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75B1 -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75B1
KR101798475B1 KR1020160089186A KR20160089186A KR101798475B1 KR 101798475 B1 KR101798475 B1 KR 101798475B1 KR 1020160089186 A KR1020160089186 A KR 1020160089186A KR 20160089186 A KR20160089186 A KR 20160089186A KR 101798475 B1 KR101798475 B1 KR 10179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file
informatio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이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이유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이유지
Priority to KR102016008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7/308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웹 문서의 출력 형태에 대한 디스플레이 제품군, 모델명, 언어를 포함한 출력 선택 정보와 이미지 또는 사용자 지정 영역을 포함한 출력 조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하는 템플릿 관리 서버; 및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인디자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리한 후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상기 웹 구성요소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하여 웹 문서를 완성하는 파일 처리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품질의 인디자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일 변환, 분리, 가공을 통해 목차 자동 분류, HTML 컨텐츠 생성, 검색 데이터베이스 생성, 상호 참조 기능, 사용자 선택형 웹구성요소를 HTML 형태로 신속하게 분류 및 추출할 수 있고, 템플릿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군에 맞는 다국어 웹문서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국어 웹문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Multilingual Web documents publishing System for Heterogeneous Platforms Supporting}
본 발명은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디자인 데이터를 변환, 분리, 가공하여 목차 자동 분류, HTML 컨텐츠 생성, 검색 데이터베이스 생성, 상호 참조 기능, 사용자 선택형 웹구성요소를 HTML 형태로 신속하게 분류 및 추출할 수 있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오프라인 출판물이나 온라인 출판물이 데스크톱 퍼플리싱(DTP)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기능들이 계속하여 추가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DTP 출판 결과물은 여러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와 실제 내용인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복잡하게 상호 연동하여 구성되므로 컨텐츠가 달라지게 되면 원하는 출판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해 복잡한 DTP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형태이나 그 컨텐츠의 언어가 달라지는 다국어 매뉴얼 제작의 경우에는 각 언어별로 DTP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다국어 번역을 위한 번역 작업이 DTP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와 별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전문 번역가나 번역회사에 번역을 의뢰하게 되므로 기준이 되는 DTP 내용을 전문적인 번역가가 사용하는 CAT(Computer-assisted translation)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하며, 이를 받은 번역가는 CAT 소프트웨어를 통해 번역한 결과를 돌려주게 되는데, 번역의 특성상 레이아웃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번역을 위한 공용 파일 변환 과정에서 DTP 결과물 내의 인덱스나 상호참조, 링크 등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렇게 번역된 파일을 다시 DTP 소프트웨어에서 불러들일 경우 상당히 많은 수정이 요구된다.
현재 DTP 소프트웨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어도비(Adobe)사의 인디자인(InDesign)이고, CAT 소프트웨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스디엘(SDL)사의 트라도스(Trados)이다.
종래 기술의 다국어 전자 문서 출판 기술은 복잡하고 품질이 높은 인디자인 문서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번역할 수 없기 때문에 인디자인 컨텐츠를 번역하여 다른 형태 또는 직접 문장을 가져다가 HTML, APP 등의 최종 결과물 작업을 출력하기 위한 복사, 붙여넣기 등의 편집 작업에 활용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의 다국어 전자 문서 출판 기술은 인쇄 또는 PDF용 문서를 위해 인디자인 작업 후에 다국어화를 위해 인디자인 파일을 번역하는데, 인자디인 파일을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번역 데이터 텍스트를 별도로 추출하여 각각의 웹페이지를 수작업으로 생성하여 다국어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고 있다.
