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257B1 -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257B1
KR101800257B1 KR1020170047595A KR20170047595A KR101800257B1 KR 101800257 B1 KR101800257 B1 KR 101800257B1 KR 1020170047595 A KR1020170047595 A KR 1020170047595A KR 20170047595 A KR20170047595 A KR 20170047595A KR 101800257 B1 KR101800257 B1 KR 10180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ater
action rod
washing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비제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제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제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2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2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35Driving means; Parts thereof, e.g. turbine, shaft, bearing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 F24F2001/003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eaning system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leaning a place where a system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regardless of an installation height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by using an elevating part, perform cleaning by rotating 360 degrees at the center of the place where the system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by using a steering part, not requiring an additional cleaning means after cleaning is started because selectively sending steam, water, detergent, and compressed air to a place where the cleaning is required, completing the cleaning without moving the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owing an operator to work at a safe distance from wash water. To this end, a device for cleaning a system air conditioner includes a cleaning auxiliary portion, a cleaning portion, an elevating portion, a steering portion, and a cleaning byproduct collecting portion.

Description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시스템에어컨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부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 위치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설치 높이에 상관없이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된 곳을 세척할 수 있고, 조향부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어컨을 설치한 곳의 중앙부에서 360°로 회전하면서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이 필요한 곳에 스팀, 물, 세제 및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어 세척을 시작한 후 다른 추가 세척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 세척장치를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세척을 완료할 수 있고, 작업자가 세척수로부터 안전한 거리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for a system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system air conditioner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using a lifting unit, It can be cleaned by rotating 360 ° at the center of the floor, and steam, water, detergent and compressed air can be selectively sent to the places where it needs to be cleaned. And to enable a worker to work at a safe distance from the washing water.

에어컨은 주변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냉매를 통해 차운 공기로 변환하여 다시 실내로 돌리는 장치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까지 흡입하게 되며, 실내의 공기 수준에 따라 에어컨의 오염도가 달라진다. 실내의 나쁜 공기가 에어컨을 통해 실내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를 장착하였지만, 눈이 보이지 않는 초미립자 형태의 세균까지 걸르지는 못한다. 이러한 세균은 에어컨의 내부는 물론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된 곳에 쌓이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거주자의 건강을 해치게 될 것이다. The air conditioner sucks the surrounding hot air, converts it into cool air through the coolant, and turns it back into the room. It sucks indoor air so that it absorbs the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 The filter is installed to prevent the bad air in the room from circulat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but it does not cover bacteria that are invisible ultra-fine particles. These bacteria accumulate inside the air conditioner as well as the system air conditioner. If you do not remove it, it will harm the health of the residents.

시스템에어컨은 하나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를 사용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천장에 실내기를 설치하는데, 냉방 용량이 크기 때문에 대형사무실에 많이 설치된다. System air conditioner means a product that uses several indoor units in one outdoor unit. Generally,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도 1은 시스템에어컨을 청소하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way of cleaning the system air conditioner.

도 1a는 천장에 설치된 시스템에어컨의 뚜껑을 분해하는 사진이고, 도 1b는 시스템에어컨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천장에서 분리한 후 이를 세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1c는 시스템에어컨이 제거된 시스템에어컨 설치부의 하부에 세척수를 모으는 비닐 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d는 작업자가 비닐 막 사이로 시스템에어컨이 제거된 시스템에어컨 설치부를 세척하는 사진이다. FIG. 1B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are separated from the ceiling and then cleaned. FIG. 1C is a photograph showing a system air conditioner And FIG. 1D is a photograph of the operator cleaning the system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system air conditioner is removed between the vinyl films.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천장에 설치된 시스템에어컨 모두를 천장에서 분리하여 이들을 각각 세척하여 건조한 후 이를 다시 천장에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스템에어컨을 확실하게 세척할 수 있지만, 분리 및 재조립은 일반사람들이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하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것은 당연하다. Referring to FIGS. 1A and 1B, conventionally, all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s installed on the ceiling are separated from the ceiling, and then they are washed, dried, and then assembled on the ceiling. Although the system air conditioner can be cleaned reliably, separation and reassembly is difficult for the average person to do, so it is natural that it will have to be referred to a specialist and it will cost considerably.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천장에 설치된 시스템을 제거한 후 하부에 세척수 수집용 비닐 막을 설치하여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되었던 곳 즉 시스템에어컨 설치부를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에어컨 세척수에 작업자가 노출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시스템에어컨은 물론 시스템에어컨 설치부에는 일반인이 상상할 수도 없는 건강에 해로운 세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 작업자가 세척수에 노출된다는 것은 그만큼 세균감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S. 1C and 1D, a system for installing a system air conditioner, that is, a system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unit, is shown. In this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is exposed to the air-conditioner washing water. In addition to the system air conditioner, the system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part includes the harmful bacteria which can not be imagined by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it is disadvantageous that the cleaning worker is exposed to the washing water.

또한, 세척수를 수집하기 위하여 비닐을 설치하는 것이 쉬운 작업이 아닐 뿐만아니라,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된 공간의 크기가 다를 수 있고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비닐의 가장자리와 세척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밀폐하여야 하므로 비닐을 재사용한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거나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y to install vinyl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the size of the space where the system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may be different, and the edge of the vinyl and the edge of the portion to be cleaned must be sealed by using the adhesive means, Reuse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quite difficult or difficul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3921호(2015년 6월 29일)Korean Patent No. 10-1533921 (June 29, 20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승강부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어컨의 설치 높이에 상관없이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된 곳을 세척할 수 있고, 조향부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어컨을 설치한 곳의 중앙부에서 360°로 회전하면서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이 필요한 곳에 스팀, 물, 세제 및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어 세척을 시작한 후 다른 추가 세척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 세척장치를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세척을 완료할 수 있고, 작업자가 세척수로부터 안전한 거리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ir conditioner which can clean a place where a system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And can send steam, water, detergent and compressed air selectively where it needs to be cleaned, so that no additional cleaning means are required after the cleaning has started and the cleaning can be completed without moving the cleaning device And to provide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that allows a worker to work at a safe distance from washing wat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는, 세척보조부, 세척부, 승강부, 조향부 및 세척부산물 수집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leaning a system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leaning auxiliary part, a cleaning part, a lift part, a steering part, and a cleaning byproduct collecting part.

