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397B1 - 인체 밀착형 허리띠 - Google Patents

인체 밀착형 허리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397B1
KR101797397B1 KR1020160149966A KR20160149966A KR101797397B1 KR 101797397 B1 KR101797397 B1 KR 101797397B1 KR 1020160149966 A KR1020160149966 A KR 1020160149966A KR 20160149966 A KR20160149966 A KR 20160149966A KR 101797397 B1 KR101797397 B1 KR 10179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band
spinal
presen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김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102016014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397B1/ko
Priority to PCT/KR2017/012467 priority patent/WO20180887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띠를 구성하는 벨트의 중간부분을 하부로 만곡되게 형성함에 따라,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감싸는 벨트의 후방과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에 관한 것으로, 벨트와 벨트의 일측에는 버클이 구비되는 허리띠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중간에는 하부로 만곡되게 굴곡진 하부 굴곡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체 밀착형 허리띠{A BELT OF BODY-FITTED TYPE}
본 발명은 인체 밀착형 허리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띠를 구성하는 벨트의 중간부분을 하부로 만곡되게 형성함에 따라,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감싸는 벨트의 후방과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띠는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긴 가죽이나 천으로 구성되는 벨트와, 벨트의 양단을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허리띠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허리띠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78911호의 "허리띠"(이하, "종래의 허리띠"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허리띠 버클과 일단이 상기 버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버클을 통과하여 의복을 허리에 고정시키는 끈을 구비하는 허리띠에 있어서, 상기 끈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허리띠는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감싸는 끈의 후방과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떠,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띠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반 자세로 앉을 경우에 척추와 끈의 사이가 들떠 하의 내복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띠가 허리의 둘레를 헛돌아 치마를 입을 경우에 치마가 쉽게 돌아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허리띠는 끈의 전체에 띠 형상의 자석이 구비됨에 따라, 허리띠의 제조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허리띠의 전체에 자석이 구비됨에 따라 자석의 영향으로 지갑에 소지하는 신용카드 등의 카드 마그네틱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78911호의 "허리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띠를 구성하는 벨트의 중간부분을 하부로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감싸는 벨트의 후방과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선 자세에서 허리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반 자세로 앉을 경우에 척추와 벨트의 사이가 들떠 하의 내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내측의 중간에 허리띠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척추 누름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치마에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치마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내측의 중간에 형성되는 척추 누름수단을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허리 싸이즈와 관계없이 허리띠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부로 처지는 밸트의 타측 단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벨트 일측의 전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밸트의 타측 단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허리띠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는 벨트와 벨트의 일측에는 버클이 구비되는 허리띠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중간에는 하부로 만곡되게 굴곡진 하부 굴곡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의 상기 인체 밀착형 허리띠는 하부 굴곡 만곡부의 중간에 구비되는 척추 누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의 상기 척추 누름수단은 하부 굴곡 만곡부에 좌우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들 중 하나에 관통 고정되는 척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의 상기 척추 누름부는 전방에 구비되어 척추를 눌러주는 누름 반구체와, 상기 누름 반구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 고정축과, 상기 관통 고정축의 후방에 둘레가 확장되게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의 상기 벨트의 일측의 후면에는 휘어짐이 가능한 좌우 방향으로 긴 철판이 부착 구비되고, 상기 벨트의 타측 단부의 후면에는 상기 철판이 부착된 부분의 벨트 전면에 철판과의 인력을 통해 부착되는 처짐 방지 자석판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허리띠를 구성하는 벨트의 중간부분을 하부로 만곡되게 형성함에 따라,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감싸는 벨트의 후방과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선 자세에서 허리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허리띠의 착용시 착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반 자세로 앉을 경우에 척추와 벨트의 사이가 들떠 하의 내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의 내측의 중간에 허리띠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척추 누름수단을 형성함에 따라, 