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232B1 -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232B1
KR101800232B1 KR1020170048470A KR20170048470A KR101800232B1 KR 101800232 B1 KR101800232 B1 KR 101800232B1 KR 1020170048470 A KR1020170048470 A KR 1020170048470A KR 20170048470 A KR20170048470 A KR 20170048470A KR 101800232 B1 KR101800232 B1 KR 10180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int
distribution line
pol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진
Original Assignee
성진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진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B64C2201/127
    • B64C2201/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64U2201/104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은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주 위치 정보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하늘을 비행하는 드론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 운행 앱을 저장하며 상기 드론 운행 앱을 활성화하여 드론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드론의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의 경로에 기초한 비행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 수신된 배전 선로의 온도 정보가 기저장된 온도 정보와 상이한 경우의 온도 정보와 열화상 카메라 촬영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스마트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고도 정보 및 각 배전 선로의 설치되는 시작점과 종점 전주의 위치 정보와 각 전주와 각 전주 사이의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시작점 전주로부터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종점 전주까지의 위치 정보를 비행 경로로 설정하며 상기 비행경로에 대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고도에 따라 비행하면서 부착된 열화상 카메라부가 전주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에서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전주 열화상 정보, 배전 선로 포인트에 대한 열화상 정보,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열화상 카메라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전주 및 배전 선로를 촬영할 수 있는 일반 카메라가 부착된 드론과, 상기 드론으로부터 배전 선로의 경로인 비행경로에 해당하는 각 전주의 열화상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의 각 포인트 열화상 정보, 각 촬영 지점의 위치 정보 및 각 촬영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각 전주와 배전 선로 각 포인트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전주 열화상 정보 및 배전 선로 각 포인트의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해당 전주 또는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동시에 스마트 단말기로 해당 열화상 정보와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관리 서버 및 스마트 단말기, 드론 및 관리 서버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Remote and Real-time Monitering System of Temperatature of Distribute Power Line by Using Drone}
본 발명은 가공 배전 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배전 선로는 시내의 경우 도로를 따라 설치되나 농촌의 경우에는 논밭을 경유하거나 숲이 우거진 산을 경유하여 설치되므로 전주 및 가공 배전선의 관리가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601900호(2016. 03. 09.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배전선로용 원격 모니터링 방법 시 적용되는 장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배전선로용 원격 모니터링 방법시 적용되는 장치는 배전선로(10)에 설치되어 배전선로(10)의 전류 데이터값을 측정하는 모니터링 감지기(100)와, 상기 모니터링 감지기(100)로부터 원격신호의 형태로 상기 전류 데이터값을 전송받는 서버(200)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된 전류 데이터값을 가시화시키는 디스플레이(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격신호의 형태는 저속 저전력 기반의 원격개인영역 통신 기술로, IEEE 802.15.4 표준을 하위 표준(PHY & MAC)으로 하고, 상위에 NTW, APL을 표준화하고 보안도 추가한 ZigBee 연합에서 제정한 국제표준 스펙인 'zigbee'로 채택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모니터링 감지기(100)는 배전전주 또는 배전탑들(20)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고 운전전류 1,000 암페어 및 운전전압 22.9kV에서 운전 가능한 배전선로들(10)에 설치된다. 또한, 동작온도는 -40도씨 내지 +90도씨이다. 상기 모니터링 감지기(100)는 상기 배전선로(10)의 전기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상기 전기적인 상태는 상기 배전선로(10)에서 흐르는 전류 데이타값이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감지기(100)는 상기 배전선로(10)가 끼워져 관통되는 끼움홀(111)이 형성되는 구형상의 감지기 몸체부(110)와, 상기 감지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전선로(10)의 전기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류 데이타값을 취득하는 전류 감지부(120)와, 상기 전류 감지부(120)로부터 전류 데이터값을 전송받아 수집하는 메인 씨피유(150)와, 상기 메인 씨피유(150)에서 수집된 전류 데이터값들을 상기 서버(200)로 원격으로 전송하는 무선 모듈부(160)와, 상기 감지기 몸체부(110)의 둘레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태양광을 전달받아 구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전류 감지부(120)와 상기 메인 씨피유(150)와 상기 무선모듈부(160)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기 몸체부(110)의 둘레는 상기 격자형상의 설치홀들(112a)을 형성하는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2)으로 인하여 형성된 격자형상의 설치홀들(112a) 각각에는 전원공급부(17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상기 설치홀들(112a)에 끼워지도록 격자형상의 곡면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태양광과 같은 광을 전달받아 집광하는 집광판(171)을 구비하는 솔라셀일 수 있다. 상기 솔라셀은 상기 프레임(112)의 설치홀(112a)에 설치되어 그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상기 셀(cell) 타잎의 솔라감지기를 이용한 5W급 발전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감지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70)에 의하여 전환된 구동에너지를 일정량으로 저장하는 커페시터(180)가 더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류 감지부(120)는 상기 배전선로(10)에 흐르는 전류 데이타값을 감지하는 전류센서이다. 