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142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142B1
KR101801142B1 KR1020110073016A KR20110073016A KR101801142B1 KR 101801142 B1 KR101801142 B1 KR 101801142B1 KR 1020110073016 A KR1020110073016 A KR 1020110073016A KR 20110073016 A KR20110073016 A KR 20110073016A KR 101801142 B1 KR101801142 B1 KR 10180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rubber
dome
key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1688A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142B1/en
Publication of KR20130011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키에 대해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 키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는 상부면에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복수의 키 입력 지점을 포함하는 키패드 시트부; 상기 키 패드 시트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키 패드 시트 상의 상기 키 입력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에 러버 돔이 형성된 키패드 러버부; 상기 키패드 시트부 상의 상기 키 입력 지점들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키 패드 러버부의 상기 러버 돔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러버 돔과 접촉되는 접촉 돔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 돔에 의해 접촉된 상기 접촉 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문자, 숫자, 기호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키패드 시트와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부착면에 기포가 발생되고 상기 기포가 상기 러버 돔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키패드 시트를 통해 상기 러버 돔과 상기 터치 돔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기포 내의 공기가 이동하면, 이동된 상기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 통로부를 포함한다. 키패드의 터치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when a key input operation is applied to an input key selected by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pad shee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input points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symbols, and graphics are displayed. A keypad rubber part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and having a rubber dom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point on the keypad sheet; And a contact dome in contact with the rubber dome as the rubber dom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is lower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key entry points on the keypad sheet portion,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dome; And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keypad sheet and the keypad rubber part, and when the bubbles are positioned on the rubber dome, pressure is applied to the rubber dome and the touch dome through the keypad sheet, And an air passage portion that receives the moved air when the air passage portion mo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uch feeling of the keypad from deteriorating.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패드의 품질이 향상된 휴대 단말기에 관련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improved quality of a keypad.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다른 여러 단말들과 동시에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채팅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while being portable, a function of exchanging messages with other terminals simultaneously, a function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 function of chatting, and a function of storing data Or more.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diversified, they have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playing music files and video files, receiv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and wireless internet, and have developed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In order to realize a complicated function, a mobile terminal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is being applied variously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example, there is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현재 휴대 단말기에는 전자식 키패드, 터치패드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모듈이 적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는 만큼, 사용자의 신호 입력 행위를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키패드의 터치감 또는 클릭감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Various types of input modules such as an electronic keypad and a touch pad are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receive user signals.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ouch feeling or click feeling of the keypad and increase durability in order to more sensitively and precisely detect a signal input action of a user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 상에서 공기의 주입에 의해 키패드의 터치감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touch feeling of the keypad from being lowered by the air injec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키에 대해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 키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 input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key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 And

상기 키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부면에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복수의 키 입력 지점을 포함하는 키패드 시트부; 상기 키 패드 시트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키 패드 시트 상의 상기 키 입력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에 러버 돔이 형성된 키패드 러버부; 상기 키패드 시트부 상의 상기 키 입력 지점들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키 패드 러버부의 상기 러버 돔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러버 돔과 접촉되는 접촉 돔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 돔에 의해 접촉된 상기 접촉 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문자, 숫자, 기호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키패드 시트와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부착면에 기포가 발생되고 상기 기포가 상기 러버 돔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키패드 시트를 통해 상기 러버 돔과 상기 터치 돔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기포 내의 공기가 이동하면, 이동된 상기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pad shee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input points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symbols, and graphics are displayed; A keypad rubber part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and having a rubber dom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point on the keypad sheet; And a contact dome in contact with the rubber dome as the rubber dom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is lower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key entry points on the keypad sheet portion,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dome; And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keypad sheet and the keypad rubber part, and when the bubbles are positioned on the rubber dome, pressure is applied to the rubber dome and the touch dome through the keypad sheet, And an air passage portion that receives the moved air when the air passage portion moves.

여기서, 상기 키패드 시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상부면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부착되되, 상기 접착제는,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상기 상부면 중에서 상기 러버 돔이 형성된 지점에 상응하는 부분과 상기 공기 통로부가 형성된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에 도포된다. 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may include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rubber dom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except f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ed region.

또한, 상기 공기 통로부는 상기 키패드 시트부와 상기 키패드 러버부 사이, 상기 키 입력 지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다. Also, the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key input point.

