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460B1 - 세면대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460B1
KR101795460B1 KR1020160070328A KR20160070328A KR101795460B1 KR 101795460 B1 KR101795460 B1 KR 101795460B1 KR 1020160070328 A KR1020160070328 A KR 1020160070328A KR 20160070328 A KR20160070328 A KR 20160070328A KR 101795460 B1 KR101795460 B1 KR 10179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washstand
circumferential surface
male screw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2016007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장치의 배수공간에 끼인 각종 이물질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 중심에 렌치홈(11)이 형성된 마개(10); 상기 마개(10) 하단이 실린더(23) 내부로 승강하는 승강기둥(21) 상부에 일체 결합된 팝업장치(20);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20)의 실린더(23) 외주면과 일체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수공(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32)가 형성된 거름부재(30), 및 상기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내측에 수용하고 거름부재(30)의 수나사(32)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47)가 형성된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장치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수장치와 연결된 하수구의 막힘을 예방하고, 세면대용 배수장치의 마개와 팝업장치를 한 번에 케이스로부터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어 세면대의 이용의 편의성과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장치{Draining Apparatus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에 물을 받거나 받은 물을 배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의 물을 배수하는 장치의 배수공간에 끼인 각종 이물질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위에는 더운물과 찬물이 나오는 수도꼭지가 달려있고 아래에는 물을 배수하는 호스가 달려있다. 그리고 세면대는 그릇 형상으로 일정량의 물을 받아 담을 수 있다.
통상 세면대에는 배수구에 팝업장치가 결합된 배수장치가 설치된 것이 있다. 이는 배수구를 밀폐하여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배수마개가 설치된다. 더욱이 배수마개는 손가락으로 눌러 팝업장치를 작동시키면 세면대에 고여 있던 물이 배수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배수장치는 물이 배수구로 빠져나가는 동안 이물질이 걸리도록 하여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세면대의 배수장치는 장시간에 걸쳐 이물질, 특히 머리카락이나 직경이 큰 이물질에 의하여 배수구가 막히게 되어 세면대 사용에 제한을 준다. 따라서 세면대의 배수장치는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세면대로부터 배수장치를 분리하여야 하지만, 배수장치의 부식이나 이물질의 끼임 등으로 세면대로부터 배수장치를 분리하기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배수장치에 끼여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화학약품을 부어 이물질을 녹이거나 또는 꼬챙이 등의 이물질 분리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끄집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화약약품은 배수장치의 부식을 유발하거나 심한 악취를 풍겨 인체 안전성에 위해를 줄 수 있고, 꼬챙이 등의 이물질 분리기는 여전히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불완전한 청소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7716호(2009.03.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장치에 설치된 마개와 팝업장치를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장치에 끼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단 중심에 렌치홈이 형성된 마개; 상기 마개 하단이 실린더 내부로 승강하는 승강기둥 상부에 일체 결합된 팝업장치;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의 실린더 외주면과 일체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수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거름부재, 및 상기 마개와 팝업장치 및 거름부재를 내측에 수용하고 거름부재의 수나사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단 중심에 렌치홈이 형성된 마개; 상기 마개 하단이 실린더 내부로 승강하는 승강기둥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에 나사 결합된 팝업장치;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의 실린더 외주면과 일체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수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거름부재, 및 상기 마개와 팝업장치 및 거름부재를 내측에 수용하고 거름부재의 수나사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개와 팝업장치의 승강기둥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왼나사로 결합되고, 상기 거름부재와 케이스는 오른나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있어서, 표면에 호 형상의 안착홈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개폐손잡이 단부가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 일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마개; 상기 마개 하단이 실린더 내부로 승강하는 승강기둥 상부에 일체 결합된 팝업장치;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의 실린더 외주면과 일체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수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거름부재, 