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466B1 -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466B1
KR101799466B1 KR1020150156888A KR20150156888A KR101799466B1 KR 101799466 B1 KR101799466 B1 KR 101799466B1 KR 1020150156888 A KR1020150156888 A KR 1020150156888A KR 20150156888 A KR20150156888 A KR 20150156888A KR 101799466 B1 KR101799466 B1 KR 10179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window
fingerprint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131A (ko
Inventor
서형원
김수정
최유미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서형원
김수정
최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형원, 김수정, 최유미 filed Critical 서형원
Priority to KR102015015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구매서비스 제공서버는 (i) 온라인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사전에 저장된 개인 식별코드(지문 또는 홍체인식)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ii) 결제하기를 클릭하면 결제할 카드를 선택하는 창이 제공되어 결제카드를 선택하고, (iii) 선택된 카드를 통한 오프라인 방식으로 구매자가 카드로 카드체크기에서 결제하듯 직접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카드접촉창이 제공되며, (iv) 구매자가 카드를 결제창에 직접 접촉하고 지문인식을 한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판매자(사업자)는 더줌페이 단말기에서 www.deozoom.com에서 사업자 로그인을 하면, (i) deozoom.com 사업자코너에 더줌페이 결제창이 지원되며, (ii) 구매자는 더줌페이 결제창에 카드를 접촉하고 지문인식을 하면 안전결제가 완료 된다.
또한, 무카드(무 전자지갑)결제가 요청되는 경우 더줌페이 결제서버는 개인 또는 사업자 로그인 시 (i) 사전에 결제서버에 저장된 결제창을 제공하며, (ii) 구매자는 결제창에서 결제카드를 선택하고, (iii) 결제창에 생성된 지문인식기에 지문을 인식하면 카드 또는 전자지갑 없이 안전결제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On/Off-line Banking Transaction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use of Card}
본 발명은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온라인 결제시스템(PG사)과 오프라인 결제시스템(VAN사)으로 이원화 되어 있는데, 이의 결제에 대하여 온/오프라인상의 안전하고 간편한 통합 카드결제 방법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결제 시 PG(payment gateway)사의 결제 시스템 없이 카드결제를 할 수 있고, 반대로 오프라인에서는 VAN사의 카드단말기 없으면 카드 또는 전자지갑의 결제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현재 상황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으로 인식하면 VAN망의 카드단말기가 필요 없는 카드(전자지갑)제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가 상품구매 후 결제 시 카드를 소지하지 않았거나 분실했을 경우 가족이나 지인이 원격으로 카드결제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에서 도용결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안전하게 카드결제를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온라인쇼핑몰의 결제시스템인 PG사의 온라인결제시스템 및 오프라인 결제시스템인 VAN사의 카드단말기 결제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주지하는바와 같이 PG사의 결제시스템은 해킹 등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도용결제 범죄가 급증하여 결제시스템의 안전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VAN사의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역시 도난 및 분실카드의 도용결제를 차단할 수 있는 안심결제수단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Fin tech 시스템 등 안심 결제 시스템이 새로운 결제 기법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 국내 대기업들도 Fin tech 시스템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의 보안을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6633호(명칭 : 금융거래 중계시스템, 국제특허분류 G06Q40/00)에서는 “본 발명은 지정맥 인증을 이용한 다중 안전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중계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와 전자 금융 거래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들 간에 이루어지는 금융 거래를 무인증 접속으로 중계하는 금융 거래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금융 거래 중계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지문 인식, 패스워드 인증, 지정맥 인증을 이용하는 다중 안전 잠금 모듈과 미들웨어 방화벽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가 전자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면, 고객단말기로부터 지문 정보와 지정맥 정보를 받아서 인증 처리함으로써, 전자 금융 거래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무인증 접속으로 금융 거래가 가능하도록 중계 처리할 수 있다”라고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결제의 안전을 꾀하고 있다.
여기서, Fin tech 시스템란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ology) 합성어로 모바일을 통한 결제, 송금, 대출, 자산 관리, 크라우드펀딩 등 각종 금융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을 말한다. 금융 창구에서 행해지던 업무가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ATM 등 전자금융 서비스로 대체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된다.
