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642B1 -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642B1
KR101799642B1 KR1020150138883A KR20150138883A KR101799642B1 KR 101799642 B1 KR101799642 B1 KR 101799642B1 KR 1020150138883 A KR1020150138883 A KR 1020150138883A KR 20150138883 A KR20150138883 A KR 20150138883A KR 101799642 B1 KR101799642 B1 KR 10179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edium
sensor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843A (ko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6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G07D11/000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는, 매체 이송을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타 가이드면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 및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Financial device and Media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융기기 및 매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 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 내부에는 인입되는 매체를 인식하는 매체 인식 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매체 인식 모듈은 발광모듈, 광 반사 모듈, 및 수광모듈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로(2)를 형성하는 가이드(1), 가이드(1)에 일면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3), 발광부(3)와 이격되는 가이드(1)의 일면 타 지점에 장착되어 발산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4), 가이드(1)의 타면에 장착되어 발광부(3)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광부(4)로 전달하기 위한 프리즘(5)을 포함한다.
프리즘(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입광부(6), 반사부(8), 출광부(7)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광부(6)와 출광부(7)는 가이드(1)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3)와 수광부(4)와 마주한다. 그리고, 반사부(8)는 입광부(6)와 출광부(7)를 연결하여, 입광부(6)를 통해 입사된 빛을 출광부(7)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부(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면(9a)과 제 2 반사면(9b)을 포함한다.
제 1 반사면(9a)은 입광부(6)의 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입광부(6)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제 2 반사면(9b)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 반사면(9b)은 출광부(4)의 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 1 반사면(9a)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출광부(4)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광부(3)에서 발산된 빛은 입광부(6)를 통해 프리즘(5)의 내부로 유입되고, 반사부(6)와 출광부(7)를 거쳐 수광부(4)로 수신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발광부(3)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4)로 수신되는 지 여부에 따라, 매체 감지 장치가 설치된 영역에서의 지폐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금융기기 내부에는 매체가 유동하는 매체 이송로가 광범위 하게 형성되므로, 특정 이송로에서 매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각 이송로마다 매체 감지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부품 수 증가로 인한 제조 단가가 상승되고, 기기 관리 측면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체 이송로에서 매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매체 감지 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는, 매체 이송을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타 가이드면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 및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는, 매체 이송을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복수의 수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타 가이드면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 및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 중 하나 이상의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는,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의 일 지점에 위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센서;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복수의 수광센서; 상기 발광센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 및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 중 하나 이상의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의 인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될 매체가 보관되거나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를 집적할 수 있는 매체 보관함; 및 상기 매체 입출부 또는 상기 매체 보관함 중 하나 이상에서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과,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의 인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될 매체가 보관되거나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를 집적할 수 있는 매체 보관함; 및 상기 매체 입출부 또는 상기 매체 보관함 중 하나 이상에서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복수의 수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과,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금융기기 내부에서의 매체의 이동과, 매체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다 적은 개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매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을 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을 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을 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의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100)는, 장치 내부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로(102)가 형성되는 가이드(101)의 일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센서(110)와, 상기 가이드(101)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센서(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와, 상기 가이드(101)의 타면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150)을 포함한다.