이때,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제품군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별도로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인디자인 데이터, 번역 데이터, HTML 파일, 이미지 등의 데이터 관리가 힘들고, 컨텐츠 번역 데이터에 링크, 상호 참조, 동작 구성 등의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하기 위해 검색 데이터 생성, 사용자 설정 데이터 추출, 검수 작업 등의 장시간 제작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각 나라의 언어에 따른 HTML을 웹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페이지에 번역된 인디자인 컨텐츠를 수작업으로 가공하여 페이지를 생성하고, 표 또는 복잡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 생성하거나 생성된 이미지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에 이미지 위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다국어 전자 문서 출판 기술은 수작업으로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TV, PC 등의 다양한 기기에 적합한 웹문서 또는 기타 문서로 수작업 또는 반자동화하여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일관되지 않은 작업 방식으로 인해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국어 전자 문서 출판 기술은 프리젠테이션을 지향하는 인다지인 저작 도구로 생성되는 복잡한 웹문서를 다양한 기기에 대응하는 다국어 웹문서로 변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기기와 단시간에 인디자인 파일 변환과 사용자 선택형 컨텐츠를 반영한 다국어 웹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독립적이고 유연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321130호 " 다국어 전자 출판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365086호 "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제공 서버, 그 기록매체 "
본 발명은 인디자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일 변환, 분리, 가공을 통해 목차 자동 분류, HTML 컨텐츠 생성, 검색 데이터베이스 생성, 상호 참조 기능, 사용자 선택형 웹구성요소를 HTML 형태로 신속하게 분류 및 추출할 수 있고, 템플릿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군에 맞는 다국어 웹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은, 웹 문서의 출력 형태에 대한 디스플레이 제품군, 모델명, 언어를 포함한 출력 선택 정보와 이미지 또는 사용자 지정 영역을 포함한 출력 조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하는 템플릿 관리 서버; 및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인디자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리한 후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상기 웹 구성요소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하여 웹 문서를 완성하는 파일 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관리 서버는 상기 출력 선택 정보의 언어에 따라 텍스트 흐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텍스트 흐름 방향에 따라 이미지, 사용자인터페이스 텍스트,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한 템플릿 구성 요소를 분류하며, 상기 파일 처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템플릿 구성 요소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병합한 템플릿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템플릿 관리 서버는, 상기 템플릿 구성 요소들을 로컬 폴더에 신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 처리 서버는,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콘텐츠 정보, 상호 참조 정보, 외부 링크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해한 후 데이터 구조화를 통해 상기 구성 데이터들을 병합하여 예비 파일을 생성하는 데이터 구조화 모듈; 상기 예비 파일에서 목차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목차를 기준으로 웹페이지용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상기 예비 파일을 트리 구조의 설정 파일로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모듈;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목차 추출 정보, 목차 순서 설정 정보, 사용자 정의 이미지 설정 정보, 추가 기능 정보를 포함하여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호 참조 영역에 고유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호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성 모듈; 및 상기 설정 파일에 상기 메타 데이터와 상호 참조 정보를 결합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상기 웹 구성요소가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되어 웹 문서를 완성하는 데이터 통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구성 모듈은, 상기 설정 파일, 링크 정보, 상호참조 정보를 연동하여 구조화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가공 모듈은 상기 인디자인 데이터를 IDML(InDesign Markup Language)형식으로 자동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 처리 서버는, 상기 웹문서에 대한 오류를 검사하는 검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 모듈은, 상기 웹문서에 대한 스타일 검사, 상기 IDML 형식의 인지다인 데이터와 웹페이지용 마크업 언어 형식의 설정 파일을 비교 검사, 불필요 파일/폴더/이름 검사, 링크 검사를 통해 오류 발견시 오류 리포트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 처리 서버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리더기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웹문서 내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명, 이미지 설명문구/언어수로 이루어진 이미지 집합 파일을 자동으로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이미지에 이미지 설명 문구의 텍스트 정보가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은 고품질의 인디자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일 변환, 분리, 가공을 통해 목차 자동 분류, HTML 컨텐츠 생성, 검색 데이터베이스 생성, 상호 참조 기능, 사용자 선택형 웹구성요소를 HTML 형태로 신속하게 분류 및 추출할 수 있고, 템플릿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군에 맞는 다국어 웹문서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국어 웹문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나 PDF용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대로 활용하여 웹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에 인디자인 데이터를 번역을 위해 다른 형태의 파일로 가공해야하는 이중 작업이 제거되고, 오류 최소화 및 신속한 번역 작업 시간이 보장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검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템플릿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파일 처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일 처리 서버에 의한 설정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검수 모듈에 의한 검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생성 및 파일 변환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의해 완성된 웹문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템플릿 관리 서버(200) 및 파일 처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 문서의 출력 형태에 대한 디스플레이 제품군, 모델명, 언어를 포함한 출력 선택 정보와 이미지 또는 사용자 지정 영역을 포함한 출력 조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발생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 태블릿 PC, TV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템플릿을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한다.
