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894B1 -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6894B1 KR101796894B1 KR1020170049112A KR20170049112A KR101796894B1 KR 101796894 B1 KR101796894 B1 KR 101796894B1 KR 1020170049112 A KR1020170049112 A KR 1020170049112A KR 20170049112 A KR20170049112 A KR 20170049112A KR 101796894 B1 KR101796894 B1 KR 101796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gas
- washing
- unit
- cleaning liq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분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1,2,3세정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성분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3세정부에서 각각 산화제액, 염기성용액, 산성용액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산성, 염기성, 중성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가 제거된 청정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분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1,2,3세정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성분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3세정부에서 각각 산화제액, 염기성용액, 산성용액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산성, 염기성, 중성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가 제거된 청정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발생 되는 폐가스,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폐기물 처리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폐가스에는 사람이 느끼기에 심각한 악취나, 몸에 해로운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등이 포함된다.
특히, 악취는 생활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양한 처리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생물질의 종류와 배출원이 다양하고, 여러 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달리 발생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악취방지법에 따르면,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기체상태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단의되어 있으며,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은 유기산류,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아민류, 방향족화합물류, 알데하이드류, 에스테르류, 황화수소류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하나의 세정액에 의해 폐가스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만으로는 악취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물질을 모두 처리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663635호(2006. 12. 26. 등록)"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성분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성, 염기성, 중성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가 제거된 청정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미세 약품 분사를 통한 잔류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3세정공기유출부의 온도가 미세 물방울의 생성이 가능한 온도로 낮춰질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스 유동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하고 세정액과의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악취가 제거된 공기의 가스 배출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정액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는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제1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1세정부; 상기 제1세정부를 통과한 가스에 제2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2세정부; 상기 제2세정부를 통과한 가스에 제3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3세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3세정액은 서로 다른 성분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은 산화제액, 제2세정액은 염기성용액, 제3세정액은 산성용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는 상기 제3세정부로부터 세정된 공기가 유출되는 제3세정공기유출부에 형성되어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냉각수순환유로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는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온도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수순환유로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3세정부는 하단에서 가스가 유입되어 상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2세정부는 상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각각 제2,3세정부의 하단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2세정가스유동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는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하는 세정액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조절부는 상기 제3세정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pH를 측정하여 측정된 pH에 따라 상기 제2,3세정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조절부는 상기 제3세정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pH가 산성인 경우에는 상기 제2세정부에서 분사되는 염기성용액의 양을 증가시키고, 염기성인 경우에는 제3세정부에서 분사되는 산성용액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중성의 가스가 제3세정부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성분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제1,2,3세정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성분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3세정부에서 각각 산화제액, 염기성용액, 산성용액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산화제액에 의해서는 황류, 알데하이드류, 염기성용액에 의해서는 SO2, H2S 등의 산성가스, 산성용액에 의해서는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염기성가스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중성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3세정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응결을 통한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를 통한 잔류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악취가 제거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제3세정공기유출부의 온도가 미세 물방울의 생성이 가능한 온도로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세정부에서의 가스 흐름이 하단에서 유입되어 상단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유동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하고 세정액과의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3세정부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pH에 따라 제2,3세정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중성의 가스 