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849B1 -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49B1
KR101314849B1 KR1020100127325A KR20100127325A KR101314849B1 KR 101314849 B1 KR101314849 B1 KR 101314849B1 KR 1020100127325 A KR1020100127325 A KR 1020100127325A KR 20100127325 A KR20100127325 A KR 20100127325A KR 101314849 B1 KR101314849 B1 KR 10131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se portion
mounting
connection
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6128A (en
Inventor
이규성
Original Assignee
(주)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테크 filed Critical (주)알테크
Priority to KR102010012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49B1/en
Publication of KR2012006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4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네비게이션을 비롯한 영상 휴대기기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 보다 견고하게 부착면에 거치대를 장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와 함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구조 또한 심플하게 제작될 수 있는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베이스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사용자의 베이스부에 대한 지지부의 삽입 편의를 도모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the mobile devices including navigation to the vehicle more firmly, but also can be easily used by the user and the durability that can be produced in a simple structure The mobile device holder has enhanced the ease of use and
A mounting portion comprising a base portion adhered to an attachment surface through an adhesive means and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It is made, the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enable the setting in the desired direction while promoting the ease of insertion of the support portion for the user base portion.

Description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Mobile device cradle for increased durability and ease of use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hold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네비게이션을 비롯한 영상 휴대기기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에 있어 종래의 경우 흡착판을 통해 부착면에 거치대를 부착시켰던 구조에서 탈피하고 특히 흡착판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착력이 떨어져 장착된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고 거치대를 보다 견고하게 부착면에 장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나아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구조 또한 심플하게 제작될 수 있는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radle for mounting video portable devices such as navigation to the vehicl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adsorptive force is increased over time when it is removed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cradle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etached cradle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source and to mount the cradle more firmly on the attachment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holder having improved convenience.

최근 들어 정보통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PDA, PCS, 네비게이션과 같은 휴대기기가 대중화되었고, 이러한 휴대기기는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내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휴대기기를 차량 내에 탑재하기 위한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CS, and navigation have been popularized. These mobile devices have a need to be used not only in fixed places but also in moving vehicles. Cradles for mounting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종래기술의 거치대로 등록실용신안 제376788호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411603호 '휴대기기의 거치대', 등록실용신안 제428218호 '흡착식 거치대'등이 공지되어 있다.As a cradle of the prior art, Utility Model No. 376788, 'Multipurpose holder attached to the vehicle glass',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411603, 'Mobile holder',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428218, 'Adsorption holder' and the like are known.

상기 종래기술의 거치대는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의 중앙을 강제로 승강시킴으로서 유리와 같은 편평한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진공(즉, 저압)상태로 만들어서 거치대를 부착면에 흡착시켜 부착시키게 된다.The cradle of the prior art lifts the center of the adsorption plat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PP, PE, silicon, etc. by force to elevate the space formed between a flat attachment surface such as glas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in a vacuum (ie, low pressure) state. It is made by attaching the holder to the attachment surface.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은 장기간 중앙이 승강된 경우에는 재질의 특성상 중앙을 승강시키는 힘이 소멸하여도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완전히 복원되지 아니하고 중앙부분이 어느 정도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 center is elevated for a long time, the adsorption plate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PP, PE, silicone, etc. is not fully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of the flat surface even if the power to lift the center disappea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State is maintained.

따라서 차후에 다시 거치대를 부착면에 부착시킬 때에는 흡착판의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게 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착판을 바닥면이 편평한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when attaching the mount again to the attachment surface,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late is reduced so that the mount cannot be firmly attach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a separate means for restoring the adsorption plate to the initial flat state is required. to be.

그러나 종래의 거치대는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흡착판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복원수단이 구비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624호(2008.02.28.)『복원부재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그리고 오랜 사용으로 흡착력이 떨어진 흡착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906호(2009.04.24.)『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정도가 소개되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cradle was not provided with such a mea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 Patent No. 10-0810624 (2008.02.28.) Mobile device holder with restoring member,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95906 (2009.04.24.), "Mobile device holder with removable pressure lever," designed to replace the adsorption plate has been removed by long-term use The degree is introduced.

