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486B1 -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486B1
KR101797486B1 KR1020170047971A KR20170047971A KR101797486B1 KR 101797486 B1 KR101797486 B1 KR 101797486B1 KR 1020170047971 A KR1020170047971 A KR 1020170047971A KR 20170047971 A KR20170047971 A KR 20170047971A KR 101797486 B1 KR101797486 B1 KR 10179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oil
support
wireless charging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김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문 filed Critical 김재문
Priority to KR102017004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4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486B1/en
Priority to PCT/KR2018/003807 priority patent/WO201819054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position variable type wireless charging holder. The coil position variable type wireless charging holder comprises: a body frame; a holding plate which is connected to a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body frame, and on which a coil is arranged; and a coil position variable means linked and located between the holding plate and the supporting part, and provided to change a position of the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coil position can be varied b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hange of a reception coil according to a holding stat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or a reception coil position embedded in various positions for each wireless charging device, so that a stable charging can be possibl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holding state or a model.

Description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0001]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0002]

본 발명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송신 코일을 사용하며, 무선충전기기의 수신 코일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variable wireless charging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station using a single transmission coil, which can change the position of a transmission coil in correspondence with a reception coil position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

최근에는 핸드폰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 무선충전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무선충전기술은 자기유도, 자기공명 등 여러 가지 기술이 논의되고 있으며, 현재는 자기유도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Recently,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In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various techniques such as magnetic induction and magnetic resonance are being discussed, and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mainstream at present.

그런데 현재 시중에서 판매, 사용되고 있는 무선충전 거치대는 대부분 무선충전형 수신코일이 내장된 무선충전기기를 무선충전 거치대상의 고정된 송신코일 위치에 일치시켜 안착한 후에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However, most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s sold and used in the market are structured such that the wireless charging cradles with the wireless charging type receiving coils are matched to the fixed transmission coil position o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and then charged.

그러다 보니, 무선충전기기를 눕히거나 또는 세워서 거치시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2~3개의 송신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무선충전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As a result, a wireless charging cradle is used in which two or three transmission coil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o places the wireless charger on the floor or stands upright. This is problematic in terms of cost.

그리고 다양한 회사의 서로 다른 제품(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갤럭시 S 시리즈, 엘지전자의 G 시리즈 등)에서 수신코일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는데, 고정형 송신코일이 장착된 무선충전 거치대는,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일치되는 특정 회사 제품에 한정되어 사용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receiving coils are different in different products of various companies (for example, Galaxy S series of Samsung Electronics, G series of LG Electronics, etc.).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equipped with the fixed transmission coil,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not be used only for a specific company product having a coincident reception coil.

국내특허 등록번호:KR 10-1709869 B1Korean patent registration number: KR 10-170986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송신 코일을 사용하고, 무선충전기기의 수신 코일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거치 상태 또는 기종에 제한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using one transmission coil, And which can be stably charged without limitation in a stationary state or a mode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il placement base for a variable position coil, comprising: a body frame; a stationary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formed in the body frame, And coil position varying means arrang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코일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may include a lift portion provid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빔 및 일단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거치판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는 회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guide grooves arranged on the side fac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stationary plate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a guide beam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may include a turning bar fixed to a side of the support portion facing the stationary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는 복수회로 절곡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bar may be folded in a plurality of circui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는 상기 가이드빔의 길이를 따라 일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bar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클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agnitude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bending magnitude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so as to improve the recovery due to the bending of the pivoting ba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절곡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외측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동바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간에 휨의 크기 균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3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nt portions are arranged in a pair, and the second bent portions are arranged in a pair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third bend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ding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bending amount of the first ben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바는,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미세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ing bar may further include a micro-bend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so as to improve restoration by the bending of the pivoting ba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빔과 상기 가이드빔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1 요철부에 걸리며, 상기 거치판에 배치되는 제1 걸림바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guide groove disposed in a side of the stationary plate facing the support portion, a guide beam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and vertically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A first irregular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engaging bar hung on the first irregular portion and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상기 승강부와 상기 거치판 사이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portion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eleva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late and provided to rotate the position of the c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판은 상기 승강부와 연계되는 고정판과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elevating unit and the fixing plate by the rot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판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돌기된 회전축이 형성된 부시홈과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고정판을 바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시홈에 삽입 배치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요철부 및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요철부에 걸림 배치되는 제2 걸림바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ortion may include: a bush groove formed in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 rotation shaft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side; and a bush groove formed in a side of the rotation plate facing the fixing plate, A second uneven portion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lock, and a second locking bar mounted on the fixed plate and engaged with the second uneve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치판 사이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portion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mounting plate, the rotation portion being provided to rotate the position of the c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돌기된 회전축이 형성된 부시홈과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시홈에 삽입 배치되는 로테이션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요철부 및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요철부에 걸림 배치되는 제2 걸림바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ortion may include a bush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rotation axis protruded toward the center side, and a bush groove formed in a side of the bush plate facing the support portion, A second uneven portion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lock, and a second locking bar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second uneven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과 상기 거치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코일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body frame and the mounting plate, the angle adjusting portion being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plate to change the coil position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플랫부에서 상방향으로 신장되며 배치되는 제1 포스트와 상기 제1 포스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힌지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2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os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lat portion formed on the body frame; a first hing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ost; And a second post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 포스트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inge part connected to and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second p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 포스트와 상기 제2 포스트간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스트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ts and provided to extend and retract the first p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2 포스트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연결되는 서포트바디와 상기 제1 포스트의 외면 일부에 형성되는 제3 요철부와 상기 서포트바디의 개방홀 내면에 형성된 이동홈상에 배치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에 휠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의 개방홀 내면에 형성된 휠홈에 출입되며, 상기 제3 요철부에 걸림 배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이동홈과 상기 이동바 사이에 배치되는 바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djuster may include an open hole formed at one end to insert and dispose the second post, and a support body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hinge, And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by a wheel shaft and being inserted into and out of a wheel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n opening of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 third uneven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 rotating wheel engaged with the concave / convex portion, and a bar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moving groove and the moving ba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프레임은, 지면에 배치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에 거치되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lat portion disposed on the ground, and a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and having one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을 확대토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음향조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component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to enlarge the sou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조성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음향홀과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음향홀 및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음향을 공명 확대시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공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composi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acoustic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 second acoustic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a second acoustic hole formed in the seating part, And an acoustic resonator connected to and disposed in the hole and provided to resonate and transmit the acoustic reson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플랫부상에서 상기 안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거치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on the fla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고,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신축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elescopic mounting member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거치수단은, 상기 플랫부에서 신장되며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스탠블록과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탠블록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착 배치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스탠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착 배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includes a stanchion block, which is extended from the flat portion and has a guide protru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oppe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guide protrusion, A first block that is seated on the guide protrusion, and a second block that is seated on the guide protrus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and bloc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을 확대토록, 상기 제1,2 블록에 배치되는 음향조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configuration unit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so as to enlarge the sou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조성부는, 상기 제1,2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음향홀과 상기 제1,2 블록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음향홀 및 상기 제1,2 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음향을 공명 확대시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공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al composi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acoustic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a second acoustical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And an acoustic resonato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holes in the interior of the two blocks and adapted to resonate and propagate acoustic wav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충전기기와 연결되는 스피커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상에 배치되는 스피커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body frame so that a speak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배터리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상에 배치되는 배터리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body frame to mount the auxili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면에 배치되는 슬립방지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lip prevention pa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frame to prevent slipping of the body fr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충전기기를 부착하도록, 상기 거치판상에 배치되는 점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disposed on the mounting plate so as to attach a wireless charger.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기기의 거치 상태에 따른 수신 코일의 위치 변경 또는 무선충전기기마다 다양한 위치에 내장된 수신 코일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 코일을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거치 상태 또는 기종에 제한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can b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ception coil according to the placement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the position of the reception coil embedded in various positions for each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stable charging can be done without limitation.

이때 송신코일은 단일인 하나가 배치되고, 하나의 송신코일의 위치를 다변화하여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므로, 종래 무선충전 거치대에 비해 제작원가가 절감된다. In this case, since a single transmission coil is disposed and the position of one transmission coil is diversified to match the reception coil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roduction cos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cradle.