상기 세척보조부는 스팀, 물, 세제, 세척용 압축공기 및 승강용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보조부에서 생성된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 중 하나를 세척대상에 회전하면서 분사하며, 세척이 되는 부분의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실린더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 바와 동반하여 상기 세척부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조향부는 상기 세척부를 일정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세척부산물 수집부는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세척대상으로부터 세척부산물을 수집한다. The cleaning auxiliary section supplies steam, water, detergent, compressed air for cleaning, and compressed air for ascending. The washing unit rotates one of the steam, water, detergent, and compressed air generated in the washing auxiliary unit to rotate the washing object, and generates an image of the washing unit.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moves upward and downward along with the cylinder bar mov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vertically erected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compressed air. The steering unit rotates the wash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washing by-product collecting par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part to collect washing by-products from the washing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는, 승강부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어컨의 설치 높이에 상관없이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된 곳을 세척할 수 있고, 조향부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어컨을 설치한 곳의 중앙뷰에서 360°로 회전하면서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이 필요한 곳에 스팀, 물, 세제 및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어 세척을 시작한 후 다른 세척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본 세척장치를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세척을 완료할 수 있어, 작업자가 세척수로부터 안전한 거리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a place where the system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by using the elevator, It can be cleaned by turning, and steam, water, detergent and compressed air can be selectively sent to where it needs to be cleaned, so that no other cleaning means is required after the cleaning has started and the cleaning can be completed without moving the cleaning device This allows the operator to work at a safe distance from the wash water.

도 1은 시스템에어컨을 청소하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4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세척부산물 수집부를 구성하는 세척물받이를 나타낸다.
도 6은 세척부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을 나타낸다.
도 7은 분사노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세척부를 나타낸다.
도 8은 조향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사진이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way of cleaning the system air conditioner.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Fig. 5 shows a washing water receptacle constituting a washing by-product collecting part.
Fig. 6 shows the spray nozzle constituting the washing section.
Fig. 7 shows the cleaning por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injection nozzle.
8 shows the steering unit.
9 is a photograph of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provided for explain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3 illustrat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는, 세척보조부(110), 승강부(120), 제어부(130), 조향부(140), 세척부산물 수집부(150), 세척부(160), 역류 방지부(170), 배수부(180), 외장패널(190) 및 바퀴(195)를 포함한다. 2 and 3,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leaning auxiliary section 110, a lift section 120, a control section 130, a steering section 140, a cleaning by-product collecting section 150, A backflow prevention portion 170, a drainage portion 180, an exterior panel 190, and a wheel 195. [

세척보조부(110)는 스팀기(111), 살수기(112), 물/세제 전환기(113), 콤프레셔(114), 에어투입 레버(114-1), 저장용기(115) 및 투입관(118)을 포함한다. 스팀기(111)는 저장용기(115)로부터 물을 입수하여 고압스팀을 생성한다. 물/세제 전환기(113)는 저장용기(115)로부터 입수하는 물 또는 세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통과시킨다. 살수기(112)는 물/세제 전환기(113)로부터 출력되는 물 또는 세제를 가압한다. 콤프레셔(114)는 세척용 압축공기(AirⅠ) 및 승강용 압축공기(AirⅡ)를 생성한다. 저장용기(115)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116)와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 저장부(117)로 나뉘어 있다. 투입관(118)은 스팀기(115)로부터 출력되는 고압스팀, 살수기(112)로부터 출력되는 고압의 물 또는 고압의 세제, 콤프레셔(114)에서 생성된 세척용 압축공기(AirⅠ)를 후술하는 세척부(160)로 전달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투입관(118)은 세척보ㅈ조(110)에 속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세척부(160)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leaning auxiliary section 110 includes a steam generator 111, a water sprayer 112, a water / detergent selector 113, a compressor 114, an air inlet lever 114-1, a storage container 115, . The steam generator 111 receives water from the storage vessel 115 to generate high-pressure steam. The water / detergent switch 113 selectively passes either water or detergent from the storage container 115. The water sprayer 112 pressurizes water or detergent output from the water / detergent switch 113. The compressor 114 generates compressed air (Air I) for cleaning and compressed air (Air II) for ascending / descending. The storage container 115 is divided into a water storage part 116 for storing water and a detergent storage part 117 for storing the detergent. The inlet pipe 118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steam output from the steam generator 115, the high pressure water or high pressure detergent output from the water sprayer 112, the cleaning air Air I generated in the compressor 114, (160). Although the inlet pipe 118 is described as belonging to the cleaning unit 110 in the above description, it may be included in the cleaning unit 16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승강부(120)는 실린더(121), 실린더 바(122), 실린더 보호캡(123), 액션봉 보호캡(124) 및 에어공급관(125)를 포함한다. The elevating portion 120 includes a cylinder 121, a cylinder bar 122, a cylinder protecting cap 123, an action rod protecting cap 124, and an air supplying pipe 125.

