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02B1 -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02B1
KR101798402B1 KR1020110053457A KR20110053457A KR101798402B1 KR 101798402 B1 KR101798402 B1 KR 101798402B1 KR 1020110053457 A KR1020110053457 A KR 1020110053457A KR 20110053457 A KR20110053457 A KR 20110053457A KR 101798402 B1 KR101798402 B1 KR 10179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rtual group
search request
hierarchical name
reques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519A (ko
Inventor
배영인
장명욱
김재훈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02B1/ko
Priority to EP12170226.0A priority patent/EP2530611B1/en
Priority to US13/486,106 priority patent/US8667085B2/en
Priority to CN201210180960.1A priority patent/CN102811167B/zh
Priority to JP2012126822A priority patent/JP6022218B2/ja
Publication of KR2012013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519A/ko
Priority to US14/182,573 priority patent/US96148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06F16/3323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using document space presentation or visualization, e.g. category, hierarchy or range presentation and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3Details of arch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06F16/166File name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5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HSM] systems, e.g. file migration or policie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2Hierarchical databases, e.g. IMS, LDAP data stores or Lotus 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검색을 요청하는 컨텐츠의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A COMMUNIC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ENTS REQUESTER AND CONTENTS PROVIDER IN A NETWORK BASED ON A HIERARCHICAL NAME STRUCTURE}
아래의 실시예들은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에서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IP (Internet Protocol)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목적지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인터넷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많은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사용자들이 인기 있는 컨텐츠를 가진 몇몇 노드에 집중되어 트래픽 혼잡(congestion)을 야기시킨다. 또한, 목적지 주소에 기반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할 경우, 스마트 폰 등의 확산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량 폭증에 대해 네트워크 증설 외에는 별다른 대응책이 없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되었다.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는 IP 헤더 내 목적지 주소 값(예, 75.2.35.27)을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IP와는 달리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hierarchical name)을 이용한다. 하지만,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는 계층적 이름의 프리픽스 매칭(prefix matching)을 통해 컨텐츠 요청 패킷을 다른 노드로 전달(forwarding)한다. 그러므로, 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계층적 이름의 프리픽스(prefix) 부분을 일부만 알거나, 정확히 알지 못하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 없이 사용자가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full name) 중 일부만을 아는 경우라도 원하는 컨텐츠를 요청하고, 이에 응답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은 가상 그룹의 최소 단위로서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간의 통합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프리픽스(prefix)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명칭에 기초하여 생성된 계층적 이름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제1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응답 패킷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파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의 이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타입,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 및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특성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청 빈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누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상기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 및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은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 -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은 가상 그룹의 최소 단위로서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간의 통합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프리픽스(prefix)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명칭에 기초하여 생성된 계층적 이름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삽입된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지시자로부터 파악되는 특정 명령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파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의 이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 -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가상 그룹 및 계층적 이름 구조를 이용하여 컨텐츠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의 이름의 일부 또는 컨텐츠의 속성만으로도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고, 또한 검색하여 응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예를 들어, 커맨드 마커(command marker), 필드(field), 플래그(flag), 서치(search) 등)를 삽입함으로써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속성 및 키워드를 지정하거나, 검색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풀 네임(full name)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인덱스 서버(index server)가 없이도 네트워크의 특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을 나타낸 도면이다.
가상 그룹(VC)은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자간, 또는 가상 그룹 간의 초대와 등록을 통해 구성되는 계층적 커뮤니티이다. 가상 그룹(VC)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C1),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VC2)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VC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상 그룹(VC1)은 가상 그룹의 최소 단위로서 한 사람의 특정 사용자가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가상 그룹이다. 도 1에서 Jiah(111), Nara(113), Junho(115), Minsu(131) 및 Yuna(133)는 제1 가상 그룹(VC1)에 해당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물리적/논리적 기기 및 저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그룹은 가상 그룹들 간의 초대와 등록을 통해 새로운 가상 그룹을 생성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규모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가상 그룹(VC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C1)의 상위 그룹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C1)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C1) 간의 통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Jiah Home(120) 및 MinsuHome(140)이 제2 가상 그룹(VC2)에 해당한다.
또한, 제3 가상 그룹(VC3)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VC2)의 상위 그룹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VC2)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VC2) 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상 그룹(VC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C1) 각각에 대한 정보 또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가상 그룹들 간의 초대와 등록에 의해 각 가상 그룹마다의 프리픽스(prefix)가 공유되며, 각 가상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는 해당 가상 그룹의 프리픽스(prefix)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을 갖게 된다. 도 1에서 Friends(160)는 제3 가상 그룹(VC3)에 해당한다.