상기 전류 감지부(12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감지기 몸체부(110)의 끼움홀(111)의 양단에 끼워져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전선로용 모니터링 감지기 및 이를 갖는 배전선로용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류 감지부(120)와 메인 씨피유(150)와 무선 모듈부(160)는 전원공급부(170)로부터 구동에너지를 제공받는다. 또한, 전원공급부(170)는 솔라셀로써, 셀 형태의 격자형상을 가진 판재로 이루어지고, 이 표면에 집광판(171)을 구비하기 때문에, 태양광으로부터 광에너지를 공급받아 구동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70)는 감지기 몸체부(100)를 이루는 프레임(112)의 설치홈(112a)에 설치되고, 구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감지기 몸체부(110)의 사방에서의 태양광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커페시터(180)는 상기 전환되는 구동에너지를 일정량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구동에너지는 전원공급부(170)가 외부로부터 광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예컨대 '밤'인 경우에 전원공급부(170)로 구동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이와 같은 전원공급부(170)는 전류 감지부(120)와 메인 씨피유(150)와 무선 모듈부(160)로 구동 에너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전류 감지부(120)와 메인 씨피유(150)와 무선 모듈부(160)는 작동된다. 먼저, 전류 감지부(120)는 배전선로(10)에서 흐르는 전류 데이타값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전류 데이타값을 메인 씨피유(15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류 감지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전류 데이터값은 메인 씨피유(150)로부터 무선 모듈부(160)로 전송된다. 상기 무선 모듈부(160)는 상기 데이타값을 원격신호의 형태로 전환하여 원거리에 마련되는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어, 상기 서버(200)는 이 전송받은 데이터값들을 디스플레이(300)를 통하여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300)에 나타나는 데이터값들을 통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배전선로(10)의 전류의 흐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배전선로(10)의 전류값 상태는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배전선로(10)의 주변 풍향과 풍속 그리고, 배전선로(10)[0050] 의 기울기 상태 및 그 주변부의 외부 상황등을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이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다음과 같은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배전선로(10)의 주변부에 발생되는 풍향과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 감지기와, 상기 배전선로(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풍향/풍속 감지기와 기울기 감지기는 배전선로(10)의 주변의 풍향값과 풍속값 및 상기 배전선로(10)의 기울기값을 데이타값으로 하여 메인 씨피유(1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풍향/풍속 감지기는 배전선로(10)의 외면이 기후적 영향에 의하여 축축해지어 발생되는 상간 단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화상취득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상취득부는 CCTV와 같은 장치로써, 상기 화상취득부는 배전선로(10)의 주변 바람직하게는 감지기 몸체부(110)의 주변 또는 그 내부 배전선로(10)의 주변상태에 대한 화상데이타값을 취득하여 메인 씨피유(15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상취득부는 배전선로(10)의 주변의 산불, 산사태, 악천후 등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10)와 원거리에 마련되는 서버(200)가 설치된 관측소(400)에서 실시간으로 배전선로(10)의 전기적 또는 기후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배전선로(10)에 이상상태가 발생되면 즉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전선로용 원격 모니터링 방법 시 적용되는 장치는 배전 선로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긴 경간으로 길게 뻗은 배전선로에서 나무 접촉으로 인한 지락 사고, 바람에 의하여 날린 물체에 의한 선로가 단락 사고 등을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 선로의 전주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배전 선로의 경로를 비행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의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다닐 수 없는 배전 선로에 대하여 드론을 이용하여 드론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배전 선로의 과전류에 의한 단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며 각 상에 흐르는 전류의 불균형을 파악하여 각 상에 연결되는 소비자 단상 전력의 접속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은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주 위치 정보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하늘을 비행하는 드론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 운행 앱을 저장하며 상기 드론 운행 앱을 활성화하여 드론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드론의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의 경로에 기초한 비행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 수신된 배전 선로의 온도 정보가 기저장된 온도 정보와 상이한 경우의 온도 정보와 열화상 카메라 촬영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스마트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고도 정보 및 각 배전 선로의 설치되는 시작점과 종점 전주의 위치 정보와 각 전주와 각 전주 사이의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시작점 전주로부터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종점 전주까지의 위치 정보를 비행 경로로 설정하며 상기 비행경로에 대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고도에 따라 비행하면서 부착된 열화상 카메라부가 전주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에서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전주 열화상 정보, 배전 선로 포인트에 대한 열화상 정보,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열화상 카메라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전주 및 배전 선로를 촬영할 수 있는 일반 카메라가 부착된 드론과, 상기 드론으로부터 배전 선로의 경로인 비행경로에 해당하는 각 전주의 열화상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의 각 포인트 열화상 정보, 각 촬영 지점의 위치 정보 및 각 촬영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각 전주와 배전 선로 각 포인트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전주 열화상 정보 및 배전 선로 각 포인트의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해당 전주 또는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동시에 스마트 단말기로 해당 열화상 정보와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관리 