배출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정액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세정액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가스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세정액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가스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는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제1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1세정부(1); 상기 제1세정부(1)를 통과한 가스에 제2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2세정부(2); 상기 제2세정부(2)를 통과한 가스에 제3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3세정부(3); 상기 제3세정부(3)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4), 상기 제2세정부(2) 및 제3세정부(3)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세정액조절부(5),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부(6), 상기 제1세정부(1)의 하단에 형성되어 세정수와의 접촉에 의해 협잡물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혼합세정부(7)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제1세정부(1)는 특정 장치에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필터부(6) 및 혼합세정부(7)를 제1세정부(1)보다 먼저 형성하여 이물질, 먼지, 협잡물 등을 제거한 후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를 흐르는 악취가스는 유동팬(F)에 의해 탈취장치에 유입되어 세정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매우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그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한가지의 세정수를 사용하는 1단 세정탑은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의 세정수를 이용한 탈취 방식을 통해 다양한 물질의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살균효과와 함께 황류, 알데하이드류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산화제액과, 산성가스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염기성용액, 염기성가스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산성용액을 사용하여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산성, 중성, 염기성 악취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악취에 대한 탈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탈취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중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3단계의 탈취 전 이물질, 먼지 등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정수와 악취 가스의 효율적인 반응에 의한 악취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1세정부(1)는 악취가스가 유입되어 1차적으로 탈취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진필터부(6), 혼합세정부(7)를 거친 가스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부(1)에서는 산화제액이 분사되어 황류, 알데하이드류의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차아염소산 용액이 분사되어 염소 성분을 통한 강력한 살균 효과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부(1)는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유입구(11), 악취가스와 제1세정액이 반응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반응부(12), 상기 제1반응부(12)에 제1세정액을 분사하는 제1세정액분사부(13), 제1세정액과의 반응을 마친 가스가 유출되는 제1세정가스유출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가스유입구(11)는 상기 제1세정부(1)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집진필터부(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및 먼지가 제거되고, 상기 혼합세정부(7)를 통과하면서 협잡물 등이 제거된 가스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유입구(11)는 제1세정부(1)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측에서 상측으로 악취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반응부(12)로 유입되어 제1세정액과의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반응부(12)는 상기 악취가스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와 상기 제1세정액분사부(13)로부터 분사되는 제1세정액과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폴링(Pall Ring)과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킨 충전물인 포집체(121)를 내부에 포함하여 악취가스가 포집체(121) 내부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악취가스의 잔류시간, 악취가스와 제1세정액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반응부(12)에서는 차아염소산 같은 산화제액이 분사되어 강한 살균작용과 함께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황류, 알데하이드류 등의 악취유발물질이 제거된다.
(반응식)
(CH3)2S + 3NaOCl → (CH3)2SO3 + NaCl
제1세정액분사부(13)는 상기 제1반응부(12)에 제1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산화제액을 분사하여 황계열, 알데하이드류 등의 악취유발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차아염소산 용액을 사용하여 강력한 살균 효과를 갖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액분사부(1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되어 상승하는 악취가스와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반응부(12)에 의해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높은 반응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가스유출부(14)는 상기 제1반응부(12)에서 제1세정액과의 반응을 마친 제1세정가스가 제1세정부(1)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세정부(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세정가스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가스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제1세정가스는 제1세정가스유동로(142)를 통해 상기 제2세정부(2)의 후술할 제1세정가스유입구(21)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가스유입구(21)는 제2세정부(2)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세정가스가 제2세정부(2)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제1세정가스유동로(142)는 제1세정부(1)의 상단에서 제2세정부(2)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세정부(2)는 상기 제1세정부(1)를 통과하는 제1세정가스에 대해 2차적인 탈취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염기성용액을 분사하여 산성가스 성분의 중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세정부(2)는 제1세정가스가 유입되는 제1세정가스유입구(21), 제1세정가스와 제2세정액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반응부(22), 제2세정액을 분사하는 제2세정액분사부(23), 제2세정액에 의해 탈취된 제2세정가스가 유출되는 제2세정가스유출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세정가스유입구(21)는 제2세정부(2)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세정가스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상승하는 경로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가스의 유동에 필요한 유동팬(F)의 동력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세정가스와 제2세정액이 충분한 반응시간을 갖도록 하여 효율적인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반응부(22)는 상기 제1세정가스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제1세정가스와 상기 제2세정액분사부(23)를 통해 분사되는 제2세정액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제1반응부(12)와 같이 폴링(Pall Ring)과 같은 포집체(221)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반응부(22)는 제1세정가스와 제2세정액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제1세정가스가 흐르는 경로를 따라 상하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여러 차례에 걸친 세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응부(22)는 상기 제2세정액분사부(23)에 의해 가성소다와 같은 염기성용액이 분사되어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산성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반응식)