이 밖에도 가상 그룹은 가상 그룹들 간의 초대와 등록에 의해 제3 가상 그룹보다 상위의 제4 가상 그룹 또는 제5 가상 그룹을 생성(또는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이 xxx.com/sait/comm/yibae/video/abc.avi 이고, yibae가 제1 가상 그룹(VC1)의 사용자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통해 yibae라는 사용자는 video라는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해당 디렉토리(video)에서 abc.avi라는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통해 xxx.com은 제4 가상 그룹, sait는 제3 가상 그룹, comm이 제2 가상 그룹과 매칭됨을 알 수 있다. 즉, 계층적 이름 구조의 모든 계층이 가상 그룹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ccnx://xxx.com/sait/yibae/pic.jpg에서 xxx.com, sait, yibae 각각은 모두 가상 그룹이며 계층성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그룹의 상위 가상 그룹 또한 가상 그룹이며, 이 경우에는 가상 그룹의 이름으로 컨텐츠 검색의 요청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그룹의 구성은 계층적 이름 그 자체와 일치할 수 있다. 하지만, 가상 그룹의 구성은 계층적 이름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가상 그룹이 구성됨에 따라 새로운 가상 그룹의 프리픽스를 부여 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킹에서 가상 그룹 및 계층적 이름 구조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이름(full name) 중 일부만을 아는 경우라도, 가상 그룹의 구성 시에 공유된 프리픽스(prefix)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하거나 그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Jiah(111)는 Nara(113)와 Junho(115)를 초대하여 JiahHome(120)이라는 이름으로 제2 가상 그룹(VC2)를 구성하였다. 또한, Minsu(131)는 Yuna(133)를 초대하여 MinsuHome(140)이라는 이름을 갖는 또 다른 제2 가상 그룹(VC2)을 구성하였다.
또한, Jiah(111)는 MinsuHome(140)을 초대하여 Friends(160)라는 이름의 제3 가상 그룹(VC3)을 구성하였다. 이때, 제2 가상 그룹인 JiahHome(120)과 MinsuHome(140)은 서로 먼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두 개의 제2 가상 그룹 사이에서 Jiah(111)와 Minsu(131)가 가장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MinsuHome(140)과 JiahHome(120) 사이에서 컨텐츠 요청과 응답은 가장 안정적으로 연결된 노드인 Jiah(11)와 Minsu(13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상술한 가상 그룹별로 각각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소유 목록과 이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41739549-pat00001
이하에서 제3 가상 그룹의 프리픽스는 VC3_prefix로, 제2 가상 그룹의 프리픽스는 VC2_prefix로, 제1 가상 그룹의 프리픽스는 VC1_prefix로 나타낸다.
[표 1]에서 컨텐츠의 이름은 '<VC3_prefix>/<VC2_prefix>/<VC1_prefix>{/<디렉토리명>}*/파일명'으로 구성되는데, <>는 파일이 처음 생성될 때의 가상 그룹의 프리픽스(prefix)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 컨텐츠의 이름은 특정 기기에 종속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Friends/finetree.jpg'는 'VC3_prefix/파일명'을 나타내고, 'Friends/MinsuHome/Yuna/project/proposal.doc'은 'VC3_prefix/VC2_prefix/VC1_prefix/디렉토리명/파일명'을 나타낸다.
[표 1]에서, Friends/finetree.jpg와 Friends/JiahHome/flower.jpg는 초대를 한 주체인 Jiah(111)의 통신 기기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며, 그 이외의 다른 컨텐츠는 해당 제 1 가상 그룹(즉 해당 사용자)의 통신 기기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Friends/finetree.jpg와 Friends/JiahHome/flower.jpg는 상황에 따라 주체인 Jiah(111)의 다른 통신 기기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기기는 단일 저장 장치를 가질 수도 있고, 복수개의 논리적/물리적 저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 컨텐츠 요청자 또는 컨텐츠 응답자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멤버에 해당한다.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210).