서버 및 스마트 단말기, 드론 및 관리 서버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비행경로는 각 배전 선로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전주의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에 대하여는 경간의 길이에 따라 3포인트 또는 5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생성될 수 있는 것이고, 고도 정보는 전주의 높이, 배전 선로의 정격 전압에 대하여 유지하여야 할 이격 거리, 열화상 카메라 성능에 따라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은 배전 선로 전 구간을 드론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의 과전류 여부, 각 상의 전류의 불균형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스마트 단말기 및 드론을 이용하여 한 지점에서 장거리의 배전 선로 전체의 각 선로에 대한 온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들판이나 산과 같이 차량이 다닐 수 없는 곳의 전주 및 배전 선로에 대하여 원거리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전선로용 원격 모니터링 방법 시 적용되는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를 운행하는 운행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방법 제1실시 예에 대한 제어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방법 제2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은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주 위치 정보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하늘을 비행하는 드론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 운행 앱을 저장하며 상기 드론 운행 앱을 활성화하여 드론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드론의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의 경로에 기초한 비행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 수신된 배전 선로의 온도 정보가 기저장된 온도 정보와 상이한 경우의 온도 정보와 열화상 카메라 촬영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고도 정보 및 각 배전 선로의 설치되는 시작점과 종점 전주의 위치 정보와 각 전주와 각 전주 사이의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시작점 전주로부터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종점 전주까지의 위치 정보를 비행 경로로 설정하며 상기 비행경로에 대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고도에 따라 비행하면서 부착된 열화상 카메라부가 전주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에서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전주 열화상 정보, 배전 선로 포인트에 대한 열화상 정보,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열화상 카메라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전주 및 배전 선로를 촬영할 수 있는 일반 카메라가 부착된 드론(300)과 상기 드론으로부터 배전 선로의 경로인 비행경로에 해당하는 각 전주의 열화상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의 각 포인트 열화상 정보, 각 촬영 지점의 위치 정보 및 각 촬영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각 전주와 배전 선로 각 포인트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전주 열화상 정보 및 배전 선로 각 포인트의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해당 전주 또는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동시에 스마트 단말기로 해당 열화상 정보와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관리 서버(400) 및 스마트 단말기, 드론 및 관리 서버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망(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시간 정보가 필요한 것은 배전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새벽, 오전, 오후 및 야간 첨두 부하 시간 등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기준 시간 정보에 따라 배전 선로의 흐르는 전류가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온도 정보도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모리에 기저장된 정보는 각 전주 위치 정보, 각 전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시간 정보, 각 전주 열화상 정보가 저장되고, 배전 선로에 대하여는 전주와 전주 사이의 설정된 각 포인트에 대하여 포인트 위치 정보, 열화상 카메라 촬영시간 정보, 열화상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400)는 배전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배전 선로에서 배전 선로의 시작점 전주 위치에서부터 배전 선로의 종점 전주 위치 정보까지 각 배전 선로에 대하여 시작점 전주 위치 정보, 시작점 전주와 2번째 전주와의 사이의 배전 선로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할 3포인트 또는 5포인트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배전 선로 시작점 전주부터 종점 전주까지 전체에 대하여 형성된 전주 위치 정보와 배전 선로 포인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410)와, 각 배전 선로에 대하여 설정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드론이 설정된 고도를 비행하면서 드론의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시작점 전주 위치에 대한 시작점 전주 열화상 정보, 시작점 전주와 2번째 전주 사이의 배전선에 대한 3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제1전주-3포인트 위치 열화상 정보 및 2번째 전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2번째 전주와 3번째 전주 사이의 전선의 제2전주-3포인트 위치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와 3번째 전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3번째 전주와 4번째 전주 사이의 배전선의 제3전주-3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와 같이 각 전주에 대한 열화상 정보와 각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및 각 촬영시간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DB(420)와, 각 배전 선로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정보 DB(430)와 상기 지도 정보 DB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 상에 배전 선로의 전주 위치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각 포인트 위치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를 매칭하도록 하는 매칭부(440)와, 각 전주의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지도 정보, 지도상에 매칭된 각 전주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및 촬영 시간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450)와, 드론이 배전 선로 경로를 비행하면서 드론에 부착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하고 전송한 각 전주 위치 정보와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각 위치에 대한 