실린더(121)는 에어공급관(125)을 통해 인가되는 콤프레셔(114)에 생성된 승강용 압축공기(AirⅡ)를 이용하여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 바(122)를 실린더(121) 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린더 보호캡(123)은 실린더(12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액션봉 보호캡(124)은 실린더 보호캡(123)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 보호캡(123)의 외부로 돌출하는 제1액션봉(후술, 161)을 보호한다. The cylinder 121 reciprocates within the cylinder 121 by using the elevating compressed air (Air II) generated in the compressor 114 a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25 Function. The cylinder protection cap 123 protects the cylinder 121 against external impact and the action rod protection cap 12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protection cap 123 a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protection cap 123 Thereby protecting the first action rod (described later) 161 that protrudes.

제어부(130)는 복수의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스위치부(131), 디스플레이 패널(132) 및 복수의 제어레버를 포함하는 제어레버부(133)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control switch unit 131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a display panel 132, and a control lever unit 133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rol levers.

제어스위치부(131)는 콤프레셔 제어스위치(131-1), 스팀기 제어스위치(131-2), 살수기 제어스위치(131-3) 및 물/세제 전환제어스위치(131-4)를 포함한다. 콤프레셔 제어스위치(131-1)는 콤프레셔(114)의 동작을 제어하며, 스팀기 제어스위치(131-2)는 스팀기(111)를 동작시켜 고압스팀을 투입관(118)에 전달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살수기 제어스위치(131-3)는 살수기(112)의 동작을 제어하여 고압의 물 또는 세제를 투입관(118)에 전달할 것인가를 결정하며, 물/세제 전환제어스위치(131-4)는 물/세제 전환기(113)기가 물 또는 세제 중 하나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2)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후술하는 세척부(160)의 액션캠(167)에서 촬영한 영상을 재생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32)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세척되는 곳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레버부(133)는 에어투입 레버(133-1), 실린더 상승레버(133-2) 및 실린더 하강레버(133-3)를 포함한다. 에어투입 레버(133-1)는 콤프레셔(114)와 세척부(160) 사이에 설치되어 콤프레셔(114)에서 생성되는 세척용 압축공기를 세척부(160)에 전달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실린더 상승레버(133-2) 및 실린더 하강레버(133-3)는 콤프레셔(114)에서 생성되어 승강부(120)에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실린더 바(122)가 실린더(121)에서 왕복 운동하는 방향을 결정한다. 왕복 운동이라고 표현하였지만, 실제로는 상하 운동이 될 것이다. The control switch unit 131 includes a compressor control switch 131-1, a steam control switch 131-2, a sprinkler control switch 131-3 and a water / detergent switching control switch 131-4. The compressor control switch 131-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14. The steam control switch 131-2 operates the steamer 111 to determine whether high pressure steam is to be delivered to the inlet pipe 118, The sprinkler control switch 131-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prinkler 112 to determine whether high pressure water or detergent is to be delivered to the inlet pipe 118. The water / So that the detergent selector 113 can deliver either water or a detergent. The display panel 132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reproduces an image photographed by an action cam 167 of a cleaning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while grasping the display panel 132 with the naked eye or grasp the situation of the cleaned state. The control lever section 133 includes an air closing lever 133-1, a cylinder rising lever 133-2, and a cylinder lowering lever 133-3. The air inlet lever 133-1 is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114 and the cleaner 160 to determine whether to deliver the compressed air for cleaning generated in the compressor 114 to the cleaner 160. [ The cylinder lifting lever 133-2 and the cylinder lowering lever 133-3 adjust the amount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in the compressor 114 and transmitted to the lifting unit 120 so that the cylinder bar 122 moves in the cylinder 121, The direction of reciprocating motion is determined. It is expressed as a reciprocating motion, but it will actually be a vertical movement.

조향부(140)는 조향핸들(141), 제어기어(142), 연동기어(143),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 조향핸들 바(145) 및 조향링(146)을 포함한다. The steering portion 140 includes a steering handle 141, a control gear 142, an interlock gear 143, a steering handle bar fixing portion 144, a steering handlebar 145 and a steering ring 146.

조향핸들(141)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분사노즐(후술)이 세척하고자 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360°의 회전도 가능하다. 조향링(146)은 제2액션봉(후술, 162)에 설치되는데, 설치되는 위치는 액션봉 스핀 캡(후술, 163)이 설치된 곳의 상부이다. 제어기어(142)는 조향핸들(141)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연동기어(143)는 제어기어(142)에 맞물리어 제어기어(142)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는 연동기어(143)에 결합하여 연동기어(143)와 동일한 속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향핸들 바(145)는 일 단이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에 결합하고, 일정 각도 굴절된 반대 단은 조향링(146)에 연결되어, 조향핸들(141), 제어기어(142), 연동기어(143) 및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의 회전에 대응하여 최종적으로는 제2액션봉(162)을 회전시킨다. The steering wheel 141 can be manual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adjust the direction to be sprayed by the spray nozzle (described later) and rotate 360 degrees. The steering ring 146 is installed on the second action rod 162, which is the upper portion where the action rod spin cap (to be described later) 163 is installed. The control gear 142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141. The interlocking gear 143 meshes with the control gear 142 and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control gear 142. The steering handle bar fixing portion 144 is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143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speed as the interlocking gear 143. One end of the steering handle bar 145 is engaged with the steering handle bar fixing portion 144 and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handle bar 145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ring 146 so that the steering handle 141,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finally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gear 143 and the steering handle bar fixing portion 144. [

세척부산물 수집부(150)는 세척물받이(151), 액션봉 가이드 봉(154) 및 액션봉 캡(155)을 포함한다. The washing byproduct collecting unit 150 includes a washing water reservoir 151, an action rod guide rod 154, and an action rod cap 155.