치마에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치마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치마 전용 허리띠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의 내측의 중간에 형성되는 척추 누름수단을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에 따라, 허리 싸이즈와 관계없이 허리띠를 착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호환적으로 착용이 가능한 허리띠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부로 처지는 밸트의 타측 단부를 벨트 일측의 전면에 부착시킴에 따라, 밸트의 타측 단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허리띠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고, 벨트의 타측 단부에만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소지하는 신용카드 등의 카드 마그네틱이 자석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띠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척추 누름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띠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a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척추 누름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는 벨트(1)와 벨트(1)의 일측에 구비되는 버클(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는 상기 벨트(1)의 중간에 하부로 만곡되게 굴곡진 하부 굴곡 만곡부(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굴곡 만곡부(3)는 밸트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만곡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즉, 밸트를 가죽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가죽의 절단시 상기 하부 굴곡 만곡부(3)를 일체로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밸트를 천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밸트의 직조시 상기 하부 굴곡 만곡부(3)를 일체형으로 함께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띠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는 벨트(1)의 양측이 인체의 골반 상부인 양 옆구리에 위치된다. 그리고, 허리띠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는 벨트(1)의 후방에 형성된 하부 굴곡 만곡부(3)가 하부로 만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하부 굴곡 만곡부(3)가 후방으로 돌출된 인체 엉덩이의 상부에 위치된 척추부분에 밀착됨으로써,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감싸는 벨트(1)의 후방과 인체 엉덩이의 상부에 위치된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허리를 감싸는 벨트(1)의 후방과 척추부분의 사이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선 자세에서 허리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반 자세로 앉을 경우에 척추와 벨트(1)의 사이가 들떠 하의 내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밀착형 허리띠는 상기 하부 굴곡 만곡부(3)의 중간에 구비되는 척추 누름수단(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척추 누름수단(4)은 척추를 정확하게 눌러주어 허리띠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굴곡 만곡부(3)에 좌우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41)과. 상기 관통홀(41)들 중 하나에 관통 고정되는 척추 누름부(4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척추 누름부(42)는 하부 굴곡 만곡부(3)에 형성된 관통홀(4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에 구비되어 척추를 눌러주는 누름 반구체(421)와, 상기 누름 반구체(42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41)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 고정축(422)과, 상기 관통 고정축(422)의 후방에 둘레가 확장되게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확장부(42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1)의 내측의 중간에 허리띠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척추 누름수단(4)을 형성함으로써, 치마에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치마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치마에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치마가 돌아갈 경우에는 피부에서 척추 누름수단(4)의 위치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음에 따라, 치마가 돌아간 상태에서 치마를 신속하게 원위치로 돌릴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1)의 내측의 중간에 형성되는 척추 누름수단(4)을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허리 싸이즈와 관계없이 누구나 척추 누름수단(4)의 위치를 변화시켜 허리띠를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1)의 일측 후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철판(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벨트(1)의 타측 단부의 후면에는 처짐 방지 자석판(6)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철판(5)은 벨트(1)의 일측 후면에 견고하게 접착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판(5)은 벨트(1)와 함께 휘어질 수 있도록 얇은 철판(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짐 방지 자석판(6)은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철판(5)이 부착된 부분의 벨트(1) 전면에 철판(5)과의 인력을 통해 부착될 수 있을 정도로 자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처짐 방지 자석판(6)은 벨트(1)의 타측 단부의 두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얇은 자석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리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부로 처지는 밸트의 타측 단부를 벨트(1) 일측의 전면에 부착시킴에 따라, 밸트의 타측 단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벨트(1) 타측 단부의 처짐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의 타측 단부에만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소지하는 신용카드 등의 카드 마그네틱이 자석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벨트
2 : 버클
3 : 하부 굴곡 만곡부
4 : 척추 누름수단
41 : 관통홀
42 : 척추 누름부
421 : 누름 반구체, 422 : 관통 고정축,
423 : 이탈 방지 확장부
5 : 철판
6 : 처짐 방지 자석판