해당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와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에서 전주 위치 정보, 전주 열화상 정보, 전주 촬영 시간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와 해당 포인트의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및 포인트 촬영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460)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각 전주 열화상 정보와 촬영시간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및 촬영 시간 정보를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동일 위치 전주의 촬영 시간 정보와 열화상 정보 및 동일한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한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 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상 정보 비교 판단부(470)와, 드론 및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480)와,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DB, 지도 DB에 관련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매칭부를 제어하여 지도상에서 각 배전 선로의 각 전주 위치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와 열화상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정보 추출부(460)로 하여금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열화상 정보와 촬영시간 정보와 위치 정보에서 각 전주 위치 정보와 해당 전주 열화상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전주 열화상 정보, 각 포인트에 대한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촬영 시간 정보, 지도 정보, 지도 정보에 맵핑된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열화상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각 전주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와 해당 열화상 정보를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DB에 기저장된 각 전주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와 전주 열화상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포인트 배전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도록 제어하며 비교 결과 상이한 경우 표시부로 하여금 해당 전주 또는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해당 열화상 정보를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드론 및 스마트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4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전주 및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것은 열화상 정보에서 취득되는 동일 위치와 동일 시간대의 온도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온도 정보는 시간대 및 각 배전 선로의 각 상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고, 배전 선로의 어느 한 점이 열화되거나 손상되면 그 지점의 온도가 다른 부위보다 상승될 수 있으므로 온도 변화에 따라 배전 선로의 손상 부위 또는 열화 부위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배전 선로 각 상의 온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각 상 전류의 불균형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저장된 동일 위치 동일 촬영 시간에 대한 온도 정보의 이상 여부 판단은 배전 선로에 접속되는 부하 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변화폭이 ±10% 이내인 경우 변동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여 전주 위치 정보, 전주 촬영시간 정보, 전주와 전주 사이의 각 포인트 위치인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포인트 촬영시간 정보, 상기 전주 위치 정보 및 각 포인트 위치에 해당하는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를 지도 정보에 맵핑하여 제공하거나 해당 각 전주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해당 열화상 정보 또는 해당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촬영시간 정보, 해당 포인트 위치에 대한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드론이 비행하는 고도 정보는 전주의 높이를 기초로 하여 정해질 수 있는 것으로 관리 서버에 DB로 저장하였다가 스마트 단말기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다시 드론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 단말기에 드론이 비행할 고도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드론으로 전송하여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드론을 비행하면서 고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200)는 배전 선로의 전주 위치 정보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210)와 배전 선로 경로 상의 지형에 따른 비행 고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도 정보 DB(220)와,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원격에서 비행하는 드론의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 경로에 따라 비행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운행 어플부(230)와, 드론 및 관리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부(240)와,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에 저장된 전주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 정보와 비행 고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운행 어플부를 활성화하여 드론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드론의 고도 정보와 비행경로를 제어하며 관리 서버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각 전주 위치 정보,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비행 고도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배전 선로가 맵핑된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거나 전주 또는 배전 선로 포인트에 대한 열화상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해당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할 수 있는 표시부(2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를 운행하는 운행 상태도 이다. 