금융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101)는, 내부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로(10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01)는 금융기기의 구성요소인 매체 보관함, 일시 집적함, 출납부, 회수함 등에 연결되거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로(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매체는 금융기기의 각 구성요소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상기 가이드(101)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이송로(102)는, 매체가 유동되는 이송로 외에도 매체가 집적 또는 반송되는 공간에서 매체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101)는 상부 가이드면 및 하부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센서(110)와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가 상기 가이드(101)의 상부 가이드면에 결합될 경우 상기 프리즘(150)은 상기 가이드(101)의 하부 가이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센서(110)와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가 상기 가이드(101)의 하부 가이드면 결합될 경우 상기 프리즘(150)은 상기 가이드(101)의 상부 가이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프리즘(150)까지의 광 경로 또는 상기 프리즘(150)에서 상기 수광센서(120, 130)까지의 광 경로 상에 상기 이송로(102)를 지나는 매체가 위치할 경우 매체에 의해 광이 차단되어 매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110)는 광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101)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발광센서(110)가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101)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조사된 빛이 타면을 향해 전달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110)의 양측에는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는 상기 가이드(101)의 가이드면 중 상기 발광센서(110)가 구비되는 가이드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는 상기 발광센서(110)를 중심으로 좌, 우로 각각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도 상기 발광센서(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101)의 일 가이드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프리즘(150)으로부터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신한다. 한편,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 까지의 거리는 등간격이거나, 각각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심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센서(110)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가 상기 발광센서(110)의 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수광센서(120)와, 타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수광센서(130)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센서(110) 및 수광센서(120, 130)는 상부 가이드면과 하부 가이드면 중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리즘(150)은, 상기 상부 가이드면과 하부 가이드면 중 타 가이면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프리즘(150)은,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입사되는 입광부(152)와, 상기 입광부(152)로부터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반사부(162, 172)와, 상기 반사부(162, 172)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120, 130)로 방출시키는 출광부(166, 176)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즘(150)의 내면은 빛의 투과성이 좋은 재질과 반사율이 높은 예를 들어, 미러, 금속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입광부(152)는, 상기 가이드(101)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센서(110)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01)에서, 상기 입광부(152)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프리즘(1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광부(152)의 후방에는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유입된 빛을 복수의 경로로 분지시키는 분지부(153)가 구비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지부(153)는, 중심에 형성되는 경계선(155)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광센서(120)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반사부(162)로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면(154)과, 상기 제 2 수광센서(130)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반사부(172)로 빛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면(15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사면(154)과 제 2 반사면(156)은 상기 입광부(152)의 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나, 상기 제 1 반사면(154)과 상기 제 2 반사면(156)의 경사 각도는 서로 반대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지부(153)에서 분지된 빛 중 상기 제 1 반사면(154)에 도달한 상기 발광센서(110)의 빛은 상기 제 1 반사부(162)를 향해 전달되고, 상기 제 2 반사면(156)에 도달한 상기 발광센서(110)의 빛은 상기 제 2 반사부(172)를 향해 전달된다.
상기 반사부(162, 172)는 상기 입광부(152)를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부(162, 1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광센서(120)를 향해 빛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반사부(162)와, 상기 제 2 수광센서(130)를 향해 빛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반사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반사부(162)와 상기 제 2 반사부(172)는 일 예로 상기 분지부(153)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광부(166, 176)는, 상기 가이드(10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광센서(12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1 출광부(166)와, 상기 가이드(101)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수광센서(13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2 출광부(17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출광부(166)의 후방에는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반사면(154)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제 1 출광부(166)로 반사시키는 제 3 경사면(16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출광부(176)의 후방에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 2 반사면(156)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제 2 출광부(176)로 반사시키는 제 4 경사면(1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출광부(166, 176)는 상기 제 3, 4 반사면(164, 174)에 의해 유입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120, 130)로 방출시킨다.