세척물받이(151)는 세척이 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넓이 및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공간을 가지며, 하부 중앙에 액션봉 가이드 홀(152) 그리고 하부 가장자리에 배수용 홀(153)이 형성되어 있다. 액션봉 가이드 봉(154)은 액션봉 가이드 홀(152)에 관통하여 고정되며, 비어 있는 중앙부에 제2액션봉(후술, 162)이 삽입된다. 제2액션봉(162)이 회전함에 따라 액션봉 가이드 봉(154)이 회전하며 결국 세척물받이(151)도 제2액션봉(162)의 회전에 동반하여 회전하게 된다. 액션봉 캡(155)은 액션봉 가이드 봉(154)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액션봉(162)의 최상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단은 배수용 홀(153)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은 보조 물받이(미도시)에 연결된 호스 또는 관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세척물받이(151)가 세척수를 1차로 수집한 후 이를 다시 보조 물받이(미도시)로 이송하여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ashing water receptacle 151 has a space having a width and a predetermined depth to cover the area to be cleaned, and has an action rod guide hole 152 at a lower center and a drain hole 153 at a lower edge.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is fixed through the action rod guide hole 152, and a second action rod (described later) 162 is inserted into a hollow central portion. As the second action rod 162 rotates,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rotates and eventually the washing water receptacle 151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The action rod cap 15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so th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fixe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hose or a pipe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tray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end thereof and at the other end to the water discharge hole 153. The cleaning water receiver 151 may collect the washing water first and then transfer the same to the auxiliary water receiver (not shown) to facilitate the treatment.

세척부(160)는 제1액션봉(161), 제2액션봉(162), 액션봉 스핀 캡(163), 세척수 방향전환부(164), 분사보조관(165), 분사노즐(166), 액션캠(167) 및 베어링(168)을 포함한다. The washing unit 160 includes a first action rod 161, a second action rod 162, an action rod spin cap 163, a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a spray auxiliary pipe 165, a spray nozzle 166, An action cam 167, and a bearing 168.

제1액션봉(161)은 하부가 실린더 바(122)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척보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투입관(118)을 통해 비어 있는 내부공간으로 유입한다. 제1액션봉(161)은 하부 및 측면은 폐쇄되어 있지만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제2액션봉(162)은 하부가 제1액션봉(161)과 분리된 상태로 제1액션봉(161)의 상부에 위치하며, 비어 있는 내부공간의 형태 및 크기가 제1액션봉(161)의 비어 있는 내부공간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하다. 액션봉 스핀 캡(163)은 제1액션봉(161)의 상부의 일부 및 제2액션봉(162)의 하부의 일부를 동시에 감싼다. 제1액션봉(161)의 상부와 제2액션봉(162)의 하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액션봉(161)은 고정되어 있더라도 제2액션봉(162)은 제1액션봉(161)과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다. 세척수 방향전환부(164)는 제2액션봉(162)의 최상부에 제2액션봉(162)과 결합하며, 제1액션봉(161) 및 제2액션봉(162)의 비어 있는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의 방향을 전환한다. 여기서 방향을 전환한다는 의미는 제2액션봉(16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first action rod 16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ar 122 and the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leaning auxiliary portion 110 are introduced into the empty space through the inlet pipe 118 Flow. The first action rod 161 has a shape in which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are closed but the upper portion is open.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ction rod 161 in a state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tion rod 161, ) ≪ / RTI > The action rod spin cap 163 simultaneously wraps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tion rod 161 and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tion rod 16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are not coupled bu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if the first action rod 161 is fixed, 162 can rotate regardless of the first action rod 161.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is coupled to the second action rod 162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and connects the empty inner space of the first action rod 161 and the second action rod 162 Converts the direction of the moving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Here, the switching of the direction means that the steam, the water, the detergent, and the cleaning compressed ai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action rod 162 are ch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분사보조관(165)은 세척수 방향전환부(164)의 중심을 관통하며, 비어 있는 내부통로를 통해 세척수 방향전환부(164)에 전달된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외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외부는 세척수 방향전환부(164)의 외부를 의미한다. 분사노즐(166)은 분사보조관(165)의 일단에 연결되어 분사보조관(165)을 따라 유입되는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세척하고자 하는 부위에 분사한다. 액션캠(167)은 분사보조관(165)의 다른 일단의 중간 표면에 설치되어 세척중인 곳의 상태를 촬영한다. 제2액션봉(162)은 액션봉 가이드 봉(154)에 삽입되어 세척물받이(15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데, 베어링(168)은 제2액션봉(162)의 하부(168-1)와 상부(168-2)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제2액션봉(162)이 액션봉 가이드 봉(154)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베어링(168-1)은 조향링(146)이 설치된 상부에 설치하며, 다른 하나의 베어링(168-2)는 제2액션봉(162)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jet auxiliary pipe 165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portion 164 and conveys the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delivered to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portion 164 to the outside through the empty inner passage do. Here, the outside means the outside of the wash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The injection nozzle 16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jection auxiliary pipe 165 and injects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introduced along the injection auxiliary pipe 165 onto a portion to be cleaned. The action cam 167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jet assist tube 165 to photograph the state of the cleaning position.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inserted into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and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receiving surface 151. The bearing 168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168-1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So that the second action rods 162 can be smoothly rotated within the action rod guide rods 154.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one bearing 168-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where the steering ring 146 is installed and the other bearing 168-2 is installed o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

따라서, 액션봉 캡(155)의 하부 내면이 다른 하나의 베어링(168-2)과 접하게 되고, 액션봉 가이드 봉(154)의 하부 내면이 하나의 베어링(168-1)과 접하게 된다. Therefore,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action rod cap 15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ther bearing 168-2,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comes into contact with one bearing 168-1.

