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500B1 -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00B1
KR101795500B1 KR1020170037179A KR20170037179A KR101795500B1 KR 101795500 B1 KR101795500 B1 KR 101795500B1 KR 1020170037179 A KR1020170037179 A KR 1020170037179A KR 20170037179 A KR20170037179 A KR 20170037179A KR 101795500 B1 KR101795500 B1 KR 10179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ash
container
plat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정현택
정영근
Original Assignee
이병호
정현택
정영근
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정현택, 정영근, 박종현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102017003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00B1/ko
Priority to PCT/KR2018/003308 priority patent/WO20181745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3/18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encapsulated
    • B29C2043/18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encapsulated comple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0Thermosetting re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판과 승강판 상에 안착되거나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성형용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성형봉, 성형용기고정수단 및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에 의하여 첨가제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유골분을 그대로 성형할 수 있으며, 유골분 성형체를 열경화성 수지필름으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피복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외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유골분이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세척할 부분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shes powder}
본 발명은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첨가제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유골분을 그대로 성형하면서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외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유골분이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세척할 부분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는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장묘문화는 유교의 영향으로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 깊게 박혀 있어 묘지조성을 위한 국토의 잠식과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 개정된 장사법(葬事法)은 분묘의 설치기간을 기본적으로 15년으로 하고, 15년씩 3회 연장하여 총 60년을 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 등에 힘입어 전통적인 매장방식보다 화장을 한 후 망인의 유골 또는 유골분을 유골함에 담아 봉안당, 봉안탑에 봉안하는 봉안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봉안방식에서 유골 또는 유골분을 담아 보관하는 유골함은 외기를 차단하여 유골 또는 유골분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외기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봉안당 시설을 방문하였을 때, 봉안당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봉안당에는 온도와 습도를 최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공기조화시설과 환기시설을 충분히 갖춰야 하는데 그 시설비용과 유지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모든 봉안당이 시설을 충분히 갖추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윤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238호(2011.06.20. 등록) "유골을 성형하는 방법"(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은 유골을 분골상태로 하여 이에 점착성 첨가제를 가미하거나 유골을 용해하여 압착, 건조하고 고온, 고압에서 압축하여 일정 형태의 덩어리 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조직이 치밀하고 견고하여 썩거나 공팡이가 생기지 않으며 벌레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고, 납골하는 경우 보다 작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며 유족이 희망하는 경우 석골의 형태로 가정에서 보관할 수도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유족의 입장에서는 유골 외에 첨가제가 혼합된다는 점에서 기피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성형된 유골을 단순히 통상적인 유골함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골함에 외기가 침입하여 유골이 부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927호(2008.04.29. 등록) "유골 반죽 압출 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함)는 내부에 반죽된 유골이 저장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반죽된 유골의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의 상단을 밀폐 커버하면서 호퍼 내부로 공기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 파이프가 연결된 뚜껑; 상기 호퍼 내부에서 설치되어 공기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반죽된 유골을 배출구로 밀어내기 위한 승강판; 전면과 후면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측을 통해 상기 호퍼의 배출구가 관통 결합되어 압출되는 유골 반죽을 모아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기 위한 형틀; 및 상기 형틀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상태로 각각 실린더에 의해 전후 작동하면서 형틀 내부의 유골 반죽을 압착한 후 밀어내도록 형성된 전후방 피스톤;을 구성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반죽된 유골이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에 투입된 유골을 형틀에 추출하기 위하여 공기압이 공급되는 에어파이프와, 공기압에 의하여 유골을 추출하는 승강판과, 형틀과, 전방 피스톤과 후방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골을 성형한 후에는 다음 번 성형을 하지 전에 세척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세척해야 할 부분이 호퍼, 승강판, 금형, 전방 피스톤, 후방 피스톤 등 여러 부분으로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유골분을 성형하였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형체의 표면으로부터 골분이 변형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첨가제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유골분을 그대로 성형하면서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외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변질이나 부패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세척할 부분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238호(2011.06.20. 등록) "유골을 성형하는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927호(2008.04.29. 등록) "유골 반죽 압출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첨가제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유골분을 그대로 성형하면서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외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유골분이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한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세척할 부분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는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지지대가 포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양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본체와, 상기 유압실린더본체의 상단에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를 구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 상에 안착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성형공간을 가지는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성형용기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면에 상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성형봉과; 상기 성형용기를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하는 성형용기고정수단과; 상기 성형용기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골분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강판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승강판본체와, 상기 승강판본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응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가이드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판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판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성형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위한 