상기 입광부(152)와 상기 출광부(166, 176)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제 1 내지 4 반사면(154, 156, 164, 174)에 의해 유입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120, 130)로 방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 감지 장치(100)에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매체가 금융기기의 내부로 출금 또는 입금 시에,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빛이 조사된다. 그리고, 조사된 빛은 상기 입광부(152)를 통해 상기 프리즘(150)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입광부(152)를 통과한 빛은 상기 분지부(153)에서 상기 제 1 반사면(154)과 상기 제 2 반사면(156)에 의해 분지되어, 각각 상기 제 1 반사부(162)와 상기 제 2 반사부(172)를 향해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반사부(162)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 3 경사면(164)에 의해 상기 제 1 출광부(166)를 거쳐 상기 제 1 수광센서(120)로 수신되고, 상기 제 2 반사부(172)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 4 경사면(174)에 의해 상기 제 2 출광부(176)를 거쳐 상기 제 2 수광센서(130)로 수신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수광센서(120)가 설치되는 지점을 제 1 지점이라 하고, 상기 제 2 수광센서(130)가 설치되는 지점을 제 2 지점이라 하면,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 각각에 빛이 수신될 경우에는 제어부가 매체가 상기 매체 감지 장치(100)가 설치된 가이드(101)의 내부를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수광센서(120)에는 빛이 수신되고, 상기 제 2 수광센서(130)에는 빛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어부는 매체가 상기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광센서(120)에 빛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 2 수광센서(130)에 빛이 수신된다면, 제어부는 매체가 상기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광센서(120) 및 제 2 수광센서(130)에서 모두 빛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매체가 제 3 지점(발광센서가 설치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110)에서 조사된 광이 복수개의 경로로 분지되므로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120, 130)에서 수광하는 광량은 이론상으로 1/n*m (이때, n은 분지되는 경로의 개수, m은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광량, 프리즘의 투광성에 따른 광 손실을 무시할 경우)이다.
또한, 이송경로를 통과하는 매체, 예를 들어 지폐나 수표의 재질에 따라서 광을 투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2, 3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체가 위치하더라도 수광센서에서 약한 광을 수광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광센서(120, 130)에서 수광하는 광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일 경우 제1, 2, 3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체가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임계 값은 복수개의 수광센서(120, 130)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센서의 노화, 먼지 등에 의한 조사광량 및/또는 수광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나의 발광 센서(110), 복수개의 수광센서(120, 130) 및 하나의 프리즘(150)을 이용하여 이송로 상의 복수 포인트(발광센서 개수 + 수광센서 개수)에서 매체를 감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및 배선, 공간 등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발광센서와 복수의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서의 매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고, 제조 단가가 저렴해 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분지부의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 예의 매체 감지 장치는, 제1분지부(153a)와, 제2분지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제1수광센서(120), 제2수광센서(130) 및 제3수광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입광부(152)를 통해 상기 프리즘(150)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입광부(152)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1분지부(153a)에서 상기 제 1 반사면(154)과 상기 제 2 반사면(156)에 의해 분지되어, 각각 제 1 반사부(162)와 제 2 반사부(172)를 향해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반사부(162)를 통과한 빛 중 일부는 상기 제2분지부(153b)의 제 3 경사면(164)에 의해 제 1 출광부(166)를 거쳐 제 1 수광센서(120)로 수신된다.
상기 제1반사부(162)를 통과한 빛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분지부(153b)를 통과하여 제 4 경사면(167)에 의해 제 3 출광부(168)를 거쳐 제 3 수광센서(140)로 수신된다.
상기 제 2 반사부(172)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 4 경사면(174)에 의해 상기 제 2 출광부(176)를 거쳐 상기 제 2 수광센서(130)로 수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의 개수 및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200)는 가이드(101)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와, 상기 가이드(101)의 일 가이드면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 사이에 배치되어 조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센서(230)와, 상기 가이드(101)의 타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230)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1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광센서(2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광센서(230)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발광센서(210)와, 상기 수광센서(230)로부터 타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발광센서(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프리즘(150)의 입광부(152)는 출광부(152)가 되고, 제 1 출광부(166)와 제 2 출광부(176)는 각각 제 1 입광부(166)와 제 2 입광부(176)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 1 실시 예의 분지부(153)는, 상기 제 1 반사부(162)와 상기 제 2 반사부(172)를 통해 반사된 빛이 합지되는 합지부(153)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 각각의 출력값의 합이 상기 수광센서(230)의 최대 출력값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각의 