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32B1 -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 Google Patents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32B1
KR101798032B1 KR1020170074067A KR20170074067A KR101798032B1 KR 101798032 B1 KR101798032 B1 KR 101798032B1 KR 1020170074067 A KR1020170074067 A KR 1020170074067A KR 20170074067 A KR20170074067 A KR 20170074067A KR 101798032 B1 KR101798032 B1 KR 10179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er
wall
opposing portion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영남유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남유리산업 filed Critical (주)영남유리산업
Priority to KR102017007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월 화스너와 프레임 간에 밀착면을 2면 이상으로 구성하고, 그 밀착면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내진설계 효율성을 극대화한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호를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화스너를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화스너는 프레임의 2면 이상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스너와 프레임이 서로 밀착된 밀착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화스너는, 벽체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의 일면에 대향된 제1대향부로 구성된 벽체고정부;상기 벽체고정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의 타면에 대향된 제2대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제1대향부와 프레임 사이 및, 제2대향부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벽체고정부는, 상기 제1대향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어 벽체에 고정된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벽체고정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대향부와 수평하게 형성된 제3대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제3대향부와 프레임 사이에 더 개재되며,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는 각각, 벽체고정부로부터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 사이에 프레임 체결력이 극대화되도록 하고,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 각각에는 단차진 스토퍼가 형성되어 제2대향부 및 제3대향부 상에서 완충부재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An earthquake proof structure of curtain wall window fastener}
본 발명은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스너를 통해 프레임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화스너의 내진 설계 효율성을 높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커튼월(curtain wall)은 하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칸막이 구실의 바깥벽으로,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며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최근의 현대 건축물 구조에 있어서,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하기 때문에 이때의 벽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커튼월이라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튼월은 외장용(外粧用)으로서의 큰 기능을 갖는다.
커튼 월은 알루미늄 새시를 골조 외부에 설치하고, 그 사이로 여러 종류의 유리를 끼워 나가면서 골조의 외부를 장식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 새시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되고 있고, 이를 시공할 때 상기 커튼월은 건물 골조에 화스너(fastener)라 불리우는 결합부재를 통해 강력하게 연결이 된다.
종래의 커튼월 화스너(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에 의해 건물 슬라브에 고정된 고정면(11)과, 이 고정면(11)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커튼월 구조물에 연결되는 장착면(12)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튼월 화스너(10)의 단면 형태는 'L'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면(11)과 장착면(12)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튼월 화스너(10)를 이용함으로써, 건물 슬라브에 커튼월 창호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커튼월 화스너(10)는 내진 설계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창호(G)와, 창호(G)를 수평 및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20) 간 구조에 있어서, 내진 설계가 이루어진 구조물 및 관련 기술들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화스너(10)와 창호(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 간 내진 설계에 대한 관련 기술은 개발되어 있지 않거나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다.
즉, 지진 발생시 건물 벽체로부터 화스너(10)를 통해 프레임(20)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화스너(10)를 통한 진동 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내진설계가 필요한 실정인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200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월 창호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화스너의 내진설계를 통해 건물 전체 내진설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호를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화스너를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화스너는 프레임의 2면 이상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스너와 프레임이 서로 밀착된 밀착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화스너는, 벽체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의 일면에 대향된 제1대향부로 구성된 벽체고정부;상기 벽체고정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의 타면에 대향된 제2대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제1대향부와 프레임 사이 및, 제2대향부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벽체고정부는, 상기 제1대향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어 벽체에 고정된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벽체고정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대향부와 수평하게 형성된 제3대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제3대향부와 프레임 사이에 더 개재되며,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는 각각, 벽체고정부로부터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 사이에 프레임 체결력이 극대화되도록 하고,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 각각에는 단차진 스토퍼가 형성되어 제2대향부 및 제3대향부 상에서 완충부재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스너와 프레임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완충부재가 벽체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화스너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으로부터 커튼월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화스너의 내진설계를 통해 건축물 전체의 내진 설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스너는 프레임과 밀착되는 밀착면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하고, 그 밀착면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커튼월의 안정적인 설치구조 및 내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화스너는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벽체에 프레임의 안정적인 설치가 제공될 뿐만아니라, 프레임의 2면 이상에 개재된 완충부재가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의 내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이 화스너를 통해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가 설치된 커튼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벽체에 전달된 진동이 커튼월 창호를 지지하는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건물 벽체에 전달된 진동을 화스너에서 감쇄시켜 프레임(20)으로의 진동 전달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커튼월의 창호 화스너 내진설계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월 창호의 프레임(20) 각 코너와, 커튼월 창호의 프레임(20) 전면을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커튼월의 전면 프레임(20)을 지지하는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와 커튼월의 각 코너 프레임(20)을 지지하는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상이한데, 커튼월의 각 코너 프레임(20)을 지지하는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크게, 화스너(100)와 완충부재(200)로 구성된다.