또한 점착패드가 배치되어 있어 송신 코일의 위치 변경간에 무선충전기기가 거치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adhesive pads are disp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less charg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radle during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그리고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고자 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Further, since the angle can be adjusted,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view,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점착력, 내구성, 내열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점착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점착 패드의 제2층인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점착력이 우수한 다공성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겔(gel) 타입 패드와 달리 먼지가 잘 부착되지 않아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제1층은 온도와 상관 없이, 우수한 복원력 및 탄성력을 가지므로 제2층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훨씬 우수한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어 무선충전기기의 안정적인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having excellent adhesion,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The polyurethane foam sheet as the second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has a porous property with excellent adhesive strength, Unlike the pad, it is excellent in stain resistance because it does not adhere well to the pad, and the first layer has excellent restoring force and elasticity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so it can provide much better adhesive force than when the second layer is used alone Thereby enabling stable mounting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게시된 발명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게시된 발명에 대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승강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무선충전기기의 거치상태에 대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발명에서 회전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발명에서 승강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발명에서 신축거치부를 나타낸 부분정면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명에서 신축거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에서 Z-Z'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에서 Y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코일의 위치 변경 및 신축거치부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도 13에 도시된 코일위치 가변수단에 의한 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에 점착패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4은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점착 패드의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less charging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 1 from another angle; Fig.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ure 1;
Fig. 4 and Fig. 5 are view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by the elevat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and FIG. 7 are view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with respect to a stationary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by a rota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FIG. 11 and FIG. 12 are view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by the eleva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8;
Fig. 13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telescopic moun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3; Fig.
Fig. 15 and Fig. 16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elescopic moun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4;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ZZ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6;
FIG. 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Y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6; FIG.
Figs. 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e and an expansion stat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ig.
Figs. 21 and 22 show a stat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il by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shown in Fig. 13; Fig.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pad is attached to a wireless charg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EM photograph of the polyurethane foam sheet.
25 shows a SEM photograph of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il-position variable charg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게시된 발명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게시된 발명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승강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무선충전기기의 거치상태에 대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less charg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 1 from another angle,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with respect to a stationary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il position is changed by the elevat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제1 실시예는 바디프레임(200), 거치판(300) 및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7,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body frame 200, the mounting plate 300, and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우선 상기 바디프레임(200)은 플랫부(210), 안착부(220), 꺽임부(211)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부(210)는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고, 플랫부(210)의 일단부에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배치되고, 플랫부(210)의 타단부에는 플랫부(210)와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꺽임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꺽임부(211)의 상단부에는 상기 거치판(300)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연결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frame 200 may include a flat portion 210, a seating portion 220, a bent portion 211, and a support portion 230. The mounting part 2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lat part 210 and the flat part 210 is flat at the other end of the flat part 210. [ The bent portion 21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ortion 210. A support portion 230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lat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211.

여기서 상기 안착부(220)에는 거치된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이 확대 전달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향조성부(27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acoustic part 27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s shown in FIGS. 1 to 3 so that the sound of the stationary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enlarged and transmitted to the seating part 220.

이러한 상기 음향조성부(270)은 제1 음향홀(271), 제2 음향홀(273) 및 음향공명부(2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홀(271)은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음향홀(273)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음향공명부(272)는 상기 안착부(2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271,273)과 연결되며 공명 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The sound generating unit 270 may include a first acoustic hole 271, a second acoustic hole 273, and an acoustic resonator 272. The first acoustic hole 27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the second acoustic hole 27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the acoustic resonance part 272 is formed on the seating part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holes 271 and 273 may be formed in a resonance space.

최근에는 핸드폰(H)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는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거치시키고 음악을 감상하거나 또는 통화를 하고 싶을 때,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성이 방해되지 않고 사용자가에게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In recent years,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H is often located at the lower end. When a user places a wireless charger and wants to listen to music or make a call, it is important that the voice generated by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user without being interrupted.

이때 상기 음향조성부(270)가 스피커가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220)에 형성되어 있어,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제1 음향홀(271)로 유입되고, 음향공명부(272)의 공명공간에서 확대되며, 제2 음향홀(273)를 통해 사용자게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공명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증가된 선명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coustic hole 271 and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is introduced into the resonance space of the acoustic resonance unit 272. In the resonance space of the acoustic resonance unit 272, An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second acoustic hole 273. [ Using this resonance principle, the user can receive increased clear sound.

다음 상기 거치판(300)은 지지부(230)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300)의 코일배치부(330)에는 하나의 송신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코일은 유도기전력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Next, the mounting plate 3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30, and one transmission coil may be disposed in the coil arrangement portion 330 of the mounting plate 3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coil may be a concept includ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circuit.

상기 거치판(300)의 뒷면 하부(도 2 참조)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3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판(300)의 앞면 상부(도 1 참조)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50)가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 위치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A power connection unit 32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00 A display lamp 350 may be dispos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상기 거치판(300)과 상기 지지부(23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승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be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300 and the support portion 230 an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include a lift portion 410.

여기서 상기 승강부(410)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가이드홈(412), 가이드빔(411) 및 회동바(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and 5, the elevating part 410 may include a guide groove 412, a guide beam 411, and a pivoting bar 413.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412)은 상기 거치판(300)에서 상기 지지부(230)를 바라보는 측에서 거치판(3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빔(411)은 상기 가이드홈(412)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30)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guide groove 412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300 on the side of the mounting plate 300 facing the support portion 230. The guide beam 411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2 and may be longitudinally disposed on the support 230.

또한 상기 회동바(413)는 일단부가 상기 거치판(300)에서 상기 지지부(230)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핀(414a)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230)에서 상기 거치판(300)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핀(414b)에 의해 고정되며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ivot bar 413 is fixed by a fixing pin 414a to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300 facing the supporting portion 230 and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bar 413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300 300 by a fixing pin 414b.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작동상태와 같이, 사용자가 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거치판(300)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부(310)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부(230)의 가이드빔(411)에 의해 안내되며 거치판(300)의 가이드홈(41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4 and 5,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3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300 to move the c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of the support 230 The guide groove 412 of the mounting plate 300 is guided by the beam 411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하방향 위치 고정을 위해 회동바(413)에 의한 복원이 작용하게 된다. 가이드홈(412)이 가이드빔(411)을 따라 이동 중에는 회동바(413)가 압축되며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가이드홈(412)이 가이드빔(411)의 단부에 도달했을 때는 회동바(413)가 복원에 의해 신장되며 가이드홈(412)이 가이드빔(411)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밀어주게 된다. At this time, restoration by the rotation bar 413 acts to fix the vertical position. When the guide groove 412 reaches the end of the guide beam 411, the pivotal bar 413 is compressed and moved while the guide groove 412 is moving along the guide beam 411. When the guide groove 412 reaches the end of the guide beam 411, Is stretched by the restoration and the guide groove 412 is pushed to be fixed at the end of the guide beam 41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바(413)의 형상은 복수회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바(413)는 제1 절곡부(413a), 제2 절곡부(413b) 및 제3 절곡부(41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ivot bar 413 may be a plurality of folded shapes. Specifically, the pivoting bar 413 may include a first bending portion 413a, a second bending portion 413b, and a third bending portion 413c.

상기 제1 절곡부(413a)는 상기 가이드빔(411)의 길이를 따라 일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bent portions 413a may be provided in a pair in a form bent in one dir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411. [

그리고 상기 제2 절곡부(413b)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413a)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빔(411)의 길이를 따라 상기 제1 절곡부(413a)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is disposed outside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413a and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413a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411 And may be provided in pairs.

다음 상기 제3 절곡부(413c)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413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빔(411)의 길이를 따라 상기 제1 절곡부(413a)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third bent portion 413c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413a and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413a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411 And the like.

이때 상기 제2 절곡부(413b)의 곡률(θ2)은 상기 제1 절곡부(413a)의 곡률(θ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413c)의 곡률(θ3)는 상기 제1 절곡부(413a)의 곡률(θ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동바(413)의 구조를 통해, 상기 회동바(413)의 회동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곡률이 큰 상기 제2 절곡부(413b)에서의 휨이 크게 발생되게 된다. The curvature 2 of the second bent portion 413b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urvature 1 of the first bent portion 413a and the curvature 3 of the third bent portion 413c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bent portion 413b, The curvature? 1 of the bent portion 413a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1 of the bent portion 413a. The bending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413b having a relatively large curvature is significantly generated in the rotating process of the bending bar 413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ending bar 413.

한 쌍의 제2 절곡부(413b)는 각각 고정핀(414a,414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한 쌍의 제1 절곡부(413a)의 휨에 의한 복원보다 각각 고정핀(414a,414b) 방향으로의 복원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413b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fixing pins 414a and 414b so that the fixing pins 414a and 414b are positioned closer to the fixing pins 414a and 414b than by the bending of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413a, The restoration to the direction becomes larger.