발광센서(210, 220)의 출력값이 상기 수광센서(230)의 최대 출력값에 대략 1/2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광센서(230)는 최대 출력값을 수신하거나, 1/2의 출력값을 수신하거나, 0의 출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발광센서(210, 220)의 출력은 상기 수광센서(230)와의 거리나 상기 프리즘(150)의 재질 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매체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위치하는지 구분하기 위해 상기 발광센서(210, 220)의 발광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수광센서(230)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2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조사된 빛의 수신 여부만을 판단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 각각의 출력값이 상기 수광센서(230)의 최대 출력 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수광센서(230)에서는 임계치 이하로 광 수신 레벨이 떨어지면 어느 하나의 발광센서로부터의 빛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지점에 매체가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계치는 매체의 투명도, 발광센서의 빛 조사 강도, 프리즘 광 손실률 및 수광센서의 빛 수신 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가이드(101)에서 상기 제 1 발광센서(210)가 위치하는 지점을 제 1 지점이라 하고, 상기 수광센서(230)가 위치하는 지점을 제 2 지점이라 하며, 상기 제 2 발광센서(220)가 위치하는 지점을 제 3 지점이라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제 1 발광센서(210)와 상기 제 2 발광센서(220) 각각에서 상기 프리즘(150)을 향해 빛이 조사된다. 그리고, 조사된 빛을 상기 프리즘(1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 1 내지 4 경사면(154, 156, 164, 174)을 지나 상기 출광부(162)를 거쳐 상기 수광센서(230)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광센서(230)에 수신된 빛의 출력값이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 출력값의 합과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 1 내지 3 지점으로 형성되는 구간에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센서(230)에서 수신된 빛의 출력값이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값과 같을 경우에는,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과 상기 제 3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매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발광 센서(210, 220)들 각각의 출력 값이 서로 상이할 경우 상기 수광센서(230)에서 수신된 빛의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3지점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매체가 존재하는지 구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센서(230)에서 수신된 빛의 출력값이 0 일 경우에는,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점과 상기 제 3 지점 모두에 매체가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지점에 매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수광센서(230)를 통해 복수의 발광센서(210, 220)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매체의 감지를 위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수광센서가 구비되므로, 설계자는 수광센서의 단가가 높을 경우에는 본 실시 예를 통해 매체 감지 장치를 구성할 것이고, 발광센서의 단가가 높을 경우에는 제 1 실시 예를 통해 매체 감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을 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의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100)는, 내부에 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로(102)가 형성되는 가이드(101)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센서(310)와,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가이드(101)의 일면 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수광센서(320, 330)와, 상기 가이드(101)의 타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320, 33)로 전달하기 위한 프리즘(3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320, 330)가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320, 330)가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 1 수광센서(320)와, 상기 제 1 수광센서(3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 2 수광센서(330)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프리즘(350)은,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입사되는 입광부(352)와, 상기 입광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반사부(364, 366)와, 상기 반사부(364, 366)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320, 330)로 방출시키는 출광부(354, 356)를 포함한다.
상기 출광부(354, 356)는 상기 가이드(10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수광센서(32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1 출광부(354)와, 상기 제 2 수광센서(33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 2 출광부(3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광부(352)는, 상기 가이드(101)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센서(310)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광부(352)의 후방에는 상기 발광센서(110)로부터 유입된 빛을 상기 반사부(364, 366)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 1 반사면(35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반사면(358)에 도달한 빛은 상기 반사부(364, 366)로 반사된다.
상기 반사부(364, 366)는, 상기 제 1 반사면(358)으로부터 상기 제 1 출광부(354)의 후방까지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364)와, 상기 제 1 출광부(354)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제 2 출광부(356)의 후방까지 빛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366)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출광부(354, 356) 중 상대적으로상기 입광부(352)와 가까운 상기 제 1 출광부(354)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반사면(358)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분지시키는 분지부(359)가 구비된다.