H2S + 2NaOH → Na2S + H2O
상기 제2세정액분사부(23)는 상기 제2반응부(22)에 제2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염기성용액을 분사하여 산성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가성 소다(NaOH)를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제2세정액분사부(2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되어 상승하는 악취가스와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2반응부(22)와 같이 상하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세정액분사부(23)는 상기 제3세정부(3)에서 배출되는 제3세정공기의 pH에 따라 분사되는 제2세정액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며, pH가 낮아 산성일 경우 더욱 많은 양의 제2세정액을 분사하여 제3세정공기의 pH가 중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세정가스유출부(24)는 상기 제2반응부(22)에서 제2세정액과의 반응을 마친 제2세정가스가 배출되는 구성으로, 제2세정부(2)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2세정가스유출구(24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세정가스유출구(241)를 통해 배출되는 제2세정가스는 제2세정가스유동로(242)를 통해 상기 제3세정부(3)의 후술할 제2세정가스유입구(31)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부(3)는 상기 제2세정부(2)와 동일하게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가스가 흐르도록 하므로, 상기 제2세정가스유입구(31)는 제3세정부(3)의 하단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세정가스유동로(242)는 제2세정부(2)의 상단에서 제3세정부(3)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세정부(3)는 상기 제2세정부(2)를 통과하는 제2세정가스에 대한 탈취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산성용액을 분사하여 염기성가스 성분의 중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부(3)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의 마지막 단계를 이루는 구성으로, 제3세정부(3)를 통과한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산성용액의 분사를 통해 pH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중성의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세정부(3)에서 배출되는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4)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져 미세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므로, 미세 물방울에 의해 미세 입자가 포집되어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미세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부(3)는 제2세정가스가 유입되는 제2세정가스유입구(31), 제2세정가스와 제3세정액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반응부(32), 제3세정액을 분사하는 제3세정액분사부(33), 제3세정액에 의해 탈취된 제3세정공기가 유출되는 제3세정공기유출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세정가스유입구(31)는 제3세정부(3)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2세정가스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상승하는 경로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제3세정부도 역시 제2세정가스와 제3세정액이 충분한 반응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가스의 유동에 필요한 동력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3반응부(32)는 상기 제2세정가스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제2세정가스와 상기 제3세정액분사부(33)를 통해 분사되는 제3세정액의 반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폴링(Pall Ring)과 같은 포집체(321)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반응부(32)는 제2세정가스와 제3세정액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제2세정가스가 흐르는 경로를 따라 상하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여러 차례에 걸친 세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반응부(32)는 상기 제3세정액분사부(33)에 의해 황산용액과 같은 산성용액이 분사되어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염기성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반응식)
2NH3 + H2SO4 → (NH4)2SO4
상기 제3세정액분사부(33)는 상기 제3반응부(32)에 제3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산성용액을 분사하여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염기성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황산용액(H2SO4)을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액분사부(3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되어 상승하는 제2세정가스와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3반응부(32)와 같이 상하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세정액분사부(33)는 상기 제3세정부(3)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pH에 따라 분사량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액조절부(5)에 의해 분사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부(3)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외부로 직접 배출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pH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가 더욱 정확하게 중성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34)는 상기 제3반응부(32)에서 제3세정액과의 반응을 마친 제3세정공기가 배출되는 구성으로, 제3세정부(3)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3세정공기유출구(34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34)는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상에 냉각부(4)를 형성하여 제3세정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pH측정모듈(342)이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의 pH에 따른 세정액 분사량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온도측정모듈(343)이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의 온도에 따른 냉각수 온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pH측정모듈(342)은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에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의 산성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pH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스 분석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pH측정모듈(342)은 측정된 pH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세정액조절부(5)에 전달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2세정부(2) 및 제3세정부(3)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이 조절된다.