및 상기 마개와 팝업장치 및 거름부재를 내측에 수용하고 거름부재의 수나사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면대의 배수장치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수장치와 연결된 하수구의 막힘을 예방하고, 세면대용 배수장치의 마개와 팝업장치를 한 번에 케이스로부터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어 세면대의 이용의 편의성과 기능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세면대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거름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서 마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장치(3)는 수전(2)에서 배출된 물을 배수호스(5)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수장치의 마개(10)는 수전(2)에서 세면대(1)로 배출된 물이 배수호스(5)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세면대(1)에 고인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마개(10)를 손으로 눌러 팝업장치(20)를 하강시키면 배출구가 막혀 수전에서 배출된 물이 세면대에 고이게 되고, 다시 마개(10)를 손으로 눌러 팝업장치(20)를 상승시키면 세면대에 고인 물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세면대 상부 내측에 관통 형성된 배출구는 수전에서 세면대로 배출된 물이 세면대 위로 흘러넘치지 않도록 세면대 내부에 형성된 배출로를 따라 케이스(4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40)는 세면대 하부에 관통된 통공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마개(10)와 팝업장치(20)를 수용하고, 케이스(40) 하부에는 하수구로 연결된 배수호스(5)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마개(10)는 상단 중심에 렌치홈(11)이 형성된다. 렌치홈(11)은 사각이나 육각 또는 팔각일 수 있다. 마개(10) 저면에는 케이스(40)의 플랜지(41) 내주면과 밀착되어 배출로를 밀폐시키는 제1패킹(12)이 결합된다. 즉 마개(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1패킹(12)과 케이스(40) 내측면이 밀폐되어 세면대에 고인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 팝업장치(20)는 마개(10) 하단과 일체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상단에 형성된 승강기둥(21)과, 승강기둥(21)을 수용하고 승강기둥(21)의 승강을 지지 및 변환시키는 실린더(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거름부재(30)는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20) 하부 외주면, 즉 실린더(23)와 일체 결합된다. 거름부재(30)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수공(31)이 관통 형성된다.
도 3에서, 배수공(3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배수공(3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배수공(31)에 잘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거름부재(30) 외주면에는 수나사(32)가 형성된다.
케이스(40)는 일체 결합된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내측에 수용하고, 수용된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거쳐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거름부재(30)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2)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47)가 형성된다. 케이스(40) 상부의 플랜지(41)는 세면대 내측 표면과 대략 일치하고 플랜지(41) 아래에 세면대 표면과의 밀폐를 위한 제2패킹(42)이 결합된다. 그리고 세면대 하단 표면과 밀폐를 위한 제3패킹(44)이 결합된다. 제3패킹(44) 아래에는 케이스(40)가 세면대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너트(45)가 나사산(46)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나사산에는 배수호스가 결합된다. 케이스(40)에 결합된 제2패킹(42)과 제3패킹(44) 사이에는 배수구(43)가 형성되어 세면대 내측의 배출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장치(3)를 분리할 때에는 배수장치(3)의 마개(10)에 형성된 렌치홈(11)에 육각렌치(5) 단부를 삽입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름부재(30) 외주면의 형성된 수나사(32)는 케이스(40)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47)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케이스(40)로부터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한 번에 분리한 후 배수장치(3)에 끼인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청소가 완료되면 일체 결합된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케이스(40) 내측으로 삽입한 후에 마개(10) 상단에 형성된 렌치홈(11)에 육각렌치(5)를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스(40)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47)에 거름부재(30)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2)와 나사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 마개(10)와 팝업장치(20)를 나사 결합한 것이다. 즉 마개(10) 하단에 팝업장치(20)의 승강기둥(21)에 돌출된 결합돌기(22)를 끼워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마개(10)와 결합돌기(22)는 왼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돌기(22) 외주면에 펜치나 스패너 또는 플라이어 등으로 잡을 수 있는 접촉면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마개(10)를 팝업장치(20)와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팝업장치(20)와 일체 결합된 거름부재(30)를 케이스(40)로부터 별도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렌치홈(11)이 형성된 마개(10)는 육각렌치(5)를 이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스(40)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47)와 나사 결합된 거름부재(30)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2)는 분리된다. 