상기 분지부(359)는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반사면(358)로부터 반사된 빛의 일부를 상기 제 1 출광부(354)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 2 반사면(360)과, 상기 제 1 출광부(354)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반사면(360)의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 2 반사부(366)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면(36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출광부(354)의 후방에서, 경계선(361)을 기준으로 일부는 상기 제 1 출광부(354)를 향해 빛이 반사되도록 제 1 반사면(358)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제 2 출광부(356)의 후방을 향하는 제 2 반사부(366)와 상기 제 1 반사부(364)를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면(363)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반사면(358)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발광센서(310)의 빛은 일부가 상기 제 2 반사면(360)을 통해 제 1 출광부(354)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상기 연결면(363)을 통해 제 2 반사부(366)로 반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출광부(356)의 후방에는 상기 제 2 반사부(366)를 통해 전달된 빛을 상기 제 2 출광부(356)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 3 반사면(362)이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조사된 빛 중 일부가 상기 제 2 반사면(360)을 통해 유출되고 남은 나머지 빛은 상기 제 3 반사면(362)을 통해 상기 제 2 출광부(356)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반사면(360)과 상기 제 3 반사면(362)에 의해 상기 제 1 출광부(354)와 상기 제 2 출광부(356)로 유입된 빛은, 각각 상기 제 1 수광센서(320)와, 상기 제 2 수광센서(330)로 방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매체 감지 장치(300)에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매체가 금융기기의 내부로 출금 또는 입금 시에,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빛이 조사된다. 그리고, 조사된 빛은 상기 입광부(352)를 통해 상기 프리즘(350)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입광부(352)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 1 경사면(358)을 통해 상기 제 1 반사부(366)로 반사된다. 그리고, 반사된 빛 중 일부는 상기 제 2 반사면(360)을 통해 상기 제 1 출광부(354)를 거쳐 상기 제 1 수광센서(320)에 수신된다. 또한, 반사된 빛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3 반사면(362)을 통해 상기 제 2 출광부(356)를 거쳐 상기 제 2 수광센서(330)에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발광센서(310)가 설치되는 지점을 제 1 지점이라 하고, 상기 제 1 수광센서(320)가 설치되는 지점을 제 2 지점이라 하며, 상기 제 2 수광센서(330)가 설치되는 지점을 제 3 지점이라 할 때, 상기 제 1 수광센서(320)와 상기 제 2 수광센서(330) 모두에 빛이 수신된다면, 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3 지점에는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광센서(320)에서 빛이 수신되고, 상기 제 2 수광센서(330)에서 빛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는 상기 제 3 지점에 매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광센서(320)와 상기 제 2 수광센서(330) 모두에 빛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매체가 상기 제 1 지점, 상기 제 2 지점 및 제 3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빛의 균등한 분배를 위해, 상기 제 1 출광부(354)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반사면(360)을 정의하는 상기 경계선(361, 도 7참조)은, 후방 측 단면 중 절반이 상기 제 1 출광부(354)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계선(361)이 없이 상기 제 2 반사면(360)이 편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센서(320, 330)의 개수가 늘어날 경우에는, 각 출광부의 후방에서 일부씩 경사지는 반사면을 통해 모든 출광부에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감지 장치(300)는 공간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감지 장치(300)는 매체가 집적되거나 저장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박스(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금융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박스(400)는 매체 입출금부, 매체 일시 집적부 또는 매체 저장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센서(310)를 상기 공간(S)의 일 지점에 위치시키고, 상기 발광센서(3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복수의 수광센서(320, 330)를 배치시키게 되면,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320, 330) 중 빛을 수신하는 수광센서(320, 330)의 판별을 통해 상기 박스(400)의 내부에서 매체를 감지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350)을 상기 발광센서(3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발광센서(310)와 마주보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320, 330)도 상기 프리즘(35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실시 예와 달리, 복수의 수광센서를 발광센서로부터 일방향으로 이격시켜 구비함으로써, 매체의 잔류, 이동 방향 또는 매체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박스(400)에는 상기 공간(S)의 크기나 상기 공간(S)에 구비된 밀판 등의 구조에 따라서 매체를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지점이 많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매체를 감지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매체 감지 장치는 금융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금융기기는, 매체의 인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 매체 입출부와,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될 매체가 보관되거나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를 집적할 수 있는 매체 보관함과, 상기 매체 입출부 또는 상기 매체 보관함 중 하나 이상에서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과,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복수의 수광센서와,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과,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빛을 기초로 매체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또는, 상기 금융기기는, 상기 매체 입출부와 매체 보관함을 연결하는 이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이송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매체 이송을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일 가이드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센서;
    상기 가이드의 타 가이드면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 및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수광량을 기초로 매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는, 제1출력값을 가지며, 상기 일 가이드면의 제1지점에 위치하는 제1발광센서와, 제2출력값을 가지며, 상기 일 가이드면의 제2지점에 위치하는 제2발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즘을 통해 수신되는 수광량에 기초하여 매체가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매체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센서 각각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입사하는 제1 및 제2 입광부;
    상기 제1 및 제2 입광부를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하는 제1 및 제2 반사부;
    상기 제1 및 제2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합지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에 의해 합지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방출하는 출광부를 포함하는 매체 감지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센서는, 서로 다른 발광량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감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센서 각각의 출력값은, 상기 수광센서의 최대 출력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감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수광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매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감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매체의 투명도, 발광센서의 빛 조사 강도, 프리즘 광 손실률 및 수광센서의 빛 수신 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감지 장치.
