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775B1 - 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775B1
KR101796775B1 KR1020150061319A KR20150061319A KR101796775B1 KR 101796775 B1 KR101796775 B1 KR 101796775B1 KR 1020150061319 A KR1020150061319 A KR 1020150061319A KR 20150061319 A KR20150061319 A KR 20150061319A KR 101796775 B1 KR101796775 B1 KR 10179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m
module
layer fil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9338A (en
Inventor
장재영
김성호
현병로
송지경
장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to KR102015006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775B1/en
Priority to PCT/KR2016/003330 priority patent/WO2016175466A1/en
Publication of KR2016012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오염수를 여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다중공 평막 모듈;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집수처리부; 및 상기 집수처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부로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plurality of multiple common module module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for fil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housing; A collecting unit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housing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in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the outlet being formed 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purifi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0001] WATER TREATMENT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다중공형 평막, 그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중공이 형성된 평막, 그 평막이 집적된 모듈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vity flat membrane, a module thereof, an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flat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formed therein, and a module in which the flat membrane is integrated.

오폐수는 하수처리장 등에서 일정한 처리를 거쳐 정화되어 하천 등으로 방류하고 있다. 하수처리장 등에서는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방식에 따라 분리막을 구분하며, 이러한 분리막은 크게 침지형 평막과 중공사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Wastewater is purified through sewage treatment plants and discharged into rivers. In sewage treatment plants, various methods are used to purify wastewater. Generally, the separation membran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The separation membrane is largely composed of a dip membrane and a hollow fiber membrane.

침지형으로 사용되는 평판형 모듈(이하, 평막모듈)은 평면상 또는 시트(sheet)상으로 형성한 막을 삽입하여 장치화한 설비를 말한다. 평막모듈은 오염물이 잘 달라붙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의 제거 또한 용이하고 중공사막 모듈에 비해 운전 중에 막이 훼손될 염려가 거의 없으며 이로 인해 운전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이점이 있어일반 하수 처리, 축산폐수 처리, 공장폐수 처리, 재이용, 역삼투막 전처리용 등 수처리 산업에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 flat panel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at panel module) used as an immersion type is a device formed by inserting a film formed on a flat surface or a sheet into a device. The flat membrane module not only does not adhere well to contaminants, but also easily removes contaminants. Compared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re is little risk of damaging the membrane during operation, which reduces the operation cost. Therefor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reuse, and pretreatment of reverse osmosis membrane.

그러나 평막모듈은 분리막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흡입 압력 방향과 물이 흐르는 방향이 수직 교차하기 때문에 처리 유량이 적어수처리 효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분리막과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부직포는 단순히 분리막과 지지체의 밀착을 방지하는 역할만 하여 처리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단위 면적당 처리 용량이 제한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However, it is known that the flat membrane module has low water treatment efficiency because the treatment flow rate is small because the suction pressure direction and the water flow direction cross each other in the separation membrane as a whole.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positioned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upport simply blocks the adhes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upport, which interferes with the flow of the treatment water, which causes the treatment capacity per unit area to be limited.

평막모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최소 4mm 두께 이상의 통상적으로는 8mm 두께의 판넬에 열융착을 한다. 이로 인해 중공사막 모듈에 비해 집적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부직포 또는 직포위에 고분자 용액을 캐스팅(Casting)해야 하고 평막과 판넬에 달라붙어 처리수의 유로를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스페이서 기능을 하는 별도의 부직포 또는 직포를 두어야 한다. 이로인해 중공사막의 제조시 보다 판넬 및 부직포 또는 직포 등의 부자재가 사용되어 원가를 높이게 된다. In order to fabricate the flat panel module, heat fusion is applied to a panel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4 mm and a thickness of typically 8 mm.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degree of integra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order to produce a flat membrane, a polymer solution must be cast on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and a separate nonwoven fabric or woven fabric functioning as a spacer must be placed in order to prevent it from sticking to the flat membrane and the panel and disturbing the flow path of the treated water. Accordingly, the cos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increased by using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panels and nonwoven fabrics or woven fabrics.

이러한, 평막 모듈은 중공사막에 비해 규칙적인 배열로 인한 공기세정의 효과로 막오염(fouling)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역 세척이 어려워 막오염이 발생하면 외부에서 약품세정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flat membrane module has advantages of less fouling due to the air cleaning effect due to the regular arrangement compar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but it is inconvenient to wash the outside from the outside if membrane contamination is difficult due to difficulty of backwashing .

