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039B1 - 회전통 의자 - Google Patents

회전통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039B1
KR101799039B1 KR1020160150428A KR20160150428A KR101799039B1 KR 101799039 B1 KR101799039 B1 KR 101799039B1 KR 1020160150428 A KR1020160150428 A KR 1020160150428A KR 20160150428 A KR20160150428 A KR 20160150428A KR 101799039 B1 KR101799039 B1 KR 10179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ylinder
protrusion
upper portion
cylind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복선
Original Assignee
신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혜숙 filed Critical 신혜숙
Priority to KR102016015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상측에 위치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회전통이 하측에 놓인 고정통에 결합된 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통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넓은 고정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회전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통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의 상부 외측과 회전통의 하부 외측에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의 상부 중앙과 회전통의 바닥에서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통 의자{swivel drum chair}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상측에 위치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회전통이 하측에 놓인 고정통에 결합된 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통 의자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간이의자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채로 사용하는 의자와, 좌판이 회전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회전의자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도 회전의자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도 앉은 상태에서 방향 전환이 자유롭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실정이다.
회전형 플라스틱 간이의자는 공간을 덜 차지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이점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회전의자는 의자 본체의 상측으로 좌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판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단지 좌판이 회전되는 기능밖에는 기대할 수 없었다.
간이의자를 사용하는 곳은 실내나 야외에 관계없이 일반음식점 또는 포장마차 등에서 많이 사용하게 되고, 불에 의해 고기를 굽거나 익히는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 옷을 벗어 놓더라도 냄새가 옷에 배게 되는 문제와 함께 핸드백이나 지갑 또는 가방 등의 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관계로, 소지품의 분실에 신경을 쓰게 되는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간이의자는 협소한 형태로만 제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회전을 위하여 몸을 틀었을 경우, 간이의자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좌판만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나, 간이의자가 안정적으로 바닥을 받치지 못하여 간이의자가 움직이게 되거나 심한 경우 간이의자가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사용이 쉽지 않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98250호(2002.12.02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75560호(2002.05.02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998026호(2010.11.26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1-0087839호(2011.08.03 공개)
본 발명은 회전형 간이의자가 상부에 결합된 좌판을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킬 수는 있으나, 앉은 채로 좌판을 회전시킬 때 간이의자도 같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음식을 굽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냄새가 옷에 배거나 소지품의 분실에 대비한 공간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옷이나 소지품을 수납한 후 앉은 상태에서 안정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넓은 고정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회전통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통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의 상부 외측과 회전통의 하부 외측에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의 상부 중앙과 회전통의 바닥에서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덮개를 열어 회전통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소지품을 넣은 후 덮개에 앉은 채로 몸을 틀어주면 안정되게 놓인 고정통의 상부에서 회전통이 안정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회전형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 고정통의 상부에 결합된 회전통에 덮개를 씌우되 덮개에 앉은 채로 회전통을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한편 회전통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옷이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어 도난을 방지하고, 옷에 냄새가 배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캡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의자의 조립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의자의 분해 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앉은 채로 몸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의자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한편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통의 상부에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회전통이 결합된 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회전통의 상부는 덮개를 이용하여 덮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통 위에 회전통이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고정통과 회전통은 각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평상시 회전통과 고정통은 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통의 회전만 이루어지게 되며, 회전통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는 냄새가 배지 않도록 옷을 넣거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지품을 넣은 후 덮개로 덮고, 엉덩이로 깔고 앉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의자(100)는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고정통(10)과, 상기 고정통(10)의 상부에 결합된 채로 회전되는 회전통(20)과, 상기 회전통(20)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30)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고정통(10)과 회전통(20)은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수단(60)에 의해 고정통(10)에 결합된 채로 회전통(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통(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가 상부보다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막혀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며, 회전통(20)은 하부가 막힌 상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납공간(40)이 형성되게 하고, 회전통(20)의 상부를 막아주는 덮개(30)를 좌판으로 사용하여, 덮개(30)에 사용자가 앉게 된다.
고정통(10)의 상부 외측과 회전통(20)의 하부 외측에는 회전수단(50)을 설치하여 회전통(20)이 고정통(10)에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고정통(10)의 중앙과 회전통(20)의 중앙에는 결합수단(60)을 형성하여 회전통(20)이 고정통(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회전수단(50)은 고정통(10)의 상부 외측으로 회전통(20)이 하부 저면이 받쳐지는 받침턱(51)을 형성하는 한편 회전통(2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홈(55)에 끼워지는 받침레일(52)을 형성하고, 회전통(20)의 하부 외측에는 고정통(10)의 받침레일(52)이 끼워지는 회전홈(55)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통(10)의 받침레일(52)에 회전통(20)의 회전홈(55)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레일(52)의 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마찰저항을 줄이고, 이때, 회전통(20)의 하부 외측 저면은 고정통(10)의 받침턱(51)에 받쳐지게 된다.