이때,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삽입하여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로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에 삽입되는 커맨드 마커(command marker),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삽입되는 필드(field), 플래그(flag) 또는 서치(search) 등을 일 예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명령은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거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파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의 이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명령은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거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는 컨텐츠의 타입,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 및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특성 정보 및 컨텐츠의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 빈도 및 컨텐츠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누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상술한 각각의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삽입하여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컨텐츠 응답자(제공자)가 검색할 컨텐츠에 대한 속성 및 키워드를 지정하거나, 검색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 및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지시자를 삽입할 수 있다. 아래에서 지시자 중 커맨드 마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검색에 해당하는 커맨드 마커가 keyword.M 이고,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 컨텐츠의 검색에 해당하는 커맨드 마커가 document.M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 및 문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커맨드 마커는 keyword.M 및 document.M를 조합하여 keyword&document.M 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한다(22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은 가상 그룹의 최소 단위로서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
제2 가상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간의 통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3 가상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프리픽스(prefix)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명칭에 기초하여 생성된 계층적 이름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제1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230).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제1 응답 패킷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240).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25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31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해당 부분을 참고한다.
이때,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분석한다(320).
320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우선,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삽입된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분리한다. 이때,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로는 커맨드 마커(command marker),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삽입되는 필드(field), 플래그(flag) 또는 서치(search)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분리된 지시자(즉, 커맨드 마커, 필드, 플래그 또는 서치(search) 등)으로부터 파악되는 특정 명령을 분석함으로써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이 요청하는 바를 분석할 수 있다.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분리된 지시자로부터 파악되는 특정 명령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한다(330).
330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특정 키워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컨텐츠 응답자가,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특정 키워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은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밖에도, 330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파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의 이름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컨텐츠 응답자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이 요구하는 바에 적합한 컨텐츠들의 라우터블(routable)한 풀 네임(full name) 또는 가상 그룹의 이름을 포함하는 풀 네임을 데이터로 응답할 수 있다.
그 후,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는 검색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full name)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340)하여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35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컨텐츠 응답자가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Yuna(450)의 검색 요청에 대하여 Jiah(410)와 Minsu(440)가 응답한다고 가정하며, 이 경우, Yuna(450)는 컨텐츠 요청자가 되고, Jiah(410)와 Minsu(440)는 컨텐츠 응답자가 된다. 이하의 도 4 내지 도 6에서 실선은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이 전송되는 경로를 나타내고, 점선은 응답 패킷이 전송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Yuna(450)가 Friends 도메인에 키워드 'tree'를 갖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 (Interest)(401)을 전송한다. 그러면,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은 Yuna(450)와 연결된 Minsu(440)의 통신 기기를 통해 Jiah(410)의 통신 기기로 전달된다. 이때, 키워드는 컨텐츠의 풀 네임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정보일 수 있다.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을 수신한 모든 통신 기기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을 분석하여, 특정 도메인(Friends)에 특정 키워드로(tree) 검색을 요청(keyword.M)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처리하여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전체(full name)를 포함하도록 응답 패킷(405)를 생성한다. 이때, 모든 통신 기기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한 것이다.
예를 들어, Jiah(410)의 통신 기기가 finetree.jpg를 소유하고 있다면,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 대하여 Jiah(410)의 통신 기기가 응답하게 된다. 따라서, Jiah(410)의 통신 기기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full name)에 해당하는 /Friends/finetree.jpg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405)을 Yuna(450)에게 전송한다. 또한, Minsu(440)가 teatree.jpg를 소유하고 있다면, Minsu(440)도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 대하여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405)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응답 패킷(405)을 수신한 Yuna(450)는 다시 응답 패킷(405)에 포함된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인 /Friends/finetree.jpg 또는 /Friends/MinsuHome/Minsu/teatree.jpg로 컨텐츠 요청 패킷을 전송하고, 컨텐츠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서 사용된 keyword.M 에서 .M는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의 일 예인 커맨드 마커(command marker)로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 포함되는 계층적 이름에 삽입된다.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을 수신한 통신 기기가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분석하다가 지시자(여기서는 커맨드 마커(.M))를 발견하면, 특정한 명령(여기서는 keyword 추출 검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자(여기서는 Yuna(450))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서 특정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여기서는 커맨드 마커인 keyword.M) 이후에 찾고자 하는 특정 키워드(여기서는 'tree')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을 수신한 통신 기기는 응답 패킷(또는 응답 목록)을 작성할 때에 해당 지시자(keyword.M)가 정의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특정 키워드('tree')가 포함된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만을 응답 패킷(405)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커맨드 마커를 이용하여 검색 요청을 지시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검색 요청을 지시하기 위하여 커맨드 마커뿐만이 아니라,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 특정 명령(또는 특정 조건)을 지시하여 보낼 수 있는 필드(field), 플래그(flag)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시자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요청자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을 보낼 때, 검색 요청에 지시자를 이용해 특정 명령(또는 특정 조건)을 지시하여 보내고, 컨텐츠 응답자는 특정 명령에 따른 응답 결과를 전송하게 된다.