한편으로, 최근에는 역 세척이 가능한 평막모듈이 일부개발되고 있으나, 역 세척 공정시 평막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암, 수 나사로 평막을 지지하는 평막모듈에 관한 것이어서 국부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는 장기 내구성을 기대하기 힘들다(특허문헌 1).On the other hand, recently, a flat membrane module capable of backwashing has been developed, but it is related to a flat membrane module for supporting a flat membrane to prevent swelling of the flat membrane in the backwash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expect durability (Patent Document 1).

따라서, 본 발명자는 평막이면서도 그 평막에 다수의 중공을 형성하게 되면, 마치 중공사막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어 종래에 기대할 수 없었던 역 세척이 가능한 평막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장기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a flat membrane is formed and a large number of hollows are formed in the flat membrane, a flat membrane capable of performing backwashing, which is similar to a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obtain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KR2014-0001528 aKR2014-0001528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막이면서도 중공사막의 장점을 구현할 수 있는, 특히 역 세척이 가능한 다중공형 평막, 그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cavity flat membrane capable of realizing the advantages of a hollow fiber membrane while being capable of being backwashed, a module thereof, And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다수의 중공이 일렬로 나란히 형성된 수처리용 다중공 평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repellent multipole membran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s are arranged in a row.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중공 평막이 집적된 수처리용 다중공 평막 모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 film module for water treatment in which the multi-layer film is integ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오염수를 여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다중공 평막 모듈;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집수처리부; 및 상기 집수처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주 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부로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A plurality of multiple common module module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for fil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housing; A collecting unit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housing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in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and formed at one or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for discharging treated water purified to the outside.

또한, 다중공 평막 모듈은 중공형태로 형성된 제1 다중공 평막; 상기 제1 다중공 평막의 외주 면에 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2 다중공 평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이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The multi-layer film module may include: a first multi-layer film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second multilayer film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ly disposed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ultilayer film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are formed so as to be sequentially repeated.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의 지름 크기는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s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are equal to each other.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의 지름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ply film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중공형태로 형성된 제1 다중공 평막; 상기 제1 다중공 평막의 외주 면에 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2 다중공 평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이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A first multilayer film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second multilayer film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ly disposed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ultilayer film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are formed so as to be sequentially repeated.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의 지름 크기는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Also, the diameters of the first multi-ply film and the second multi-ply film are formed to be equal to each other.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의 지름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ply film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dictionary sens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defining the concept of a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or in his or her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공형 평막, 그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는,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 다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다중공 평막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 multi-cavity flat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thereof, an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multi-cavity membrane module may include a multi-cavity module having a multi-cavity structure by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rranging the first multi- .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 별도의 부직포 또는 직포에 코팅한 막을 사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first multiple coplanar film and the second multiple coplanar film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disposed, a separate nonwoven fabric or a film coated on the woven fabric is not used.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 충진 밀도가 향상된 다중공 평막 모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ultiple porous film module with improved filling density by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rranging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and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 기존 평막보다 비 표면적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multilayer flat film and the second multiple multilayer flat film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rranged,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larger than that of the existing flat film.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다중공 평막의 표면이 균일한 미세기공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peatedly arranging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and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repeatedly, the surface of the multiple porous film has uniform micro pores.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 다중공 평막의 기공에 대한 전체 표면이 균일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peatedly arranging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and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in order, the entire surface of the multiple porous film with respect to the pores is uniform.