상기 온도측정모듈(343)은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에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유출구(341)를 통과하는 제3세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측정된 온도는 상기 냉각부(4)로 전달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3세정공기의 온도가 미세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냉각부(4)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에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유출구(341)를 통과하는 제3세정공기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공기의 냉각을 통해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키고, 미세 물방울에 의해 이물질이 포집되어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악취유발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냉각부(4)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에 냉각수순환유로(41)를 유입시켜 제3세정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단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냉각부(4)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에 유입되며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순환유로(41), 냉각수를 냉각시켜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에 공급하는 증발기(42)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절곡되어 겹쳐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3세정공기유출구(341)를 통과하는 제3세정공기의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는 제3세정공기유출구(341) 내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세정공기유출구(341)의 전체 단면을 차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더욱 높은 냉각효율을 갖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는 제3세정공기를 냉각시켜 미세 물방울이 발생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42)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받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42)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온도측정모듈(343)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온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제3세정공기가 미세 물방울의 형성이 가능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42)는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를 흐르는 냉각수를 냉각시켜 다시 냉각수순환유로(41)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펌프(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2)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모듈(421)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조절모듈(421)은 냉각수순환유로(41)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온도측정모듈(343)에 의해 측정되는 제3세정공기의 온도에 따라 냉각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공기는 상기 냉각수순환유로(41)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미세 물방울을 형성하도록 하고, 미세 물방울에 의해 이물질이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므로, 제3세정공기는 미세 물방울의 형성이 가능한 온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모듈(421)은 제3세정공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낮춰 제3세정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리도록 하고, 제3세정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부(4)는 제3세정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항상 미세 물방울의 형성을 통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불필요한 냉각수의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여 동력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세정액조절부(5)는 각 세정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제2세정부(2) 및 제3세정부(3)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세정액조절부(5)는 상기 pH측정모듈(342)에 의해 측정되는 제3세정공기의 pH 정보에 따라 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제3세정공기가 중성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정액조절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정보를 수신하는 pH정보수신모듈(51), 제2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2세정액조절모듈(52), 제3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3세정액조절모듈(53)을 포함한다.
상기 pH정보수신모듈(51)은 상기 pH측정모듈(342)로부터 측정되는 제3세정공기의 pH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정보를 전달받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2세정액 또는 제3세정액의 분사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세정액조절모듈(52)은 상기 제2세정액분사부(23)에서 분사되는 염기성용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pH정보수신모듈(51)에서 수신되는 제3세정공기의 pH가 산성인 경우에 제2세정액분사부(23)에서 분사되는 염기성용액의 분사량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가스의 산성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액조절모듈(53)은 상기 제3세정액분사부(33)에서 분사되는 산성용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pH정보수신모듈(51)에서 수신되는 제3세정공기의 pH가 염기성인 경우에는 제3세정액분사부(33)에서 분사되는 산성용액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제3세정공기에 포함된 염기성 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는 산성, 중성, 염기성 등 다양한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하여 효율적인 탈취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가스의 산성도를 중성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더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2,3세정부(1,2,3)에 의한 가스 처리 과정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특정 시설 내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스는 상기 집진필터부(6) 및 혼합세정부(7)를 통과하며 이물질, 먼지 등의 협잡물이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세정부(7)를 통과한 악취가스는 상기 악취가스유입구(11)를 통해 제1세정부(1)에 유입되어 제1반응부(12)로 흐르게 되고, 제1반응부(12)에는 제1세정액분사부(13)에 의해 차아염소산과 같은 산성제액이 분사되어 악취가스에 포함된 황류, 알데하이드류 등의 악취발생물질의 제거와 함께 강력한 살균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반응부(12)는 폴링과 같은 포집체(121)를 내장하여 제1세정액 및 악취가스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상승하는 악취가스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제1세정액이 분사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반응에 의한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세정부(1)의 상단에서 제1세정가스유출구(141)를 통해 유출되는 제1세정가스는 제1세정가스유동로(142)를 통과하여 하단의 제1세정가스유입구(21)를 통해 제2세정부(2)에 유입된다. 상기 제2세정부(2)에 유입된 제1세정가스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상승하는 흐름을 갖게 되며, 중간에 설치된 제2반응부(22)를 통과하게 되고, 제2세정액분사부(23)에 의한 제2세정액의 분사에 의해 탈취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세정액은 가성소다와 같은 염기성용액으로 형성되어 산성가스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제2반응부(22) 역시 포집체(221)를 포함하여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늘리도록 한다. 상기 제2반응부(22)는 상하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탈취 면적을 늘리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세정부(2)에서 분사되는 제2세정액은 pH측정모듈(342)에서 측정되는 제3세정공기의 pH 정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제3세정공기가 산성인 경우 제2세정액의 분사량을 늘리도록 한다.