만약, 특정 명령(또는 특정 조건)을 나타내는 지시자로 필드 또는 플래그를 사용하는 경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 커맨드 마커를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컨텐츠 응답자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401)에 포함된 필드 또는 플래그를 참조하여 지시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여 응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Minsu(540)의 검색 요청에 대하여 Junho(510)가 응답한다고 가정한다.
Minsu(540)가 Friends 도메인에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 중 컨텐츠의 타입(여기서는 'music')을 기초로 해당하는 모든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501)을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타입 'music'에 해당하는 컨텐츠는 .wav, .mp3, .wma 등 음악 파일 관련 컨텐츠가 해당될 수 있다.
이때, Minsu(54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501)을 수신한 Jiah(510), Nara(520), Junho(530), Yuna(550) 중 wind.wav를 소유하고 있는 Junho(510)가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501)에 응답하여 응답 패킷(505)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는 컨텐츠의 타입,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 및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특성 정보와 컨텐츠의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 빈도 및 컨텐츠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누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컨텐츠의 타입(type)에 해당하는 항목은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서 정의되거나 컨텐츠 이름의 일부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는 컨텐츠의 풀 네임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의 범위나 표현 방식은 가상 그룹의 설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Nara(620)의 검색 요청에 대하여 Jiah(610), Nara(620), 및 Junho(630)가 응답한다고 가정한다.
Nara(620)는 Friends 도메인 내 JiahHome의 모든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하여 '/Friends/JiahHome/search.M/'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601)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Nara(620)가 전송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601)은 도 1에서 나타난 제3 가상 그룹인 'Friend(160)' 전체로 전송된다. 이 때, 제3 가상 그룹에 포함된 통신 기기들(또는 멤버들) 중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full name)에 ' Friends/JiahHome'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가진 통신 기기(또는 멤버들)는 해당 컨텐츠 검색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
도 6에서 Jiah(610), Nara(620), 및 Junho(630)의 통신 기기 모두가 'Friends /JiahHome'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가지고 있으므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601)에 대하여 Jiah(610), Nara(620), 및 Junho(630) 모두가 응답 패킷을 전송(605)한다. 반면에, 해당 컨텐츠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Minsu(640) 및 Yuna(650)는 응답 패킷(605)을 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서, Nara(620)가 [표 1]과 같이 해당 컨텐츠를 2개 소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이 해당 컨텐츠가 단수 개가 아닌 경우에, Nara(620)는 '/Friends/JiahHome/search.M/1/Friends/JiahHome/Nara/drama01.avi/2/Friends/JiahHome/Nara/drama02.avi' 과 같이 응답할 수 있다. 응답해야 할 컨텐츠 목록이 여러 개일 경우, 예를 들어, /1/.../2/등과 같은 구분자를 사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만약, Nara(620)의 통신 기기가 2개이고 drama01.avi는 통신 기기 1에, drama02.avi는 통신 기기 2에 저장되어 있었다면, 응답 패킷(605)은 통신 기기 1로부터 발생한 '/Friends/JiahHome/search.M/Friends/JiahHome/Nara/drama01.avi'과 통신 기기 2로부터 발생한 /Friends/JiahHome/search.M/Friends/JiahHome/Nara/drama02.avi'의 2개의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Nara(620)의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기기가 2개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하나의 통신 기기는 1개의 저장 장치도 없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2개의 응답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서 [표 1]을 통해 Jiah(610)의 통신 기기에는 JiahHome(제2 가상 그룹(VC2)), Friends(제3 가상 그룹(VC3))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했으므로, Jiah(610)의 통신 기기로부터 하나의 응답이 발생한다.