또한,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을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됨으로써, 역 세척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backwashing by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rranging the first multiple sandwich membrane and the second multiple sandwich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공 평막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공 평막 모듈에 집수처리부가 조립되는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layer flat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is an illustration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ssembling a collecting and treating section in a multi-layer fil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공 평막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예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공 평막 모듈에 집수처리부가 조립되는 예시도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n illustration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llecting water treatment unit is assembled to a multi-layer flat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공 평막 모듈은, 중공형태로 형성된 제1 다중공 평막(110); 상기 제1 다중공 평막(110)의 외주 면에 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2 다중공 평막(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이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ulti-layer film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ulti-layer film 110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second multiple porous film 130 formed to be continuously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110.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130 And is formed so as to repeat sequentially.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수처리용 다중공 평막이 집적되어 형성된다. 즉,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다수의 중공이 일렬로 나란히 형성된다.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중공형태로 형성된다.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표면에 액체, 특히 물속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균 등을 분리하여 제거한다.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다.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원수(原水)가 그 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중심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각종 이물질이 표면에 형성된 구멍(기공)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깨끗한 물만 중공의 중심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정수가 이루어진다.The multi-layer flat membrane module 100 is formed by integrating a multi-layer film for water treatment. That is, a plurality of hollows are formed in a line in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separate and remove liquids, particularly contaminants and bacteria contained in water, on the surface.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have fine hole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move through the space formed at the center by flowing the raw water through the holes. Therefore, since the first porous membrane 110 and the second porous membrane 130 do not pass through holes (pores) formed on the surface of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only clean water moves to the center of the hollow.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재질은 폴리머 여과재는 비닐계 고분자 및 올레핀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프로필렌(PP)수지, 피브이씨(PVC)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수지, 설폰화 폴리설폰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의 호모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공중합체과 같은 불소 함유 고분자일 수도 있다. The material of the first multi-porous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porous film 130 may include a polymer including a vinyl-based polymer and an olefin polymer. The hydrophobic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resin, polypropylene (PP) resin, PVC resin, polysulfone resin, polyether sulfone resin, sulfonated polysulfone resin,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 polyacrylonitrile (PAN) resin, a polyimide resin, a polyamideimide resin, a polyetherimide, and the like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d preferably a homopolymer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such a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copolymer.

또한,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재질은 폴리아미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0.0005 ~ 0.001 ㎛의 미세공을 갖는 나노 여과막을 내부에 다수 구비하여 오염수에 함유된 비소, 카드뮴(cadmium), 리튬(Lithium), 루비듐(Rubidium), 요오드(Iodine), 마그네슘(Magnesium), 스트론튬(Strontium), 브롬(Bromine) 및 우라늄(Uranium) 등의 미량 원소를 나노 여과할 수도 있다.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are made of polyamide or the like and have a number of nanofiltration membranes having micropores of 0.0005 to 0.001 탆 inside thereof, Trace elements, such as arsenic, cadmium, lithium, rubidium, iodine, magnesium, strontium, bromine and uranium, You may.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이 직선형태로 배치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N번 반복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 중심의 지름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지름 크기는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도 2에 a 참조). 이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일정한 기공구조를 갖도록 한다. 즉,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요철부분을 제거함으로 일정한 거리를 갖는다. 그러므로, 다중공 평막 모듈은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일정한 기공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2, it is appropriate that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repeated N times successively. Referring to the diameter of the center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the diameters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are equal to each other (See Fig. 2 (a)). This allows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to have a constant pore structure. That is,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have a certain distance by removing the uneven portions. Therefore, in the multi-layer film module,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have a constant pore structure.

또한, 도 2에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지름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요철부분을 제거함으로 비표면적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처리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diameter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by removing the uneven portions. Therefore,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또한, 도 2에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지름 크기는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은 요철부분의 간격을 균일하게 제거한다.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의 처리 효율을 상승하면서,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표면이 균일한 기공을 갖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2, the diameter of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110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130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110 and the second The multi-ply flat membrane 130 uniformly removes the spacing of the irregulari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has uniform pores to be.

도 3 또는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오염수를 여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다중공 평막 모듈(100);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100)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집수처리부(150); 및 상기 집수처리부(150)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200) 외주 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부로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or 4,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0; A plurality of multiple hollow module modules 1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for fil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hollow module modules 10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ultiple hollow module module 100, And a water collect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and configured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100.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is installed 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And an outlet 210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하우징(200)은 다중공 평막 모듈(1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20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다중공 평막 모듈(100)을 보호한다. 하우징(200)은 프레임(미표시)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고정되고, 하우징(200)은 오염수에 침수되어 설치된다.The housing 20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multiple hollow film module 100 is disposed. The housing 200 protects the multiple cavity module 100 from external impact. A plurality of housings 200 are fixedly mounted on a frame (not shown), and the housing 200 is installed by dipping in contaminated water.