위치결정바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과 승강판본체의 하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균형유지용 탄성부재가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용기고정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과, 상기 성형용기의 외주면 좌우측에 원호형 외주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이 하강되며, 승강판의 상면에 상하단이 개방된 성형공간을 가지는 성형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성형공간 내에 유골분이 투입되는 준비 및 유골분 투입 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과 성형용기가 상승되고 지지프레임의 상단지지대에 고정된 성형봉이 상대적으로 성형공간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성형공간 내에 투입된 유골분이 승강판의 상면과 성형봉의 하단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성형공간 내에 유골분 성형체가 성형되는 유골분 성형체 성형 단계; 성형용기가 수평회전되어 지지프레임의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과 성형용기의 외주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성형용기고정수단에 의하여 성형용기가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이 하강되며, 하강된 승강판의 상면에 성형공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성형용기와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안착되는 성형용기 고정 및 유골분 성형체 추출 준비 단계; 성형용기가 수평회전되어 성형용기고정수단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상승되고 성형용기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며 성형봉이 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성형공간 내에 성형되어 있는 유골분 성형체가 성형봉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서 승강판의 상면으로 추출되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 단계; 성형용기가 수평회전되어 성형용기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하강되며,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탈거되고, 유골분 성형체가 인출되는 유골분 성형체 인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골분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유골분 성형체에 씌워진 열경화성수지가 열에 의하여 열경화되어 유골분 성형체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피복되는 유골분 성형체 피복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판과 승강판 상에 안착되거나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성형용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성형봉, 성형용기고정수단 및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를 포함하는 성형장치에 의하여 첨가제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유골분을 그대로 성형할 수 있으며, 유골분 성형체를 열경화성 수지필름으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피복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외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유골분이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세척할 부분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골분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유골분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유골분 성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단지지대와 성형봉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골분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성형용기에 유골분을 투입하는 단계를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
도 5는 유골분을 압축하여 유골분 성형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
도 6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를 설치하여 유골분 성형체의 추출을 준비하는 단계를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
도 7은 유골분 성형체가 추출된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
도 8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를 탈거한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정면도,
도 9는 유골분 성형체의 표면에 열경화성 수지필름을 긴밀하게 피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골분 성형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2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지지대(130)가 포함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양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본체(210)와, 상기 유압실린더본체(210)의 상단에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220)를 구비한 유압실린더(200)와;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판(300)과; 상기 승강판(300) 상에 안착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성형공간(410)을 가지는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성형용기(400)와; 상기 상단지지대(130)의 하면에 상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성형봉(500)과; 상기 성형용기(400)를 고정하는 성형용기고정수단(600)과; 상기 성형용기(400)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화장장이나 봉안당 등의 작업실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로 형성되며, 작업실 바닥에 매설되는 앵커볼트와 너트(미도시)에 의하여 성형실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식으로 운용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120)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하단을 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대(1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단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00)는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압펌프, 작동유저류탱크, 밸브, 유압라인과 결합하여 유압계통을 구성하게 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유압계통 중 밸브를 기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레버 또는 전기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노브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본체(210)의 하단에 결합된 하단플랜지(230)를 볼트(240)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볼트(240)는 하단플랜지(230)에 형성된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볼트관통공(241)을 관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볼트체결공(242)에 체결된다.
상기 유압실린더본체(210)의 하단부에는 유압호스(미도시)가 연결되는 호스연결용 포트(211)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판(30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승강판본체(310)와, 상기 승강판본체(3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대(120)에 대응하는 요홈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본체(310)는 상기 유압실린더(200)의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된 결합판(250)에 볼트(260)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본체(310)를 결합판(250)에 볼트(260)에 의하여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판(250)에 형성된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볼트관통공(261)에 볼트(260)를 관통시키고 승강판(300)의 하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62)에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홈부(320)에는 수직지지대(120)과의 접촉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가이드슈(330)가 삽입된다.
상기 승강판본체(31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성형용기(4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위한 위치결정바(34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바(340)는 성형용기(4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위치결정홈(350)을 포함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바(340)는 볼트(360)에 의하여 승강판본체(3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트(360)는 상기 위치결정바(340)의 양단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61)을 관통하여 승강판본체(310)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362)에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승강판본체(310)의 하면 사이에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균형유지용 탄성부재(370)가 설치된다.