상기도 5에서 드론은 배전 선로가 지나가는 경로를 따라 설정된 고도로 비행하면서 드론(300)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주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설정된 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촬영하고 촬영시간 정보, 위치 정보 및 촬영된 열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방법 제1실시 예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방법 제1실시 예는 배전 선로에 구성되는 시작점 전주 위치 정보, 종점 전주 위치 정보와 시작점 전주부터 종점 전주까지의 전주와 전주 사이에 체결 구성되는 배전 선로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고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할 다수의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와 드론이 비행할 배전 선로의 고도에 따른 고도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와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1)와, 각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른 전주 위치 정보 및 배전 선로 각 포인트 위치 정보에 대하여 이상 여부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는 열화상 정보 및 촬영 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2)와, 스마트 단말기에서 드론이 비행할 배전 선로에 대한 고도 정보, 배전 선로의 경로인 비행경로에 따른 전주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13)와, 스마트 단말기가 드론 운행 앱을 활성화하여 설정된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 경로 정보인 비행 경로로 드론이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4)와, 드론에 구성된 GPS 수신기가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5)와, 드론이 GPS 수신기가 수신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기수신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열화상 카메라를 구동하여 전주 또는 배전 선로의 설정된 포인트 위치를 촬영하는 단계(S16)와, 드론이 촬영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7)와, 관리 서버가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메모리에 기저장된 각 전주 위치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S18)와, 비교 결과 열화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S19)와, 관리 서버가 이상으로 판단된 전주 또는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와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20)와 관리 서버가 이상으로 판단된 전주 및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빛 열화상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드론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전주 또는 배전선로 포인트의 위치 정보와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전주 또는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는 오차가 5m 이내인 경우 동일한 위치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 및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다르게 하여 장 경간의 배전 선로에서도 배전선로 각 부분이 골고루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포인트 위치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방법 제2실시 예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 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방법 제2실시 예는 배전 선로에 구성되는 시작점 전주 위치 정보, 종점 전주 위치 정보와 시작점 전주부터 종점 전주까지의 전주와 전주 사이에 체결 구성되는 배전 선로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고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할 다수의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와 드론이 비행할 배전 선로의 고도에 따른 고도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 및 기준이 되는 각 위치에 대한 열화상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와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21)와, 스마트 단말기가 드론이 비행할 배전 선로에 대한 고도 정보, 배전 선로의 경로인 비행경로에 따른 전주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각 위치에 대한 기준이 되는 열화상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S22)와, 스마트 단말기가 드론 운행 앱을 활성화하여 설정된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 경로 정보인 비행 경로로 드론이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3)와, 드론에 구성된 GPS 수신기가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4)와, 드론이 GPS 수신기가 수신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기수신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열화상 카메라를 구동하여 전주 또는 배전 선로의 설정된 포인트 위치를 촬영하는 단계(S25)와, 드론이 촬영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드론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S26)와, 비교 결과 열화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S27)와,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드론이 드론에 설치된 일반 카메라를 구동시켜 이상으로 판단된 위치를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상으로 판단된 지점의 위치 정보, 열화상 카메라 촬영시간 정보, 열화상 정보 및 상기 일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와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8)와,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이상으로 판단된 지점의 위치 정보, 열화상 카메라 촬영시간 정보, 열화상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29))와 스마트 단말기의 소지자가 현장에서 이상으로 판단된 위치(지점)에 대하여 조치하고 조치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26 단계에서 비교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드론이 열화상 카메라를 구동시커 배전 전로를 비행하면서 촬영 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열화상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1)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지도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S32)와, 관리 서버가 지도 정보에 맵핑된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33)로 이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S32 단계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치 결과를 지도 정보에 맵핑하여 관리 서버가 조치 결과를 S33 단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200 : 스마트 단말기, 210 : 배전선로 위치 정보 DB,
220 : 고도 정보 DB, 230 : 운행 어플부,
250 : 제어부, 300 : 드론,
400 : 관리 서버, 420 : 열화상 정보 DB,
430 : 지도 정보 DB, 440 : 매칭부,
460 : 정보 추출부

Claims (3)

  1. 삭제