하우징(200)은 설치가 용이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하우징(200)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하우징(2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하우징(200)은 후술할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외주면을 따라 난류(turbulent flow )가 발생한다. 이때, 난류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측면인 요철형태를 따라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다중공 평막 모듈(1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50)를 제공한다. It is appropriate that the housing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easy installa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hape of the housing 200. The housing 200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ir enters the housing 200 from the bottom. At this time, turbulent flow occurs in the housing 2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turbulence is formed along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The housing 200 provides a fixing part 250 to which the multi-module module 100 is inserted and fixed.

고정부(250)는 균등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50)는 하우징(200) 내부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된다. 즉, 고정부(250)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을 배열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고정부(250)는 각각의 대응 면에 다중공 평막 모듈(100)이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부(250)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슬릿홈(미표시)이 요철 형상을 갖도록 배열된다. 이는, 고정부(250)와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고정방법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님을 밝혀 둔다. 슬릿홈은 수처리 장치(10)의 크기 및 여과 처리량 등에 의해 설정되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개수를 조절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A plurality of the fixing portions 250 may be formed at even intervals. The fixing portions 25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in pairs. That is, the fixing portion 250 is formed by being arranged in a pair so as to fix and align the multiple common film module modules 100. The fixing part 250 is fix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surfaces by sandwiching the multiple common film module 100 thereon. The fixing part 250 is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slit grooves (not shown) are concave and convex so that the multiple flat film module 100 is inserted and fixed. It is note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fixing method of the fixing part 250 and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to the sliding method. The slit grooves are arranged to adjust the number of the multiple membrane modules 100 set by the siz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the filtration throughput, and the like.

또한, 하우징(200)은 유입된 공기에 의해 다중공 평막 모듈(100)이 분리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구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고정구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이 수압 및 공기압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고정구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과 하우징을 고정한다. 고정구는 하우징(200)의 상부와 하부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In addition,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with a fixture to prevent the multiple air module 100 from being separated by the introduced air. The fixture prevents separation of the multi-layer flat panel module 100. That is, the fixture prevents the multi-ply membrane module 100 from being displaced upward or downward under water pressure and air pressure. That is, the fixture fixes the multi-layer flat panel module 100 and the housing. It is appropriate that the fixture is uniform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전술한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이 N개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제1 다중공 평막(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2 다중공 평막(130)이 배치된 형태를 1 기준으로 N개가 형성된다.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를 갖는다(도 4를 참조). 또한,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The multi-layer flat panel module 100 is formed by connecting N pieces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n the multi-layered film module 100, N number of the first multi-layered film 110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multi-layered film 110. The multi-layer flat panel module 100 has a length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0 (see FIG. 4). In addition, the multi-layer film module 100 may be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0.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다수개가 배치된다.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하우징(200) 하부에서 유입된 오염수를 불순물과 처리수로 여과하여 분리한다. 다중공 평막 모듈(100)은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을 양단부에 집수처리부(150)가 배치된다.The multi-layer flat panel module 100 is formed to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 plurality of multi-layer flat panel modules 100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The multi-layer flat membrane module 100 separates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00 through impurities and treated water. In the multi-layer flat membrane module 100, the first multi-layer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130 are disposed at both ends thereof.

집수처리부(150)는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후술할 배출구(210)로 연결한다. 집수처리부(150)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외주 면을 따라 접착제가 형성된다. 즉, 집수처리부(150)는 다중공 평막 모듈(100)의 접착제에 고정된다.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connects the treated water purified in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130 to a discharge port 210 to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forms an adhesi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100. That is,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is fixed to the adhesive of the multiple hollow film module 100.

집수처리부(150)는 제1 다중공 평막(110)과 제2 다중공 평막(130)을 각각 하우징(200)에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집수처리부(150)는 전술한 슬릿홈에 삽입되어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집수처리부(150)는 슬릿홈에 삽입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배치되어 형성된다.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also functions to fix the first multiple porous film 110 and the second multiple porous film 130 to the housing 200, respectively.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 and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t this time,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is formed by disposing a rubber ring for preventing shaking when inserting into the slit grooves.