화스너(100)는 프레임(20)의 2면 이상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프레임(20)의 안정적인 설치를 제공한다.
즉, 화스너(100)는 프레임(20)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매개수단으로서, 프레임(20)에 화스너(100)의 2면 이상이 밀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프레임(20)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20)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화스너(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고정부(110)와, 제2대향부(120)로 구성된다.
벽체고정부(110)는 벽체에 고정되는 부위이며, 벽체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된다.
벽체고정부(110)는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제1고정부(111)와 제1대향부(112)로 구성된다.
제1고정부(111)는 벽체에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부위로서, 제1고정부(111)에는 고정공(111a)이 형성된다.
즉, 볼트(B)가 고정공(111a)을 통해 벽체에 매립됨으로써, 벽체에 화스너(100)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대향부(112)는 프레임(20)의 일면을 지지하며, 제1고정부(111)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대향부(120)는 프레임(20)의 타면을 지지하며, 벽체고정부(1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대향부(120)는 제1대향부(112)와 함께 프레임(20)의 일면과 타면 즉, 2면을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써 프레임(200)의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대향부(120)에는 프레임(20) 고정을 위한 결합공(1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완충부재(200)는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스너(100)와 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된다.
완충부재(200)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무방하며, 제1대향부(112)와 제2대향부(120)를 따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태로 형성되며, 제2대향부(120)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결합공(121)에 대응되는 체결공(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커튼월의 둘레를 구성하는 프레임(20)의 각 코너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가 고정공(111a)을 통해 벽체에 매립됨으로써 화스너(100)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제1대향부(112) 및 제2대향부(120)에는 완충부재(130)가 밀착이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30)가 밀착된 제1대향부(112)와, 제2대향부(120)에는 프레임(20)의 측부와 상부가 밀착된 후, 볼트(B)가 결합공(121) 및 체결공(210)을 통해 프레임(20)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20)은 화스너(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화스너(100)의 내진설계 구조에 의해, 지진시 벽체로부터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화스너(100)는 프레임(20)의 2면 이상을 밀착하여 지지하고 있고, 2면 이상에 밀착되어 있는 완충부재(200)가 상기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화스너(100)를 통한 프레임으로의 진동 전달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제1실시예에서는 커튼월의 둘레를 구성하는 프레임(20)의 각 코너를 지지하는 커튼월 창호 내진설계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커튼월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레임(20)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화스너 창호의 내진설계가 제공되며,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역시 크게, 화스너(100)와 완충부재(200)로 구성된다.
벽체고정부(110)는 제1대향부(112)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제2고정부(113)를 더 형성한다.
제2고정부(113)는 제1고정부(111)와 함께 벽체에 고정되는 부위로서, 벽체고정부(110)의 상,하부가 벽체에 고정됨에 따라 화스너(100)는 더욱 안정감 있게 벽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벽체고정부(1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제3대향부(114)가 더 형성된다.
제3대향부(114)는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제2대향부(120)와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홈(H)이 형성되며, 그 사이홈(H)에는 프레임(20)이 삽입 설치된다.
이때, 제3대향부(114)에도 제2대향부(120)의 결합공(121)에 대응되는 결합공(121)이 형성된다.
또한, 완충부재(200)는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에 있어서, 제1대향부(112)에는 완충부재가 없어도 무방하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이 제1대향부(112)로부터 이격된 볼트(B)가 프레임(20)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1대향부(112)로부터의 진동은 프레임(20)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따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건물의 스팬드럴(S)에 복수의 화스너(100)가 나란히 고정된다.
이때, 화스너(100)의 제1고정부(111) 및 제2고정부(113)는 볼트(B)를 통해 스팬드럴(S)에 고정이 된다.