Fin tech 시스템은 온/오프라인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신금융사업 분야로서 글보벌 유통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상품 구매자가 이러한 Fin tech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 시에는 간단한 절차로 편리하고 보다 더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실행되고 있는 Fin tech 시스템은 기존의 결제시스템을 간소화 및 보안성을 보완한 수준으로, 결제단말기(스마트폰)도난 및 분실, 카드복제, 해킹 등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완전 차단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기존 온/오프라인 결제시스템은 PG사의 온라인 결제시스템 및 VAN사의 카드체크기 시스템으로 결제하기 때문에 온라인에서는 PG결제시스템, 오프라인에서는 카드체크기 없이는 카드결제를 할 수 없다.
예컨대, 요즘 급부상하고 있는 삼성페이 등 모바일 전자지갑 결제시스템들은오프라인에서 카드체크기가 없으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43222(공고일 2015년 8월 11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6633(공개일 2015년 8월 25일)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자가 온/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 결제 시, 새로운 파라다임(New paradigm)의 결제시스템을 지원하여 도용결제의 위험(risk)를 원천 차단하여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결제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온라인결제 시 입력하는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해 구매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하고 결제는 오프라인 카드결제기더줌페이(이는 본 발명의 결제용 지불 화폐이름이다. 이하 같다) 단말기 - 스마트폰 또는 PC로 결제하면 개인정보 입력이 필요 없이 바로 구매자가 직접 카드로 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 시 분실, 도난, 복제카드 등의 카드도용 결제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쇼핑몰(www.deozoom.com)에 오프라인 매장을 등록하고 식별코드를 부여하면(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결제하는 더줌페이 시스템) 오프라인 카드결제기 없이 구매는 오프라인에서, 결제는 더줌페이로 온라인에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현금 없이 카드로 구매하려 했는데 카드를 소지하지 않았거나 분실했을 경우 타인이 원격으로 카드결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지갑, 카드 등이 필요 없이 결제, 송금, 출금 등 모든 금융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즘 급부상하고 있는 전자지갑도 분실 또는 도난시 결제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지갑 및 신용(체크)카드 없이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 구매자들이 기존의 불편하고 개인정보유출이 우려되는 PG사의 결제시스템 없이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방법과 오프라인 구매자들이 VAN사의 카드체크기 없이, 나아가 분실 또는 복제카드 등의 도용결제 위험 없이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제건당 정액제로 되어 있는 VAN수수료 때문에 신용카드사와 VAN사간의 수수료율 조정분쟁이 최근 불거지고 있는 현재의 결제환경에서 기존의 PG결제시스템 및 VAN결제시스템과 전혀 다른 새로운 시스템으로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에 있어서,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이 인터넷을 통한 더줌페이 앱설치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S110); 상기 단계 S110에서 인터넷을 통한 앱설치가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앱을 통해 지문 또는 홍체를 등록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120); 상기 단계 S120에서 지문 또는 홍체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정보는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하고, 앱설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S130); 상기 단계 S130에서 앱설치 실행이 체크되면 등록정보(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140); 상기 단계 S140에서 로그인이 체크되면, 무카드 결제 시 필요한 결제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150); 상기 단계 S150에서 카드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향후 더줌페이 무카드 결제시스템을 이용 시 카드없이 결제할 수 있는 단계(단계 S160)로 진행되거나, 상기 단계150에서 카드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정보는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의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하는 단계(단계 S170); 상기 단계 S170에서 입력정보가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이 완료되면 금융기관 연동서버와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단계180)와, 더줌페이 앱설치가 완료되는 단계(단계190); 더줌페이 앱설치가 완료되면 앱이 설치 된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상품구매는 온라인으로 하고, 결제는 해당 스마트폰 또는 PC에 생되는 카드결제창을 통해 오프라인 방식으로 직접 카드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단계 S195); 를 특징으로 하는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이 인터넷을 통한 구매요청하는 단계(단계 S310); 상기 단계 S310에서 결제방법 선택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320); 상기 단계 S320에서 카드결제방법이 선택되면 더줌페이 앱이 실행되는 단계(단계 S330); 상기 단계 S330에서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340); 상기 단계 S340에서 로그인이 되고 전자지갑 결제(단계 S350)를 선택하면 NFC지원 결제창이 제공되며(단계 S360), 또는 카드결제(단계 S370)를 선택하면 RF지원 결제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380); 상기 단계 S360에서 NFC결제창 또는 단계 S380에서 RF결제창에 전자지갑 또는 카드를 접촉하면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지문인식 창이 생성되는 단계(단계 S390); 상기 단계 S390에서 지문인식을 하면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더줌결재앱을 통하여 온라인에서 직접 카드로 결제가 완료되는 단계(단계 S395); 를 