역류 방지부(170)는 제1 역류방지장치(171), 제2 역류방지장치(172), 제3 역류방지장치(173), 제4 역류방지장치(174)를 포함한다. The backflow prevention portion 170 includes a first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1, a second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2, a third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3, and a fourth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4.

제1 역류방지장치(171)는 스팀기(111)와 투입관(118)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에 설치된다. 제2 역류방지장치(172)는 살수기(112)와 투입관(118)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 사이에 설치된다. 제3 역류방지장치(173)는 콤프레셔(112)와 투입관(112)을 연결하는 제3연결관에 설치된다. 제4 역류방지장치(174)는 제1연결관, 제2연결관 및 제3연결관이 합류하는 곳과 투입관(112)을 연결하는 제4연결관에 설치된다. The first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1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team pipe 111 and the inlet pipe 118. The second check valve 172 is installed between the sprinkler 1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118. The third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3 is installed in a third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compressor 112 and the inlet pipe 112. The fourth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4 is installed in a fourth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112 with the jun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배수부(180)는 제1 배수수단(181) 및 제2 배수수단(184)을 포함한다. The drainage section 180 includes a first drainage means 181 and a second drainage means 184.

제1 배수수단(181)은 스팀기(111)와 제1 역류방지장치(171) 사이의 제1연결관에 설치된 제1 배수밸브(182) 및 제1 공기유입밸브(183)를 포함한다. 제2 배수수단(184)은 살수기(112)와 제2 역류방지장치(172) 사이의 제2연결관에 설치된 제2 배수밸브(185) 및 제2 공기유입밸브(186)를 포함한다. 제1 배수밸브(182) 및 제2 배수밸브(185)는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에 존재하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가 되며, 제1 공기유입밸브(183) 및 제2 공기유입밸브(186)는,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에 강제로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한다. The first drainage means 181 includes a first drain valve 182 and a first air inlet valve 183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between the steam generator 111 and the first check valve 171. The second drainage means 184 includes a second drain valve 185 and a second air inlet valve 186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pipe between the sprinkler 112 and the second anti-reverse device 172. The first drain valve 182 and the second drain valve 185 are paths for discharging the substances existing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air inflow valve 183 and the second air The inlet valve 186 is used to perform a function of forcibly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외장패널(190)은 세척보조부(110), 승강부(120), 제어부(130), 조향부(140), 세척부산물 수집부(150), 세척부(160), 역류 방지부(170) 및 배수부(180)의 외부를 감싼다. The exterior panel 190 includes a cleaning auxiliary section 110, an elevation section 120, a control section 130, a steering section 140, a cleaning byproduct collecting section 150, a cleaning section 160, a backflow prevention section 170,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drainage section 180.

바퀴(19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이동을 원할하게 한다. The wheel 195 is installed under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를 나타낸다. 4 shows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도 4a는 외장패널이 설치된 시스템에어컨을 나타내며, 도 4b는 외장패널이 제거된 시스템에어컨을 나타내고, 도 4c는 프레임이 제거된 시스템에어컨을 나타낸다. 4A shows a system air conditioner in which an exterior panel is installed, FIG. 4B shows a system air conditioner in which an exterior panel is removed, and FIG. 4C shows a system air conditioner in which a frame is removed.

도 4b를 참조하면,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형태는 프레임에 의해서 결정되고, 프레임의 외부에 외장패널(190)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하부에는 바퀴(19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100)의 내부에는 스팀, 물, 세제, 세척용 압축공기 및 승강용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다양한 연결관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the shape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is determined by a frame, and the exterior panel 190 is installed outside the fram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a wheel 195 is installed under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Referring to FIG. 4C, it can be seen that various connection pipes through which steam, water, detergent, clean air for cleaning, and compressed air for lift move are installed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100.

도 5는 세척부산물 수집부를 구성하는 세척물받이를 나타낸다. Fig. 5 shows a washing water receptacle constituting a washing by-product collecting part.

도 5를 참조하면, 세척물받이(151)의 중앙부에는 액션봉 가이드봉(154)이 액션봉 가이드 홀(152)을 관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액션봉 가이드봉(154)의 상부에는 액션봉 캡(155)가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an action rod guide rod 154 penetrates through the action rod guide hole 152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water receptacle 151. It can be seen that the action rod cap 155 is positioned above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도 6은 세척부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을 나타낸다. Fig. 6 shows the spray nozzle constituting the washing section.

도 6을 참조하면, 하부의 제2 액션봉(162)을 통해 세척수 방향전환부(164)에 전달된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는 세척수 방향전환부(164)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분사보조관(165)을 경유하여 분사노즐(166)로 최종 전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66)은 하나만 설치하더라도 세척에는 문제가 없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노즐(166)이 수직방향으로 직렬로 배열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6, the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delivered to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through the lower second action rod 162 are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finally delivered to the injection nozzle 166 through the injection auxiliary pipe 165 provided in the injection nozzle 166. Even if only one injection nozzle 166 for spraying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is installed, there is no problem in cleaning. However,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66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

세척수 방향전환부(164)를 기준으로 분사노즐(166)과는 반대방향의 분사보조관(165)에 설치된 액션캠(167)에서는, 분사노즐(166)로부터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곳의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촬영을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2)에 전달한다. The action cam 167 provided on the jet assistant pipe 165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jet nozzle 166 with respect to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receives the steam, And sends it to the display panel 132 so as to monitor the state of the air spraying position.

도 7은 분사노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세척부를 나타낸다. Fig. 7 shows the cleaning por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injection nozzle.