상기 제2세정부(2)에서 상단의 제2세정가스유출구(241)를 통해 유출되는 제2세정가스는 제2세정가스유동로(242)를 통과하여 하단의 제2세정가스유입구(31)를 통해 제3세정부(3)에 유입된다. 제3세정부(3)에서도 하단에서 상단으로 상승하는 가스의 흐름을 갖도록 하며, 제3반응부(32)에서 제3세정액과의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부(3)는 황산 용액과 같은 산성용액을 제3반응부(32)에 분사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제2세정가스의 염기성 가스 성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반응부(32) 역시 포집체(321)를 포함하도록 하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세정부(3)에서 배출되는 제3세정공기는 상단의 제3세정공기유출구(341)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에는 냉각부(4)가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를 냉각시키도록 하며, 이를 통해 미세 물방울을 형성하도록 하고, 미세 물방울에 의해 미세 입자가 포집되어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미세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에는 온도측정모듈(343)이 형성되어 제3세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냉각수의 온도가 조절되어 제3세정공기가 미세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341)에는 제3세정공기의 pH를 측정할 수 있는 pH측정모듈(342)이 형성되어 이에 따른 제2세정액, 제3세정액의 분사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중성의 제3세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진필터부(6)는 유동팬(F)의 전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단식 탈취장치로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이물질,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진필터부(6)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필터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단식 탈취장치에서 세정액과 악취가스의 반응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혼합세정부(7)는 상기 제1세정부(1)의 전단에 형성되어 세정수와 악취가스의 혼합에 의한 협잡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악취가스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본체(71), 상기 본체(71) 내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72), 상기 본체(71)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분리부(7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71)는 가스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유동팬(F)과 연결되어 집진필터부(6)를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유입되며, 가스유입구(711), 세정수이동통로(712), 격벽(713), 제어벽(714), 가이드벽(715)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유입구(711)는 본체(71)의 일측에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팬(F)과 연결되어 본체(71) 내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세정수이동통로(712)는 본체(71)의 일측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이동통로(712)는 본체(71) 내로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수위조절부(72)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세정수이동통로(712)를 기준수위(WL)로 하여 세정수가 더 이상 차오르게 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세정수가 기준수위(WL) 이상으로 차오르게 되면 세정수가 세정수이동통로(712)를 통해 상기 수위조절부(72)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격벽(713)은 본체(7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스유입구(711)를 통해 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격벽(713)을 따라 후술하는 유체이동로(713a)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체이동로(713a)는 격벽(713)의 일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스 및 세정수가 유체이동로(713a)를 통과하되,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빠르게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벽(714)은 본체(71)의 내부 일측에 유체이동로(713a)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체이동로(713a)를 통해 유입된 가스 및 세정수를 가로막아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벽(714)은 유체이동로(713a)의 전방에 형성되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체이동로(713a)를 통해 이동된 가스 및 세정수가 상기 제어벽(714)의 경사진 면을 따라 이동하되, 다시 격벽(713)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술한 바에 의해 가스 및 세정수가 제어벽(714)과 격벽(713)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벽(714)과 격벽(713) 사이에는 와류현상(T)(가스와 세정수의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여 가스와 세정수가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벽(714)은 하측에서 상기 유체이동로(713a)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스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벽(715)은 본체(7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격벽(713)의 