여기서 제3 절곡부(413c)의 곡률은 제1 절곡부(413a)의 곡률보다 작아 회동바(413)의 복원 작용간에 양측으로 휨의 크기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1 절곡부(413a)보다 곡률이 작으므로, 휨 현상은 상대적으로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양측에서의 한 쌍의 제2 절곡부(413b)간에 휨이 균일한 크기로 이뤄지도록 하는 기준점 역할을 하게 된다. Here, the curvature of the third bent portion 413c is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bent portion 413a, thereby functioning to balance the magnitude of the warping on both sides between the restoring actions of the rotating bar 413. Since the curvatu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413a, the bending phenomenon is relatively rarely generated, thereby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for achieving uniform bending between the pair of second bending portions 413b on both sides .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413b)에 인접하여 미세절곡부(413d)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미세절곡부(413d)는 제2 절곡부(413b)와 함께 휨에 의한 복원을 증가시키게 된다. 미세절곡부(413d)는 제2 절곡부(413b)와는 다른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며 휨의 범위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복원도 증가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ne bending portion 413d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413b. The fine bending portion 413d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bending portion 413b Thereby increasing the restoration due to warping. The fine bending portion 413d is be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413b, and the range of bending is increased, so that the restoration is relatively increased.

도 6 및 도 7를 참고하면, 무선충전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수신코일(R)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판(300)의 코일배치부(330)에 내장된 송신코일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동상태가 도시된다. 6 and 7, an operation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built in the coil arrangement part 330 of the mounting plate 3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ception coil R disposed insi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tate is shown.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세워서 거치 충전시키고 싶으면, 사용자는 거치판(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410)에 의해 거치판(3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코일배치부(330)의 위치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과 코일배치부(330)의 송신코일을 일치시켜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if the user wishes to erect and charge the wireless recharger, the user moves the mounting plate 300 upward. The mounting plate 300 is moved upward by the elevating part 4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il arranging part 330 is moved upward and the receiving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oil arranging part 330 The transmission coil is matched and the wireless charging proceeds.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뉘어서 거치 충전시키고 싶으면, 사용자는 거치판(30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410)에 의해 거치판(3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코일배치부(330)의 위치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과 코일배치부(330)의 송신코일을 일치시켜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if the user desires to lay the wireless charger unit and charge it, the user moves the mounting board 300 downward. The position of the coil arrangement part 330 is moved downward by the elevation part 410 so that the receiving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coil arrangement part 330 The transmission coil is matched and the wireless charging proceeds.

이때 무선충전기기 제품마다 수신코일 배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부(410)의 이동범위는 무선충전기기 제품마다 다르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가이드홈(412)과 가이드빔(411)의 길이 변경으로 가능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reception coil arrangement positions may be different for each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elevation portion 410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wireless charging device product. This setting is possible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412 and the guide beam 41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무선충전기기의 거치 상태에 따른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거치판(300)에 내장된 송신코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무선충전기기의 안정적인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incorporated in the mounting plate 300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ing coil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by enabling stable wireless charging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발명에서 회전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발명에서 승강부에 의한 코일 위치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less charg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by a rotating part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8, and FIGS. 11 and 12 8 is a view showing a coil position changing state by the eleva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제2 실시예에서는 바디프레임(200), 거치판(300) 및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8 to 12,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frame 200, a mounting plate 300, and a coil position varying unit 400.

우선 상기 바디프레임(200)은 플랫부(210), 안착부(220), 꺽임부, 힌지부(420), 거치돌기부(24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부(210)는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고, 플랫부(210)의 일단부에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배치되고, 플랫부(210)의 타단부에는 플랫부(210)와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꺽임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꺽임부(211)의 상단부에는 상기 거치판(300)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연결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frame 200 may include a flat portion 210, a seating portion 220, a bent portion, a hinge portion 420, a fixing protrusion 240, and a supporting portion 230. The mounting part 2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lat part 210 and the flat part 210 is flat at the other end of the flat part 210. [ The bent portion 21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ortion 210. A support portion 230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lat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211.

음향조성부(2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The acoustic configuration unit 27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not be described below.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30)와 꺽임부 사이에 힌지부(420)가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지지부(23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충전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시청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portion 420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30 and the folded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support portion 230 at a certain angle. The user can adjust the display scree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and view the screen.

그리고 상기 거치돌기부(240)는 상기 플랫부(210)상에서 상기 안착부(2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420)에 의한 각도 조절 후에 무선충전기기의 하면 또는 다른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돌기부(240)는 상기 안착부(220)에 인접하여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The mounting protrusion 2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ounting portion 220 on the flat portion 210.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r oth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fter the angle adjustment by the hinge portion 420, the mounting protrusion 240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220.

다음 상기 거치판(300)은 지지부(230)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300)의 코일배치부(330)에는 송신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코일은 유도기전력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Next, the mounting plate 3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30, and a transmission coil may be disposed in the coil arrangement portion 330 of the mounting plate 3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coil may be a concept includ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circuit.

그리고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상기 거치판(300)과 상기 지지부(230)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승강부(410) 및 회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be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300 and the support portion 230 an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include a lift portion 410 and a rotation portion 430.

상기 승강부(410)는 코일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430)는 상기 승강부(410)와 상기 거치판(300) 사이에 연계되면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elevating portion 410 may be provid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otating portion 430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elevating portion 410 and the mounting plate 300, And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posi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판(3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410)와 연계되는 고정판(360)과 상기 회전부(430)에 의해 상기 고정판(360)과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3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300 includes a fixing plate 360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410 and a fixing plate 360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360 by the rotation portion 430, And a rotating plate 370 disposed therein.

이에 따라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부(410)는 가이드홈(412), 가이드빔(411), 제1 요철부(416) 및 제1 걸림바(4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1 and 12, the elevating portion 410 includes a guide groove 412, a guide beam 411,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416, and a first engaging bar 417 .

상기 가이드홈(412)은 상기 거치판(300) 중 고정판(360)에서 상기 지지부(230)를 바라보는 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빔(411)은 상기 가이드홈(412)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30)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groove 412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360 of the mounting plate 300 facing the support portion 230. The guide beam 411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2 and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230 in a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제1 요철부(416)가 상기 가이드빔(411)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바(417)는 양단부가 고정핀(417a)에 의해 고정판(36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요철부(416)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concavo-convex part 416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uide beam 4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latching bar 417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late 360 by the fixing pins 417a and may be arranged to be hung on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s 416.

사용자가 상기 거치판(300) 중 고정판(360)을 잡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걸림바(417)가 상기 제1 요철부(41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과 이탈을 반복하게 된다. When the user holds the fixing plate 360 of the fixing plate 360 and moves the fixing plate 36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atching bar 417 repeats latching and releasing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rugged portion 416 .

상기 제1 걸림바(417)가 제1 요철부(416)의 특정 지점에 걸리면, 그 지점에서 고정판(360)의 위치가 결정되게 되고, 상기 고정판(360)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370)상에 배치되는 코일배치부(330)의 상하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송신코일의 높이가 선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된 승강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충전기기의 수신코일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코일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When the first latching bar 417 is hooked on a specific point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416,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360 is determined at that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plate 370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360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il arranging portion 330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termined. Thus, the height of the transmission coil is select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transmission coil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reception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lifting structure.

다음 도 9 및 도 10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부(430)는 부시홈(431), 로테이션블록(432), 제2 요철부(433) 및 제2 걸림바(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9 and 10, the rotation part 430 may include a bush groove 431, a rotation block 432, a second concave-convex part 433, and a second locking bar 434 .

상기 부시홈(431)은 상기 고정판(360)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돌기된 회전축(4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431a)의 중앙부에는 전원선 관통홀(43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판(360)에 배치된 전원연결부(320)와 연결된 전원선이 회전판(370)에 형성된 코일배치부(330)와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370)의 회전간에 전원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 방지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The bush groove 431 may be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360 and may be formed with a rotation shaft 431a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A power line penetrating hole 431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431a so that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ng portion 320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360 is connected to the coil arranging portion 330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370, . Here, a twist preven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prevent twisting of the power line between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370.

상기 로테이션블록(432)은 상기 회전판(370)에서 상기 고정판(360)을 바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시홈(43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션블록(432)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상기 제2 요철부(43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block 432 may be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370 facing the fixing plate 360 and inserted into the bush groove 431. At this time, the second concave-convex part 433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lock 432.

그리고 상기 제2 걸림바(434)는 상기 고정판(360)에 형성된 내부홈(370a)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요철부(433)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latching bar 434 may be disposed in an inner groove 370a formed in the fixing plate 360 and may be disposed to be hung on the second rugged portion 433.