또한, 상기 공기 통로부는 상기 공기 통로부는 상기 상기 키패드 시트부와 상기 키패드 러버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러버 돔과 다른 하나의 상기 러버 돔이 연결되는 경로 상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and the air dome portion is formed on a path where the rubber dome is connected to the other rubber dome.

또한, 하나의 상기 러버 돔에 2 이상의 상기 공기 통로부가 연결 되는 경우, 2 이상의 상기 공기 통로부들은 상기 러버 돔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최대 각도를 형성한다. Further, when two or more air passage portions are connected to one rubber dome, the two or more air passage portions form a maximum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the rubber do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 제작 과정에서 공기가 주입되면서 발생한 기포에 의하여 키 클릭 하중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키패드의 터치감 또는 클릭감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포가 발생한 키패드를 수리하거나 손상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터치감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key click load is excessively increased due to the air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keypad fabrication process and the touch feeling or click feeling of the keypad is lowered. Also, the keypad with bubbles is not repaired or damaged, and the touch feel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while being utilized as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폴더가 열린 상태의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의 정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의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기 통로부가 키패드에 형성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folder opened,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0 and FIG. 11 illustrate how the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in the key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camera, tablet computers, e-book terminals, and the like. In addition,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When such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 practic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GPS module 119.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ㅅ니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ㅇ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ay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9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The microphon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nd a touch pad (static / static)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a jog wheel for rotating the key, a jog type or a joystick, or a finger mous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sensing sensor 141, a pressure sensor 143, a motion sensor 145, and the lik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 alarm unit 155, and a haptic module 157.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or received images can be display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the UI and the GUI are displayed.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n electronic paper (e-paper),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tone, a message reception ton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is a vibration effect.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a UIM An audio input / output (I / O) terminal, a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earphone.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connec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radle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ted from the cradle by the user are carried And may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신호 입력 행위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 출력부(150)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output unit 15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a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폴더가 열린 상태의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folder opened.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100)를 외혀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타입, 바타입, 스윙타입 또는 슬라이드 타입 등과 같은 여러 유형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의 휴대 단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솔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tongue. Hereinafter,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or a slide type,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body 100A and a second body 100B 100)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a non-portable type.

본 발명의 따른 폴더형 휴대 단말기(100)는 도 2 내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 및 힌지 장치(100C)를 포함한다. The folding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A, a second body 100B, and a hinge device 100C, as shown in FIG.

제1 바디(100A)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청각적 정보 신호 등을 표출하는 출력부(도면부호 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바디(100B)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30) 및 각종 외부 기기로부터의 데이터나 전원 등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기기를 기기 자체에 접속키켜 주는 인터페이스부(17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The first body 100A includes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n audiovisual information signal or the lik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e second body 100B includes a user input unit 130 for inputting data so a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o the device itself so as to receive data or power from various external devices. At least one interface unit 170 is provided.

그리고 힌지 장치(100C)는 제1 바디(100A) 및 제2 바디(10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전기적으로 소통시켜줌과 아울러, 그 일측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바디(100A) 및 제2 바디(100B)가 각각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면서 개폐 가능하도록 이들을 물리적으로 연결시켜준다. The hinge device 100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to electrically communicate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are physically connected so that they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respectively.

단,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지칭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 및 제2 바디(100B)가 출력부 또는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등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힌지 장치(100C)를 중심으로 하여 허용각도(통상 0~150도)만큼 펼쳐진 상태를 '열린 상태(Opened Configuration)'라 지칭하기로 한다. 2 and 3,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100B will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4,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are provided with a hinge unit 100C for exposing the output unit or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130a, 130b, and 130c, And a state opened by an allowable angle (usually 0 to 150 degrees) as a center will be referred to as an " Opened Configuration ".

통상의 경우,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주로 대기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주로 통화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장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In a normal case,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canceled by the user's opera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opened, it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the user's operation or the elapse of the collection time.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및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및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케이스(100A-1)와 제1 리어케이스(100A-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은 합성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즉, 스테인레스스틸(STS) 또는 티타늄(Ti)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ase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00A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Thes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제1 바디(100A)의 제1 프론트케이스(100A-1) 내측면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출력모듈(153) 등이, 제1 리어케이스(100A-2)의 외측면 상에는 카메라(121) 등이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다른 형상으로의 구조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디자인 형태에 적합하도록 각 구성요소 간의 배치를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53 ar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ront case 100A-1 of the first body 100A and the camera 121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eedless to say that, when the structure is changed to another shape, the arrangement among the respective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mode.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 touch screen by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by superimposing the touch pa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 structure.