일측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벽(715)은 제어벽(714)을 감싸는 형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가 제어벽(714) 및 가이드벽(715)을 따라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위조절부(72)는 본체(71)의 일측에 설치되되, 세정수이동통로(712)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수가 기준수위(WL) 이상으로 초과하게 되면, 초과한 만큼의 세정수는 세정수이동통로(712)를 통해 수위조절부(72)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된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71)의 내부에 유입된 세정수가 기준수위(WL) 이하로 미달 되면, 별도의 수단(펌프 등)을 통해 수위조절부(72)에 저장된 세정수를 다시 세정수이동통로(712)를 통해 본체(71)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분리부(73)는 상기 본체(71)의 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어벽(714)과 가이드벽(715) 사이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분리부(73)는 복수개의 분리판(731)이 결합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벽(714) 및 가이드벽(715) 사이를 통과하는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가 복수개의 분리판(731)에 부딪히며 이동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회전분리부(73)를 거쳐 지나간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가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혼합세정부(7)는 본체(71)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와 세정수가 혼합되어 본체(71)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713), 제어벽(714), 가이드벽(715) 및 회전분리부(73)에 결합된 분리판(731) 각각에 부딪히며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정수에 의해 씻겨져 분리되거나, 이물질이 세정수와 함께 분리될 수 있는 것인데,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먼저, 본체(71) 내부로 세정수를 기준수위(WL)만큼 유입시킨다. 한편, 상기 세정수를 본체(71)의 내부에 유입시키되, 기준수위(WL) 이상으로 유입시켜 기준수위(WL) 이상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수위조절부(72)로 이동되도록 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세정부(7)를 사용함에 따라 부족하거나, 증발된 만큼의 세정수를 본체(71) 내부로 보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가스유입구(711)를 통해 본체(71)의 내부로 소정의 압력을 이용하여 가스를 유입시킨다. 이에 따라, 가스는 본체(71)의 내측면과 격벽(713) 사이를 지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71)의 내부에는 기준수위(WL) 만큼의 세정수가 유입되어 있어 유체이동로(713a)가 세정수에 의해 잠겨져 있는데, 소정의 압력에 의해 가스를 본체(71)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게 되면, 이때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본체(71)의 내측면과 격벽(713) 사이에 위치한 세정수가 점차적으로 낮아져 결국에는 유체이동로(713a)만큼 낮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71)의 내부로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유입시키게 되면, 기준수위(WL) 만큼 유입된 세정수가 상술한 압력에 의해 기준수위(WL)를 초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초과한 세정수는 세정수이동통로(712)를 통해 수위조절부(72)로 이동하게 되어 기준수위(WL)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부족한 세정수는 다시 수위조절부(72)를 통해 다시 공급받아 기준수위(WL)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게 되면, 점차적으로 유체이동로(713a)가 드러나게 되면서, 세정수와 함께 가스가 유체이동로(713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및 세정수는 상술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더욱 빠른 속도로 유체이동로(713a)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유체이동로(713a)를 통과하게 되면서 가스 및 세정수가 서로 부딪혀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은 세정수에 의해 씻겨져 분리되거나,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세정수에 녹아들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유체이동로(713a)를 통해 유입된 가스 및 세정수는 전방에 위치한 제어벽(714)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다시 상기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정수에 의해 씻겨져 분리되거나,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세정수에 녹아들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어벽(714)에 부딪힌 가스 및 세정수는 제어벽(714)의 경사진 면을 따라 격벽(713)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격벽(713)에 부딪힌 가스 및 세정수는 다시 제어벽(71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벽(714)과 격벽(713) 사이에는 와류현상(T)이 발생하게 되어 가스 및 세정수가 보다 더 골고루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체이동로(713a)를 통해 유입된 가스 및 세정수는 제어벽(714)의 경사진 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이때 절곡된 제어벽(714)의 하측에 부딪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술한 와류현상(T)에 