파일 처리 서버(300)는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디자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리한 후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웹 구성요소를 템플릿에 병합하여 웹 문서를 완성한다. 이때, 파일 처리 서버(300)는 템플릿 관리 서버(200)로 파일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템플릿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템플릿 이미지, 템플릿 스크립트, 템플릿 CSS(Cascading Style Sheets), 템플릿 기본 HTML이 자동으로 조합되어 템플릿을 완성한다.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제품군, 텍스트 흐름 방향에 따라 이미지, UI 텍스트, 자바 스크립트 등의 템플릿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파일 처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제품군, 모델명, 언어를 지정한 후에 실행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설정 데이터에 의한 모델명, 이미지, 텍스트 흐름 방향 등이 반영된 템플릿 구성 요소들이 합해져 사용자 지정 영역에 신규로 템플릿이 생성된다.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프로젝트와 언어 선택시 필요한 이미지, 스크립트, CSS, HTML 파일의 조각들이 모여 내용만 없는 초기 템플릿 형태로 생성되고, 이후에 웹구성요소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템플릿은 사용자가 선택한 TV, PC,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플랫폼에 따라 생성되므로 각 디스플레이 제품마다 웹페이지를 생성해야 하는 개별 작업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
템플릿 스크립트는 검색 기능, 스와이프(Swipe) 기능, 확대/축소 기능, 페이지 이동 기능, 상호 참조 기능 등을 지원하고, 템플릿 CSS는 UI 공통 템플릿 구성 요소, 모바일/태블릿/TV/PC 형태, 좌우/우좌 글쓰기 형태 등을 지원하며, 템플릿 HTML은 커버 페이지와 모델명, TOC(Table of Contents), 콘텐츠 기본 HTML 등을 지원한다.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출력 선택 정보의 언어에 따라 텍스트 흐름 방향, 즉 좌우 글쓰기 또는 우좌 글쓰기의 형태를 판단하고, 텍스트 흐름 방향에 따라 이미지, 사용자인터페이스 텍스트,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한 템플릿 구성 요소를 분류하며, 파일 처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템플릿 구성 요소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가 병합된 템플릿을 완성한다.
이러한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템플릿 구성 요소들을 로컬 폴더에 신규 생성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도 1의 파일 처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파일 처리 서버에 의한 설정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검수 모듈에 의한 검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처리 서버(300)는 데이터 수집 모듈(310), 데이터 구조화 모듈(320), 데이터 가공 모듈(330), 데이터 구성 모듈(340), 데이터 통합 모듈(350), 검수 모듈(360) 및 이미지 처리 모듈(370)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 모듈(310)은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쇄용 또는 PDF용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수집한다.
데이터 구조화 모듈(320)은 압축파일 형태의 인디자인 데이터를 복수의 구성 데이터로 분해한 후 데이터 구조화를 통해 복수의 구성 데이터를 병합하여 예비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예비 파일은 웹문서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데이터들만 병합하여 생성된다.
데이터 가공 모듈(330)은 예비 파일의 전체 구조에서 구조화 목차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조화 목차를 기준으로 웹페이지용 마크업 언어(HTML)를 사용하여 예비 파일을 트리 구조의 설정 파일로 표현한다. 데이터 가공 모듈(330)은 인디자인 데이터를 IDML(InDesign Markup Language)형식으로 자동 추출하여 저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파일은 엑셀(Excel) 형태로 생성되고, 인디자인 데이터가 콘텐츠 정보, 상호 참조 정보, 외부 링크 정보 및 이미지 정보와 같은 구성 데이터들이 트리 구조로 표현되며, 각 항목에 고유한 링크 주소가 부여되어 있으며, 목차 순서 지정, 추천 기능 등을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구성 모듈(340)은 사용자 설정 데이터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목차 추출 정보, 목차 순서 설정 정보, 사용자 정의 이미지 설정 정보, 추가 기능 정보를 포함하여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호 참조 영역에 고유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호 참조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구성 모듈(340)은 설정 파일, 링크 정보, 상호참조 정보를 연동하여 구조화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검색 데이터베이스(400)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통합 모듈(350)은 설정 파일에 메타 데이터와 상호 참조 정보를 결합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웹 구성요소가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되어 웹 문서를 완성한다.