도 7a는 세척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세척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part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part.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상하에 위치하는 제2 액션봉(162) 및 제1 액션봉(161)의 접촉 부에는 액션봉 스핀 캡(163)이 설치되어 있어, 하부의 제1 액션봉(161)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라도 상부의 제2 액션봉(162)은 조향링(146)의 회전과 동반하여 회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액션봉(161)의 하부면이 실린더 바(122)의 상부 면에 결합하고 있어, 실린더 바(122)가 실린더(121)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할 때 제1 액션봉(161)도 동반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액션봉(161)의 상부에는 제2 액션봉(16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액션봉(161)의 상하 이동은 제2 액션봉(162)으로 전이될 것은 당연하다. 7, an action rod spin cap 163 is provided on the contact portions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and the first action rod 161, which are position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without being coupled to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second action rod 162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ring 146 even when the first action rod 161 is fixed. 7,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ction rod 161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bar 122. When the cylinder bar 122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cylinder 121, One action rod 161 is also moved up and down together. Since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tion rod 161, it is natural tha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rst action rod 16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action rod 162.

제2 액션봉(162)의 최하부는 액션봉 스핀 캡(163)으로 커버되어 있고, 액션봉 스핀 캡(163)의 바로 상부에는 조향링(146)이 고정되어 있고, 조향핸들 바(145)의 일 단은 조향링에 고정되어 있다. 조향링(146)은 조향핸들 바(145)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데, 조향핸들 바(145)의 다른 일 단은 조향핸들(141)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는 연동기어(143)에 설치되어 동반 회전하는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향핸들(141)을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2 액션봉(162)도 동반 회전하게 된다.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covered with the action rod spin cap 163 and the steering ring 146 is fixed directly above the action rod spin cap 163, One end is fixed to the steering ring. The steering ring 146 can be moved by the steering handle bar 145.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handle bar 145 is installed in the interlock gear 143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steering handle 141, When the steering handle 141 is rotated, the second action rod 162 also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141. As shown in FIG.

제2액션봉(162)은 실린더 바(122)의 상하운동으로 실린더(12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조향부(140)의 조향핸들 바(145)의 회전에 동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econd action rod 162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cylinder 121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cylinder bar 122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bar 145 of the steering unit 140, Can be performed.

제2 액션봉(162)에는 조향링(146)의 상부에 2개의 베어링(168-1, 168-2)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의 베어링(168-1)은 액션봉 가이드 봉(154)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의 베어링(168-2)은 액션봉 캡(155)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베어링(168)의 형태와 베어링(168)에 접하게 되는 액션봉 가이드 봉(154)의 하단 및 액션봉 캡(155)의 하단의 형태는 동일하게 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부의 베어링(168-1)은 조향링(146)의 바로 상부에 설치하고, 상부의 베어링(168-2)은 제2 액션봉(162)의 최상부에 설치한다. The second action rod 162 is provided with two bearings 168-1 and 168-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ring ring 146. [ The lower bearing 168-1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and the upper bearing 168-2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ion rod cap 155. [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hape of the bearing 168 and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and the lower end of the action rod cap 155 which contact the bearing 168 should be the same. The lower bearing 168-1 is installed just above the steering ring 146 and the upper bearing 168-2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물받이(151)의 중앙부에 형성된 액션봉 가이드 홀(152)에 삽입 고정되는 액션봉 가이드 봉(154)의 내부 및 액션봉 캡(155)의 비어 있는 내부로 제2 액션봉(162)이 위치하게 될 것이다. The inside of the action rod guide rod 154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ction rod guide hole 15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water receptacle 151 and the empty inside of the action rod cap 155, Lt; RTI ID = 0.0 > 162 < / RTI >

제2 액션봉(162)의 상부에는 세척부 방향전환부(164)가 설치되는데, 제2 액션링(162)의 내부로 이동하는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분사노즐(166)에서 더 강력한 힘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2 액션링(162)의 상부와 세척부 방향전환부(164) 사이에는 제2 액션봉(162)의 비어 있는 내경에 비해 좁은 내경을 가지는 연결관(화살표)을 적어도 하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shing unit direction switching unit 16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The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moving into the second action ring 162 are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166, The second action ring 162 and the cleaning part direction switching part 16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pe having an inner diameter narrower than the empty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action rod 162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t least one of them.

도 8은 조향부를 나타낸다. 8 shows the steering unit.