사용자는 송신코일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회전판(370)을 잡고 돌리면, 회전판(370)에 배치된 로테이션블록(432)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로테이션블록(432)의 외주면에 배치된 제2 요철부(433)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 중에 제2 요철부(433)의 특정 지점에 제2 걸림바(434)가 위치하게 되면, 수직선을 기준으로 그 회전 각도에서 코일배치부(330)가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plate 37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the rotation block 432 disposed on the rotating plate 370 rotates. At this time, the second uneven portion 372,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 block 432, (433) rotate together. When the second latching bar 434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second concave-convex part 433 during the rotation, the coil arrangement part 330 is positioned at the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만약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430)를 이용하여 180도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부(410)에 의한 상하방향 이동과 함께, 코일배치부(330)의 위치를 보다 넓은 범위내에서 변경 가능하게 된다. If the user rotates 180 degrees using the rotation unit 430, the position of the coil arrangement unit 330 can be changed within a wider rang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on unit 41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410)와 상기 회전부(430)를 통해 무선충전기기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다르게 위치하는 수신코일 위치에 대응하여, 송신코일 위치변경 범위를 보다 넓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il position change range can be broadened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coil positions that are differently positioned depending on various sizes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rough the elevation part 410 and the rotation part 430 .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3은 도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발명에서 신축거치부를 나타낸 부분정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명에서 신축거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에서 Z-Z'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발명에서 Y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송신코일의 위치 변경 및 신축거치부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 및 도 22는 도 13에 도시된 코일위치 가변수단에 의한 수신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expansion / contraction mounting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3,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ZZ 'sec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6, Fig. 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Y portion in the invention shown in Fig. 16, and Figs. 19 and 20 Figs. 21 and 22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is changed and the position of the reception coil is changed by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shown in Fig. 13 Fig.

도 13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제3 실시예에서는 바디프레임(200), 거치판(300), 코일위치 가변수단(400) 및 신축거치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3 to 22,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rame 200, the mounting plate 300,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and the elastic telescopic member 500 And the like.

우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승강부(410), 회전부(430) 및 각도조절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승강부(410) 및 상기 회전부(43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00 may include a lift portion 410, a rotation portion 430 and an angle adjusting portion 450, Since the rotation unit 430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거치판(300)의 구조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고정판(360)과 회전판(370)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참고하도록 하고,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바디프레임(200)의 구조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변경되는 부분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lso,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late 300 is constituted by the fixing plate 360 and the rotary plate 37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ince the structure of the body frame 200 is also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e modified portion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400)은 상기 각도조절부(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450)는 상기 바디프레임(200)과 상기 거치판(3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판(3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코일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il position changing means 400 may further include the angle adjusting unit 450 and the angle adjusting unit 4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frame 200 and the mounting plate 300, And adjust the angle of the stationary plate 30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부(450)는 제1 포스트(453), 제2 포스트(454), 제1 힌지부(451), 제2 힌지부(452) 및 길이조절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ngle adjusting unit 450 includes a first post 453, a second post 454, a first hinge unit 451, a second hinge unit 452, and a length adjusting unit 460 .

우선 상기 제1 포스트(453)는 상기 바디프레임(200)에 형성된 플랫부(210)에서 상방향으로 신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힌지부(451)는 상기 제1 포스트(45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first post 453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flat portion 210 formed on the body frame 200. The first hinge portion 45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ost 453.

상기 제2 포스트(454)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힌지부(45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포스트(454)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230)에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힌지부(452)는 상기 지지부(230)와 상기 제2 포스트(454)간에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post 45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art 45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st 454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230. The second hinge portion 452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30 and the second post 454.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무선충전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기 위해, 상기 거치판(300)을 잡고 돌리면 된다. 상기 거치판(300)의 돌림에 따라 제1,2 힌지부(451, 452)가 이에 대응하면서 움직이게 되어 상기 거치판(300)이 수평에 가까워지는 각도로 조절되거나 또는 수직에 가까워지는 각도로 조절되게 된다.The user can grasp the mounting plate 300 and rotate the display to view the display scree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451 and 452 are mov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unting plate 300 so that the mounting plate 300 is adjusted to an angle that is clos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n angle .

사용자는 무선충전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 보는 각도로 화면을 보고 싶으면, 상기 거치판(300)을 수평방향으로 돌리면 되고, 세워놓고 보는 각도로 화면을 조절하고 싶으면, 상기 거치판(300)을 수직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If the user wishes to view the screen at an angle from above when the wireless recharger is stationary, the user may rotate the mounting plate 3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screen at a viewing angle, Direction.

이때 도 13를 참고하면,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부(460)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상기 길이조절부(460)는 서포트바디, 제3 요철부(461), 이동홈(464), 휠홈(467), 이동바(465), 회전휠(462) 및 바탄성체(4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length adjusting unit 460 is additionally disposed to secure stationary stab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length adjusting unit 460 includes a support body, a third concave- 461, a moving groove 464, a wheel groove 467, a moving bar 465, a rotating wheel 462, and a bar elastic body 463.

상기 서포트바디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포스트(454)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바디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힌지부(451)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body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hole so that the second post 454 is inserted therein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art 451.

상기 제3 요철부(461)는 상기 제2 포스트(454)의 외면 일부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포트바디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third concave-convex part 461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ost 454, specifically, a part inserted into the support body.

그리고 이동바(465)는 상기 서포트바디의 개방홀 내면에 형성된 이동홈(464)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휠(462)은 상기 이동바(465)의 일측에 휠샤프트(466)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의 개방홀 내면에 형성된 휠홈(467)에 출입되면서 상기 제3 요철부(461)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movement bar 465 may be disposed on the movement groove 464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of the support body. The rotation wheel 46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ement bar 465 by a wheel shaft 466 and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heel groove 467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of the support body, As shown in FIG.

상기 회전휠(462)은 상기 제2 포스트(454)의 이동에 따라 제3 요철부(461)를 타고 굴러가면서, 제3 요철부(461)의 특정 지점에서 걸리며 제2 포스트(454)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2 포스트(454)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The rotation wheel 462 is caught at a specific point of the third concavo-convex portion 461 while rolling on the third concavo-convex portion 46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post 454, . There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post 454.

여기서 상기 이동홈(464)과 상기 이동바(465) 사이에는 바탄성체(463)가 배치되어, 제3 요철부(461)의 돌기부위를 넘어갈 때, 바탄성체(463)가 압축되므로, 상기 휠홈(467)에 삽입된 회전휠(462)을 제3 요철부(461) 방향으로 복원력으로 밀어주게 된다. A bar elastic body 463 is disposed between the moving groove 464 and the moving bar 465 so that the bar elastic body 463 is compressed when moving beyond the projection of the third concave and convex portion 461, The rotation wheel 462 inserted 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467 is pushed by the restoring force toward the third uneven portion 461.

다시 이동바(465)가 제3 요철부(461)의 함몰부위에 위치하면 복원력에 의해 밀어주어 이동바(465)가 제3 요철부(461)에 삽입되며 걸리게 된다. When the moving bar 465 is located at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third concave-convex portion 461, the moving bar 465 is pushed by the restoring force, and the moving bar 465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ncave-convex portion 461 and caught.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신축거치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신축거치부재(500)는 상기 안착부(220)에 배치되고,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14 to 18,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500. The elastic member 500 is disposed in the seating part 220,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상기 신축거치부재(500)는 스탠블록(530), 스토퍼(550), 제1 블록(510) 및 제2 블록(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mber 500 may include a stanchion block 530, a stopper 550, a first block 510, and a second block 520.

상기 스탠블록(530)은 상기 플랫부(210)에서 외측으로 신장되며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돌기(5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540)의 양단부에는 상기 스토퍼(55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tanchion block 530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flat portion 210, and guide protrusions 540 may be form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reof. At this time, the stopper 550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guide protrusion 540.

그리고 상기 제1 블록(510)은 상기 스탠블록(530)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540)에 안착 배치되고, 상기 제2 블록(520)은 상기 스탠블록(530)의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540)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block 510 is disposed on the guide protrusion 540 at one side of the stand block 530 and the second block 520 is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lock 530 54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2 블록(510,520)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540)는 홈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550)에 의해 제1,2 블록(510,520)의 신축 범위를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The guide protrusions 540 are disposed in the grooves and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range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are Limiting and preventing escape.

상기 신축거치부재(500)는 도 19 및 도 20를 참고하면,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신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9 and 20,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mber 500 can be stretched and used by a us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핸드폰(무선충전회로가 내장된 것으로 가정함)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무선충전기기(H)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기기의 거치범위를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거치가 가능하므로, 제1,2 블록(510,520)를 간격을 좁혀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9,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a cellular phone (assuming that a wireless charging circuit is incorporated) can be sufficiently mounted even if the mounting rang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small, , And two blocks (510, 520) are narrowed.