  14. 매체가 인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 입출부로 방출될 매체가 보관되거나 상기 매체 입출부로 인입된 매체를 집적할 수 있는 매체 보관함; 및
    상기 매체 입출부 또는 상기 매체 보관함 중 하나 이상에서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감지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센서와,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시키기 위한 프리즘과, 상기 수광센서에서 수신되는 수광량을 기초로 매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센서는, 제1출력값을 가지며, 일 가이드면의 제1지점에 위치하는 제1발광센서와, 제2출력값을 가지며, 상기 일 가이드면의 제2지점에 위치하는 제2발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즘을 통해 수신되는 수광량에 기초하여 매체가 상기 제1지점 또는 제2지점 중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금융기기.
  15. 삭제
KR1020150138883A 2015-10-02 2015-10-02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KR10179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83A KR101799642B1 (ko) 2015-10-02 2015-10-02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83A KR101799642B1 (ko) 2015-10-02 2015-10-02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43A KR20170039843A (ko) 2017-04-12
KR101799642B1 true KR101799642B1 (ko) 2017-12-20

Family

ID=5858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883A KR101799642B1 (ko) 2015-10-02 2015-10-02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18B1 (ko) * 2020-09-08 2022-07-22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보관함 및 그의 매체 검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673A (ja) * 2006-08-10 2008-02-28 Sanden Corp 紙幣識別装置
JP2011164952A (ja) * 2010-02-10 2011-08-25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媒体取扱装置及び媒体の重送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673A (ja) * 2006-08-10 2008-02-28 Sanden Corp 紙幣識別装置
JP2011164952A (ja) * 2010-02-10 2011-08-25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媒体取扱装置及び媒体の重送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43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420B2 (en) System to process a valuable document
US92021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edium image, and financial device
KR101799642B1 (ko) 금융기기, 매체 감지 장치
CN101950374B (zh) 纸币处理机
JP2007141109A (ja) 紙葉類識別装置
CN103124987B (zh) 纸张类识别装置
CN106663350A (zh) 介质收容装置和介质交易装置
JP2007141110A (ja) 紙葉類識別装置
US6441891B1 (en) System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attached to a bill passing through a bill validator
KR101397791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금융기기
JP2014182752A (ja) 検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2018132955A (ja) 媒体通過検知装置及び一対の媒体通過検知装置
US20140239579A1 (en) Medium detector and medium conveying device
KR101772767B1 (ko) 매체감지장치 및 금융기기
KR101382100B1 (ko) 매체 이송 가이드 및 금융 기기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US102043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 and financial apparatus using the same
EP1510977B1 (en) A note skew detector
JP2007034601A (ja) 紙葉類識別装置
KR101549737B1 (ko) 광 반사 모듈 및 매체 처리 장치
KR20090084286A (ko) 매체검지장치
KR101179009B1 (ko) 감지장치, 감지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JP2011128736A (ja) 媒体検出装置
KR20190139612A (ko) 원격관리용 자동판매기
GB2376788A (en) Bill validator having bill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