음향 출력 모듈(153)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제1 카메라()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수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and the first camera may be embodied so as to be suitable for photographing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for a user or the like.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에는 2 이상의 사용자 입력부(130)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그 형태 또는 기능에 따라 제1 사용자 입력부(130a),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c),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제6 사용자 입력부(130f), 제7 사용자 입력부(130g)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사용자 입력부(130a 내지 130f)는 키 입력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특정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핫키 형태의 버튼 또는 시트형 키패드,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등 각각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조이스틱키, 터치패트, 트랙볼, 포인팅스틱, 핑거마우스 등과 같이 마우스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춘 입력키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two or more user input units 130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user input unit 130a, a second user input unit 130b, a third user input unit 130c, a fourth user input unit 130d, a fifth user input unit 130e , A sixth user input unit 130f, and a seventh user input unit 130g. The first to sixth user input units 130a to 130f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a hot key-shaped button or sheet-type keypad for direct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 specific operation due to a key input, a keypad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have. In addition, an input key hav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ouse function such as a joystick key, a touch pad, a track ball, a pointing stick, and a finger mouse may be further provided.

이 중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기능적인 면에서, 메뉴 디스플레이,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형태적인 측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이후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키패드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문자, 숫자, 심볼 등의 입력을 위한 키일 수 있으며, 시트형 키패드이거나 버튼 형태의 키일 수도 있다.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functions to input commands such as a menu display, a start, an end, and the like. In terms of features,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may refer to FIG. 5 and the following And may be a sheet-shaped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may function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erms of functions.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c may be a key for inputting letters, numbers, symbols, etc., or may be a sheet-shaped keypad or a button-shaped key.

한편,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케이스(100B-1)와 제2 리어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케이스(100B-1) 전면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프론트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케이스(100B-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100B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The first user input part 130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f the second body 100B and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r the second rear case 100B- A second user input unit 130b, a microphone 123, and an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상의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음향 등을 입력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3 o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f the second body 100B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inputting the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상의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모듈이나, 정보저장을 위한 메모리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i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on a wired / wireless basis,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card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통상적으로, 제2 리어케이스(100B-2)의 일측에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충전실행을 목적으로 제2 바디(100B) 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The power supply unit 190 refers to a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100B or the like for charging execution.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상에는, 제1 바디(100A)의 카메라(제1 카메라)(121a)와는 별도로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방향을 가짐과 아울러 이들 양자간에 서로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토록 구성한다면 굳이 제2 카메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방성(多方性)의 촬영이 가능할 것이다.A second camera 121b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f the second body 100B separately from the camera (first camera) 121a of the first body 100A. The second camera 121b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each other. If the camera 121a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t is possible to take a multi-directional image even if the second camera is not separately provided.

그리고, 제2 카메라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제2 리어케이스(100B-2)의 일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수신용 안테나를 더 포함하여 이것이 제2 바디(100B)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a flash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The flash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etc.,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second body 100B.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시되는 사용자 입력부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a)이며,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트형 키패드이다. 5 to 7 are sectional views of a first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shown below is a first user input unit 130a, and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is a sheet-shaped keypad.

도 5는 공정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은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를 도시한다. 도 6은 기포가 발생된 상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도시하며, 도 7은 공기 통로부를 통해 기포 내의 공기가 이동함으로써 러버 돔(225) 부근에 발생된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도시한다. FIG. 5 illustrates a first user input 130a in which no bubbles ar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FIG. 6 shows a user input unit in a state where bubbles are generated, and FIG. 7 shows a user input unit in which bubble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rubber dome 225 are removed by moving air in the bubbles through the air pass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에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복수의 키 입력 지점(205)을 포함하는 키패드 시트부(210), 상기 키 패드 시트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키 패드 시트 상의 키 입력 지점(205)과 상응하는 위치에 러버 돔(225)이 형성된 키패드 러버부(220)를 포함한다. The user input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sheet unit 210 having a keypad shap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input points 205 displaying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symbols, And a keypad rubber part 220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and having a rubber dome 22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point 205 on the keypad sheet.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는 키패드 시트부(210) 상의 키 입력 지점(205)들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키 패드 러버부(ㅑ)의 러버 돔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러버 돔)과 접촉되는 접촉 돔(230)을 포함하며, 러버 돔(225)에 의해 접척된 상기 접촉 돔(2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문자, 숫자, 기호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key input points 205 o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the user input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ubber dome as the rubber dom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And a signal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dome 230 contacted by the rubber dome 225, Hou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부인 키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키에 대해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지면,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입력 키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입력받늠 키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 input operation is applied to the input key selected by the user, the keypad as the user input unit generates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key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80. Then,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nput signal.