상기 균형유지용 탄성부재(370)는 유압실린더(200)에 의하여 승강판(30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인장되고, 승강판(30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면서 승강판(300)의 승강작동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균형유지용 탄성부재(370)는 상하단에 고리(371, 372)가 형성된 인장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승강판본체(3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스프링고정구(380, 390)에 상하단에 형성된 고리(371, 372)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고정구(380)는 나사부(381)와 나사부(381)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연결부(382)로 구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체결공(383)에 나사부(381)를 체결하고, 나사부(381)에 너트(38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고정구(390)는 나사부(391)와 나사부(391)의 하단에 형성된 고리연결부(392)로 구성되며, 승강판본체(310)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체결공(393)에 나사부(391)를 체결하고, 나사부(391)에 너트(39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성형용기(400)의 내경은 통상적인 유골함의 크기를 고려하여 200mm로 구성할 수 있으나, 100~120mm로 구성함으로써 유골함의 크기를 절반 수준으로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골함이 보관되는 봉안당의 하나의 단에 2기의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같은 용적의 봉안당에 2배의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성형용기(400)는 도시예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족들의 요구에 따라서는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성형봉(500)은 성형용기(40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것으로, 도시예와 같이 환봉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사각봉형, 육각봉형, 팔각봉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성형봉(500)은 상단지지대(130)에 고정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성형용기(400)의 성형공간(410) 내로 삽입되는 성형부(520)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성형용기(400)의 성형공간(410)의 내경과 성형봉(500)의 성형부(520)의 외경은 헐거운 끼워 맞춤(Running Fit) 정도로 하여 성용용기(400)에 투입된 유골분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성형용기(400)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음과 아울러 유골분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유골분의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510)의 상단부를 상단지지대(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단지지대(1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판(530)과, 상기 상부고정판(530)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540)과, 상기 고정부(51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고정판(540)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편(55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고정판(530)은 상단지지대(130)의 하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하부고정판(540)은 볼트(560)에 의하여 상부고정판(530)에 고정되고, 고정편(550)은 볼트(570)에 의하여 하부고정판(540)에 고정된다.
상기 볼트(560)는 상부고정판(530)에 형성된 복수개(도면에서는 전후방 각 4개, 도면에서는 전방의 4개만 보임)의 볼트관통공(561)을 관통하여 하부고정판(540)에 형성된 복수개(도면에서는 전후방 각 4개)의 볼트체결공(562)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570)는 상기 고정편(550)에 형성된 볼트관통슬릿(571)을 관통하여 하부고정판(54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72)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체결공(572)는 90도 각도 간격을 두고 3개씩 형성되는 4개의 군으로 형성되어 볼트(570)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성형용기고정수단(600)은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610)과, 상기 성형용기(400)의 외주면 좌우측에 원호형 외주부(630)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6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편(620)을 포함한다.
상기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는 상기 승강판(3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단부가 성형용기(4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반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용기(400)를 원통형으로 구성한 경우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는 성형공간(41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반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승강판(300)과 성형용기(400)와 성형봉(500)에 의하여 성형된 유골분 성형체(B)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부로 추출되는 과정과 추후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탈거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용기(400)와 성형봉(500)에 의하여 성형된 유골분 성형체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부로 추출되는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경을 성형용기(4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추출된 유골분 성형체(B)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외경은 성형용기(40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함으로써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가 성형용기(4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가 반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성형용기(400)를 사각통, 육각통 또는 팔각통 모양으로 형성한 경우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반사각통, 반육각통 또는 반팔각통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반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사용하고 있으나 2개를 전후 대칭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골분 성형장치는 하나의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성형용기와 성형봉에 의하여 유골분을 성형하는 것으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세척할 부분이 최소화되어 작업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유골분 성형장치를 이용한 유골분 성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준비 및 유골분 투입 단계]
상술한 유골분 성형장치를 준비하고, 유압실린더(200)를 하강작동시켜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판(300)을 하강시키고, 승강판(300)의 상면에 성형용기(400)를 안착시킨다.
유압실린더(200)의 하강작동은 유압계통을 구성하는 밸브를 레버 또는 스위치노브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질 수 있으며, 상승작동 또한 레버 또는 스위치노브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유압실린더(200)의 승강작동 역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더 이상 하지 않기로 한다.
이때, 승강판(300)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결정바(350)의 위치결정홈(360)을 이용하여 형용기(400)의 중심과 성형봉(5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성형용기고정수단(600)을 구성하는 절취부(630)가 좌우측을 향하도록 하여 걸림편(620)이 걸림홈(610)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성형용기(400)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강한 승강판(300)에 안착된 성형용기(400)의 상단 개방부는 성형봉(50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성형용기(40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유골분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성형용기(40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유골분(A)을 투입한다(도 4 참조).
유골분(A)을 성형용기(400)에 투입함에 있어서는 어떠한 첨가제도 혼합하지 않고 순수한 유골분만을 투입한다.
