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589B1 -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 Google Patents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589B1
KR101800589B1 KR1020170095682A KR20170095682A KR101800589B1 KR 101800589 B1 KR101800589 B1 KR 101800589B1 KR 1020170095682 A KR1020170095682 A KR 1020170095682A KR 20170095682 A KR20170095682 A KR 20170095682A KR 101800589 B1 KR101800589 B1 KR 10180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pattern
engraving
base
pri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17009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in Braille or with key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by blind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 원지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은 물론 인쇄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도 함께 인쇄할 수 있는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연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접합되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조각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접합되며, 상기 문양조각부에 형성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 모양이 볼록 성형되는 점자조각부; 및 상기 베이스와 문양조각부 및 점자조각부의 사이에 접합되어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콜드플로우(cold flow)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Flexographic printing plate for making paper cup with braille pri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 원지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은 물론 인쇄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도 함께 인쇄할 수 있는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소 인쇄는 볼록판인쇄의 일종으로 유연한 수지 또는 고무볼록판을 사용하고 용제 건조형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방식으로서, 활자조판, 선화볼록판, 망볼록판 등에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 가압하여 만든 모형에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나 플라스틱을 가압 가열하거나 화선이 단순한 경우에는 고무에 직접 조각하여 인쇄판을 만든다.
플렉소 인쇄기는 고무제 잉크집롤러, 금속성 잉크묻힘롤러(애닐록스롤러), 판통 및 압통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용에는 인쇄유닛을 겹쳐 쌓은 스탭 타입, 늘어나기 쉬운 필름용에는 중앙에 압통을 장치한 드럼타입, 또한 골판지용, 중장용에는 직선형인 라인타입이 사용된다.
플렉소 잉크는 고휘발속건성 또는 수성액상저점도 잉크로 쇄판에서의 제약이 있어 주로 알콜계 또는 수계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플렉소 인쇄는 판, 인쇄기, 잉크의 3요소가 다함께 기술적으로 향상됨으로써 플렉소 인쇄의 품질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어 칼라사진 인쇄 기술이 보급되고, 용도 또한 폭넓게 전개되어 상자, 컵 등의 포장, 신문 인쇄, 라벨 인쇄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보급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535호에 플렉소 인쇄에 적용되는 무늬가 서로 다른 종이컵 제조용 인쇄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플렉소 인쇄에 적용되는 무늬가 서로 다른 종이컵 제조용 인쇄판은 플렉소 인쇄기의 인쇄 롤에 의하여 종이컵 도안무늬를 인쇄함에 있어서, 인쇄 롤을 포감하여 부착되는 인쇄판에 도안무늬를 형성하되, 가로, 세로 방향으로 도안무늬가 서로 다르게 배열 형성함으로써, 종이컵을 성형하였을 때 도안이 각각 다른 종이컵이 제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플렉소 인쇄방식을 채택하여 인쇄판에 종, 횡으로 배열되는 무늬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무늬의 종이컵을 연속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종이컵 외부에 색채와 무늬를 형성하여 사람들에게 광고를 하는 방법인데, 일회용 종이컵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눈여겨보지 않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떨어지고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192535 Y1 (2000. 06. 0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이컵 원지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은 물론 인쇄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도 함께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손쉽게 점자를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콜드플로우(cold flow)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연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접합되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조각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접합되며, 상기 문양조각부에 형성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 모양이 볼록 성형되는 점자조각부; 및 상기 베이스와 문양조각부 및 점자조각부의 사이에 접합되어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콜드플로우(cold flow)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자조각부에 조각 가능한 점자 모양은 자음, 모음, 약자, 문장부호, 숫자, 연산자, 영어, 언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자조각부는 6개의 점을 이용하여 행렬식으로 배열 형성되며, 이들의 조합이 상기 문양조각부에 형성된 문양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2~3㎜이고, 상기 문양조각부 및 점자조각부의 두께는 1.5~1.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0.05~0.08㎜의 두께를 갖는 테프론 섬유를 액상 폴리부타디엔고무에 함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은 종이컵 원지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은 물론 인쇄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도 함께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손쉽게 점자를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들의 불편함을 이해하고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콜드플로우(cold flow)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콜드플로우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의 조각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통해 제조된 종이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의 조각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통해 제조된 종이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은 글씨, 무늬 등의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은 물론 인쇄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도 함께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 베이스(10), 문양조각부(20), 점자조각부(30) 및 보강재(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인쇄 압력 등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2~3㎜의 두께를 갖는 연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0)의 두께를 한정한 이유는, 플렉소 인쇄판 전체가 인쇄 시에 전단 방향으로 크게 변형되기 쉬워져 인쇄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인쇄를 반복했을 때에 플렉소 인쇄판 전체가 내려앉기 쉬워져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아크릴레이트를 주골격으로 한 프리폴리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광중합 금지제, 광중합 개시제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양각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조각부(2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접합되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된다.