예컨대 특정 문자나 숫자에 대한 키 입력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문자나 숫자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해당 문자나 숫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key input signal for a specific character or number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18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number to the display unit 151, Output.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의 부착면(215)에 기포(217)가 발생되고 기포(217)가 러버 돔(225) 상에 위치하는 경우, 키패드 시트부(210)를 통해 러버 돔(225)과 상기 접촉 돔(230)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동한 기포(217) 내의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 통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bubble 217 is genera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215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nd the bubble 217 is positioned on the rubber dome 225, And an air passage part 250 that receives the air in the bubbles 217 moved as pressure is applied to the rubber dome 225 and the contact dome 230 through the keypad sheet part 210.

키패드의 형태를 가지는 사용자 입력부는 상부에 키패드 시트부(210)를 포함하며, 키패드 시트부(210)의 표면 상에 복수의 키 입력 지점(205)을 포함한다. 그리고 키 입력 지점(205)이 압력에 의하여 하강하면, 키패드 시트부(210)의 하단에 부착된 키패드 러버부(220)와 러버 돔(225)이 연쇄적으로 하강하면서 접촉 돔(230)을 압박하거나 터치하여 키 입력 신호와 같은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키패드 시트부(210), 키패드 러버부(220), 접촉 돔(230)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지지 기판(240)이 사용자 입력부에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portion in the form of a keypad includes a keypad sheet portion 21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ncludes a plurality of key input points 205 on the surface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When the key input part 205 is lowered by the pressure, the keypad rubber part 220 and the rubber dome 225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keypad sheet part 210 are sequentially lowered, Or touch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key input signal. The user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ubstrate 240 for supporting the keypad sheet unit 210, the keypad rubber unit 220, and the contact dome 230 at the bottom.

사용자가 키 입력 지점(205)을 터치하거나 누름으로써 해당 키 입력 지점(205)에 ㅅ항응하는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키 입력 신호는 제어부(180)로 출력된다. 그에 따른 제어 신호가 제어부(180)에 의하여 생성된다. 또는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 구동, 메뉴 디스플레이 등을 위한 단축키 또는 명령키에 상응하는 키 입력 지점(205)를 터치하거나 누르면 해당 키 입력 지점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된다. 제어부(18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동되는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point 205 is generated by the user touching or pressing the key input point 205 and the key input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180. [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Alternatively, a user touches or presses a key input point 205 corresponding to a shortcut key or a command key for driving a camera function, a menu display, or the like, thereby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point.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driving the user interface.

키패드 시트부(210)는 키패드 러버부(220)와 부착됨으로써 부착면(215)이 생성된다.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가 정상적으로 부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면(215) 상에 기포(217)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러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면,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 사이에 뜨는 공간이 발생하고, 결국 부착면(215) 상에는 기포(217)가 발생된다.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is attached to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thereby creating the attachment surface 215. [ Wh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re normally attached, no bubble 217 is genera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215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luer portion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luer portion are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floating space occurs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 bubble 217 is generated on the substrate 215.

특히 기포(217)가 러버 돔(225)이나 접촉 돔(230) 또는 키 입력 지점(205)과 수직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발생된 경우, 기포(217)는 키 입력을 위한 압력이나 터치, 눌림 등에 반응하는 감도나 키패드의 클릭감의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키패드 시트부(210)의 키 입력 지점(205)을 눌러도 공기로 인해 키패드 러버부(220)와 접촉 돔(230) 사이에 공간 유지가 되지 않고, 클릭 하중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등으로 인해 클릭감 저하, 감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bubble 217 is gener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rubber dome 225 or the contact dome 230 or the key input point 20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a cause of deterioration in sensitivity to clicks or feeling of click on the keypad. That is, even if the key input point 205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is pressed, the space is not maintained between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nd the contact dome 230 due to air, and the click load is abnormally increased, There are problems such as reduction in sensitivity and sensitivity.