반대로 태블릿PC(무선충전회로가 내장된 것으로 가정함)와 같은 비교적 크기가 큰 무선충전기기(T)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서는 넓은 범위에서 무선충전기기의 하면을 지지해야 하므로, 제1,2 블록(510,520)를 확장시켜 사용한다. Conversely, a relatively large wireless charging device (T), such as a tablet PC (assuming that a wireless charging circuit is included), must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 wide range for stable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are extended and used.

물론 사용자는 무전충전기기에 내장된 수신코일과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송신코일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부(410), 상기 회전부(430) 및 상기 길이조절부(460), 상기 제1,2 힌지부를 조작하여 코일배치부(3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Of course, the user may use the elevation part 410, the rotation part 430 and the length adjustment part 460, the first (first), and the second (second) parts in orde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with the reception coil built- , The position of the coil arrangement part 330 can be freely changed by operating the two hinge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부(410)를 이용한 상하방향 이동, 상기 회전부(430)를 이용한 360도 회전, 상기 제1,2 힌지부 및 길이조절부(460)를 이용한 추가적인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을 통해 송신코일의 위치를 보다 다양한 범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 무선충전기기들의 수신코일 위치가 제품마다 다르게 배치되었거나 또는 무선충전기기의 거치 상태를 변화시키더라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vertical movement using the elevation part 410, the 360-degree rotation using the rotation part 430,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to a more wide range through the additional angle adjustment and the length adjustment using the antenna 460 so that the receiving coil positions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s are differently arranged for each product or change the mounting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ope effectively.

한편, 상기 제1,2 블록(510,520)에는 거치된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이 확대 전달될 수 있도록, 도 13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향조성부(27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component 270, as shown in FIGS. 13 and 17, so that the sou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extended.

이러한 상기 음향조성부(270)은 제1 음향홀(271), 제2 음향홀(273) 및 음향공명부(2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홀(271)은 상기 제1,2 블록(510,52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음향홀(273)은 상기 제1,2 블록(510,52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음향공명부(272)는 상기 제1,2 블록(510,5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271,273)과 연결되며 공명 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The sound generating unit 270 may include a first acoustic hole 271, a second acoustic hole 273, and an acoustic resonator 272. The first acoustic hole 27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and the second acoustic hole 27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The acoustic resonator 272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holes 271 and 273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to form a resonance space.

최근에는 핸드폰(H)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는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가 무선충전기기를 거치시키고 음악을 감상하거나 또는 통화를 하고 싶을 때,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성이 방해되지 않고 사용자가에게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In recent years, a speaker for generating soun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H is often located at the lower end. When a user places a wireless charger and wants to listen to music or make a call, it is important that the voice generated by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user without being interrupted.

이때 상기 음향조성부(270)가 스피커가 위치하게 되는 제1,2 블록(510,520)에 형성되어 있어,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제1 음향홀(271)로 유입되고, 음향공명부(272)의 공명공간에서 확대되며, 제2 음향홀(273)를 통해 사용자게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공명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증가된 선명한 음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ound composition unit 270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510 and 520 where the speaker is positioned.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ound hole 271, Is enlarged in the resonance space, an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second acoustic hole (273). Using this resonance principle, the user can receive increased clear soun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무선충전기기와 연결되는 스피커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200)상에 배치되는 스피커장착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피커장착부(610)에는 일반스피커를 위한 전원잭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는 배터리 내장형 블루투스 스피커일 경우 전원잭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Next,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the speaker mounting unit 61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body frame 200 to mount a speak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ower jack for a general speaker may be disposed in the speaker mounting portion 610, and in another embodiment, a power jack may not be disposed in a battery built-in Bluetooth speaker.

그리고 무선충전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배터리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200)의 상단에는 배터리장착부(62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야외에서 송신코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이 경우 보조배터리와 무선충전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무선충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In addition, a battery mounting portion 62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200 so that an auxiliary battery used for charging the wireless charger is mounted. In this case, the user connects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wireless charger to the wireless charger by supplying the power to the wireless charger.

상기 스피커장착부(610) 및 상기 배터리장착부(620)의 형태 및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포함되는 다른 구조에 적절히 설계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peaker mounting portion 610 and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62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to other structure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상기 바디프레임(200)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프레임(200)의 하면에는 슬립방지패드(6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패드(630)는 비교적 평평한 면에서 마찰에 의해 바디프레임(200)의 슬립을 방지하고, 무선충전기기의 보다 안정적인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body frame 200 from slipping, a slip prevention pad 630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frame 200. The slip prevention pad 630 prevents slippage of the body frame 200 by friction on a relatively flat surface and enables a more stable mounting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한편, 도 23에서는 본 발명인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거치판(300)상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점착패드(700)가 나타나 있다. 도 24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25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점착 패드의 단면도이다. 23, the adhesive pad 700 is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mounting plate 300 of the wireless charging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shows an SEM photograph of a polyurethane foam sheet, Fig. 25 shows an SEM photograph of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pa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점착패드(700)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adhesive pad 700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a) 아크릴레이트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1층; 및 b)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로서, 제1층 표면의 일면은 물품을 가역적으로 감압 점착 및 탈착하고, 제2층 표면의 일부 및 전부는 물품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점착 패드에 관한 것이다. A) a first layer comprising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b) a second layer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sheet,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layer surface reversibly depressurizes and removes the article, and some and all of the second layer surface To an area to be fix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물품이 휴대폰, 태블릿 pc 및 휴대폰 보조 배터리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rticle may be one selected from a cell phone, a tablet pc, and a cellular phone auxiliary battery.

상기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1층은 고정시키고자 하는 물품 예를 들면, 휴대폰 및 태블릿 pc와 가역적으로 감압 점착되는 부분이다. The first layer comprising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is a reversibly pressure-reduced portion of an article to be fixed, for example, a mobile phone and a tablet PC.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SEM 사진으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25 is an SEM phot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may have porosity.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제1층 및 제2층은 다공성이며, 기공도가 5 내지 40 ㎛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are porous and have a porosity of 5 to 40 탆.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다공성을 가짐으로써, 추가적인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벼운 압력에 의해 고정하고자 하는 물품을 쉽게 점착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휴대폰 및 태블릿 pc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번의 탈부착에도 손상되지 않아 오래 사용할 수 있다.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has porosity so that the article to be fixed can be easily adhered to the article to be fixed by light pressure without using an additional adhesive, and has excellent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ellular phone and the tablet pc can be easily It is not only detachable but also detachable for many times,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다공성 구조에 있어 기공도, 기공 사이의 거리 및 기공 배열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제어하여, 점착력을 높이거나 탈착 용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기공도는 5~40 ㎛인 것이 가벼운 압력을 통해 다른 물체를 점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공 사이의 거리가 5~200 ㎛인 것이 바람직하나, 점착하고자 하는 물체를 점착하기에 필요한 최소 표면적을 가질 수 있는 정도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공 배열은 불규칙한 것이 탈착 용이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rous structure of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porosity,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and the arrangement of the pores can be controlled to increase the adhesion or increase the ease of desorption . For example, the porosity may be in the range of 5 to 40 [micro] m, and the micropores may have a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adhere to other objects through light pressu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res is preferably 5 to 200 [ But is not limited to such a degree that it can have the minimum surface area required for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pore arrangement is preferably, but not limited, irregular because it has ease of desorption.

또한, 거치 물품을 손상시키거나 거치 물품에 점착 자국을 남기지 않고, 깔끔하고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오염성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ean and easily remove and detach a stationary article without leaving a sticky mark on the stationary article, and is excellent in stain resistance and life characteristics agains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아크릴 고무-기반이라 함은 아크릴 산, 메타아크릴 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 포함하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폼 시트를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아크릴 산, 메타아크릴 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주 성분으로 포함하는 폼 또는 발포체를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rylic rubber-based refers to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methacrylate, 2-hydroxypropyl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Acrylate, acrylate, meth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and allyl methacrylate. As an example,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may be made from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methacrylate, 2-hydroxypropyl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Acrylate, 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glycidyl methacrylate Acrylate, methacrylate, acrylate, allyl methacrylate, and the like as the main componen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아크릴 산, 메타아크릴 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 및 이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is made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methacrylate, 2-hydroxypropyl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and 2-hydroxypropyl acrylate, and And may include any one or more crosslinking agents selected therefrom.

더욱이,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채, 폴리우레탄 폼 시트만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에 비해서, 점착력이 매우 우수하다. 이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가 상온에서는 영구적인 점성을 가질 뿐 아니라, -10 ℃ 내지 40 ℃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탄성력 및 복원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우수한 감압식 점착력을 제공한다. Moreover, the adhesive strength is very superior to an adhesive pad containing only a polyurethane foam sheet, without containing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This not only gives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permanent viscosities at room temperature, but also provides good pressure sensitive adhesion because the elastic and restitution forces are held constant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of -10 < 0 > C to 40 < 0 > C.