파일 처리 서버(300)는 로그인 레벨에 따라 접근이나 업데이트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고, 템플릿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각 언어에 대한 차수와 버전 관리를 통해 다음 작업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차수와 버전 관리 기능은 최초 버전(00), 수정 버전(01) 등으로 폴더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메뉴얼의 경우에 진행되는 버전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버전별로 구분되도록 한다.
한편, 파일 처리 서버(300)는 완성된 웹문서에 대한 오류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검수 모듈(36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검수 모듈(3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링크 검증, 파일 검사, 불필요 파일, 폴더 삭제, 이름 오류 등을 검사하여 오류 리포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검수 모듈(360)은 Doc.Compare 검사 기능을 통해 웹문서 변환전 IDML 파일을 선택하고, 웹문서 변환 후의 HTML 파일을 선택하여 파일 구조의 동일 여부, 누락 여부 등을 체크하고, 잘못된 스타일을 사용하거나 잘못된 작업방식으로 인하여 제대로 표현되지 않은 부분들에 대한 오류를 체크하여 오류 리포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자신이 원하는 IDML 파일과 HTML 파일을 비교 분석할 수 있고, '설명서 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오류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수 모듈(360)은 Miss_Mrs 검사 기능을 통해 불필요한 폴더와 파일을 찾아 삭제하고, 잘못된 이름이 있는 경우에 오류 리포트를 생성 출력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폴더나 파일 삽입 등으로 인한 오류 발생을 배제시킬 수 있다.
검수 모듈(360)은 Link 검사 기능을 통해 웹문서 내에 상호참조 링크, 외부 링크 등의 링크가 제대로 이동하는지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클릭하지 않더라도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하여 오류 리포트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리더기를 사용할 경우에, 파일 처리 서버(300)는 텍스트 정보와 함께 이미지 정보도 읽어주어야 웹페이지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일 처리 서버(300)는 웹문서 내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명, 이미지 설명문구/언어수로 이루어진 이미지 집합 파일을 자동으로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이미지에 이미지 설명 문구의 텍스트 정보가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370)을 포함한다.
기존에는 이미지 정보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 문구를 수작업으로 모든 이미지마다 텍스트 정보를 넣어주었기 때문에 작업 시간과 오류 발생률이 높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처리 모듈(370)을 통해 수십~수백건이 넘는 이미지 집합 파일 내의 이미지마다 자동으로 텍스트 정보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1/10~1/100 정도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생성 및 파일 변환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파일 처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템플릿 생성 및 파일 변환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템플릿 생성 제어 영역(110), IDML 추출 영역(120), 파일 관리 영역(130), 사용자 설정 영역(140), 경로 확인 영역(150), 진행 상태 확인 영역(160) 및 HTML 변환 영역(170)을 포함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다국어 웹문서 출판에 대한 경험이 없는 일반 사용자 또는 다국어 웹문서 출판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제작자의 단말이 될 수 있다.
템플릿 생성 제어 영역(110)은 프로젝트 선택, 코드명 입력, 언어 선택의 기능을 수행하고, IDML 추출 영역(120)은 인디자인 데이터를 IDML 형태로 자동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 관리 영역(130)은 프로젝트 선택, 언어 선택, 버전 관리, 버전 생성, 로그인 등의 사용자 지정 설정 파일을 관리한다. 이러한 파일 관리 영역(130)은 템플릿 관리 서버(200)의 버전 관리 영역과 연동되고, 로그인 계정별로 권한 설정이나 역할을 구분하며, 사용자가 프로젝트/언어/버전 관리를 클릭하면 사용자 설정 영역(140)의 구조화 목차와 설정 내역이 결합되도록 한다.