그러나 일단 기포가 발생한 후에는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를 다시 분리하기는 어려우며, 기포(217) 제거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를 해체 후 다시 제작하는 방법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와 같이 기포(217)룰 제거하기 위핸 저비용의 다른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포(217)가 일단 발생한 이상, 해당 기포(217) 내의 공기를 접촉 돔(230)과 러버 돔 (225) 부근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비용과 공정 면세어 현실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once the bubble is generate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gain, and the method of disassembling the user input portion to remove the bubble 217 and then manufacturing the same again is cost effective Can not do i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other low-cost alternative for eliminating the bubble 217 rule. Therefore, it is a practical solution to avoid air bubbles and the cost of moving the air in the bubble 217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vicinity of the contact dome 230 and the rubber dome 225, once the bubble 217 has occurred There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217)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부착면(215) 상에 미리 공기 통로부(250)를 마련하여, 기포(217)가 발생하는 경우 기포(217) 내의 공기가 공기 통로부(250) 내로 옮겨질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previously provided on the attachment surface 215 where the air bubble 217 is likely to occur, and when the air bubble 217 is generat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keypad in which air in the bubble 217 can be transferred into the air passage portion 250.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8 is a front view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 front view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은 4개의 키를 포함하는 시트형 키패드, 도 9는 3 개의 키를 포함하는 시트형 키패드를 예시한다. Fig. 8 illustrates a sheet-shaped keypad including four keys, and Fig. 9 illustrates a sheet-shaped keypad including three keys.

도 8 및 도 9의 정면도에는, 키패드 시트부(210)의 상면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키패드 시트부(210)의 아래,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로부(25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8 and 9,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is shown. An air passage portion 250 formed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under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공기 통로부(250)가 부착면(215) 상에 미리 마련되어 있다면,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 사이, 그리고 러버 돔(225) 상에 기포(217)가 발생하였을지라도, 키패드 시트부(210)의 키 입력 지점(205)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기포(217) 내의 공기는 공기 통로부(25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러버 돔(225)이 기포(217)에 의하여 접촉 돔(230)에 지속적으로 과도한 압력을 가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Even if air bubbles 217 are generated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nd on the rubber dome 225 if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provided on the attachment surface 215 in advance, A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key input point 205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ir in the bubble 217 moves to the air passage portion 250. Therefore, the situation in which the rubber dome 225 continuously exerts excessive pressure on the contact dome 230 by the bubble 217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피캐드 시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키패드 러버부(220)의 상부면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통로부(250)가 형성된 영역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부착면(215)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키패드 러버부(220)의 상부면 중에서 러버 돔(225)이 형성된 지점에 상응하는 부분과, 공기 통로부(250)가 형성된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에 한하여 도포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pidcad sheet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The adhesive agent may not be applied to the region where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formed. That is, the adhesive applied on the mounting surface 215 corresponds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rubber dome 225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formed Can be applied only to the surface except the portion of the surface.

그리고 키 입력 지점(205), 러버 돔(225) 또는 접촉 돔(230)과 중첩되는 영역에 발생한 기포(217) 내의 공기를 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공기 통로부(250)는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 사이에 형성되되, 키 입력 지점(205) 등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공기의 이동에 유리할 수 있다. Since the air in the bubble 217 generated in the area overlapping the key input point 205, the rubber dome 225 or the contact dome 230 must be moved to the other area,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movement of the air to be formed in the region between the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nd not overlapping with the key input point 205 or the like.

앞서 설명한대로, 공기 통로부(250)는 러버 돔(225) 상에 위치하는 기포(217)에 의하여 러버 돔(225)이 접촉 돔(230)에 가하는 압력이 과도해지고, 이에 따라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 생성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러버 돔(225)이 위치한 곳마다 공기 통로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ct dome 230 by the rubber dome 225 by the bubble 217 located on the rubber dome 225 becomes excessive,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from occurring i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Therefore, the air passage portion 250 may be provided wherever the rubber dome 225 is located.