고정통(10)의 상부에 회전통(20)이 결합되면, 고정통(10)의 상부 외경과 회전통(20)의 하부 외경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돌출된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수려함을 주게 된다.
고정통(10)은 하측이 상측보다 직경을 넓게 하여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50)은 고정통(10)의 중앙에 상부로 결합돌기(61)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61)는 회전통(2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구멍(65)을 통하여 회전통(20)의 내부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회전통(20)의 내부에서 결합돌기(61)에 고정캡(70)을 끼우되 고정캡(70)은 결합구멍(65)보다 직경이 크고, 회전통(20)의 바닥에 밀착되지 않는 상태로 끼워지게 하고, 고정캡(70)은 결합돌기(61)에 끼워진 후에는 힘을 가하지 않으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캡(70)은 하측에 결합홈(71)이 형성되어 결합돌기(6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결합돌기(61)는 양쪽으로 간격홈(62)을 형성하여 고정캡(70)의 결합홈(71)에 결합돌기(76)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돌기(61)와 결합홈(71)을 맞춘 후 강하게 고정캡(70)을 밀게 되면 결합돌기(61)가 밀리면서 결합홈(7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돌기(61)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3)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71)의 내측으로는 결합돌기(61)의 걸림돌기(63)가 끼워지는 걸림홈(72)을 형성시킴으로써, 결합돌기(61)가 결합홈(71)에 끼워질 때 걸림돌기(63)가 걸림홈(72)에 억지로 끼워지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캡(70)은 쉽게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정캡(70)은 결합구멍(65)보다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회전통(20)을 들어 올렸을 때 고정통(10)이 고정캡(70)에 받쳐진 상태로 회전통(20)과 같이 들려질 수 있도록 하며, 결합구멍(65)의 상부 외측으로 받침돌기(66)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회전통(20)을 들을 때 받침돌기(66)가 고정캡(70)을 받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덮개(30)는 회전통(20)의 상부 외측을 덮어주는 형태로 씌워지고, 상기 덮개(30)를 열은 후 회전통(2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40)에 옷이나 소지품을 넣고, 덮개(30)를 닫은 후 덮개(30)에 앉으면 된다.
본 발명은 덮개(30)에 앉은 채로 좌우로 방향을 틀어주면 고정통(10)은 바닥에 받쳐져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통(20)이 결합수단(60)을 중심으로 회전수단(50)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며, 수납공간(40)에 보관되는 옷에는 냄새가 배지 않고, 소지품은 도난의 우려가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고정통(10)을 놓고, 회전통(20)을 올려놓되 회전통(20)의 결합구멍(65)에 고정통(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결합돌기(61)가 끼워져 회전통(20)의 내부로 돌출되게 하는 동시에 고정통(10)의 받침레일(52)이 회전통(20)에 형성된 회전홈(55)에 끼워지게 결합한다.
그리고, 회전통(20)의 내부로 돌출된 결합돌기(61)에 고정캡(70)을 씌우되 고정캡(70)을 강하게 누르면 결합돌기(61)가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고정캡(70)의 결합홈(71)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결합돌기(61)에 형성된 걸림돌기(63)가 고정캡(70)의 결합홈(71)에 형성된 걸림홈(72)에 끼워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고정캡(70)을 분리해 내지 않는 한 고정캡(70)은 결합돌기(6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결합구멍(65)의 외측으로 형성된 받침돌기(66)가 고정캡(70)을 받치도록 함으로써, 회전통(20)을 들어올리면 받침돌기(66)가 고정캡(70)을 받치게 되고, 이때 고정캡(70)은 결합돌기(61)와 빠지지 않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통(10)도 회전통(20)과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 같이 회전통(20)은 고정통(10)의 상부에서 결합돌기(61)에 끼워진 후 고정캡(70)으로 고정되는 것이어서, 회전통(20)은 고정통(10)과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회전통(20)의 상부에는 덮개(30)를 씌우게 된다.
사용자는 덮개(30)를 열고, 내부의 수납공간(40)에 옷이나 소지품을 넣고, 덮개(40)를 닫은 후 덮개(30)에 앉으면 되고, 회전이 필요한 경우는 앉은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틀어주게 된다.