도 8을 참조하면, 조향부(140)를 구성하는 조향핸들(141)이 제어기어(14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기어가 제어기어(142)와 맞물려 있는 연동기어(143)는 제어기어(14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동기어(143)의 상부에는 연동기어(143)에 고정되어 연동기어(143)와 동반회전하는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가 설치되어 있고, 조향핸들 바 고정부(144)에는 조향핸들 바(145)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조향핸들 바(145)는 "ㄱ(기역)"자로 굴절되어 있는데 굴절된 상부의 끝은 조향링(146)에 연결되어 있다. 조향링(146)은 제2 액션봉(16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향링(146)이 회전하면 제2 액션봉(162)도 동반 회전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다. 8, the steering handle 141 constituting the steering portion 140 can rotate the control gear 142, and the interlocking gear 143 with the gear engaged with the control gear 142 is rotated by the control gear 142 142 in the opposite direction. A steering handlebar fixing portion 144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143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interlocking gear 143. The steering handlebar fixing portion 144 is provided with a steering handle bar 143, (Not shown). The steering handlebar 145 is refracted to the "a" (base), and the refracted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ring 146. Since the steering ring 146 is fixed to the second action rod 162,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that the second action rod 162 also rotates when the steering ring 146 rotate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사진이다. 9 is a photograph of a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세척물받이(151)에 설치된 배수용 홀(153)에 배수용 호스(주황색 호스)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a drain hose (orange hose) is installed in the drain hole 153 provided in the washing water receiving portion 151.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세척보조부
111: 스팀기 112: 살수기
113: 물/세제 전환기 114: 콤프레셔
115: 저장용기 116: 물 저장부
117: 세제 저장부 118: 투입관
120: 승강부
121: 실린더 122: 실린더 바
123: 실리더 보호캡 124: 액션봉 보호캡
125: 에어공급관
130: 제어부
131: 제어스위치부 132: 디스플레이 패널
133: 제어레버부
140: 조향부
141: 조향핸들 142: 제어기어
143: 연동기어 144: 조향핸들 바 고정부
145: 조향핸들 바 146: 조향링
150: 세척부산물 수집부
151: 세척물받이 152: 액션봉 가이드 홀
153: 배수용 홀 154: 액션봉 가이드 봉
155: 액션봉 캡
160: 세척부
161: 제1 액션봉 162: 제2 액션봉
163: 액션봉 스핀 캡 164: 세척수 방향전환부
165: 분사보조관 166: 분사노즐
167: 액션캠 168: 베어링
170: 역류방지부
171: 제1 역류방지장치 172: 제2 역류방지장치
173: 제3 역류방지장치 174: 제4 역류방지장치
180: 배수부
181: 제1 배수수단
182: 제1배수밸브 183: 제1 공기유입밸브
184: 제2 배수수단
185: 제2배수밸브 186: 제2 공기유입밸브
190: 외장패널
195: 바퀴
110:
111: Steamer 112: Sprinkler
113: water / detergent switcher 114: compressor
115: storage container 116: water storage part
117: Detergent storage part 118: Input pipe
120:
121: cylinder 122: cylinder bar
123: seal protecting cap 124: action rod protective cap
125: air supply pipe
130:
131: control switch section 132: display panel
133: Control lever part
140: Steering section
141: Steering handle 142: Control gear
143: interlock gear 144: steering wheel bar fixing portion
145: Steering handlebar 146: Steering ring
150: washing by-product collecting unit
151: Cleaning cloth 152: Action rod guide hole
153: Drain hole 154: Action rod guide rod
155: Action rod cap
160:
161: first action rod 162: second action rod
163: action rod spin cap 164: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section
165: injection auxiliary tube 166: injection nozzle
167: Action cam 168: Bearing
170:
171: first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2: second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3: third backflow prevention device 174: fourth backflow prevention device
180:
181: first drainage means
182: first drain valve 183: first air inlet valve
184: second drainage means
185: second drain valve 186: second air inlet valve
190: external panel
195: Wheels

Claims (9)