특징으로 하는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에 있어서, 더줌페이 가맹점 단말이 deozoom.com에 사업자로 회원가입을 요청하는 단계(단계 S510); 상기 단계 S510에서 회원가입이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은 사업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단계 S520); 상기 단계 S520에서 사업자 식별코드가 부여되면 사업자로그인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530); 상기 단계 S530에서 사업자 식별코드로 로그인이 체크되면 가맹점 전용 결제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540); 상기 단계 S540에서 결제창으로부터 구매자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단계 S550); 상기 단계 S550에서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구매자의 결제카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단계 S560); 상기 단계 S560에서 카드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카드 정보가 금융기관연동서버를 통해 구매자정보를 식별하게 되는 단계(단계 S570); 상기 단계 S570에서 도난, 분실카드 등의 사용을 차단하기위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구매자 지문인식창을 제공하여 구매자의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단계 S580); 상기 단계 S580에서 카드결제가 완료되는 단계(단계 S590); 를 특징으로 하는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맹점 단말(500)은 단계 S560에서 원격결제가 체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단계 S780); 상기 단계 S780에서 원격결제가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은 1회용 원격 로그인 ID와 PASSWORD를 상기 가맹점 단말(500)에 제공하는 단계(단계 S781);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이 해당 온라인 쇼핑몰몰(deozoom.com)에서 상기 단계 S781에 생성된 원격 로그인 ID와 PASSWORD로 원격결제 로그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단계 S782); 상기 단계 S782에서 원격결제 로그인 체크되면 더줌페이 결제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783); 상기 단계 S783에서 원격 결제자로부터 결제할 카드를 선택받은 후 결제승인요청을 위한 본인의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단계 S790); 상기 단계 S790에서 원격결제자의 지문이 인식되면 원격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단계(단계 S795)를 특징으로 하는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300)이나 가맹점 단말(400)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구매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S910); 상기 단계 S910에서 구매요청이 체크되면 결제방법 선택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920); 상기 단계 S920에서 결제방법이 선택이 완료되면 (i) 온라인 구매요청 시에는 소비자 단말(300)에 (ii) 오프라인 구매요청 시에는 더줌페이 가맹점 단말(400)에 더줌페이 결제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930); 상기 단계 S930에서 더줌페이 결제창이 실행되면 더줌페이 결제창에서 (i) 온라인에서 소비자 단말(300)은 구매자 본인의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지 체크하고, (ii) 오프라인에서 가맹점 단말(400)은 오프라인 사업자(관리자)가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지 체크하는 단계(단계 S940); 상기 단계 S940에서 로그인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은 결제서버에 숨겨져 있던 가상드라이브 ‘Y’를 실행하는 단계(단계 S950); 상기 단계 S950에서 가상드라이브 ‘Y’가 실행되어 더줌페이 결제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960); 상기 단계 S960에서 결제창으로부터 결제카드를 선택받는 단계(단계 S970); 상기 단계 S970에서 결제카드가 선택되면 선택정보가 더줌페이 결제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단계 S980); 상기 단계 S980에서 더줌페이 결제서버가 제공되면, 온 라인일 경우에는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는 단계(단계 S990); 또는 오프 라인일 경우에는 가맹점 결제단말기에서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는 단계(단계 S991)를 특징으로 하는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더줌페이는 온라인 결제시스템과 오프라인 결제시스템 및 원격결제시스템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결제 시 기존의 PG사 결제시스템 없이 결제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은 온라인에서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사전에 더줌페이의 결제 앱을 다운받아 PC 또는 스마트폰에 실행시켜 결제 시 더줌페이 앱에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 구매자임; 더줌페이 관리모듈은 상기 더줌페이 결제 구매자의 지문 또는 홍체를 통하여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로그인하고, 구매자가 결제방법(무통장 입금, 자동이체, 카드결제)을 선택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 더줌페이 관리모듈은 해당 금융기관(신용카드결제 시 해당 카드사, 체크카드 또는 현금결제 시 해당 은행)에 결제승인 요청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PC 또는 스마트폰에 더줌페이 결제창을 제공하는 단계; 더줌페이 관리모듈은 구매자가 결제, 더줌머니(이하 “줌”이라 함) 결제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더줌페이 관리모듈은 더줌페이 결제가 요청되는 경우, 상품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회원의 적립 줌을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더줌페이 관리모듈은 최종 결제 실행 시 온라인 구매 결제 시와 오프라인 구매 결제 시 각각 다음 각항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온라인 구매 결제 시
① 더줌페이 스마트폰 또는 PC에 다운받은 결제앱상에서 전자지갑 또는 신용(체크)카드로 오프라인 방식으로 NFC 또는 RF시스템으로 직접 결제하는 단계
② 더줌페이 스마트폰 또는 PC에 다운받은 결제앱상에서 지문 또는 홍체인식으로 전자지갑 또는 카드 없이 바로 결제서버로 연결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오프라인 구매 결제 시