[유골분 성형체 성형 단계]
유압실린더(200)를 상승작동시켜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판(300)과 그 상면에 안착된 성형용기(400)가 상승하도록 한다(도 5 참조).
성형용기(400)가 상승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성형봉(500)이 성형용기(40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성형공간(4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성형용기(400) 내에 투입된 유골분(A)이 승강판(300)의 상면과 성형봉(500)의 하단면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성형공간(410) 애에 원주형의 유골분 성형체(B)로 성형된다.
여기서 성형용기(400)에 투입된 유골분(A)는 점착성 첨가제를 포함한 어떠한 첨가제도 섞이지 않은 것이지만 20~50톤(20,000~50,000kg/㎠)의 고압으로 압축되므로 마치 돌과 같은 상태로 성형될 수 있다.
[성형용기 고정 및 유골분 성형체 추출 준비 단계]
성형용기(400)를 90도 수평회전시켜 성형용기고정수단(600)을 구성하는 절취부(630)이 걸림홈(610)이 위치하는 양측부로부터 전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걸림편(620)이 걸림홈(610)에 걸려서 성형용기(400)가 승강할 수 없도록 고정하고, 유압실린더(200)를 하강작동시켜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판(300)이 하강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유골분 성형체 성형 단계에서 성형용기(400)와 성형봉(500)이 유골분 성형체(B)를 매개로 하여 서로 압착되어 있고, 성형용기(400)가 승강판(300)의 상면에 압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유골분 성형이 완료된 곧바로 성형용기(400)를 수평회전시킬 수 없게 되므로 유압실린더(200)에 의하여 승강판(300)을 하강시켜 성형용기(400)와 성형봉(500), 성형용기(400)와 승강판(300)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압착력을 완화시킨 다음, 성형용기(400)를 쉽게 수평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하강한 승강판(300)의 상면에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안착시킨다. 이때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는 승강판(300)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결정바(350)의 위치결정홈(360)을 이용하여 성형용기(40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유압실린더(200)를 상승작동시킴으로써 승강판(300)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상승시켜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상단이 성형용기(400)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경과 외경은 각각 성형용기(400)의 내경보다 크고,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상단과 성형용기(400)의 하단이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유골분 성형체 추출 단계]
성형용기(400)를 90도 수평회전시켜 걸림편(620)이 걸림홈(610)으로부터 이탈하여 성형용기(400)가 수직지지대(120)으로부터 고정해제되도록 하고, 유압실린더(200)를 상승작동시킴으로써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판(300)과 승강판(300) 상에 안착된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상승시켜 성형용기(400)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도록 하여, 성형봉(500)이 성형공간(410)에 삽입되고, 성형공간(410)의 내부에 성형되어 있는 유골분 성형체(B)가 성형봉(500)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서 승강판(300)의 상면으로 추출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성형용기(400)로부터 추출된 유골분 성형체(B)는 승강판(300)의 상면에 추출됨과 아울러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경은 성형용기(4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유골분 성형체(B)의 외경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경보다 작게 되므로 승강판(300)의 상면으로 추출되는 유골분 성형체(B)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 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유골분 성형체 인출 단계]
성형용기(400)를 90도 수평회전시켜 성형용기고정수단(600)을 구성하는 절취부(630)이 걸림홈(610)이 위치하는 양측부로부터 전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걸림편(620)이 걸림홈(610)에 걸려서 성형용기(400)가 승강할 수 없도록 고정하고, 유압실린더(200)를 하강작동시켜 피스톤로드(220)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판(300)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가 하강하도록 하며, 승강판(300)로부터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를 탈거하고, 유골분 성형체(B)를 인출한다(도 8 참조).
이때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경은 성형용기(4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골분 성형체(B)의 외경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유골분 성형체(B)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700)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유골분 성형체 피복 단계]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골분 성형방법은 상기 유골분 성형체(B)를 열경화성 수지필름(C)으로 씌우고 열경화성 수지필름(C)에 열을 가하여 열경화성 수지필름(C)이 상기 유골분 성형체(B)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피복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유골분 성형체(B)는 그 표면에 열경화성 수지필름(C)이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피복되므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유골분 성형체(B)가 변형되지 않고 외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유골분이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지프레임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수직지지대 130: 상단지지대
200: 유압실린더 300: 승강판
400: 성형용기 500: 성형봉
600: 성형용기고정수단 700: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

Claims (7)

  1.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지지대가 포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양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본체와, 상기 유압실린더본체의 상단에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를 구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 상에 안착되며 상하단이 개방된 성형공간을 가지는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성형용기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면에 상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성형봉과; 상기 성형용기를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하는 성형용기고정수단과; 상기 성형용기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골분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승강판본체와, 상기 승강판본체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응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가이드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판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성형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위한 위치결정바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과 승강판본체의 하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균형유지용 탄성부재가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기고정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과, 상기 성형용기의 외주면 좌우측에 원호형 외주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성형장치.