반면, 폴리우레탄 폼 시트만 이용한 경우, 온도가 낮아지면 패드가 딱딱해지면서 유연성을 상실하여 탄성력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감압식 점착력이 떨어진다. 또한, 온도가 높아지면 패드의 내구성이 떨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is used alone,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the pad is hardened and the flexibility is lost so that the elasticity is reduced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Also,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pad deteriorates.

종래 폴리우레탄 젤 또는 실리콘 젤은 젤 표면 자체가 오염이 잘 될 뿐 아니라, 계속 사용시에는 점착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휴대폰 탈착시에 휴대폰에 끈적이는 이질감을 남기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점착력이 우수한 반면, 휴대폰을 탈착하는 경우 휴대폰에 이물질을 남기지 않는다. Conventionally, the polyurethane gel or the silicone gel not only has a good gel surface itself but also has a poor adhesive strength during continuous use and is inconvenient for use because it leaves a sticky feeling on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detached. However, The rubber-based foam sheet is excellent in adhesion, but does not leave foreign matter on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detached.

본 발명의 점착 패드를 구성하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점착부의 이면에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존재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나노사이즈의 기공을 포함한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예로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공 구조가 매우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로 하여금 우수한 탄성 복원력를 갖게 함으로써, 낮은 압력을 가하여도 거치 물품이 잘 부착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lyurethane foam sheet is pres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adhesive portion including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constituting the adhesive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comprises a porous structure, thereby including nano-sized pores. FIG. 24 shows a cross section of a polyurethane foam sheet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at the pore structure is very densely formed. Such a porous structure allows the polyurethane foam sheet to have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even when a low pressure is applied, the stuck article adheres well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제1층 및 제2층은 열융합, 점착제를 이용한 방법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적층될 수 있다. 제1층 및 제2층이 서로 맞닿는 단면이 손상되지 않는 적층 방법이라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can be laminated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rmal fusion, a metho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lamination method in which the cross section where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but each other is not damag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70-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0-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1-1 중량%를 포함한다. 바림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거치 물품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comprises 70-75 wt% polyurethane foam; 20-2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0.01 to 1% by weight of a polyisocyanate. 74 to 75% by weight of polyurethane foam; 24-2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0.01-0.08 wt% polyisocyanate.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polyurethane foam sheet provides sufficient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to support the stationary articl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가 추가적으로 점착부여제를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부여제는 분자량이 보통 수백에서 수천에 이르는 무정형 올리고머로, 엘라스토머에 첨가되어 유동성택(tack)을 발현하거나 점점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구마론-인덴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계 수지, 크실렌-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테르핀 수지,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 로진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점착부여제를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may additionally comprise from 1 to 10% by weight of the tackifier. The tackifier is an amorphous oligo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usually from several hundreds to several thousands and is added to an elastomer to express a fluid tack or improve a point sticking performance. Examples of the tackifier include a guaroline-indene resin, a phenol-formaldehyde resin, - a tackifier selected from formaldehyde resins, polyterpine resins, petroleum hydrocarbon resins, rosin esters, and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상기 점착부여제는 1 중량% 미만일 경우 다공성 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점성에 대한 효과가 미비하고, 10 중량% 이상일 경우 기공의 크기가 너무 커져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점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If the tackifier is less than 1% by weight, it does not have a porous structure, and the effect of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on viscosity is insufficient. When the tackifier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can be lower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추가적으로 착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착색 안료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적용되는 거치대 또는 점착 패드의 디자인 또는 색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 안료로는 카본 블랙,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철 등의 무기안료, 시아닌계, 인계, 퀴논계, 페리논계, 이소인돌리논계, 치오인디고계 등의 유기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the polyurethane foam sheet may additionally comprise colored pigments. The color pigment determines the color of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the polyurethane foam sheet,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design or color of the cushioning pad or the adhesive pad to which the polyurethane foam sheet is applied. Examples of the coloring pigment include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rbon black, titanium oxide, zinc oxide and iron oxide; organic pigments such as cyanine pigments, phosphorus pigments, quinone pigments, perinone pigments, isoindolinone pigments and thioindigo pigments.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착색 안료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 내로 포함할 경우, 내열성 및 내광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may comprise from 1 to 10% by weight, and preferably from 5 to 8% by weight, of the color pigment. When it is contained in the above weight ratio range, excellent adhesion can be obtained while ensuring heat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전체 중량의 1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5 중량% 이하로 착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 내로 포함할 경우, 내열성 및 내광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may contain a coloring pigment in an amount of 1 wt% or less, for example, 0.5 w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When it is contained in the above weight ratio range, excellent elasticity can be obtained while ensuring heat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 및 카본 블랙 0.0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comprises 74 to 75% by weight of a polyurethane foam; 24-2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0.01-0.08 wt% polyisocyanate; And 0.01-1% by weight of carbon blac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1층의 두께는 0.5 내지 1.5 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mm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comprising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is 0.5 to 1.5 mm, more preferably 0.8 m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층의 두께는 1.0 내지 2.0 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m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1.0 to 2.0 mm, more preferably 1.2 mm.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제1층 및 제2층의 두께 비율이 2 : 3인 경우, 점착 패드에 충분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일정한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2: 3, a sufficient elastic force can be given to the adhesive pad, and at the same time, a constant adhesive force can be provided even in a wide temperature rang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점착 패드가 적용된 휴대폰 보조 배터리, 휴대폰 무선 충전기용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 및 태블릿 pc 거치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ll phone auxiliary battery, a cell phone wireless charger holder, a cellular phone holder, and a tablet pc holder, to which the above-described adhesive pad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되, 제1 물품은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보조배터리인 휴대폰 보조 배터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llular phone auxiliary battery is provide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cellular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n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되, 제1 물품은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인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llular phone wireless charging cradle including the adhesive pa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cellular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cell phone wireless charging cradl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되, 제1 물품은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휴대폰 거치대인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phone holder including the adhesive pa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mobile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mobile phone hold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되, 제1 물품은 태블릿 pc 또는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태블릿 pc 거치대인 태블릿 pc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rticle is a tablet pc or a cellular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tablet pc hold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로, 제1 물품은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보조배터리로서, 상기 점착 패드의 제2층이 보조 배터리와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점착 패드의 제1층은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폰 보조 배터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auxiliary battery including the adhesive pa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cellular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supplemental battery, the second layer of the adhesive pad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auxiliary battery, The first layer of the adhesive pad provides a cell phone auxiliary battery with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ell phon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로, 제1 물품은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로써, 상기 점착 패드의 제2층이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와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점착 패드의 제1층은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llular phone cordless charging cradle inclu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cell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cellular phone cordless charging cradle, And the first layer of the adhesive pad provides a cell phone cordless charging stand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로, 제1 물품은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휴대폰 거치대로써, 상기 점착 패드의 제2층이 휴대폰 거치대와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점착 패드의 제1층은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llular phone holder including the adhesive pa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cellular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cellular phone holder, wherein the second layer of the adhesive pad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cellular phone holder, The first layer of the adhesive pad provides a cellular phone holder which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태블릿 pc 거치대로, 제1 물품은 태블릿 pc 또는 휴대폰이며, 제2 물품이 태블릿 pc 거치대로써, 상기 점착 패드의 제2층이 태블릿 pc 거치대와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점착 패드의 제1층은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의 탈부착이 용이한 태블릿 pc 거치대를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t pc holder including the adhesive pad, wherein the first article is a tablet pc or a cellular phone and the second article is a tablet pc holder, the second layer of the adhesive pad is a tablet pc holder And the first layer of the adhesive pad provides a tablet pc holder that is easily removable for mobile phones or tablet PC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 점착 패드의 제조: Manufacture of adhesive pad

물품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점착 패드는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2층으로 구성된다.The adhesive pad for securing and supporting the article comprises a first layer comprising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a second layer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sheet.

여기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하기 조성을 가지는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두께는 1.2mm로 제조하였다. Here, the polyurethane foam sheet was prepared from a composition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and a thickness of 1.2 mm.

조성Furtherance 구성비 (Composition ratio 중량%weight% ))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74.274.2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4.724.7 카본 블랙Carbon black 0.980.98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5-0.060.05-0.06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는 하기의 조성을 가지도록 제조하였으며, 두께는 0.8mm로 제조하였다.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was prepared to have the following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0.8 mm.

