬라이딩디스크를 후퇴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회수용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밀대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손가락을 이용한 강제 가압이 가능케 된 누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7. 삭제
KR1020160125403A 2016-09-29 2016-09-29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KR10180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03A KR101801482B1 (ko) 2016-09-29 2016-09-29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03A KR101801482B1 (ko) 2016-09-29 2016-09-29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482B1 true KR101801482B1 (ko) 2017-11-27

Family

ID=6081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403A KR101801482B1 (ko) 2016-09-29 2016-09-29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35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에이아이바이오틱스 자동 채변 장치, 이를 구비한 좌변식 변기 및 이를 사용한 채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37937U (zh) * 2014-04-21 2014-09-17 邵明志 一种防疫性大便取样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37937U (zh) * 2014-04-21 2014-09-17 邵明志 一种防疫性大便取样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35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에이아이바이오틱스 자동 채변 장치, 이를 구비한 좌변식 변기 및 이를 사용한 채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57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vaginal fluid and exfoliated vaginal cells for diagnostic purposes
JP6313226B2 (ja) 女性用尿レシーバ
US63028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cervical tissue
NO20053168D0 (no) Anordning og fremstilling av medisinske innretninger.
BR112013008903B1 (pt) conjunto para amostragem de um fluido corporal
BR112012023562B1 (pt) sistema compósito de diagnóstico descartável
CA291124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dometrial cell and tissue sampling
JP4662891B2 (ja) 採便容器
US20120165697A1 (en) Sample collecting device
KR101147564B1 (ko) 펜형 초음파용 미세침 세포 및 조직 검사기
JP4643097B2 (ja) 生理学的標本採取装置
CN108294784A (zh) 一种针对疑诊肾脏病人的晨尿中段尿液采集器
JPH10501145A (ja) 体液の回収および/または解析のための使い捨て回収装置
KR101801482B1 (ko) 설사환자 대변 검체용 채변기
WO2017177886A1 (zh) 一种泪液采集器
KR101732843B1 (ko)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KR102093468B1 (ko) 진단용 생리컵 키트
CN110160832A (zh) 一种儿科用化验送样装置
WO2021073438A1 (en) In-situ fecal specimen sampling device
CN109091171A (zh) 密封式阴道分泌物采集预处理装置
CN208876556U (zh) 一种末梢血采血针脱帽盒
CN213156473U (zh) 一种胰岛素注射皮下脂肪增生标准化检查包
CN217853055U (zh) 一种大便取样器
CN205228884U (zh) 一种方便女性患者取尿的尿液样品杯
CN215191798U (zh) 一种生殖医学专业医生用临床宫腔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