배출구(210)는 하우징의 외주 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배출구(210)는 하우징(200)의 외주 면에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배출구(210)는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연결한다. 이때, 배출구(210)는 집수처리부(150)에 연통되어 하우징(200)의 외주 면에 형성된다.
The discharge port 2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discharge port 210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The discharge port 210 connects the purified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2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collecting unit 150.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수처리 장치 100: 다중공 평막 모듈.
110: 제1 다중공 평막 130: 제2 다중공 평막
150: 집수처리부 200: 하우징
210: 배출구
10: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multi-layer flat membrane module.
110: first multilayer film 130: second multilayer film
150: water collecting part 200: housing
210: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오염수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다중공 평막 모듈;
복수 개의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복수 개의 집수처리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집수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외주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외부로 정화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은,
중공형태로 형성된 제1 다중공 평막; 및
상기 제1 다중공 평막의 외주면에 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중공형태로 형성된 제2 다중공 평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의 지름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다중공 평막과 제2 다중공 평막은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다중공 평막 모듈 사이를 통과하는 오염수에 난류를 일으켜 오염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A housing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plurality of multiple common module module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iltering the contaminated water inside the housing;
A plurality of collecting processing unit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multiple porous film modul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from the multiple porous film module; And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he water collecting processing sections and formed at one or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discharging treated water purified to the outside,
The multi-layer film module includes:
A first multilayer film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nd a second multilayer film formed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ultilayer film and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first multi-layered film and the second multi-layered film have different diameters,
Wherein the first multi-layer film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are formed so as to be sequentially repetitively formed, the first multi-layer film and the second multi-layer film are sequentially repeated, Purifying water treatmen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처리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집수처리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water collecting unit to the housing,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each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e water collecting and processing por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집수처리부와 하우징을 결합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rubber ring for coupling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and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61319A 2015-04-30 2015-04-30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796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19A KR101796775B1 (en) 2015-04-30 2015-04-30 Water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3330 WO2016175466A1 (en) 2015-04-30 2016-03-31 Multi-channel flat membrane, module thereof,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19A KR101796775B1 (en) 2015-04-30 2015-04-30 Wate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38A KR20160129338A (en) 2016-11-09
KR101796775B1 true KR101796775B1 (en) 2017-11-10

Family

ID=5719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319A KR101796775B1 (en) 2015-04-30 2015-04-30 Water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775B1 (en)
WO (1) WO201617546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550Y1 (en)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효성 Module of flat membrane for immersion type
JP2011224452A (en) * 2010-04-19 2011-11-10 Meidensha Corp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88B1 (en) * 2002-05-09 2005-07-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Immersion Type Flat Membrane Module
KR100720043B1 (en) * 2005-11-22 2007-05-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lexible flat type of membrane module
KR101418062B1 (en) 2012-06-27 2014-07-0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lat sheet membrane modules and Method of preparing for the same
KR101738719B1 (en) * 2013-08-30 2017-06-0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Hollow plane membrane,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pai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550Y1 (en)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효성 Module of flat membrane for immersion type
JP2011224452A (en) * 2010-04-19 2011-11-10 Meidensha Corp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문헌 ‘Our Core Technology - The Ceramic Flat Membrane’ http://web.archive.org/web/20150204165000/http://www.itn-nanovation.com/products/technology/ceramic-flat-membranes.html (2015.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38A (en) 2016-11-09
WO2016175466A1 (en)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862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nit, membran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64362B1 (en) Filtering apparatus
KR102134316B1 (en) Filtering Membrane Module and Filtering Apparatus
JPH07275665A (en) Hollow yarn membrane module
KR102020787B1 (en) Flat typ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36176B1 (en) Filtering Apparatus
KR20140001011U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nit
KR20130065456A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1625603B1 (en) Module for fixing a bund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and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040705B2 (en) Filtration element
JPH07178321A (en) Hollow-fiber membrane module assembly
KR101796775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20180243698A1 (en) Filter unit
KR101961113B1 (en) Packaged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KR20180025654A (en) Submerged membrane modul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418062B1 (en) Flat sheet membrane modules and Method of preparing for the same
KR101889109B1 (en) Apparatus of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0379550Y1 (en) Module of flat membrane for immersion type
KR101918934B1 (en) Stainless Steel Filter Module for Contamination
KR20160111892A (en) Apparatus of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76866A (en) Submerged membrane module, submerged membrane module unit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80035576A (en) Submerged membrane cassett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4488402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2162074B1 (en) Immersible tubular filtration membrane module
KR101974612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in-out mode with high washing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