의해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는 점차적으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벽(715)과 제어벽(714)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혼합세정부(7)는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가 격벽(713), 제어벽(714) 및 가이드벽(715)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각 벽 사이의 공간은 점점 좁아져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혼합된 가스 및 세정수가 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혼합된 가스 및 세정수는 각각의 벽에 빠르게 부딪히게 되어 가스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는 효과가 더욱 탁월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이드벽(715)과 제어벽(714) 사이를 통과한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는 추가로 설치되는 회전분리부(73)의 분리판(731)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충격에 의해 다시 상기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은 세정수에 의해 씻겨져 분리되거나,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세정수에 녹아들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회전분리부(73)는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게 되며,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는 분리판(731)에 의해 밀려져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분리부(73)는 상술한 바에 의해 정방향(진행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회전분리부(73)을 거쳐 지나간 혼합된 가스와 세정수는 다시 가이드벽(715)과 제어벽(714) 사이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격벽(713), 제어벽(714), 가이드벽(715), 회전분리부(73) 및 분리판(731)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쳐 가스로부터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 상술한 바에 의해, 가스는 이물질이 분리된 가스만이 상기 악취가스유입구(11)를 통해 제1세정부(1)로 유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세정부 11: 악취가스유입구 12: 제1반응부
121: 포집체 13: 제1세정액분사부 14: 제1세정가스유출부
141: 제1세정가스유출구 142: 제1세정가스유동로
2: 제2세정부 21: 제1세정가스유입구 22: 제2반응부
221: 포집체 23: 제2세정액분사부 24: 제2세정가스유출부
241: 제2세정가스유출구 242: 제2세정가스유동로
3: 제3세정부 31: 제2세정가스유입구 32: 제3반응부
321: 포집체 33: 제3세정액분사부 34: 제3세정공기유출부
341: 제3세정공기유출구 342: pH측정모듈 343: 온도측정모듈
4: 냉각부 41: 냉각수순환유로 42: 증발기 421: 온도조절모듈
5: 세정액조절부 51: pH정보수신모듈 52: 제2세정액조절모듈
53: 제3세정액조절모듈
6: 집진필터부
7: 혼합세정부 71: 본체 711: 가스유입구
712: 세정수이동통로 713: 격벽 713a: 유체이동로
714: 제어벽 715: 가이드벽
72: 수위조절부 73: 회전분리부 731: 분리판
121: 포집체 13: 제1세정액분사부 14: 제1세정가스유출부
141: 제1세정가스유출구 142: 제1세정가스유동로
2: 제2세정부 21: 제1세정가스유입구 22: 제2반응부
221: 포집체 23: 제2세정액분사부 24: 제2세정가스유출부
241: 제2세정가스유출구 242: 제2세정가스유동로
3: 제3세정부 31: 제2세정가스유입구 32: 제3반응부
321: 포집체 33: 제3세정액분사부 34: 제3세정공기유출부
341: 제3세정공기유출구 342: pH측정모듈 343: 온도측정모듈
4: 냉각부 41: 냉각수순환유로 42: 증발기 421: 온도조절모듈
5: 세정액조절부 51: pH정보수신모듈 52: 제2세정액조절모듈
53: 제3세정액조절모듈
6: 집진필터부
7: 혼합세정부 71: 본체 711: 가스유입구
712: 세정수이동통로 713: 격벽 713a: 유체이동로
714: 제어벽 715: 가이드벽
72: 수위조절부 73: 회전분리부 731: 분리판
Claims (8)
-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제1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1세정부; 상기 제1세정부를 통과한 가스에 제2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2세정부; 상기 제2세정부를 통과한 가스에 제3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제3세정부; 상기 제2세정부 및 제3세정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하는 세정액조절부;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정액은 산화제액, 제2세정액은 염기성용액, 제3세정액은 산성용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세정부는 세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3세정공기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는,
제3세정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세정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3세정공기유출구와,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구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액조절부는,