그러나 상기 거치대들은 흡착판에 대한 문제점을 일정 부분 해소하여 차량 거치시 거치대가 갑작스럽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기존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었고 또한 별도 구조를 추가하는 것이어서 구조 자체가 복잡하거나 또는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radle was able to prevent the sudden separation of the cradle when mounting the vehicle 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adsorption plate to some extent, but did not solve the existing problem fundamentally and also add a separate structure, the structure itself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mplexity or manufacturing cost is high.

또한 기존 거치대의 경우 휴대기기를 사용 환경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다양한 구조들을 도입하여야 하였고, 이에 따른 구조의 복잡성 내지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cradle had to introduce a variety of separate structures for rotating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there was a problem of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radle,

기존의 통상적인 거치대 구조에서 탈피하면서 거치대를 구성하는 흡착판 자체를 사용하지 않아 부착면에 대한 거치대의 고정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that can increase the fixing force and durability of the cradle to an attachment surface without using the adsorption plate itself constituting the cradle while escaping from the conventional cradle structure.

이와 함께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대를 부착면에 거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거치되는 각도 설정을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that can be conveniently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while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et the mounting angle through a simple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더불어 기존 거치대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조를 도입함에 따라 제작단가 역시 줄일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introducing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existing hold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치대는,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베이스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치부로 이루어지되,A mounting portion comprising a base portion adhered to an attachment surface through an adhesive means and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It's done,

상기 연결부는 사용자의 베이스부에 대한 지지부의 삽입 편의를 도모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on par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enable the setting in the desired direction while promot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portion for the user's bas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부 가장자리에는 꺾임을 가지는 수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수용돌기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receiving projection having a bent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ase by sliding insertion into the receiving projection,

더욱이 상기 연결부는 슬라이딩시 베이스부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중공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돔 형상의 연결부 가장자리로는 수용돌기와의 접촉을 위한 접부가 마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is made of a dome shape hollow inside to reduce friction with the base portion when sliding, the dome-shaped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for contact with the receiving protrusion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에는 슬라이딩 삽입된 거치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sliding portion is inserted inserted.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제작시 많은 금형을 필요로 하고 제작 공정이 복잡하였던 기존 거치대와는 달리 보다 간편한 공정 및 저렴한 제작 비용을 통해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Unlike the existing cradle, which required many molds during production and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production was possible through a simpler process and lower production cost.

가압에 따라 승하강되는 별도의 흡착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부착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베이스부를 접착시키고 이후 간단하게 거치부의 연결부를 베이스부에 쉽게 슬라이딩 삽입시킴으로써 부착면에 대한 거치대 장착이 가능하기에 거치대가 부착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해졌다는 효과를 가진다.Rather than using a separate adsorption plate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pressure,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base to the mounting surface by means of adhesive, and then simply mount the connecting part of the mounting part by sliding the base easily.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has the effect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특히 연결부를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부로의 용이한 삽입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거치대의 방향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보다 편리해졌으며, Particularly, by forming the connecting part in a circular shap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into the base p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t the direction of the cradle, making it more convenient to use.

이와 더불어 구조 역시 단순화되어 거치대 제작에 따른 공정이 단순화되고 이에 따른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어 타제품과 비교시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also simplified, so that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cradle manufacturing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4는 차량내에서의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adle shown i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use of the invention in a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치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접착수단(C)을 통해 부착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되고 휴대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20)로 이루어지는데, It consists of a base portion 10 which is adhered to the attachment surface through the adhesive means (C), and the mounting portion 20 which is detachable to the base portion and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상기 거치부(20)는 베이스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에서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ounting portion 2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1 slidingly inser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22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to mount a portable device.

부착면에 베이스부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수단(C)은 소위 양면접착테이프가 사용되며, 양면접착테이프는 시중에 소개되고 있는 기성품을 이용하면 된다.As the adhesive means C for attaching the base to the attachment surface, a so-called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used, and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may be a ready-made product introduced in the market.