상술한 검색 방법들은 단지 한 가지 방법만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고, 중복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가상 그룹 안에서 특정 키워드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들을 찾는 검색 요청이나,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 컨텐츠를 찾는 검색 요청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검색 방법들은 특정 범위 내의 모든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즉,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는 새로운 커맨드 마커나 플래그 등과 같은 지시자를 정의 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커맨드 마커의 예로는 '/keyword&VC.M/', '/keyword&document.M/' 등이 될 수 있으며, 새로운 플래그의 예로는, 여러 개의 키워드를 포함하여 검색할 경우 특정 조건을 제한하는 '/doAND/', '/doOR/'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새로운 커맨드 마커나 플래그는 검색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프리픽스(prefix)를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컨텐츠의 이름에 있는 특정 단어를 지정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특정 속성만 알고 있는 경우에도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으며, 계층 구조를 갖는 커뮤니티(가상 그룹)에서 커뮤니티(가상 그룹)의 이름, 멤버의 이름을 기반으로 컨텐츠의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고, 응답 받을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700)는 제1 생성부(710), 요청부(730)를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700)는 제2 생성부(750) 및 수신부(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생성부(710)는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
제1 생성부(710)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삽입하여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로는 커맨드 마커(command marker), 필드(field) 또는 플래그(flag)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요청부(730)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한다.
제2 생성부(750)는 수신부(770)에서 수신된 제1 응답 패킷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수신부(7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제1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770)는 컨텐츠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800)는 수신부(810), 분석부(830), 검색부(850), 생성부(870) 및 전송부(890)를 포함한다.
수신부(810)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수신한다.
분석부(830)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분석한다. 이때,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850)는 분석부(830)에서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한다.
생성부(87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890)는 생성부(870)에서 생성된 응답 패킷을 컨텐츠 요청자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700: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
710: 제1 생성부
730: 요청부
750: 제2 생성부
770: 수신부

Claims (20)

  1.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은
    가상 그룹의 최소 단위로서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간의 통합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프리픽스(prefix)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명칭에 기초하여 생성된 계층적 이름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제1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응답 패킷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요청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파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의 이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타입,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날짜 및 상기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특성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청 빈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누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상기 컨텐츠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 및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지시자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방법.
  11.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 -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가 삽입된 것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은
    가상 그룹의 최소 단위로서 특정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Virtual Community: V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간의 통합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상 그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상 그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가상 그룹 각각에 대한 프리픽스(prefix)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가 포함하는 컨텐츠 명칭에 기초하여 생성된 계층적 이름을 갖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삽입된 특정 명령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지시자로부터 파악되는 특정 명령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파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의 이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요청자가 요청한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 파악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7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에게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요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에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의 통신 장치.
  20.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 -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패킷은
    상기 컨텐츠의 계층적 이름을 기초로 검색 영역을 지정한 지시자가 삽입된 것인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장치.
KR1020110053457A 2011-06-02 2011-06-02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79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57A KR101798402B1 (ko) 2011-06-02 2011-06-02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EP12170226.0A EP2530611B1 (en) 2011-06-02 2012-05-31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network based on hierarchical name structure
US13/486,106 US8667085B2 (en) 2011-06-02 2012-06-01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network based on hierarchical name structure
CN201210180960.1A CN102811167B (zh) 2011-06-02 2012-06-04 用于基于分层名称结构的网络的方法和设备
JP2012126822A JP6022218B2 (ja) 2011-06-02 2012-06-04 階層的な名前構造に基づいた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要請者及びコンテンツ回答者の通信方法及び装置
US14/182,573 US9614897B2 (en) 2011-06-02 2014-02-18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network based on hierarchical nam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57A KR101798402B1 (ko) 2011-06-02 2011-06-02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519A KR20120134519A (ko) 2012-12-12