상기 pH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pH 정보를 수신하는 pH정보수신모듈과, 상기 pH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pH 값에 따라 제2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2세정액조절모듈과, 상기 pH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pH 값에 따라 제3세정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3세정액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세정액조절모듈은 상기 pH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pH가 산성인 경우에 분사되는 염기성용액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3세정액조절모듈은 상기 pH정보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pH가 염기성인 경우에 분사되는 산성용액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에 형성되어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냉각수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냉각수순환유로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세정공기유출부는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온도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수순환유로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세정부는
하단에서 가스가 유입되어 상단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2세정부는 상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각각 제2,3세정부의 하단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2세정가스유동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112A KR101796894B1 (ko) | 2017-04-17 | 2017-04-17 |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112A KR101796894B1 (ko) | 2017-04-17 | 2017-04-17 |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6894B1 true KR101796894B1 (ko) | 2017-11-20 |
Family
ID=6080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9112A KR101796894B1 (ko) | 2017-04-17 | 2017-04-17 |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6894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9395B1 (ko) * | 2018-06-21 | 2018-08-17 | (주)에코브릿지 | 산성, 알칼리성, 중성화합물 악취와 향 물질이 동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악취제거 복합시스템 |
KR101906985B1 (ko) | 2018-03-16 | 2018-10-11 | 주식회사 이엠제이 | 오염공기 탈취장치 |
KR102067809B1 (ko) * | 2019-07-29 | 2020-02-11 | (주)화인테크워터 | 분진포집 및 악취가스 제거를 위한 복합 탈취장치 |
KR102181508B1 (ko) * | 2020-07-31 | 2020-11-23 | 주식회사 에셀 | 복합탈취장치 |
KR102298402B1 (ko) * | 2021-04-12 | 2021-09-06 | 주식회사 대진산업 | 미세기포 발생장치 여과기를 이용한 탈취장치 |
KR20220160191A (ko) * | 2021-05-27 | 2022-12-06 | 주식회사 조은환경 | 플라즈마 탈취기 |
-
2017
- 2017-04-17 KR KR1020170049112A patent/KR10179689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6985B1 (ko) | 2018-03-16 | 2018-10-11 | 주식회사 이엠제이 | 오염공기 탈취장치 |
KR101889395B1 (ko) * | 2018-06-21 | 2018-08-17 | (주)에코브릿지 | 산성, 알칼리성, 중성화합물 악취와 향 물질이 동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악취제거 복합시스템 |
KR102067809B1 (ko) * | 2019-07-29 | 2020-02-11 | (주)화인테크워터 | 분진포집 및 악취가스 제거를 위한 복합 탈취장치 |
KR102181508B1 (ko) * | 2020-07-31 | 2020-11-23 | 주식회사 에셀 | 복합탈취장치 |
KR102298402B1 (ko) * | 2021-04-12 | 2021-09-06 | 주식회사 대진산업 | 미세기포 발생장치 여과기를 이용한 탈취장치 |
KR20220160191A (ko) * | 2021-05-27 | 2022-12-06 | 주식회사 조은환경 | 플라즈마 탈취기 |
KR102594353B1 (ko) | 2021-05-27 | 2023-10-26 | 주식회사 조은환경 | 플라즈마 탈취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6894B1 (ko) | 다단 세정식 탈취장치 | |
KR101653368B1 (ko) | 약액세정 탈취장치 | |
KR102025024B1 (ko) | 단일탑 3단 세정식 탈취장치 | |
KR100794208B1 (ko) | 악취 탈취장치 | |
KR101008815B1 (ko) | 액처리장치, 공기조화장치, 및 가습기 | |
US10512878B2 (en) | Complex malodor removing equipment | |
KR101638429B1 (ko) |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 |
KR102069379B1 (ko) | 오염공기 탈취장치 | |
KR102093121B1 (ko) |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 |
KR101893358B1 (ko) | 악취가스 유입저항 감소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 |
KR101174095B1 (ko) | 탈취장치 | |
KR100717430B1 (ko) |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 |
KR101482095B1 (ko) |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설비 | |
KR102047210B1 (ko) | 복합탈취장치 | |
KR20090081306A (ko) | 은 나노 수용액을 이용한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 |
KR101733375B1 (ko) | 단계식 약액탈취장치 | |
KR101766411B1 (ko) | 복합악취 제거설비 | |
KR102077324B1 (ko) | 악성 악취가스 탈취시스템 | |
JP5808030B1 (ja) | 空気清浄装置 | |
KR102370130B1 (ko) | 오존수를 활용한 세정장치 | |
KR101765189B1 (ko) | 악취가스 탈취장치 | |
KR102345774B1 (ko) |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 |
KR20190060365A (ko) | 악취처리장치 | |
KR101636421B1 (ko) | 순환형 대기처리장치 | |
KR102332897B1 (ko) | 오염공기 탈취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