더줌페이 결제앱 및 가맹점 식별코드가 내장된 가맹점별 전용 결제단말기(카드체크기가 아닌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기존의 카드체크기 없이 온라인으로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 시에도 NFC 또는 RF시스템으로 직접 결제하는 단계와 지문 또는 홍체인식으로 전자지갑 또는 카드 없이 바로 결제서버로 연결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은 오프라인 구매 결제창에 원격결제를 하기위한 1회용 사업자 ID와 PASSWORD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에 연결된 웹서버; 더줌 지정점별 줌을 적립하는 줌 적립서버-상기 더줌 지정점은 더줌페이 결제앱을 다운받아 결제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입된 지정점임; 및 (i) 온라인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사전에 지정점들이 더줌페이 지정점의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ii) 상기 더줌지정점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상품 판매가 이루어짐에 구매 결제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결제자DB서버, (iii) 줌적립을 통한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구매자의 줌을 저장하고 지정점 정산용 줌을 저장하고, (iv) 줌사용 구매가 요청되는 경우, 상품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회원의 줌을 차감하는 구매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매서비스 제공서버는 줌매출 정산 기일이 도래됨에 따라, 상기 줌 지정점의 줌 매출금액을 정산하여 지정점에 이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매서비스 제공서버는 누적된 적립줌을 조회하여 구매자의 미사용 누적 줌을 구매자의 계좌에 이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줌 적립서버는 상기 구매서비스 제공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웹서버를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의 개인정보를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회원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줌 적립서버는 상기 구매서비스 제공서버와 연동되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지정점별로 상품에 대한 줌 적립에 대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줌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줌 적립서버는 지정점들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의 등록, 수정, 삭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안전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Fin-tech 시스템의 발전으로 소위 삼성페이 등 수 많은 결제시스템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결제 시스템들도 온라인상에서는 PG사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야 하고, 오프라인에서는 VAN사를 통하여야만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더줌페이 결제시스템은 PG결제시스템이나 VAN결제시스템 없이 바로 결제를 할 수 있어 세계 유통 결제시스템 시장을 완전 제패할 수 있다.
그리고, 오프라인에서 현금 없이 카드로 구매하려 했는데 카드를 소지하지 않았거나 분실했을 경우 타인이 원격으로 카드결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면 부모나 가족들이 원격으로 결제할 수 있어 카드분실 염려가 있는 노약자, 어린이, 청소년들은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다
또한, Fin-tech 시스템 개발로 온라인결제 시 안전성이 강화되었다고는 하지만 결제정보 기록이 남아있어 해킹 등에 따른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결제도용 범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지만, 더줌페이 결제 시스템은 지문 또는 홍체를 이용한 온/오프 통합 오프라인 결제방식을 채택하여 결제정보 입력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실, 도난, 복제카드의 결제에 따른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현재 오프라인 결제환경에서 카드사들이 VAN사에 지급하는 정액제 VAN수수료의 부작용으로 역마진이 발생하여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가맹점 수수료가 2%인 가맹점에서 고객이 3,000원을 카드결제할 경우 가맹점수수료는 60원이고 카드사가 VAN사로 지급할 VAN수수료는 100원 ~ 120원 정액으로 역마진이 발생하는 문제) 더줌페이는 완전 새로운 결제시스템의 수수료로 지원하여 역마진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 측면에서는 결제도용 범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자지갑 또는 카드사용에 따른 불안에서 해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자지갑이나 카드없이 결제, 출금, 이체등 모든 금융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 전자지갑 또는 카드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최상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인(회원)별 더줌페이 앱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의 온라인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더줌페이 온라인 결제과정과 현재 사용 중인 기존의 온라인결제과정을 비교 설명하기 결제과정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오프라인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더줌페이 오프라인 결제과정을 현재 사용 중인 기존의 오프라인 결제과정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아닌 타인이 원격으로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원격결제 흐름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원격결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의 무카드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더줌페이 무카드 결제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비자와 구매자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로, 소비자와 구매자가 혼용되는 경우에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비롯한 상세한 설명의 전반에 걸쳐 기재된 <더줌페이(deozoom pay)>이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전 지정되는 결제시스템의 명칭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해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200)과 하나 이상의 연동 금융기관 관리시스템(300)과 하나 이상의 온라인 소비자(또는 구매자) 단말(400) 및 오프라인 가맹점(또는 판매자) 단말(500)과 연결된다.