조성Furtherance 구성비 (Composition ratio 중량%weight% )) 아크릴 고무 수지Acrylic rubber resin 9292 카본 블랙Carbon black 77 기타 무기성분Other inorganic ingredients 1One

상기 제조된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와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열융합(Laminating) 또는 공압출(Co-extruded)하여 점착 패드를 제조하였다. The prepared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the polyurethane foam sheet were laminated or co-extruded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실험예 1: 점착력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Adhesion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착 패드를 이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Adhesive strength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using the adhesive pad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먼저,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착 패드를 가로 및 세로를 각 62mm로 제단하여, 아크릴판(1cm) 판 위에 두고 약 6~8 kg의 힘으로 상기 점착 패드를 완전이 바닥에 밀착 고정시킨 후, Push- Pull Gauge NK-500(실온 23℃, 1mm/s)를 이용하여 점착 패드를 떼어내는 힘을 측정하였다. Firs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were cut to a width of 62 mm and each was placed on an acrylic plate (1 cm),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s were tightly fixed to the bottom with a force of about 6 to 8 kg. - Pull Gauge NK-500 (room temperature 23 ° C, 1 mm / s) was used to measure the force to remove the adhesive pad.

비교예로는 시판되고 있는 거치대(제조사: NKMOS, 모델명:ULT-MS-S)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겔 타입의 패드를 준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각각 10회 측정하여 표 3과 같이 평균값을 얻었다.As a comparative example, pads of a polyurethane gel type contained in a commercially available holder (manufacturer: NKMOS, model name: ULT-MS-S) were prepared and measured ten times for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mean value was obtained.

시료 sample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평균Average 실시예Example 9.5 9.5 9.0 9.0 10.0 10.0 10.5 10.5 9.5 9.5 10.0 10.0 10.0 10.0 9.5 9.5 10.5 10.5 9.0 9.0 9.8 9.8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5 4.5 5.0 5.0 6.0 6.0 5.5 5.5 4.5 4.5 5.0 5.0 5.0 5.0 5.0 5.0 5.0 5.0 5.5 5.5 5.1 5.1

(단위 kgf/mm)(Unit: kgf / mm)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시판되고 있는 거치대의 점착력에 비해 2배 정도 높았다. As shown in Table 3,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cradles.

실험예 2: 수명 특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Life Characteristic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패드의 수명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점착 패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초 점착력 및 사용일로부터 30 일 이후의 점착력을 각각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같다. 여기서, 하루당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패드를 사용한 횟수는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initi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 without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 after 30 days from the use day were evaluated. The evaluation method is the same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bove. Here,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 of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per day was all the same.

시료 sample 0일 0 days 30일30 days 실시예Example 20 20 2020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919 44

(단위 kgf/mm)(Unit: kgf / mm)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점착 패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명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물세척 하여도 점착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오염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ads of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markedly degraded in life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amples, and the contaminants causing deterioration of the adhesive strength were not completely removed even by water washing.

이상의 사항은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il 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100:거치대
200:바디프레임 210:플랫부
220:안착부 230:지지부
240:거치돌기부 270:음향조성부
271:제1 음향홀 272:음향공명부
273:제2 음향홀
300:거치판 310:손잡이부
320:전원연결부 330:코일배치부
350:표시램프 360:고정판
370:회전판
400:코일위치 가변수단
410:승강부 411:가이드빔
412:가이드홈 413:회동바
413a:제1 절곡부 413b:제2 절곡부
413c:제3 절곡부 413d:미세 절곡부
416:제1 요철부 417:제1 걸림바
430:회전부 431:부시홈
432:로테이션블록 433:제2 요철부
434:제2 걸림바
450:각도조절부 451:제1 힌지부
452:제2 힌지부 453:제1 포스트
454:제2 포스트 460:길이조절부
461:제3 요철부 462:회전휠
463:바탄성체 464:이동홈
465:이동바 466:휠샤프트
467:휠홈 469:서포트바디
469a:개방홀
500:신축거치부재 510:제1 블록
520:제2 블록 530:스탠블록
540:가이드돌기 550:스토퍼
610:스피커장착부 620:배터리장착부
630:슬립방지패드
H,T:무선충전기기
R:수신코일
100: Cradle
200: body frame 210: flat part
220: seat part 230: support part
240: mounting protrusion 270: acoustic component
271: First sound hole 272: Acoustic resonance part
273: Second sound hole
300: mounting plate 310: handle portion
320: power connection part 330: coil arrangement part
350: display lamp 360: fixed plate
370: Spindle
400: coil position varying means
410: elevating part 411: guide beam
412: guide groove 413: rotation bar
413a: first bent portion 413b: second bent portion
413c: third bent portion 413d: fine bending portion
416: first concave / convex portion 417: first catching bar
430: rotating part 431:
432: rotation block 433: second concave-
434: second hanging bar
450: Angle adjusting portion 451: First hinge portion
452: second hinge portion 453: first post
454: second post 460: length adjuster
461: third concave / convex portion 462: rotating wheel
463: bar elastomer 464: moving groove
465: Movement bar 466: Wheel shaft
467: Wheel groove 469: Support body
469a: opening hole
500: elastic member 510: first block
520: second block 530: stanblock
540: guide protrusion 550: stopper
610: speaker mounting part 620: battery mounting part
630: Slip prevention pad
H, T: Wireless charging device
R: Receive coil