스팀, 물, 세제, 세척용 압축공기 및 승강용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세척보조부;
상기 세척보조부에서 생성된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 중 하나를 세척대상에 회전하면서 분사하며, 세척이 되는 부분의 영상을 생성하는 세척부;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실린더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 바와 동반하여 상기 세척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부;
상기 세척부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조향부; 및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세척대상으로부터 세척부산물을 수집하는 세척부산물 수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하부 및 측면은 닫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실린더 바의 상부에 결합하는 제1액션봉;
일 단이 상기 제1액션봉의 비어있는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다른 일 단으로 상기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투입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제1액션봉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제1액션봉의 상부에 위치하며, 비어 있는 내부공간의 형태 및 크기가 상기 제1액션봉의 비어 있는 내부공간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한 제2액션봉;
상기 제1액션봉과 상기 제2액션봉이 접하는 부분을 감싸는 액션봉 스핀 캡;
상기 제2액션봉의 최상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1액션봉 및 상기 제2액션봉의 비어 있는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세척수 방향전환부;
상기 세척수 방향전환부의 중심을 관통하며, 전달된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개방되어 있는 일 단자로 전달하며 반대 단자는 폐쇄된 분사보조관;
상기 분사보조관의 일 단자에 연결되어 스팀, 물, 세제 및 세척용 압축공기를 세척하고자 하는 부위에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보조관의 외면에 고정되어 상기 세척대상의 세척상태를 촬영하는 액션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
A cleaning auxiliary unit for supplying steam, water, detergent, compressed air for cleaning, and compressed air for ascending / descending;
A washing unit for spraying one of the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washing auxiliary unit to the washing object while rotating to generate an image of the washing unit;
A lifting unit moving up and down the cleaning unit in association with a cylinder bar moving up and down along an inner surface of a cylinder vertically erected by the lifting compressed air;
A steering unit rotating the wash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washing by-product collecting unit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unit to collect washing by-products from the washing subject; / RTI >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first action rod having a lower portion and a side surface closed,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ar;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 an empty internal space of the first action ro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lied with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The first action rod and the second action rod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ction rod,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empty inner space are equal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empty inner space of the first action rod A second action rod;
An action rod spin cap enclosing a portion of the first action rod and the second action ro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unit coupled to an uppermost portion of the second action rod and switching directions of steam,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moving along the hollow inner spaces of the first action rod and the second action rod;
Water, detergent and cleaning compressed ai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ashing water direction switching portion to the opened one of the terminals and the opposite terminal of the closed auxiliary auxiliary tube;
A spray nozzle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spray auxiliary tube for spraying steam, water, detergent, and compressed air for washing to a portion to be cleaned; And
An action cam which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jection auxiliary tube and photographs the washing stat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of
Where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세척보조부는,
물과 세제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물을 입수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투입관의 다른 일 단으로 전달하는 스팀기;
일단으로 유입되는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 또는 세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른 일단으로 전달하는 물/세제 전환기;
상기 물/세제 전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물 또는 세제를 상기 투입관의 다른 일 단으로 전달하는 살수기; 및
상기 세척용 압축공기 및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상기 세척용 압축공기는 상기 투입관으로 전달하고,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는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에어공급관을 통해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콤프레셔; 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에는,
상기 스팀기와 상기 투입관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에 설치된 제1 역류방지장치;
상기 살수기와 상기 투입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 사이에 설치된 제2 역류방지장치; 및
상기 투입관과 상기 콤프레셔를 연결하는 제3연결관에 설치된 제3 역류방지장치; 를
포함하는 역류방지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water and detergent separately;
A steam generator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storage vessel to generate steam and deliver the steam to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A water / detergent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the water or detergent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 be introduced into one end and delivering the selected water or detergent to the other end;
A water sprayer for delivering water or detergent output from the water / detergent converter to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And
A compressor for generating the compressed air for cleaning and the compressed air for ascending and delivering the compressed air for cleaning to the charging pipe and for transmitt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compressed air to the elevating unit through an air supply pipe constituting the elevating unit; Lt; / RTI >
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 first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teamer and the inlet pipe;
A second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sprinkl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A third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a third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pipe and the compressor; To
And a backflow prevention portion including a backflow preventing portion that includes the backflow prevention portion.
제4항에서,
상기 콤프레셔, 상기 스팀기, 상기 살수기 및 상기 물/세제 전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스위치부;
상기 액션캠에서 촬영한 영상 및 상기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에어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용 압축공기의 전달을 제어하는 레버, 상기 실린더 바가 상승할 것을 지시하는 실린더 상승레버 및 상기 실린더 바가 하강할 것을 지시하는 실린더 하강레버를 포함하는 제어레버부; 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control switch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mpressor, the steamer, the water sprayer, and the water / detergent switchgear;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mage captured by the action cam and a state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And
A control lever part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ipe and including a lever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compressed air, a cylinder up-lever for indicating that the cylinder bar is to be lifted, and a cylinder lowering lever for lowering the cylinder bar; To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4항에서,
상기 스팀기와 상기 제1 역류방지장치 사이의 상기 제1연결관에 설치된 제1 배수밸브 및 제1 공기유입밸브를 포함하는 제1배수수단; 및
상기 살수기와 상기 제2 역류방지장치 사이의 상기 제2연결관에 설치된 제2 배수밸브 및 제2 공기유입밸브를 포함하는 제2배수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수밸브 및 상기 제2 배수밸브는 상기 제1연결관 및 상기 제2연결관에 존재하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가 되며,
상기 제1 공기유입밸브 및 상기 제2 공기유입밸브는, 상기 제1연결관 및 상기 제2연결관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drainage means including a first drain valve and a first air inlet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between the steamer and the first check valve; And
Second drainage means including a second drain valve and a second air inlet valve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pipe between the sprinkler and the second check valve; of
Further,
The first drain valve and the second drain valve serve as a path for discharging a substance existing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to the outside,
Wherein the first air inlet valve and the second air inlet valve are used to inject air into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hee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washing apparatus; To
Wherein the system air conditioner clea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KR1020170047595A 2017-04-12 2017-04-12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KR1018002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95A KR101800257B1 (en) 2017-04-12 2017-04-12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95A KR101800257B1 (en) 2017-04-12 2017-04-12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257B1 true KR101800257B1 (en) 2017-11-22

Family

ID=6080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95A KR101800257B1 (en) 2017-04-12 2017-04-12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2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357A (en) * 2019-02-25 2019-06-28 深圳市贝优通新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height adjustment and cleaning function
KR20190090440A (en) * 2018-01-25 2019-08-02 심종원 Cleaning devic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34B1 (en) * 2011-07-22 2012-01-31 김성남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leaning device
KR101112604B1 (en) 2010-12-17 2012-02-15 주식회사 에어텍씨엔피 Cleaning devic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04B1 (en) 2010-12-17 2012-02-15 주식회사 에어텍씨엔피 Cleaning devic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KR101108234B1 (en) * 2011-07-22 2012-01-31 김성남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lean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40A (en) * 2018-01-25 2019-08-02 심종원 Cleaning devic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KR102015721B1 (en) 2018-01-25 2019-10-21 심종원 Cleaning devic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CN109945357A (en) * 2019-02-25 2019-06-28 深圳市贝优通新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height adjustment and clean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54824U (en) A kind of intelligent floor-sweeping floor-mopping robot
CN103188985B (en) Dishwasher
KR101800257B1 (en)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KR101800266B1 (en)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including strering unit
CN106164358B (en) Hand-held clothes treatment device
CN104213363B (en) Portable clothes processing unit
KR101667861B1 (en) air conditioner cleaning equipment
KR101920930B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side Duct
KR20120104686A (en) Ceiling reclamation type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KR101394587B1 (en) Ceiling flush self-cleaning of the heat exchanger coil pin robot
CN109700378A (en) Surface cleaning head for vacuum cleaner
KR101920929B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side Duct
CN111334964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800264B1 (en)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including automatic cleaner
KR101800268B1 (en)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including control unit
KR200485045Y1 (en) Washing apparatus for system air conditioner including collector of cleaning by-product
KR101893377B1 (en) Improved Apparatus for Cleaning Air-Conditioner Embedded in Ceiling
JP2007117463A (en) Cleaning system with returnable container
KR100697080B1 (en) Upright Vacuum Cleaner
CN107581984A (en) A kind of intelligent clean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based on detection of going mouldy
KR200460627Y1 (en) Ceiling air conditioner cleaning device
KR101203071B1 (en) High pressure washer for system air conditioner
KR20120007141U (en) Apparatus for washing for fitting i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394590B1 (en) Ceiling flush self-cleaning of the heat exchanger coil pin robot
KR20220096313A (en) Cleaner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