또한, 하나의 러버 돔(225)에 상응하여 2 이상의 공기 통로부(250)가 2 이상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러버 돔(225)이 위치한 곳에 공기 통로부(250)가 형성되는 것을 편의상 러버 돔(225)에 공기 통로부(250)가 연결된다고 표현하도록 한다.Also, two or more air passages 250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directions corresponding to one rubber dome 225. The air passageway 250 is connected to the rubber dome 225 for the convenience of forming the air passageway 250 at a location where the rubber dome 225 is located.

공기 통로부)는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키패드 러버부(220)에는 2 이상의 러버 돔(225)이 형성되어 있다. 키패드 러버부(220)에 형성된 러버 돔(225)의 개수는 키패드 시트부(210)에 형성된 키 입력 지점(205)의 개수에 대응된다. 이 때, 공기 통로부(250)는 러버 돔(225)과 다른 하나의 러버 돔(225)이 연결되는 경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2 개의 러버 돔(225)이 하나의 공기 통로부(250)에 연결된 형태를 띨 수 있다.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In the keypad rubber part 220, two or more rubber dome 225 are formed. The number of the rubber dome 225 formed in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key input points 205 formed i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t this time, the air passage part 250 may be formed on the path connecting the rubber dome 225 and the other rubber dome 225. That is, two rubber dome 225 may be connected to one air passage portion 250.

또한, 하나의 상기 러버 돔(225)에 2 이상의 상기 공기 통로부(250)가 연결되면, 2 이상의 상기 공기 통로부(250)들은 러버 돔(225)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최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 입력 지점(205)을 누르는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에 상응하여 공기 통로부(250)가 최대한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수록 기포(217) 내의 공기가 보다 쉽게 공기 통로부(25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air passages 250 are connected to one rubber dome 225, the two or more air passages 250 may form a maximum angle with respect to the rubber dome 225 have.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input point 205, pressure can be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Correspondingly, as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as much as possible, the air in the bubble 217 is more easily discharged to the air passage Since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inside of the unit 250.

예컨대, 하나의 러버 돔(225)에 대하여 2개의 공기 통로부(250)가 형성된 경우 2개의 상기 공기 통로부(250)는 서로 180도의 각도를, 3개의 공기 통로부(250)가 형성된 경우 3개의 공기 통로부(250)들은 서로 120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wo air passages 250 are formed with respect to one rubber dome 225, the two air passages 250 form an angl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ree air passages 250 The air passage portions 250 may be formed to maintain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기 통로부가 키패드에 형성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10 and FIG. 11 illustrate how the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in the key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되는 키패드 시트부(210)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30)에 사용되는 키패드 러버부(220)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bottom view of a keypad sheet portion 210 used in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op view of the keypad rubber part 220 used in the user input par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대로, 공기 통로부(250)는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런데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의 사이에 기포 내의 공기를 수용할만한 공기 통로부(250)라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키패드 시트부(210)의 하부면 또는 키패드 러버부(220)의 상부면 중 일부 영역은 상호 접착되지 않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formed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in order to accommodate the air in the air bubble chamber 250, the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or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re not bonded to each other, or grooves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도 10은 키패드 시트부(210)의 하부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그리고 도 11은 키패드 러버부(220)의 상부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통로부(250)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따라서 키패드 시트부(210)와 키패드 러버부(220)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경우에도, 공기 통로부(250)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 공기를 수용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부(250)와 함께 키패드 시트부(210) 중 키 입력 지점(205) 또는 러버 돔(225)과 오버랩되는 영역(255)에도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키패드 시트부(210)의 하부면의 키 입력 지점(205) 또는 러버 돔(225)과 오버랩되는 영역(255)이 키패드 러버부(220)와 접착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키패드 압박에 따른 공기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shows a stat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formed by forming a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Therefore, even when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and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are adhered by the adhesive,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s not coated with the adhesiv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ir can be provided. The adhesive may not be applied to the key input portion 205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or the region 255 overlapping with the rubber dome 225 together with the air passage portion 250. If the key input portion 205 of the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portion 210 or the region 255 overlapping the rubber dome 225 is not bonded to the keypad rubber portion 220, It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30 : 사용자 입력부 180 : 제어부
205 : 키 입력 지점 210 : 키패드 시트부
215 : 부착면 220 : 키패드 러버부
225 : 러버 돔 230 : 접촉 돔
240 : 지지 기판 250 : 공기 통로부
130: user input unit 180:
205: key input point 210: keypad sheet portion
215: attachment surface 220: keypad rubber part
225: Rubber dome 230: Contact dome
240: support substrate 250: air passage portion