사용자 설정 영역(140)은 사용자가 인디자인 구조화 목차와 결합할 아이콘, 추천 기능, 목차 추출 순서, 상호 참조 정보 등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저장 영역(141)은 사용자 설정 영역(14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템플릿 관리 서버(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경로 확인 영역(150)은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를 보여주고, 진행 상태 확인 영역(160)은 프로그램 각각의 동작에 따른 진행 상황을 보여주며, HTML 변환 영역(170)은 실제 인디자인 데이터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가 결합하여 HTML 및 각종 데이터를 파일 처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파일 처리 서버(300)는 인자디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형태로 추출된 템플릿과 사용자 설정 데이터와 결합하여 최종 웹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프로젝트, 언어별, 버전별의 사용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의해 완성된 웹문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방법은 파일 처리 서버(300)에서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수집하고, 프로젝트/버전/언어 선택 및 코드명 입력을 통해 웹문서의 출력 형태에 대한 디스플레이 제품군, 모델명, 언어를 포함한 출력 선택 정보와 이미지 또는 사용자 지정 영역을 포함한 출력 조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S1, S2)
사용자 단말(100)은 템플릿을 저장하기 위한 로컬 폴더의 저장 경로를 설정하고, 템플릿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하여 템플릿 구성요소를 분류하여 로컬 폴더에 저장한 후 템플릿 구성요소를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한다.(S3)
파일 처리 서버(300)는 인디자인 데이터를 IDML 형태로 자동 추출하고, IDML 형태의 인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웹 구성 요소 추출시 컨텐츠 정보, 상호 참조 정보, 외부 링크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해한 후 데이터 구조화를 통해 구성 데이터들을 병합하여 예비 파일을 생성한다. (S4, S5)
파일 처리 서버(300)는 예비 파일에서 목차를 생성한 후 생성된 목차를 기준으로 HTML을 사용하여 예비 파일을 트리 구조의 설정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파일 처리 서버(300)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목차의 순서, 추천 기능 추출, 특정 아이콘 삽입, 별도의 추가 기능 설정 등을 포함하여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호 참조 영역에 고유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호 참조 정보를 생성한다.(S6)
파일 처리 서버(300)는 설정 파일에 메타 데이터와 상호 참조 정보를 결합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웹 구성요소가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되어 시작 커버, 컨텐츠 테이블(TOC), 컨텐츠 HTML,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포함한 완전한 HTML 문서를 자동으로 완성한다.(S7 및 S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처리 서버(300)는 영어로 작성된 사용자 메뉴얼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모바일 단말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 파일 처리 서버(300)와 템플릿 관리 서버(200)를 통해 모바일 기기, 언어 등의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하여 빠르게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시작 커버(a), 웹페이지(b, c)를 자동으로 완성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웹문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모든 텍스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은 다양한 기기의 플랫폼과 40개 이상의 언어 특성에 맞게 템플릿 구성 요소를 빠르게 조합할 수 있고, 인디자인 데이터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므로 확장성이 강화되고, 인디자인 데이터에서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HTML 태그 문서로 빠르게 변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템플릿 관리 서버
300 : 파일 처리 서버 310 : 데이터 수집 모듈
320 : 데이터 구조화 모듈 330 : 데이터 가공 모듈
340 : 데이터 구성 모듈 350 : 데이터 통합 모듈
360 : 검수 모듈 370 : 이미지 처리 모듈
400 : 검색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웹 문서의 출력 형태에 대한 디스플레이 제품군, 모델명, 언어를 포함한 출력 선택 정보와 이미지 또는 사용자 지정 영역을 포함한 출력 조건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하는 템플릿 관리 서버; 및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인디자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리한 후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반영한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상기 웹 구성요소를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하여 웹 문서를 완성하는 파일 처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관리 서버는 상기 출력 선택 정보의 언어에 따라 텍스트 흐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텍스트 흐름 방향에 따라 이미지, 사용자인터페이스 텍스트,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한 템플릿 구성 요소를 분류하며, 상기 파일 처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템플릿 구성 요소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병합한 템플릿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관리 서버는, 상기 템플릿 구성 요소들을 로컬 폴더에 신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처리 서버는,
    온라인 출판물 또는 오프라인 출판물에 대한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인디자인 데이터 소스를 콘텐츠 정보, 상호 참조 정보, 외부 링크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구성 데이터들로 분해한 후 데이터 구조화를 통해 상기 구성 데이터들을 병합하여 예비 파일을 생성하는 데이터 구조화 모듈;
    상기 예비 파일에서 목차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목차를 기준으로 웹페이지용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상기 예비 파일을 트리 구조의 설정 파일로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모듈;