Claims (5)

  1. 벨트(1)와 벨트(1)의 일측에는 버클(2)이 구비되는 허리띠에 있어서,
    상기 벨트(1)의 중간에는 하부로 만곡되게 굴곡진 하부 굴곡 만곡부(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굴곡 만곡부(3)의 중간에 구비되는 척추 누름수단(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척추 누름수단(4)은
    하부 굴곡 만곡부에 좌우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41)과.
    상기 관통홀(41)들 중 하나에 관통 고정되는 척추 누름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누름부(42)는
    전방에 구비되어 척추를 눌러주는 누름 반구체(421)와,
    상기 누름 반구체(42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41)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 고정축(422)과,
    상기 관통 고정축(422)의 후방에 둘레가 확장되게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확장부(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의 일측의 후면에는 휘어짐이 가능한 좌우 방향으로 긴 철판(5)이 부착 구비되고,
    상기 벨트(1)의 타측 단부의 후면에는 상기 철판(5)이 부착된 부분의 벨트(1) 전면에 철판(5)과의 인력을 통해 부착되는 처짐 방지 자석판(6)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밀착형 허리띠.
KR1020160149966A 2016-11-11 2016-11-11 인체 밀착형 허리띠 KR10179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66A KR101797397B1 (ko) 2016-11-11 2016-11-11 인체 밀착형 허리띠
PCT/KR2017/012467 WO2018088764A1 (ko) 2016-11-11 2017-11-06 인체 밀착형 허리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66A KR101797397B1 (ko) 2016-11-11 2016-11-11 인체 밀착형 허리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397B1 true KR101797397B1 (ko) 2017-11-14

Family

ID=6038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66A KR101797397B1 (ko) 2016-11-11 2016-11-11 인체 밀착형 허리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397B1 (ko)
WO (1) WO201808876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416B2 (ja) * 1993-05-28 2001-08-27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同期整流コンバー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617A (ja) * 1994-09-05 1996-04-09 K & K Kogyo Kk 背当て板及びそれを用いた腰ベルト
KR19980025403U (ko) * 1996-11-02 1998-08-05 김승업 벨트(허리띠, 혁대)
KR20050077947A (ko) * 2004-01-30 2005-08-04 최봉신 의복의 착용감과 안정감을 유지시켜주는 허리띠(벨트)
KR200462884Y1 (ko) * 2012-07-06 2012-10-09 한동성 허리띠
JP3202416U (ja) * 2015-11-18 2016-02-04 株式会社丸正 衣服用ベル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416B2 (ja) * 1993-05-28 2001-08-27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同期整流コンバ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764A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978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US20170035130A1 (en) Breast Support Garment
US7144295B2 (en) Anti-wrinkle breast support pad
US11856998B2 (en) Breast separator devices
NO791294L (no) Magnetisk lumbalbelte.
KR200430682Y1 (ko) 기능성 팬티
US5133093A (en) Brief
US20160120235A1 (en) Feminine shirt having front insert for providing lateral breast support
US20160088908A1 (en) Dual name badge
KR102077347B1 (ko) 체형 보정용 바지
KR200464651Y1 (ko) 바지용 힙 보정기구
US20050079796A1 (en) Self-adhesive fabric bra
KR101797397B1 (ko) 인체 밀착형 허리띠
US2870768A (en) Brassiere strap
US20050186885A1 (en) Multi-piece bra
JP3129339U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20030060125A1 (en) Removable brassiere cup support
CN209788555U (zh) 3d打印塑形衣
KR101382586B1 (ko) 등판 길이 조절 가능한 배낭
US8668550B1 (en) Prosthetic nipple undergarment device
KR20160115160A (ko) 위치변경 가능한 가방
CN205597143U (zh) 一种按摩内衣
CN213848968U (zh) 一种磁性腰带
CN109757813A (zh) 腰带
JP6644393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