Claims (5)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키에 대해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키 입력 동작이 가해진 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 키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부면에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복수의 키 입력 지점을 포함하는 키패드 시트부;
상기 키 패드 시트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키 패드 시트 상의 상기 키 입력 지점과 상응하는 위치에 러버 돔이 형성된 키패드 러버부;
상기 키패드 시트부 상의 상기 키 입력 지점들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키 패드 러버부의 상기 러버 돔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러버 돔과 접촉되는 접촉 돔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 돔에 의해 접촉된 상기 접촉 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문자, 숫자, 기호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키패드 시트와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부착면에 기포가 발생되고 상기 기포가 상기 러버 돔 상에 위치한 경우, 상기 키패드 시트를 통해 상기 러버 돔과 상기 접촉 돔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기포 내의 공기가 이동하면, 이동된 상기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 시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상부면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부착되되,
상기 접착제는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상기 상부면 중에서 상기 러버 돔이 형성된 지점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에 도포되며,
상기 공기 통로부는 상기 키 입력 지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상기 키패드 러버부의 상부면에 홈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 us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key input operation when a key input operation is applied to an input key selected by the us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Here, the user input unit
A keypad sheet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input points on the upper surface, the keypad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symbols, and figures;
A keypad rubber part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and having a rubber dom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point on the keypad sheet;
And a contact dome in contact with the rubber dome as the rubber dom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is lower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key entry points on the keypad sheet portion,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ct dome; And
When air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attachment surfaces of the keypad sheet and the keypad rubber part and the bubbles are positioned on the rubber dome, pressure is applied to the rubber dome and the contact dome through the keypad sheet, And an air passage portion that receives the moved air when moved,
The lower surface of the keypad sheet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are attach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Wherein the adhesive is applied to a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ex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rubber dome is formed,
Wherein the air passage portion has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keypad rubber portion in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key input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기 통로부가 형성된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is applied to a surface excep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the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부는 상기 러버 돔과 다른 하나의 상기 러버 돔이 연결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assage portion is formed on a path where the rubber dome is connected to the other rubber dome.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러버 돔에 2 이상의 상기 공기 통로부가 연결 되는 경우,
2 이상의 상기 공기 통로부들은 상기 러버 돔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최대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wo or more air passage portions are connected to one rubber dome,
Wherein the at least two air passageways form a maximum angle with respect to the rubber dome.
KR1020110073016A 2011-07-22 2011-07-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801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16A KR101801142B1 (en) 2011-07-22 2011-07-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16A KR101801142B1 (en) 2011-07-22 2011-07-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88A KR20130011688A (en) 2013-01-30
KR101801142B1 true KR101801142B1 (en) 2017-11-24

Family

ID=4784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16A KR101801142B1 (en) 2011-07-22 2011-07-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1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363B1 (en) * 2013-09-27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624A (en) * 2005-09-13 2007-03-29 Shin Etsu Polymer Co Ltd Member for covering push-button switch
JP2007103166A (en) * 2005-10-04 2007-04-19 Alps Electric Co Ltd Sheet with contact point and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624A (en) * 2005-09-13 2007-03-29 Shin Etsu Polymer Co Ltd Member for covering push-button switch
JP2007103166A (en) * 2005-10-04 2007-04-19 Alps Electric Co Ltd Sheet with contact point and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88A (en)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0922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CN102419687B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its method
KR20110045330A (en) Mobile terminal
KR20090052243A (en) Mobile terminal and its key input method
US8878890B2 (en) Mobile terminal
KR20110045664A (en)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10068666A (en) Mobile terminal having a sid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functions of thereof
EP2590387B1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45686A (en)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30127122A (en) Apparatus hav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2369005B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KR20110139570A (en) Metho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in mobile terminal set up lockscree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007225B1 (en) Mobile terminal
KR20130132679A (en) Mobile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KR20100123336A (en) Method of switching user interface mod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9011104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in
KR102019122B1 (en) Mobile terminal
KR1018011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1911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95256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76510B1 (en) Mobile terminal
KR20140124303A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865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g method thereof
KR10175817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864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