상기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200) 및 소비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을 구매시 기존 결제방식에 따른 복잡한 절차의 인증단계 및 인증번호 입력 없이 구매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전자지갑)로 직접 결제할 수 있는 결제창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비자 단말(400)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온라인 쇼핑몰(200)에 연결되고, 상기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HTML(Hyper Text Marker Language) 문서 등의 웹페이지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비자 단말(400)은 개인용 컴퓨터(PC)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인터넷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 통신 가능이 있는 모든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500)은 더줌페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온라인 쇼핑몰(200)내에서 사전에 지정된 사업자코드로 로그인하여 더줌페이 결제창이 생성되는 복수의 가맹점 단말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상권으로 그룹핑된 가맹점 단말(500)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더줌페이 관리서버(110), DB 관리서버(120) 및 금융기관 연동서버(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논리적으로 구분하였을 뿐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한 것은 아니다.
상기 더줌페이 서버(110)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소비자 단말(400)과 상기 금융기관 연동서버(130)를 서로 연결시켜주며, 소정의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온라인 쇼핑몰(200)의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B 관리서버(120)는 회원관리모듈(210), 회원 DB(212), 줌 관리모듈(220), 줌 관리 DB(222), 지정점 관리모듈(230), 지정점 관리 DB(2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융기관 연동서버(130)는 상기 DB 관리서버(120)에 구비되는 상기 회원관리모듈(210), 상기 줌 관리모듈(220), 상기 더줌페이 가맹점 관리모듈(230)에 연결되며, 이 모듈들을 적절히 이용하여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품구매 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줌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거나, 적립된 줌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원관리모듈(210)은 회원 DB(212)에 연결되고, 상기 금융기관 연동서버(130)와 연동되어 상기 더줌페이 관리서버(110)를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의 개인정보, 예컨대, 휴대폰 번호, 이메일주소, 성별 구분,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의 회원 ID, 패스워드 정보 등을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줌 관리모듈(220)은 줌 관리 DB(222)에 연결되고, 금융기관 연동서버(130)와 연동되어 지역별, 가맹점별로 상품 구매 시 줌 적립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줌 관리모듈(220)은 상기 가맹점 정산 및 가맹점별 줌 적립내역을 월별 집계 마감하여 전국 가맹점간 줌 결제금액을 현금으로 정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줌 관리모듈(220)은 회원관리모듈(210)과 연동되어 회원별 줌 적립 및 사용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관리모듈(230)은 상기 회원관리모듈(210) 및 줌 관리모듈(220)과 연동되어 가맹점DB(232)에서 회원별 줌 적립 및 사용정보를 가맹점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회원)별 더줌페이 앱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이 인터넷을 통한 일반 더줌페이 앱설치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에서 인터넷을 통한 앱설치가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앱을 통해 지문 또는 홍체를 등록하는 창을 제공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지문 또는 홍체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정보는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하고, 앱설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0).
단계130에서 앱설치 실행이 체크되면 단계 S140에서 등록정보(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창을 제공한다.
단계 S140에서 로그인이 체크되면, 무카드 결제 시 필요한 결제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제공한다(단계 S150).
단계 S150에서 카드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향후 더줌페이 무카드 결제시스템을 이용 시 카드없이 결제할 수 있다.
단계150에서 카드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정보는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의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된다(단계 S170).
단계 S170에서 입력정보가 Y드라이브에 저장이 완료되면 금융기관 연동서버와 정보를 공유되며(단계180) 더줌페이 앱설치가 완료된다(단계190)
더줌페이 앱설치가 완료되면 앱이 설치 된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상품구매는 온라인으로 하고, 결제는 해당 스마트폰 또는 PC에 생되는 카드결제창을 통해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직접 카드결제를 실행할 수 있어 스마트폰 또는 PC가 카드체크기가 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9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의 온라인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더줌페이 온라인용 소비자 단말(400)이 인터넷을 통한 구매요청을 하면(단계 S310) 결제방법 선택창이 제공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서 카드결제방법이 선택되면 더줌페이 앱이 실행되며(단계 S330),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창이 제공된다(단계 S340).