  2. 배전 선로의 동일 포인트와 동일 시간에 촬영한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전 선로의 동일 포인트와 동일 시간에 촬영한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은,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주 위치 정보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고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하늘을 비행하는 드론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드론 운행 앱을 저장하며 상기 드론 운행 앱을 활성화하여 드론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드론의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의 경로에 기초한 비행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로부터 새로 수신된 배전 선로의 온도 정보가 기저장된 온도 정보와 상이한 경우의 온도 정보와 열화상 카메라 촬영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것으로 배전 선로의 전주 위치 정보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210)와 배전 선로 경로 상의 지형에 따른 비행 고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도 정보 DB(220)와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원격에서 비행하는 드론의 고도 정보와 배전 선로 경로에 따라 비행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운행 어플부(230)와 드론 및 관리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부(240)와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에 저장된 전주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 정보와 비행 고도 정보를 드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운행 어플부를 활성화하여 드론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드론의 고도 정보와 비행경로를 제어하며 관리 서버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50) 및 각 전주 위치 정보,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비행 고도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배전 선로가 맵핑된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하거나 전주 또는 배전 선로 포인트에 대한 열화상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해당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할 수 있는 표시부(260)로 구성된 스마트 단말기(200)와;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고도 정보 및 각 배전 선로의 설치되는 시작점과 종점 전주의 위치 정보와 각 전주와 각 전주 사이의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배전 선로의 경로에 따라 시작점 전주로부터 배전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종점 전주까지의 위치 정보를 비행 경로로 설정하며 상기 비행경로에 대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고도에 따라 비행하면서 부착된 열화상 카메라부가 전주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에서 설정된 다수의 포인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전주 열화상 정보, 배전 선로 포인트에 대한 열화상 정보,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열화상 카메라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전주 및 배전 선로를 촬영할 수 있는 일반 카메라가 부착된 드론(300)과;
    상기 드론으로부터 배전 선로의 경로인 비행경로에 해당하는 각 전주의 열화상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의 각 포인트 열화상 정보, 각 촬영 지점의 위치 정보 및 각 촬영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각 전주와 배전 선로 각 포인트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전주 열화상 정보 및 배전 선로 각 포인트의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해당 전주 또는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동시에 스마트 단말기로 해당 열화상 정보와 위치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조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배전 선로의 시작점 전주 위치에서부터 배전 선로의 종점 전주 위치 정보까지 각 배전 선로에 대하여 시작점 전주 위치 정보, 시작점 전주와 2번째 전주와의 사이의 배전 선로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할 3포인트 또는 5포인트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배전 선로 시작점 전주부터 종점 전주까지 전체에 대하여 형성된 전주 위치 정보와 배전 선로 포인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410)와 각 배전 선로에 대하여 설정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드론이 설정된 고도를 비행하면서 드론의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시작점 전주 위치에 대한 시작점 전주 열화상 정보, 시작점 전주와 2번째 전주 사이의 배전선에 대한 3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제1전주-3포인트 위치 열화상 정보 및 2번째 전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2번째 전주와 3번째 전주 사이의 전선의 제2전주-3포인트 위치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와 3번째 전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3번째 전주와 4번째 전주 사이의 배전선의 제3전주-3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와 같이 각 전주에 대한 열화상 정보와 각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및 각 촬영시간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DB(420)와 각 배전 선로에 해당하는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정보 DB(430)와 상기 지도 정보 DB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 상에 배전 선로의 전주 위치와 전주와 전주 사이의 각 포인트 위치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를 매칭하도록 하는 매칭부(440)와 각 전주의 위치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지도 정보, 지도상에 매칭된 각 전주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하여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한 열화상 정보 및 촬영 시간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450)와 드론이 배전 선로 경로를 비행하면서 드론에 부착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하고 전송한 각 전주 위치 정보와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 및 각 위치에 대한 해당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와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에서 전주 위치 정보, 전주 열화상 정보, 전주 촬영 시간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와 해당 포인트의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및 포인트 촬영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460)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각 전주 열화상 정보와 촬영시간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및 촬영 시간 