결국 후술되는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분리되냐의 여부는 기존에서와 같이 부착면에 가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흡착판의 흡착력이 아니라 기성품으로 소개되어 있는 접착수단의 접착력이 좌우하는 것으로 After all,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whether or not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is the adhesion of the adhesive means introduced as a ready-made product rather than the adsorptive force of the adsorption plate is raised and lowered by pressure to the attachment surface as in the conventional By this influence

차량 내에서의 통상적인 거치대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데쉬보드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있는바 부착면에 대한 접착수단의 접착력은 거의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기에, Looking at the normal use of the cradle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 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the adhesion of the adhesive means to the mounting surface can be said to be almost semi-permanent,

기존 흡착면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않고 단순히 접착수단을 통해 거치대를 부착면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본 발명의 부착면에 대한 고정성 역시 반 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Fixing to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does not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existing adsorption surface, but simply att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through the adhesive means can also be called semi-permanent.

다음으로 연결부(21)와 지지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거치부에서 연결부(21)는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Next,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이는 베이스부(10)로의 연결부(21)의 슬라이딩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 후 베이스부(10)를 기준으로 연결부(21)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facilitate the sliding inse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1 into the base portion 10 while allowing the connection portion 21 to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 after insertion, so that the setting can be made in a desired direction. .

즉 본 발명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돌리든 베이스부에 삽입되는 연결부 부분이 동일한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1)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거치부(20)의 아무 부분을 잡고서 이를 베이스부(10)로 슬라이딩 삽입시키기만 하면 되는 것이고,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may have the same shape in any direction, the user grasps any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0 and the base portion thereof. Just slide it into (10),

또한 삽입된 이후에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로 인해 사용자는 베이스부(10)를 기준으로 연결부(2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었는바, In addition, even after being insert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ircular connection part allows the user to rotate the connection part 21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10.

이후 장착될 휴대기기에 대한 설정각도를 연결부(21)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ince the setting angle for the mobile device to be mounted later can be set more simply by rotating the connection portion 21.

다음으로 연결부가 베이스부로 슬라이딩 삽입 장착됨에 있어, 상기 베이스부(10)의 가장자리에는 꺾임을 가지는 수용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된 연결부(21)를 잡아주게 된다.Next, when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base part by sliding insertion, the receiving protrusion 11 having a bend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ase part 10 to hold the inserted connection part 21.

상기 수용돌기(21)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The receiving protrusion 21 is preferably made of a "b" shape,

베이스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가 삽입되는 입구 부분을 제외한 3개로 베이스부(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ortion is radially formed, but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three pieces except the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물론 수용돌기의 갯수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제조 공정 및 제작 단가, 그리고 사용상태를 고려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number of the receiving projections can be increased, but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and the use state will be preferable to be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돌기(11)는 베이스부 상면에서 연결형성되는 연장부(111)와, 꺾임 형상을 위해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 형성된 이탈방지부(112)로 이루어지는데, And, as shown in Figure 2, the receiving protrusion 11 is formed of an extension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112 bent from the extension portion for the bent shape,

상기 이탈방지부의 경우 연결부의 원형 형상에 대응하여 그 측면(112a)을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the side surface 112a is formed to be rounded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이는 이후 설명될 돔 형상을 가진 연결부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라운드된 측면(112a)을 통해 베이스부에 대한 연결부의 자연스러운 삽입을 유도하고, 이후 베이스부에 대한 연결부의 장착에 있어서도 보다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This i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having a dome shap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induce a natural inse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rounded side 112a, and to be more stable in mounting the connecting portion to the base portion thereafter. This is to keep it fixed.

또한 상기 3개의 수용돌기 중, 연결부가 슬라이딩되는 입구 쪽 2개의 슬용돌기의 이탈방지부(112)는 측면이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도, 연결부가 처음 접하게 되는 입구쪽 부분의 측면에는 경사면(112b)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112 of the two slats projection inlet side slid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hree receiving projections, while the side is formed rounded as a whole, the inclined surface 112b on the side of the inlet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first contact It is preferable to form more.

이 역시 연결부에 대한 자연스러운 슬라이딩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also to induce a natural sliding insertion into the connection.

다음으로 앞서 잠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21)는 내부가 중공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Next, as mentioned earlier briefly, the connection par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dome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이는 베이스부로의 슬라이딩 삽입시 연결부와 베이스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reduce friction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when sliding insertion into the base portion.

그리고 돔 형상의 가장자리로는 수용돌기의 이탈방지부(112)의 내면과 접촉을 위한 접부(21a)가 연장형성된다.
In addition, a contact portion 21a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112 of the accommodation protrusion is extended to the edge of the dome shape.