    상기 사용자 설정 데이터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목차 추출 정보, 목차 순서 설정 정보, 사용자 정의 이미지 설정 정보, 추가 기능 정보를 포함하여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호 참조 영역에 고유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상호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구성 모듈; 및
    상기 설정 파일에 상기 메타 데이터와 상호 참조 정보를 결합하여 웹 구성요소를 추출하며, 상기 웹 구성요소가 상기 사용자 지정 영역에 생성된 템플릿에 병합되어 웹 문서를 완성하는 데이터 통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성 모듈은,
    상기 설정 파일, 링크 정보, 상호참조 정보를 연동하여 구조화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가공 모듈은 상기 인디자인 데이터를 IDML(InDesign Markup Language)형식으로 자동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처리 서버는,
    상기 웹문서에 대한 오류를 검사하는 검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 모듈은,
    상기 웹문서에 대한 스타일 검사, 상기 IDML 형식의 인지다인 데이터와 웹페이지용 마크업 언어 형식의 설정 파일을 비교 검사, 불필요 파일/폴더/이름 검사, 링크 검사를 통해 오류 발견시 오류 리포트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처리 서버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리더기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웹문서 내 이미지 정보에 대해 이미지명, 이미지 설명문구/언어수로 이루어진 이미지 집합 파일을 자동으로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이미지에 이미지 설명 문구의 텍스트 정보가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KR1020160089186A 2016-07-14 2016-07-14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KR10179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86A KR101798475B1 (ko) 2016-07-14 2016-07-14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86A KR101798475B1 (ko) 2016-07-14 2016-07-14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475B1 true KR101798475B1 (ko) 2017-11-16

Family

ID=6080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186A KR101798475B1 (ko) 2016-07-14 2016-07-14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4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545A (ko) 2019-10-04 2021-04-14 (주)에이에스티홀딩스 Xml 기반 다국어 매뉴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N112765098A (zh) * 2021-01-19 2021-05-07 澜途集思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网络配置文件交叉检查方法
CN113449173A (zh) * 2021-07-12 2021-09-28 雷飞仪 一种基于特征采样的信息技术提取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103B1 (ko) * 2008-02-18 2008-09-11 유니닥스주식회사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US20090019386A1 (en) 2007-07-13 2009-01-15 Internet Simplicity, A California Corporation Extraction and reapplication of design information to existing websi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386A1 (en) 2007-07-13 2009-01-15 Internet Simplicity, A California Corporation Extraction and reapplication of design information to existing websites
KR100858103B1 (ko) * 2008-02-18 2008-09-11 유니닥스주식회사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545A (ko) 2019-10-04 2021-04-14 (주)에이에스티홀딩스 Xml 기반 다국어 매뉴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N112765098A (zh) * 2021-01-19 2021-05-07 澜途集思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网络配置文件交叉检查方法
CN113449173A (zh) * 2021-07-12 2021-09-28 雷飞仪 一种基于特征采样的信息技术提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hlund et al. NVivo 12 essentials
US10671251B2 (en) Interactive eReader interface generation based on synchronization of textual and audial descriptors
CN100409169C (zh) 文档处理装置和文档处理方法
Edhlund et al. Nvivo 11 essentials
US10650186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ectioned documents
JPH04111121A (ja) 分野別辞書生成装置、機械翻訳装置、及びそれら装置を用いた機械翻訳システム
WO2006046523A1 (ja) 文書解析システム、及び文書適応システム
US10042880B1 (en) Automated identification of start-of-reading location for ebooks
US20130262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reviewing patent documents
RU2579888C2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текст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ддержки различных форматов документов и текстовая подсистема
CN104199871A (zh) 一种用于智慧教学的高速化试题导入方法
KR101950126B1 (ko) 수학공식 처리방법, 장치, 설비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1798475B1 (ko) 다중 플랫폼 지원 다국어 웹문서 출판 시스템
JP6840597B2 (ja) 検索結果要約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6164707A (ja) 自動翻訳装置及び翻訳用モデル学習装置
US20120054605A1 (en)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system
US108847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unified experiences on digital platforms
CN114692655A (zh) 翻译系统及文本翻译、下载、质量检查和编辑方法
Edhlund et al. NVivo for Mac essentials
JP2013152564A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CN113297856B (zh) 文档翻译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6244510A (ja) 出力制御装置
CN114115831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9705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7090054A1 (en) Edit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