정보를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동일 위치 전주의 촬영 시간 정보와 열화상 정보 및 동일한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한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 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상 정보 비교 판단부(470)와 드론 및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480) 및 배전 선로 위치 정보 DB,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DB, 지도 DB에 관련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매칭부를 제어하여 지도상에서 각 배전 선로의 각 전주 위치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와 열화상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정보 추출부로 하여금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열화상 정보와 촬영시간 정보와 위치 정보에서 각 전주 위치 정보와 해당 전주 열화상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전주 열화상 정보, 각 포인트에 대한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촬영 시간 정보, 지도 정보, 지도 정보에 맵핑된 열화상 정보 및 촬영시간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열화상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각 전주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와 해당 열화상 정보를 배전 선로 열화상 정보 DB에 기저장된 각 전주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와 전주 열화상 정보 및 전주와 전주 사이의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포인트 배전 열화상 정보와 비교하도록 제어하며 비교 결과 상이한 경우 표시부로 하여금 해당 전주 또는 배전 선로 포인트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해당 열화상 정보를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드론 및 스마트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490)로 구성되고 수신된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지도 정보에 맵핑하며 지도 정보에 맵핑된 촬영지점의 위치 정보, 촬영시간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관리 서버(400);
    및 스마트 단말기, 드론 및 관리 서버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망(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의 동일 포인트와 동일 시간에 촬영한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 선로의 동일 포인트와 동일 시간에 촬영한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 및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배전 선로의 포인트 위치 정보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다르게 하여 장 경간의 배전 선로에서도 배전선로 각 부분이 골고루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포인트 위치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선로의 동일 포인트와 동일 시간에 촬영한 열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원격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

KR1020170048470A 2017-04-14 2017-04-14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KR10180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70A KR101800232B1 (ko) 2017-04-14 2017-04-14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70A KR101800232B1 (ko) 2017-04-14 2017-04-14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232B1 true KR101800232B1 (ko) 2017-11-23

Family

ID=6080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70A KR101800232B1 (ko) 2017-04-14 2017-04-14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719A1 (ko) * 2020-01-16 2021-07-22 경기도 성남시 드론을 이용한 열수송관 안정성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37B1 (ko) * 2015-05-11 2016-07-08 (주)투비시스템 무인 비전 검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비전 검사방법
KR101662071B1 (ko) * 2016-03-29 2016-10-05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시설물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37B1 (ko) * 2015-05-11 2016-07-08 (주)투비시스템 무인 비전 검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비전 검사방법
KR101662071B1 (ko) * 2016-03-29 2016-10-05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상수도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시설물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719A1 (ko) * 2020-01-16 2021-07-22 경기도 성남시 드론을 이용한 열수송관 안정성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231B1 (ko)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방법
CN205450784U (zh) 无人机电力巡线系统
CN205581646U (zh) 无人机电力巡检图像采集及处理系统
US20060017809A1 (en) Mobile monitoring system
CN105187769B (zh) 高压输电线路状态监测系统
CN205375192U (zh) 一种基于红外影像技术的无人机配电网巡检系统
CN105357481A (zh) 多维立体巡检系统
KR10194334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6618697U (zh) 一种高压线图像采集系统
CN205680235U (zh) 北斗卫星火灾检测终端与系统
CN107979741B (zh) 一种安防监控方法、自主行动装置及安防监控系统
JP7179382B2 (ja) 田畑植物の表現型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800233B1 (ko)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지장물 감시 시스템
CN104765307A (zh) 一种无人机航拍系统
KR101867469B1 (ko)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CN108712638A (zh) 一种燃烧秸秆监管系统及方法
KR101800232B1 (ko)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시스템
CN105976549A (zh) 智能森林防火预警系统及其方法
KR100452118B1 (ko)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RU122511U1 (ru) Автономный пост видеотепловизио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видеолокатор дозор"
CN114200958A (zh) 一种光伏发电设备自动巡检系统和方法
JP6605523B2 (ja) 圃場情報表示システム
CN208460141U (zh) 禁区入侵报警系统
KR101933428B1 (ko) 드론의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사람인식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드론 시스템
KR20170116821A (ko) 전장환경 영향요소를 고려한 무인지상감시센서 배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