단계 S340에서 로그인이 되고 전자지갑 결제(단계 S350)를 선택하면 NFC지원 결제창이 제공되며(단계 S360), 또는 카드결제(단계 S370)를 선택하면 RF지원 결제창이 제공된다(단계 S380).
단계 S360 NFC결제창 또는 단계 S380 RF결제창에 전자지갑 또는 카드를 접촉하면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지문인식 창(단계 S390)이 생성되고 지문인식을 하면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더줌결재앱을 통하여 온라인에서 직접 카드로 결제가 완료되는 단계(단계 S395)를 수행하여, 기존의 복잡한 인증절차 및 인증번호 입력 등의 불편함 없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직접 결제가 완료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더줌페이 온라인 결제과정과 현재 사용 중인 기존의 온라인결제과정을 비교 설명하기 결제과정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더줌페이 결제시스템의 간편성과 안전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 오프라인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더줌페이 가맹점 단말(500)이 deozoom.com에 사업자로 회원가입을 요청한다(단계 S510).
단계 S510에서 회원가입이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은 사업자 식별코드를 부여한다.(단계 S520)
사업자 식별코드가 부여되면(단계 S520) 사업자로그인창(단계 S530)이 제공되며, 사업자 식별코드로 로그인이 체크되면 가맹점 전용 결제창(단계 S540)이 제공된다.
단계 S540 결제창으로부터 구매자의 결제 정보가 입력(단계 S550)되면 구매자의 카드 결제(단계 S560)에 따른 결제카드 정보를 입력받고, 카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카드 정보가 금융기관연동서버(단계 S570)를 통해 구매자정보를 식별하게 되고, 도난, 분실카드 등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구매자 지문인식창(단계 S580)이 제공되어 구매자의 지문이 입력EHHHHHL면 안전하게 카드결제가 완료된다(단계 S59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더줌페이 오프라인 결제과정을 현재 사용 중인 기존의 오프라인 결제과정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의 오프라인 카드결제 과정은 주지하는바와 같이 상품구매 후 VAN망을 통해 카드체크기 또는 포스단말기에 카드를 접촉하여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VAN사의 카드단말기가 없거나 또는 고장 상태면 카드(전자지갑)결제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더줌페이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을 온라인쇼핑몰(deozoom.com)에 하나의 상품으로 등록 인식시킴으로써 도 7 더줌페이 결제흐름도에서 보듯이 구매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하고 결제는 deozoom.com에서 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VAN결제시스템 필요 없이 카드(전자지갑)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가 아닌 타인이 원격으로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과정대로 오프라인 구매자 상품 구매 후 지문입력 전 단계까지의 결제과정(단계 S710 ~ 단계 S770)은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후, 가맹점 단말(500)은 원격 결제가 체크되었는지 판단하여, 구매자가 단계 S760에서 카드선택 후 결제하려 할 때 카드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지 않았을 때, 구매자는 원격결제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S780)
단계 S780에서 원격결제가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은 1회용 원격 로그인 ID와 PASSWORD를 가맹점 단말(500)에 제공한다.(단계 S781)
그리고,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이 해당 온라인 쇼핑몰몰(deozoom.com)에서 상기 단계 S781에 생성된 원격 로그인 ID와 PASSWORD로 원격결제 로그인되는지 판단한다.(단계 S782)
즉, 구매자가 단계 S781에 생성된 ID와 PASSWORD를 가맹점 단말(500)에서 입력하여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에서는 해당 온라인 쇼핑몰(deozoom.com)에서 원격결제용 ID, PASSWORD로 로그인 했음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단계 S782)
단계 S782에서 원격결제 로그인 체크되면 더줌페이 결제창이 제공되며(단계 S783), 원격 결제자로부터 결제할 카드를 선택받은 후 결제승인요청을 위한 본인의 지문을 입력 받는다.(단계 S790)
단계 S790에서 원격결제자의 지문이 인식되면 안전하게 원격으로 결제가 이루어진다.(단계 S795)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원격결제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원격결제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카드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지 않고도 구매장소에 구애 받지않고 어디서나 가족 또는 지인이 구매즉시 원격으로 결제를 할 수 있어 다양한 편리성 및 안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줌페이의 무카드 결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존 카드결제 과정 중 (i) 카드(전자지갑)를 카드단말기에 접촉하고 (ii) 카드단말기가 접촉카드(전자지갑)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iii) 서버에서 전송된 카드정보를 분석하여 이후 결제과정이 진행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줌페이 무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은 결제카드 정보를 카드단말기가 읽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카드정보를 더줌페이 관리서버 가상드라이버 ‘Y’에 사전 저장한다.