이후, 화스너(100)는 스팬드럴(S)의 전방에서, 프레임(20)의 상,하부를 각각 밀착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때, 화스너(100)의 제2대향부(120)와 프레임(20) 및, 제3대향부(114)와 프레임(20) 사이에는 완충부재(200)가 개재됨으로써 화스너(100)를 통해 프레임(2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대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에 설치된 창호로의 진동은 감소되므로, 내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는 각각, 벽체고정부(110)로부터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2대향부(120)는 벽체고정부(1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대향부(114)는 벽체고정부(110)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이홈(S)의 간격은 줄어들더라도, 화스너(100)의 재질 특성상 사이홈(S)에 프레임(20) 삽입시 상기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는 상,하방으로 각각 벌어지면서 프레임(20)의 상,하부를 압착하는 힘은 더 세지게 된다.
이후, 볼트(B)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화스너(100)에 프레임(20)의 체결력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대향부(120) 및 제3대향부(114)에는 각각 스토퍼(300)가 형성된다.
스토퍼(300)는 완충부재(20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 각각에 단차지게 형성이 된다.
이에 따라,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에 완충부재(200) 배치시, 완충부재(200)는 상기 스토퍼(300)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완충부재(200)는 제2대향부(120)와 제3대향부(114) 상에 용이하게 정위치되며, 완충부재(200)의 체결공(210)과 제2,3대향부(120,114)의 결합공(121)은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벽체에 화스너(100)를 설치하고, 화스너(100)에 프레임(20)을 설치함에 따라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시공은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는 화스너와 프레임 간에 밀착면이 2면 이상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밀착면 사이에는 각각 완충부재를 개재시킨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벽체로부터 화스너로 전달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화스너에 고정된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의 진동감쇄 효과를 통해 내진 설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화스너 110 : 벽체고정부
111 : 제1고정부 ` 111a : 고정공
112 : 제1대향부 113 : 제2고정부
114 : 제3대향부 120 : 제2대향부
121 : 결합공 200 : 완충부재
210 : 체결공 300 : 스토퍼
H : 사이홈 S : 스팬드럴

Claims (3)

  1. 창호를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화스너를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화스너는 프레임의 2면 이상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스너와 프레임이 서로 밀착된 밀착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화스너는,
    벽체에 고정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의 일면에 대향된 제1대향부로 구성된 벽체고정부;
    상기 벽체고정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프레임의 타면에 대향된 제2대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제1대향부와 프레임 사이 및, 제2대향부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벽체고정부는,
    상기 제1대향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 형성되어 벽체에 고정된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벽체고정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대향부와 수평하게 형성된 제3대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제3대향부와 프레임 사이에 더 개재되며,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는 각각, 벽체고정부로부터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 사이에 프레임 체결력이 극대화되도록 하고,
    제2대향부와 제3대향부 각각에는 단차진 스토퍼가 형성되어 제2대향부 및 제3대향부 상에서 완충부재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70074067A 2017-06-13 2017-06-13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KR10179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067A KR101798032B1 (ko) 2017-06-13 2017-06-13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067A KR101798032B1 (ko) 2017-06-13 2017-06-13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032B1 true KR101798032B1 (ko) 2017-11-17

Family

ID=6080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067A KR101798032B1 (ko) 2017-06-13 2017-06-13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0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23B1 (ko) * 2006-11-13 2007-10-01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23B1 (ko) * 2006-11-13 2007-10-01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57B1 (ko) 기밀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353453B1 (ko) 판스프링형 탄성체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용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KR101848854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001840B1 (ko) 범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1950250B1 (ko) 프레임 조립용 브라켓
KR20180113036A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CA2908873A1 (en) Vibration control wall structure
KR102337992B1 (ko) 건축물용 내진패널
KR101848852B1 (ko) 방음 내진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100156B1 (ko) 창호용 면진 시스템
KR100764145B1 (ko)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2038658B1 (ko)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비노출바형 커튼월
KR102139093B1 (ko) 마감재 부착용 내진 브래킷
KR101798032B1 (ko) 커튼월 창호 화스너의 내진설계 구조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KR102381471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102335148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2255117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20010076119A (ko) 천정구조물용 방진행거
KR102089587B1 (ko) 비틀림 강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체
KR102001927B1 (ko) 창틀 설치용 마감 조립체
CN212863713U (zh) 电梯井道
KR102482069B1 (ko) 내진부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KR102220364B1 (ko) 개폐창의 내진 연결구조
KR101654772B1 (ko) 패널존 보강과 탄성력을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