이에 수용돌기(11)가 베이스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연결부의 접부(21a)를 놀러줌으로써 베이스부에 대한 거치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The receiving protrusion 11 is fastened to the mounting portion to the base by playing around the contact portion (21a) of the connecting portion which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일단 베이스부로 삽입 장착된 거치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에 스토퍼(30)를 더 구비하게 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30 is further provided in the base part to prevent the mounting part 20 inserted into the base part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스토퍼(30)는 베이스부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같은 것으로, The stopper 30 is the same as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연결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연결부가 베이스부로 삽입되는 입구쪽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안정된 거치부 장착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not provided only in the inlet side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base portion as shown in the figure for a stable mounting portion mounting.

상기 스토퍼(30)는 베이스부(10)에 대한 연결부(21)의 삽입이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 즉, 사용자가 연결부를 밀어넣으면 연결부가 스토퍼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The stopper 30 is formed to a size such that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1 to the base portion 10 is not hindered, that is, the size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ride over the stopper when the user pushes the connecting portion.

일단 연결부(21)가 스토퍼(30)를 지나가게 되면 삽입된 연결부는 다시 사용자의 추가적인 외압이 없는 이상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Once the connecting portion 21 passes through the stopper 30, the inserted connecting portion does not come out unless there is an additional external pressure of the user.

다음으로 내부가 중공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1)에는 외부와 관통되는 관통공(2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it is preferable to form a through hole 21b penetrating the outside in the connection portion 21 having a hollow dome shape.

이는 관통공(21b)을 통해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켜줌으로서 연결부에 대한 베이스부로의 원만한 슬라이딩을 보다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smoother sliding to the bas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achieved by allow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21b.

또한 수용돌기가 형성된 베이스부(10)를 살펴보면, 수용돌기(11) 주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의 접부가 안착되는 수용돌기 내측으로 슬릿공(1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In addition, looking at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protr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slit hole 12 is formed in the receiving protrusion inside the receiving protrusion 11 more specifically around the receiving protrusion 11,

이 역시 연결부 저면과의 마찰을 줄이면서 연결부의 자연스러운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This is also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a natural insertion of the connection while reducing friction with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연결부 상면에는 휴대기기 장착을 위한 지지부(22)가 형성되는데, 지지부는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회전시켜 설정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회전수단을 복잡하게 구비하는 기존 거치대와는 달리 말단에는 단순히 휴대기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만 형성되면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22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unlike the existing cradle having a separate rotating means for complexly adjusting the setting direction by rotating the mobile device to be mounted In this case, only a structure capable of mounting a portable device needs to be formed.

다만, 사용 환경에 따라 거치되는 휴대기기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설정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에 본 발명의 지지부에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et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portable device moun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means.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지지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상면에서 일체로 형성된 수부재(221)와, 상기 수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암부재(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부재에 수부재가 삽입된 후 체결너트(N)와 체결볼트(B)를 통해 이들의 결합을 고정시킨다.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par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the angle adjusting means includes a male member 221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and a female member 222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male member is inserted. After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the coupling nut is fixed through the fastening nut (N) and the fastening bolt (B).

이때 앞서 언급된 각도조절이 필요한 경우, 수부재(221)에 대한 암부재(222) 고정시 암부재의 회동 상태를 조절한 후 체결너트와 체결볼트를 통해 이들을 결합시키면 원하는 각도 설정이 완료된다.
At this time, if the above-mentioned angle adjustment is necessary, adjusting the rotational state of the arm member when fixing the arm member 222 to the male member 221 and then combine them through the fastening nut and the fastening bolt to complete the desired angle set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거치대"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하기에서 언급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as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claims mention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접착수단
10: 베이스부 11: 수용돌기 111: 연장부
112: 이탈방지부 112a: 측면 112b: 경사면
20: 거치부 21: 연결부 22: 지지부
21a:접수 21b: 관통공
221: 수부재 222: 암부재
30: 스토퍼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 bonding means
10: base portion 11: receiving protrusion 111: extension portion
112: release prevention portion 112a: side 112b: inclined surface
20: mounting portion 21: connection portion 22: support portion
21a: Reception 21b: Through hole
221: male member 222: female member
30: stopper