소비자 단말(300)이나 가맹점 단말(400)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구매요청 여부를 체크하게 되면(단계 S910) 결제방법 선택창이 제공된다(단계 S920).
단계 S920에서 결제방법이 선택이 완료되면 (i) 온라인 구매요청 시에는 소비자 단말(300)에 (ii) 오프라인 구매요청 시에는 더줌페이 가맹점 전용 단말(400)에 더줌페이 결제창이 제공된다.(단계 S930)
더줌페이 결제창이 실행되면 더줌페이 결제창에서 (i) 온라인에서 소비자 단말(300)은 구매자 본인의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지 체크하고, (ii) 오프라인 에서 가맹점 단말(400)은 오프라인 사업자(관리자)가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지(단계 S940) 체크한다.
단계 S940에서 로그인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결제서버에 숨겨져 있던 가상드라이브 ‘Y’를 실행(단계 S950)시켜 더줌페이 결제창이 제공된다.(단계 S960)
단계 S960이 실행되면 구매자는 결제카드를 선택창에서 결제카드를 선택한다.(단계 S970)
단계 S970에서 결제카드가 선택되면 선택정보가 더줌페이 결제서버로 전송(단계 S980)되고, 더줌페이 관리시스템 결제서버는 (i) 온라인 구매 시에는 해당쇼핑몰에, (ii) 오프라인 구매 시에는 가맹점 더줌페이 전용단말기에 구매자 지문인식을 통한 결제승인요청 창을 제공하고 구매자가 본인 지문을 입력하면 도난, 분실카드, 복제카드 결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카드(전자지갑)없이 안전하게 결제를 완료한다.
단계 S980에서 더줌페이 결제서버가 제공되면, 단계 S990에서 온 라인일 경우에는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게 하고, 단계 S991에서 오프 라인일 경우에는 가맹점 결제단말기에서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게 하여, 단계 S999에서 무카드 결제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무카드 결제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00 :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 110 : 더줌페이 관리서버
120 : 더줌페이 DB 관리서버 130 : 더줌페이 금융기관 연동서버
210 : 회원관리모듈 212 : 회원 DB
220 : 줌 관리모듈 222 : 줌 DB
230 : 가맹점 관리모듈 232 : 가맹점 관리 DB
200 : 더줌닷컴 사이트
300 : 더줌페이 연동 금융기관관리시스템(연동서버)
400 : 온라인 소비자 단말
500 :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

Claims (5)

  1.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에 있어서,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이 인터넷을 통한 더줌페이 앱설치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S110);
    상기 단계 S110에서 인터넷을 통한 앱설치가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더줌페이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앱을 통해 지문 또는 홍체를 등록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120);
    상기 단계 S120에서 지문 또는 홍체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정보는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하고, 앱설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S130);
    상기 단계 S130에서 앱설치 실행이 체크되면 등록정보(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140);
    상기 단계 S140에서 로그인이 체크되면, 무카드 결제 시 필요한 결제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150);
    상기 단계 S150에서 카드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향후 더줌페이 무카드 결제시스템을 이용 시 카드없이 결제할 수 있는 단계(단계 S160)로 진행되거나, 상기 단계 S150에서 카드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정보는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의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하는 단계(단계 S170);
    상기 단계 S170에서 입력정보가 가상드라이브 ‘Y’에 저장이 완료되면 금융기관 연동서버와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단계180)와, 더줌페이 앱설치가 완료되는 단계(단계190);
    더줌페이 앱설치가 완료되면 앱이 설치 된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상품구매는 온라인으로 하고, 결제는 해당 스마트폰 또는 PC에 생성되는 카드결제창을 통해 오프라인 방식으로 직접 카드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단계 S195);로 이루어지되,
    소비자 단말이 구매요청을 하게 된 경우에 있어서는 소비자 단말(400)이 인터넷을 통한 구매요청하는 단계(단계 S310);
    상기 단계 S310에서 결제방법 선택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320);
    상기 단계 S320에서 카드결제방법이 선택되면 더줌페이 앱이 실행되는 단계(단계 S330);
    상기 단계 S330에서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 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340);
    상기 단계 S340에서 로그인이 되고 전자지갑 결제(단계 S350)를 선택하면 NFC지원 결제창이 제공되며(단계 S360), 또는 카드결제(단계 S370)를 선택하면 RF지원 결제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380);
    상기 단계 S360에서 NFC결제창 또는 단계 S380에서 RF결제창에 전자지갑 또는 카드를 접촉하면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지문인식 창이 생성되는 단계(단계 S390);