상기 문양조각부(20)는 두께를 1.5~1.7㎜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상기 문양조각부(20)의 전단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하여 높은 인쇄 정밀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인쇄면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자조각부(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접합되며, 상기 문양조각부(20)에 형성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 모양이 볼록 성형된다.
상기 점자조각부(30)의 두께는 1.5~1.7㎜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를 한정한 이유는 상기 문양조각부(20)와 동일하다.
상기 점자조각부(30)에 조각 가능한 점자 모양은 자음, 모음, 약자, 문장부호, 숫자, 연산자, 영어, 언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자조각부(30)는 6개의 점을 이용하여 행렬식으로 배열 형성되며, 이들의 조합이 상기 문양조각부(20)에 형성된 문양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문양조각부(20)와 점자조각부(30)의 조각 작업은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작업순서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해당 문양 및 점자를 디자인한 후, 상기 문양 및 점자가 인쇄된 인쇄지를 인쇄 판재에 붙인 다음, 레이저, 고주파 조각기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인쇄된 문양 및 점자의 모양을 따라 양각의 문양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인쇄판의 두께가 불균일하면 잉크가 전이되지 않는 부분이나 인쇄 시의 압력이 높아져 화상에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인쇄판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문양조각부(20)와 점자조각부(30)가 콜드플로우(cold flow)를 일으키면 부분적으로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내콜드플로우성을 갖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40)는 상기 베이스(10)와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의 사이에 접합되어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콜드플로우(cold flow)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재(40)는 0.05~0.08㎜의 두께를 갖는 테프론 섬유를 액상 폴리부타디엔고무에 함침시켜 제조된다.
상기 테프론 섬유에 포함되는 테프론은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로서,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넓은 온도범위에서도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고무는 부타디엔을 용액 중합법으로 제조한 합성고무 제품으로서, 내마모성, 내굴곡성, 반발탄성, 내한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액상 형태의 폴리부타디엔고무는 저온 유연성을 향상시키거나 변형에 따른 발열을 감소시키며, 다른 층과 결합되도록 접착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테프론 섬유를 액상 폴리부타디엔고무에 함침시켜 제조된 보강재(40)의 경우, 100~120℃의 온도를 갖는 롤러로 가압시켜 상기 보강재(40)의 표면을 매끄럽게 평탄화시키도록 한다. 이때, 롤러의 압력은 90~110㎏/㎠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온도가 높을 경우 원단이 변형될 염려가 있으며,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평탄화되는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와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의 사이에 보강재(40)를 접합함으로써,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콜드플로우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인쇄판의 내콜드플로우성을 향상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통해 제조된 종이컵에는 다양한 문양을 인쇄함은 물론 인쇄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도 함께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손쉽게 점자를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들의 불편함을 이해하고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연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10)의 상부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된 문양조각부(20)와, 상기 문양조각부(20)에 형성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 모양이 볼록 성형된 점자조각부(30)를 각각 접합하고, 상기 베이스(10)와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의 사이에 보강재(40)를 접합하여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을 제조하되, 보강재의 접합을 생략하고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플렉소 인쇄판의 내콜드플로우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렉소 인쇄판과 상기 비교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렉소 인쇄판을 각각 5×5㎝의 정사각형으로 잘라서 3㎏의 무게로 누른 후 48시간동안 방치한 후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였다.