Claims (4)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되는 것으로
베이스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사용자의 베이스부에 대한 지지부의 삽입 편의를 도모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는 꺾임을 가지는 수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수용돌기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는 슬라이딩시 베이스부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중공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돔 형상의 연결부 가장자리로는 수용돌기와의 접촉을 위한 접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용돌기는 연결부가 삽입되는 입구 부분을 제외하고 베이스부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A base portion adhered to the attachment surface through an adhesive means; An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base part
A connection part slidingly inserted and coupled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is made of a holding portion including a support for mounting the mobile device;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enable the setting in the desired direction while promot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portion for the user's base portion,
Receiving projection having a bent on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by sliding insertion into the receiving projection,
The connection part is made of a dome shape hollow inside to reduce friction with the base part when sliding, the dome-shaped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for contact with the receiving projection is provided,
The receiving protrusion is a portable device holder that enhances durability an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radially except the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돌기는 베이스부 상면에서 연결형성되는 연장부와, 꺽임 형상을 위해 연장부에서 절곡 형성된 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원형 형상에 대응하여 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protrusion is formed of a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bent from the extension portion for the bent shape,
The detachment preventing unit is a portable device holder that enhances durability an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is formed rounded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 중 연결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입구 부분 근처에 구비된 것으로 연결부가 처음 접하게 되는 이탈방지부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provided near the inlet portion of the sli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bile device holder to enhance the durability an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s first contac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슬라이딩 삽입된 거치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se unit is a portable device holder to enhance the durability and ease of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slid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KR1020100127325A 2010-12-14 2010-12-14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KR101314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25A KR101314849B1 (en) 2010-12-14 2010-12-14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25A KR101314849B1 (en) 2010-12-14 2010-12-14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28A KR20120066128A (en) 2012-06-22
KR101314849B1 true KR101314849B1 (en) 2013-10-04

Family

ID=4668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25A KR101314849B1 (en) 2010-12-14 2010-12-14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392A (en) * 2016-12-20 2017-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ixing seat for instrument with camera
KR20230007134A (en)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지아이엘 Reading des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780U (en) * 1996-04-03 1996-10-11 株式会社ベルビック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246616Y1 (en) * 2001-06-05 2001-10-22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Hands-free holder for vehicles
JP2008054216A (en) 2006-08-28 2008-03-06 Funai Electric Co Ltd On-vehicle unit with g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780U (en) * 1996-04-03 1996-10-11 株式会社ベルビック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246616Y1 (en) * 2001-06-05 2001-10-22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Hands-free holder for vehicles
JP2008054216A (en) 2006-08-28 2008-03-06 Funai Electric Co Ltd On-vehicle unit with gp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392A (en) * 2016-12-20 2017-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ixing seat for instrument with camera
KR20230007134A (en)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지아이엘 Reading desk
KR102557117B1 (en) * 2021-07-05 2023-07-20 주식회사 지아이엘 Reading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28A (en)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644B2 (en) Hands-free holding device
EP2249074B1 (en) Holder
US20120205412A1 (en) Mounting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device within a car
US9155213B2 (en) Affixable belt clip for a phone incorporating an adjustable kickstand
US7950637B2 (en)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KR101219760B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US20120018599A1 (en) Multi-vacuum mount type support device
KR20120005943U (en) mobile phone holder
KR200473759Y1 (en) Mount for mobile
KR101314849B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KR20140002938A (en) Fixing device for potable display device
KR101459991B1 (en) Case and cradle with rotary contact
KR101279160B1 (en) Stand for mobile
KR101304305B1 (en) Supporter for vehicles
KR101738615B1 (en)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phone
US8444102B2 (en) Apparatus for holding handheld devices
KR20150033835A (en) St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
KR101384652B1 (en) Holder for vehicles
KR20150004611U (en) NFC Smart Phone Holder
CN214381012U (en) Mobile phone magnetic attraction support
KR200447210Y1 (en) Cradle for portable equipment
KR200476557Y1 (en) Smart phon protection case having cushioning and sticking function
KR200474301Y1 (en) Holder for mobile device
KR200486313Y1 (en) Blowhole holder for vehicle
KR20130071039A (en) Supporter for electronic equipment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