    상기 단계 S390에서 지문인식을 하면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더줌결재앱을 통하여 온라인에서 전자지갑 또는 카드로 결제가 완료되는 단계(단계 S395);
    상기 단계 S320에서 결제방법이 선택이 완료되면 (i) 온라인 구매요청 시에는 소비자 단말(300)에 (ii) 오프라인 구매요청 시에는 더줌페이 가맹점 단말(400)에 더줌페이 결제창이 제공되는 단계(단계 S930);
    상기 단계 S930에서 더줌페이 결제창이 실행되면 더줌페이 결제창에서 (i) 온라인에서 소비자 단말(300)은 구매자 본인의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지 체크하고, (ii) 오프라인에서 가맹점 단말(400)은 오프라인 사업자(관리자)가 지문 또는 홍체로 로그인하는지 체크하는 단계(단계 S940);
    상기 단계 S940에서 로그인 체크되면 더줌페이 관리시스템(100)은 결제서버에 숨겨져 있던 가상드라이브 ‘Y’를 실행하는 단계(단계 S950);
    상기 단계 S950에서 가상드라이브 ‘Y’가 실행되어 더줌페이 결제창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S960);
    상기 단계 S960에서 결제창으로부터 결제카드를 선택받는 단계(단계 S970);
    상기 단계 S970에서 결제카드가 선택되면 선택정보가 더줌페이 결제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단계 S980);
    상기 단계 S980에서 더줌페이 결제서버가 제공되면, 온 라인일 경우에는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는 단계(단계 S990); 또는 오프 라인일 경우에는 가맹점 결제단말기에서 지문인식을 하도록 하는 단계(단계 S991);
    를 특징으로 하는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56888A 2015-11-09 2015-11-09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KR10179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88A KR101799466B1 (ko) 2015-11-09 2015-11-09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88A KR101799466B1 (ko) 2015-11-09 2015-11-09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756A Division KR20170118661A (ko) 2017-10-16 2017-10-16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31A KR20170054131A (ko) 2017-05-17
KR101799466B1 true KR101799466B1 (ko) 2017-12-20

Family

ID=5904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88A KR101799466B1 (ko) 2015-11-09 2015-11-09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62B1 (ko) * 2019-07-10 2022-01-12 주식회사 플리팝 팝업 마켓을 위한 폰 투 폰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31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217B1 (ko) 안전 실시간 결제 거래
US10977657B2 (en) Token processing utilizing multiple authorizations
KR101947629B1 (ko) 거래 검증 방법 및 시스템
US8812401B2 (en) Secure payment capture processes
US8719158B2 (en) Multi-account payment consolidation system
JP5430701B2 (ja) 金融手段を確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065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tivating a contactless transaction card
US99470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yments assurance
JP2016522925A (ja) ネットワークに頼らない携帯装置による不正検出
CN110462661B (zh) 用于x-支付数字钱包的拉取和推送系统
JP2004531827A (ja) 安全な払戻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268439A1 (en) Vtex3 fraud protection system mobile verification protocol (mvp)
US20150100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rollng an item in a virtual wallet
US201800531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itiating a financial transaction by a cardholder device
JP2023057160A (ja) 取引支援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20140025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al message consumer authentication value-based eft transactions
US20170286956A1 (en) Cross-channel security authentication
US20230128929A1 (en) Customizable digital asset-based interaction preferences
KR101799466B1 (ko)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KR100897498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시스템
KR20160010042A (ko) 실시간 계좌 이체, 계좌 추심을 통한 결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880783B2 (en) Electronic methods and systems for faster checkout in an e-commerce transaction
US20130290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payment to a beneficiary including a real-time authorization of the payment
KR20180106446A (ko)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8661A (ko) 카드도용결제를 차단하는 온/오프라인 금융거래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