KR101798402B1 true KR101798402B1 (ko) 2017-12-22

Family

ID=4622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457A KR101798402B1 (ko) 2011-06-02 2011-06-02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667085B2 (ko)
EP (1) EP2530611B1 (ko)
JP (1) JP6022218B2 (ko)
KR (1) KR101798402B1 (ko)
CN (1) CN1028111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402B1 (ko) * 2011-06-02 2017-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30339481A1 (en) * 2012-06-11 201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ent discovery of node in intra-domain and inter-domain in content centric network and node therefor
US9967780B2 (en) * 2013-01-03 2018-05-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End-user carried location hint for content in information-centric networks
KR102052520B1 (ko) 2013-06-1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노드의 통신 방법 및 노드
WO2015161462A1 (zh) * 2014-04-23 2015-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对象获取方法、服务器和用户设备
KR102185350B1 (ko) * 2014-06-10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노드 및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1802A (ja) 2009-10-21 2011-05-0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階層構造可変長識別子を備えたパケットを転送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6402A (en) * 1998-01-07 2000-02-15 Hewlett-Packard Company Process restriction within file system hierarchies
US20040133606A1 (en) * 2003-01-02 2004-07-08 Z-Force Communications, Inc. Directory aggregation for files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ervers in a switched file system
AU2002258019A1 (en) * 2002-04-30 2003-11-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tree data exchange
US7035838B2 (en) * 2002-12-06 2006-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organizing information stored within a computer network-based system
CN100444573C (zh) * 2003-03-27 2008-12-17 中国科学院计算机网络信息中心 一种构建层次式交换网络的方法
JP2006048141A (ja) * 2004-07-30 2006-02-16 Web Do Japan Co Ltd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090021230A (ko) * 2004-10-28 2009-02-27 야후! 인크. 신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사용자 판단의 통합을 갖는 검색시스템 및 방법
US20080109481A1 (en) * 2006-11-06 2008-05-08 Sergio Catanzariti Context based network search
US20080172391A1 (en) * 2007-11-28 2008-07-17 The Go Daddy Group, Inc. Multiple format file archiving in an online social community
US9456054B2 (en) 2008-05-16 2016-09-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trolling the spread of interests and content in a content centric network
US8165118B2 (en) 2008-05-19 2012-04-2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Voice over content centric networks
US8719258B2 (en) 2008-08-20 2014-05-06 Yahoo! Inc. Information sharing in an online community
US8667420B2 (en) * 2008-12-22 2014-03-04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presenting and browsing hierarchical data
CN102171645B (zh) * 2009-05-27 2015-03-04 株式会社日立解决方案 检索系统及其控制方法、检索空间映射服务器装置
US9904733B2 (en) * 2010-01-15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me hierarchies for mapping public names to resources
US8438166B1 (en) * 2011-03-31 2013-05-07 Amazon Technologies, Inc. Pre-computed search results
CN103548020B (zh) * 2011-05-12 2017-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由小树进行的大小可变分层名称的最长前缀匹配的方法和系统
KR101798402B1 (ko) * 2011-06-02 2017-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1802A (ja) 2009-10-21 2011-05-0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階層構造可変長識別子を備えたパケットを転送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cobson et al, Focusing search in hierarchical structures with directory sets, Proc. of 1998 ACM pp.1-9, (1998.11.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2705A (ja) 2012-12-20
US20140164568A1 (en) 2014-06-12
EP2530611B1 (en) 2020-04-22
KR20120134519A (ko) 2012-12-12
CN102811167B (zh) 2017-11-21
US8667085B2 (en) 2014-03-04
CN102811167A (zh) 2012-12-05
US9614897B2 (en) 2017-04-04
JP6022218B2 (ja) 2016-11-09
US20120311079A1 (en) 2012-12-06
EP2530611A1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402B1 (ko) 계층적 이름 구조에 기반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요청자 및 컨텐츠 응답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72203B1 (ko)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 계층적 이름의 변화에 강인한 단축 이름을 생성하는 방법 및 노드
CN104052661B (zh) 容器名服务器和容器名解析方法
EP1719308B1 (en) Selecting nodes close to another node in a network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nodes
US7644167B2 (en) Identifying a service node in a network
KR101787867B1 (ko) 라우트 포워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44570A (ko)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노드의 통신 방법 및 노드
JP5847185B2 (ja) コンテンツ中心のネットワーク環境でグループ変更に関する情報を用いる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装置
KR20120137726A (ko)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cn)에서 전송 노드, 수신 노드 및 그 통신 방법
CN103874157A (zh) 路由转发、建立路由表、和获取内容的方法及其装置
CN109614419B (zh) 一种面向命名数据网络的知识服务路由挖掘方法
JP6213755B2 (ja) コンテンツ共有方法およびソーシャル同期装置
CN103873602A (zh) 一种网络资源命名方法与生成装置
EP1719331B1 (en)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node in a network using at least one local landmark node
KR20190002674A (ko) 자원 구독 방법, 자원 구독 장치, 및 자원 구독 시스템
CN102891872A (zh) 一种对等网络中数据存储和查询的方法及系统
Li et al. SCOM: A scalable content centric network architecture with mobility support
CN113641869B (zh) 一种人机物融合环境下的数字对象访问方法和系统
CN106970965A (zh) 一种新型互联网资源搜索方法
JP2001195372A (ja) エージェン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Strayer et al. Content sharing with mobility in an infrastructure-less environment
JP4494901B2 (ja) リソース検索方法およびリソース検索システム
KR20130138670A (ko)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인트라 도메인(intra domain) 및 인터 도메인(inter domain)에서 노드가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그 노드
CN107846290B (zh) 一种拓补关系管理方法和管理设备
Bettini et al. Context-aware web services for distributed retrieval of points of inte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