  6. 지지프레임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이 하강되며, 승강판의 상면에 상하단이 개방된 성형공간을 가지는 성형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성형공간 내에 유골분이 투입되는 준비 및 유골분 투입 단계;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과 성형용기가 상승되고 지지프레임의 상단지지대에 고정된 성형봉이 상대적으로 성형공간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성형공간 내에 투입된 유골분이 승강판의 상면과 성형봉의 하단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성형공간 내에 유골분 성형체가 성형되는 유골분 성형체 성형 단계;
    성형용기가 수평회전되어 지지프레임의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과 성형용기의 외주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성형용기고정수단에 의하여 성형용기가 수직지지대에 고정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이 하강되며, 하강된 승강판의 상면에 성형공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성형용기와 동축을 이루는 상태로 안착되는 성형용기 고정 및 유골분 성형체 추출 준비 단계;
    성형용기가 수평회전되어 성형용기고정수단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상승되고 성형용기가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에 의하여 밀려 올라가며 성형봉이 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성형공간 내에 성형되어 있는 유골분 성형체가 성형봉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서 승강판의 상면으로 추출되는 유골분 성형체 추출 단계;
    성형용기가 수평회전되어 성형용기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판과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하강되며, 유골분 성형체 추출용 어댑터가 탈거되고, 유골분 성형체가 인출되는 유골분 성형체 인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골분 성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유골분 성형체에 씌워진 열경화성수지가 열에 의하여 열경화되어 유골분 성형체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피복되는 유골분 성형체 피복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성형방법.
KR1020170037179A 2017-03-23 2017-03-23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79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79A KR101795500B1 (ko) 2017-03-23 2017-03-23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CT/KR2018/003308 WO2018174566A1 (ko) 2017-03-23 2018-03-21 유골분 성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79A KR101795500B1 (ko) 2017-03-23 2017-03-23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00B1 true KR101795500B1 (ko) 2017-11-10

Family

ID=6038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179A KR101795500B1 (ko) 2017-03-23 2017-03-23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1787A (zh) * 2018-03-20 2018-09-04 杭州沛诺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托盘压机
KR20190104840A (ko) 2018-03-02 2019-09-11 정현택 유골분 성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515A (ja) 2004-12-20 2006-07-06 Borgwarner Inc ツール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515A (ja) 2004-12-20 2006-07-06 Borgwarner Inc ツールセ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840A (ko) 2018-03-02 2019-09-11 정현택 유골분 성형 방법 및 장치
KR102087327B1 (ko) * 2018-03-02 2020-03-10 정현택 유골분 성형 방법 및 장치
CN108481787A (zh) * 2018-03-20 2018-09-04 杭州沛诺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托盘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500B1 (ko) 유골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N107439401A (zh) 一种牛犊喂食装置
KR20050005952A (ko) 아이스크림 분배기
KR101186059B1 (ko) 화장용 퍼프의 고형 파우더 제조장치
CN210275472U (zh) 一种新型鼠类科研饲养笼
CN106069814A (zh) 一种畜牧养殖用粪便处理设备
KR102282528B1 (ko) 축사관리스템 구축방법
CN109452231A (zh) 一种蚯蚓养殖与饲料一体化处理装置
CN213560954U (zh) 一种全自动螺钉装配机
CN205320548U (zh) 植物培育自动化移植设备
CN205430965U (zh) 手动播撒器
CN102551920B (zh) 体外打压成型植骨模具
CN203815621U (zh) 一种嵌合式种植牙
CN213924558U (zh) 一种多种固废污泥的堆肥新装置
CN215222975U (zh) 一种农业机械的夹持机构
CN216492930U (zh) 一种花菜种植用害虫环保防治装置
CN202122520U (zh) 一种可拆洗且自动消毒的刀座
CN219514885U (zh) 一种实验鼠多功能饲养笼
CN221085745U (zh) 一种禽畜养殖用饲料破碎设备
CN209138664U (zh) 一种实验用对六氢邻苯二甲酸酐提取的吸纳管
KR102087327B1 (ko) 유골분 성형 방법 및 장치
CN106105502A (zh) 阳台自动播种器
CN219459729U (zh) 修剪草皮、播撒草籽一体机
CN116900512B (zh) 一种不锈钢锂盐包装桶的桶壁开口装置
CN209834641U (zh) 一种医用放疗垃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