플렉소 인쇄판의 두께 감소율이 2.0%를 초과하면 보존 또는 수송된 경우에 판이 변형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2.0% 미만을 합격으로 하였으며, 상기한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렉소 인쇄판은 비교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렉소 인쇄판에 비해 내콜드플로우성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베이스
20 : 문양조각부
30 : 점자조각부
40 : 보강재

Claims (5)

  1.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연성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접합되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문양조각부(2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접합되며, 상기 문양조각부(20)에 형성된 문양을 뜻하는 점자 모양이 볼록 성형되는 점자조각부(30); 및
    상기 베이스(10)와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의 사이에 접합되어 인쇄 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한 콜드플로우(cold flow) 현상으로 인쇄판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보강재(40);
    를 포함하며,
    상기 점자조각부(30)에 조각 가능한 점자 모양은,
    자음, 모음, 약자, 문장부호, 숫자, 연산자, 영어, 언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점자조각부(30)는,
    6개의 점을 이용하여 행렬식으로 배열 형성되고, 이들의 조합이 상기 문양조각부(20)에 형성된 문양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10)의 두께는 2~3㎜이고, 상기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의 두께는 1.5~1.7㎜이며,
    상기 문양조각부(20) 및 점자조각부(30)는,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부타디엔계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프리폴리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중합 금지제 및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며,
    상기 보강재(40)는,
    0.05~0.08㎜의 두께를 갖는 테프론 섬유를 액상 폴리부타디엔고무에 함침시켜 제조되고,
    100~120℃의 온도와 90~110㎏/㎠의 압력을 갖는 롤러로 가압시켜 표면을 매끄럽게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5682A 2017-07-27 2017-07-27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KR10180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82A KR101800589B1 (ko) 2017-07-27 2017-07-27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82A KR101800589B1 (ko) 2017-07-27 2017-07-27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589B1 true KR101800589B1 (ko) 2017-11-22

Family

ID=6080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82A KR101800589B1 (ko) 2017-07-27 2017-07-27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5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036A (ja) * 1999-12-31 2003-06-17 マクデルミ・グラフィック・アール・エス・アー フレキソ印刷用の圧縮性印刷版とその獲得方法
JP6029397B2 (ja) * 2012-09-14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炭化珪素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036A (ja) * 1999-12-31 2003-06-17 マクデルミ・グラフィック・アール・エス・アー フレキソ印刷用の圧縮性印刷版とその獲得方法
JP6029397B2 (ja) * 2012-09-14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炭化珪素半導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2191B2 (ja) フレキシブル補助刷版および特殊インクを用いた可変印刷プロセス
ES8605719A1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lamina de plastico provista de un granulado
CN101398616B (zh) 树脂凸版及其制造方法
TW201334637A (zh) Uv硬化之最適化
CN201268140Y (zh) 一种可重复使用的移印胶头
WO2016051860A1 (ja) 凹凸面に加飾する加飾品の製造方法、凹凸面に加飾を施した加飾品と描画品の製造方法
CN104487251B (zh) 在旋转印刷中用不同墨水制成的压印的精确对准的方法
KR101800589B1 (ko) 점자 인쇄 기능을 갖는 종이컵 제조용 플렉소 인쇄판
CN207044885U (zh) 一种循环使用的网版印刷装置
JP2014133336A (ja)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パネル用基板の製造方法
CN106739593A (zh) 一种浮雕冷烫工艺
CN101003223A (zh) 定位非压式“压痕”工艺
JPH0459347A (ja) 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9018504A (ja) 印刷物
US11667099B2 (en) System for creating a relief pattern on a substrate
CN101456309A (zh) 凸版印版
CN207594514U (zh) 一种新型立体烫印卷标生产装置
CN106599464B (zh) 一种纸制品圆压圆印刷装置的设计方法
KR101765017B1 (ko) 에칭판재를 배제한 부분 에칭 코팅방법
US11602945B2 (en) Multi-purpose acid-etched metallic stamps and dies
JP2019091080A (ja) シール
CN214873377U (zh) 压力控制结构及激光直接雕刻橡胶版
JP2849169B2 (ja) エンボス加工装置
KR900002093B1 (ko) 금속성 증착막의 형성방법
JPH05278317A (ja) 凹凸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