Claims (23)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과 상기 바디프레임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과 상기 거치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코일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플랫부에서 상방향으로 신장되며 배치되는 제1 포스트;
상기 제1 포스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힌지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2 포스트;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 포스트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상기 제1 포스트와 상기 제2 포스트간에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포스트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2 포스트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연결되는 서포트바디;
상기 제2 포스트의 외면 일부에 형성되는 제3 요철부;
상기 서포트바디의 개방홀 내면에 형성된 이동홈상에 배치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휠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의 개방홀 내면에 형성된 휠홈에 출입되며, 상기 제3 요철부에 걸림 배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이동홈과 상기 이동바 사이에 배치되는 바탄성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Body frame;
A mounting plate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coil disposed therein;
And coil position varying means arrang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body frame and provid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Wherei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And an angle adjus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body frame and the mounting plate and provided to change the coil position by adjusting an angle of the mounting plate,
Wherein the angle-
A first post extending upwardly in a flat portion formed in the body frame;
A first hinge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ost; And
A second pos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second hinge portion connected to and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post,
Wherei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And a length adjuster connected to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the length adjuster being provided to stretch the length of the second post,
The length-
A support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insert and dispose the second pos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 third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ost;
A moving bar disposed on a mov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of the support body;
A rotary wheel connected to the movement bar by a wheel shaft, a rotary wheel which is inserted into and out of a wheel groove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hole of the support body, and is engaged with the third concavo- And
A bar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moving groove and the moving bar;
Wherein the coil-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comprises: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코일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And a lifting portion provid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빔; 및
일단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거치판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는 회동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guide groov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ationary plate facing the support;
A guide beam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formed on the support;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ide fac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facing the stationary plate;
Wherein the coil-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comprises: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상기 승강부와 상기 거치판 사이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part disposed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ing part and between the elevating plate and provided to rotate the position of the coil.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은 상기 승강부와 연계되는 고정판과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판에 배치되고, 중앙측에 돌기된 회전축이 형성된 부시홈;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고정판을 바라보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시홈에 삽입 배치되는 로테이션블록;
상기 로테이션블록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요철부;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내부홈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요철부에 걸림 배치되는 제2 걸림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ionary plate includes a stationary plate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and a rotary plate connected to the stationary plate by the rotary portion and rotatably disposed,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bush groove disposed on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 rotation axis protruding from the center;
A rotation block formed on a side of the rotating plate facing the fixed plate and inserted into the bush groove;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lock; And
A second latching bar mounted on an inner groove formed in the fixing plate and engaged with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Wherein the coil-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comprises: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프레임은,
지면에 배치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에 거치되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고, 무선충전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신축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거치부재는,
상기 플랫부에서 신장되며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스탠블록;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스토퍼;
상기 스탠블록의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착 배치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스탠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착 배치되는 제2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Body frame;
A mounting plate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coil disposed therein; And
And coil position vary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support and arranged to change a position of the coil,
The body frame includes:
A flat portion disposed on the ground; And
A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flat part and having one surfac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is seated and supported; And
And a flexible telescopic member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rein the expansion /
A stanchion block extending and disposed in the flat portion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oppe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guide projection;
A first block placed on the guide protrusion at one side of the stand block; And
A second block placed on the guide protrusion at the other side of the stand block;
Wherein the coil-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comprises: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6항에 있어서,
보조배터리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상에 배치되는 배터리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mounting part disposed on the body fram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면에 배치되는 슬립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lip prevention pa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frame to prevent slippage of the body frame.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단일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위치 가변수단은,
코일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빔; 및
일단부는 상기 거치판에서 상기 지지부를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거치판을 바라보는 측에 고정되는 회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바는
상기 가이드빔의 길이를 따라 일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외측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동바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절곡부의 곡률(θ2)은 상기 제1 절곡부의 곡률(θ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절곡부의 곡률(θ3)는 상기 제1 절곡부의 곡률(θ1)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간에 휨의 크기 균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3 절곡부의 휨 크기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휨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Body frame;
A mounting plate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single coil disposed therein; And
And coil position vary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support and arranged to change a position of the coil,
Wherei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And a lifting portion provid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oi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guide groov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ationary plate facing the support;
A guide beam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formed on the support; And
And a rotation bar fixed at one end to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facing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a side of the support member facing the support plate,
The pivoting bar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beam;
A second ben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Wherein the first bent portions are disposed in a pair and the second bent portions are disposed in a pair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the rotating bar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ent portions, And a third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bent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curvature of the third bent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bent portion,
Wherein the third be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third be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ird bending portion, Wherein the bending amount of the bend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bending amount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상기 회동바의 휨에 의한 복원을 향상토록, 상기 제2 절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미세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
Further comprising: a micro ben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ent portion to improve restoration of the pivot bar by ben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지면에 배치되는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판에 거치되는 무선충전기기의 일면이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 및
무선충전기기의 음향을 확대토록,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음향조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조성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음향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음향홀; 및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음향홀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음향을 공명 확대시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공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ody frame includes:
A flat portion disposed on the ground; And
A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flat part and having one surfac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is seated and supported; And
And a sound generating unit disposed in the seating unit for magnifying the sou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acoustic-
A first acoustic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 second acoustic ho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n acoustic resonato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holes in the seating part, the acoustic resonator being provided to resonate and propagate acoustic waves;
Wherein the coil-position variable wireless charging cradle comprises: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1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코일이 배치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과 상기 지지부간에 연계되며 배치되고, 코일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공되는 코일위치 가변수단; 및
무선충전기기를 부착하도록, 상기 거치판상에 배치되는 점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패드는
a) 아크릴레이트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1층; 및
b)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제2층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Body frame;
A mounting plate connected to a support form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coil disposed therein;
Coil position varying means disposed between and interposed between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the coil position varying means being provid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il; And
And an adhesive pad disposed on the mounting plate to attach the wireless charger,
The adhesive pad
a) a first layer comprising an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nd
b) a second layer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sheet, laminated in order.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1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제1층 및 제2층은 다공성이며, 기공도가5 내지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porous and have a porosity of 5 to 40 占 퐉.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제1층 및 제2층은 열융합, 점착제를 이용한 방법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laminated b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rmal fusion, a metho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combinations thereof.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70-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0-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1-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comprises the following components:
70-75 wt% polyurethane foam;
20-2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0.01-1% by weight of polyisocyanate.
Wherein the coil position changeable cord rechargeable cradle comprises: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가 추가적으로 착색 안료를1 내지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additionally comprises from 1 to 10% by weight of the color pigment.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아크릴 산, 메타아크릴 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모노머 및 이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aid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methacrylate, 2-hydroxypropyl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 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glycidyl methacrylate and And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yl methacrylate and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therefrom.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구마론-인덴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계 수지, 크실렌-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테르핀 수지,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 로진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점착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acrylic rubber-based foam sheet further comprises a tackifier selected from a guarone-indene resin, a phenol-formaldehyde resin, a xylene-formaldehyde resin, a polyterpine resin, a petroleum hydrocarbon resin, a rosin ester, Wherein the coil positioning cradle includes: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16항에 있어서,
착색 안료가 카본 블랙, 산화티탄, 산화 아연, 산화철, 시아닌계, 인계, 퀴논계, 페리논계, 이소인돌리논계, 또는 치오인디고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lor pigment is any one of carbon black, titanium oxide, zinc oxide, iron oxide, cyanine series, phosphorus series, quinone series, perinone series, isoindolinone series, and thioindigo series.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 및
카본 블랙 0.01-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olyurethane foam sheet comprises the following components:
74-75 wt% polyurethane foam;
24-2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0.01-0.08 wt% polyisocyanate; And
0.01-1% by weight of carbon black.
Wherein the coil position changeable cord rechargeable cradle comprises: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12항에 있어서,
제1층의 두께가0.5 내지1.5 mm이며, 제2층의 두께가1.0 내지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s 0.5 to 1.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1.0 to 2.0 mm.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2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21항에 있어서,
제1층의 두께가0.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s 0.8 mm.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21항에 있어서,
제2층의 두께가1.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위치 가변형 무선충전 거치대.



22. The method of claim 21,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1.2 mm.



KR1020170047971A 2017-04-13 2017-04-13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KR1017974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71A KR101797486B1 (en) 2017-04-13 2017-04-13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PCT/KR2018/003807 WO2018190543A1 (en) 2017-04-13 2018-03-30 Wireless charging cradle having variably positionable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971A KR101797486B1 (en) 2017-04-13 2017-04-13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486B1 true KR101797486B1 (en) 2017-11-15

Family

ID=6038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971A KR101797486B1 (en) 2017-04-13 2017-04-13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486B1 (en)
WO (1) WO2018190543A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77A (en) * 2018-10-04 2020-04-14 (주)이모아이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2093478B1 (en) * 2018-11-09 2020-04-20 (주)파트론 A folding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20210002941A (en) 2019-07-01 2021-01-11 (주)정인일렉텍 Wireless chargers for home and office
KR102210235B1 (en) * 2019-08-09 2021-02-01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Portable auxiliary battery
KR20220005847A (en)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Wire/wireless charger with adjustable angle and auxiliary battery function
KR102445928B1 (en) 2022-08-10 2022-09-21 손요성 Mobile Phon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Customized Application Structure
WO2022260378A1 (en) * 2021-06-09 2022-12-15 (주)에스피에스 Cradle for mounting smart device and battery coupled thereto
KR102482705B1 (en) 2022-07-11 2023-01-02 투니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stand for movi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2216A (en) * 2020-09-10 2022-03-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Wireless charging sea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170A (en) * 2003-10-15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ger/cradle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JP2013099200A (en) * 2011-11-04 2013-05-20 Suzuki Motor Corp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JP5998465B2 (en) * 2011-12-07 2016-09-28 株式会社Ihi Pitch variable coil and resonant circuit
KR20150084210A (en) * 2014-01-13 2015-07-22 주식회사 대창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US9620985B2 (en) * 2014-04-01 2017-04-11 Intel Corporation Multi-coil wireless charging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77A (en) * 2018-10-04 2020-04-14 (주)이모아이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2115533B1 (en) 2018-10-04 2020-06-11 (주)이모아이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2093478B1 (en) * 2018-11-09 2020-04-20 (주)파트론 A folding structure of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20210002941A (en) 2019-07-01 2021-01-11 (주)정인일렉텍 Wireless chargers for home and office
KR102210235B1 (en) * 2019-08-09 2021-02-01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Portable auxiliary battery
KR20220005847A (en)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Wire/wireless charger with adjustable angle and auxiliary battery function
KR102418357B1 (en) * 2020-07-07 2022-07-08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Wire/wireless charger with adjustable angle and auxiliary battery function
WO2022260378A1 (en) * 2021-06-09 2022-12-15 (주)에스피에스 Cradle for mounting smart device and battery coupled thereto
KR102482705B1 (en) 2022-07-11 2023-01-02 투니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stand for movile device
KR102445928B1 (en) 2022-08-10 2022-09-21 손요성 Mobile Phon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Customized Applic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543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486B1 (en)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coil position changeable
EP3512211B1 (en) Charging stand for headphones
USD638817S1 (en) Docking station for cellular telephone
GB2508729A (en) Portable charger for a handheld device having a movable connector
USD469080S1 (en) Portable radio
AU3988400A (en) Mobile telephone with wireless earphone/microphone
CN207382395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CN210783853U (en) Cell phone stand with public address function
CN215733588U (en) Charging device
CN202435098U (en) Mobile phone charger
CN202103720U (en) Mobile phone casing
CN212252022U (en) Hinge structure and mobile phone support
KR101314849B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CN203206299U (en) Telephone set
CN2938605Y (en) Lid turn-over structure of hand communication equipment
CN207053585U (en) Phone sound support
CN207184577U (en) A kind of mobile phone sound-amplifying seat
CN207090250U (en) Glass flake finished product storage shelf
CN205560166U (en) Novel tablet personal computer stand
CN213426231U (en) Mobile phone shell
CN217135632U (en) Take stereo set of support
CN216301599U (en) Multi-lens film pasting device
CN210780957U (en) Mobile phone shell
CN215897956U (en) Bluetooth sound box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CN211040334U (en) Portable notebook reinforc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