덮개(30)에 앉은 채로 몸을 틀어주면 덮개(30)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회전통(20)으로 전달되어 회전통(20)이 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통(20)에 좌우로 회전력이 가해지면, 고정통(10)의 받침레일(52)에 회전홈(55)이 끼워진 채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원하는 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받침레일(52)의 상측은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고정통(10)에 결합된 채로 회전통(20)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앉은 채로 원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특히, 본 발명은 덮개(30)를 열고 내부 수납공간(40)에 옷이나 소지품을 넣은 후 덮개(30)를 닫고, 그 위에 앉게 되는 것이어서, 냄새가 나는 공간에서 옷에 냄새가 배게 되는 경우를 없애는 한편 지갑이나 가방 또는 휴대폰 등의 소지품을 도난당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본 발명은 고정통(10)이 안정적으로 바닥을 받치게 되므로, 회전을 위하여 회전통(20)에 좌우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고정통(10)이 넘어지거나 틀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인 회전을 보장하게 된다.
10 : 고정통 20 : 회전통
30 : 덮개 40 : 수납공간
50 : 회전수단 52 : 받침레일
55 : 회전홈 60 : 결합수단
61 : 결합돌기 63 : 걸림돌기
65 : 결합구멍 70 : 고정캡
71 : 결합홈 72 : 걸림홈
100 : 의자

Claims (3)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상부보다 직경이 넓은 형태를 갖는 한편 상부가 막힌 고정통(1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40)이 형성되며 하부가 막힌 원통형의 회전통(20)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20)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3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10)의 상부 외측으로 회전통(20)의 하부 외측이 받쳐지는 받침턱(5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51)의 내측으로 받침레일(52)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레일(52)은 상부로 돌출되는 한편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하며, 상기 받침레일(52)이 끼워지는 회전홈(55)을 회전통(20)의 하부에 형성하여 회전홈(55)이 받침레일(52)에 결합된 채로 회전통(20)이 회전되게 구성되는 회전수단(5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통(10)의 상부 중앙에서 회전통(20)의 바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61)에 끼워져 회전통(20)이 고정통(1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캡(70)을 씌우는 결합수단(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통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수단(60)은 고정통(1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1)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61)에는 양쪽으로 간격홈(62)을 형성하는 한편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63)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61)가 끼워지는 회전통(20)의 결합구멍(65)에는 외측으로 회전통(20)의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돌기(66)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돌기(66)는 결합돌기(61)에 끼워지는 고정캡(70)의 하부를 받치게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61)는 결합구멍(65)보다 직경이 큰 고정캡(70)의 결합홈(71)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홈(71)에는 걸림돌기(63)가 끼워지는 걸림홈(72)을 형성하여 결합돌기(61)가 결합홈(71)에 끼워질 때 걸림돌기(63)가 걸림홈(72)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통 의자.
KR1020160150428A 2016-11-11 2016-11-11 회전통 의자 KR10179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28A KR101799039B1 (ko) 2016-11-11 2016-11-11 회전통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28A KR101799039B1 (ko) 2016-11-11 2016-11-11 회전통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039B1 true KR101799039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28A KR101799039B1 (ko) 2016-11-11 2016-11-11 회전통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40A (ko) * 2021-04-15 2022-10-24 박가영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간이 회전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20Y1 (ko) * 2001-10-13 2002-01-16 전명구 농사 작업용 의자
KR200436907Y1 (ko) * 2007-06-29 2007-10-17 최병윤 간이 회전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20Y1 (ko) * 2001-10-13 2002-01-16 전명구 농사 작업용 의자
KR200436907Y1 (ko) * 2007-06-29 2007-10-17 최병윤 간이 회전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40A (ko) * 2021-04-15 2022-10-24 박가영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간이 회전의자
KR102545943B1 (ko) * 2021-04-15 2023-06-20 박가영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간이 회전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175B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KR200471652Y1 (ko) 의자 일체형 가구
US8342341B2 (en) Utensil storage stand
EP1825480A2 (en) Holding device
CA2681485A1 (en) Plunger caddy assembly
KR101799039B1 (ko) 회전통 의자
US7946543B2 (en) Closet carrousel
JP2015223515A (ja) 厨房容器用折りたたみ式ハンドルタイプ構造
KR200352880Y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JP5606397B2 (ja) 清掃具
CN203693159U (zh) 一种带旋转开关的弹盖结构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0734472B1 (ko) 서랍식 저장실을 갖는 제품에서 손잡이가 숨겨진서랍식도어의 개폐구조
KR102107398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빨래 바구니
KR102393089B1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101765516B1 (ko) 다용도 싱크대
KR101743759B1 (ko) 원터치로 인출되는 립스틱이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101805897B1 (ko)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KR100634787B1 (ko) 다림질 받침대
KR20090022867A (ko) 화장용구 및 화장품 보관 케이스
CN109008701B (zh) 多用途便携电热水壶
KR200463478Y1 (ko)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테이블 겸용으로 사용되는 가방
KR101841343B1 (ko) 차주전자
KR200495571Y1 (ko) 욕실용 코너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