따라서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케이스(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40)로부터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한 번에 분리한 후 배수장치(3)에 끼인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청소가 완료되면 일체 결합된 마개(10)와 팝업장치(2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팝업장치(20)의 승강기둥(21)에 돌출된 결합돌기(22)의 접촉면을 펜치나 스패너 또는 플라이어 등으로 잡고 케이스(40)에 넣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스(40)의 암나사(47)와 거름부재(30)의 수나사(32)가 나사 결합되므로 팝업장치(20)와 거름부재(3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후 팝업장치(20)의 결합돌기(22)에 마개(10)를 올려놓고 육각렌치(5)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 도 4에서, 마개(10) 표면에 렌치홈(11)과 별개로 호 형상의 안착홈(13)을 한 쌍으로 형성하고, 이 안착홈(13)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손잡이(1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3) 일측에는 파지홈(14)을 형성하여 개폐손잡이(15)를 들어올리기 쉽게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마개(10) 표면에 개폐손잡이(15)를 구비하여 별도의 육각렌치 등을 준비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개폐손잡이(15)를 들어 올린 후 반시계방향으로 개폐손잡이(15)를 회전시킴으로써 거름부재(30)를 케이스(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일체로 결합된 것이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 마개(10) 표면에 개폐손잡이(15)를 구성하고 마개(10)와 팝업장치(20)를 나사 결합한 경우에는 제2실시 예와 같이 마개(10)를 팝업장치(20)와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작동은 제2실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세면대 2: 수전 3: 배수장치 4: 배수호스 5: 육각렌치 10: 마개 11: 렌치홈 12: 제1패킹 13: 안착홈 14: 파지홈 15: 개폐손잡이 20: 팝업장치 21: 승강기둥 22: 결합돌기 23: 실린더 30: 거름부재 31: 배수공 32: 수나사 40: 케이스 41: 플랜지 42: 제2패킹 43: 배수구 44: 제3패킹 45: 고정너트 46: 나사산 47: 암나사

Claims (5)

  1.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단 중심에 렌치홈(11)이 형성된 마개(10);
    상기 마개(10) 하단이 실린더(23) 내부로 승강하는 승강기둥(21) 상부에 일체 결합된 팝업장치(20);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20)의 실린더(23) 외주면과 일체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복수의 배수공(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32)가 형성된 거름부재(30), 및
    상기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내측에 수용하고 거름부재(30)의 수나사(32)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47)가 형성된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장치.
  2. 세면대용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단 중심에 렌치홈(11)이 형성된 마개(10);
    상기 마개(10) 하단이 실린더(23) 내부로 승강하는 승강기둥(21)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2)에 왼나사 결합된 팝업장치(20);
    링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팝업장치(20)의 실린더(23) 외주면과 일체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복수의 배수공(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32)가 형성된 거름부재(30), 및
    상기 마개(10)와 팝업장치(20) 및 거름부재(30)를 내측에 수용하고 거름부재(30)의 수나사(32)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암나사(47)가 형성되되, 거름부재(30)와 케이스(40)는 오른나사로 결합된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70328A 2016-06-07 2016-06-07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79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28A KR101795460B1 (ko) 2016-06-07 2016-06-07 세면대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28A KR101795460B1 (ko) 2016-06-07 2016-06-07 세면대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460B1 true KR101795460B1 (ko) 2017-11-15

Family

ID=6038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328A KR101795460B1 (ko) 2016-06-07 2016-06-07 세면대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4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669B2 (ja) * 1993-12-27 2001-04-16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根管治療装置
KR100935532B1 (ko) * 2009-06-08 2010-01-06 이승준 스테인레스 루프 드레인 및 그 상부몸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468810B1 (ko) * 2013-06-11 2014-12-08 서민정 세면대용 분리식 팝업장치
JP2016098568A (ja) * 2014-11-21 2016-05-30 株式会社Lixil 排水栓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669B2 (ja) * 1993-12-27 2001-04-16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根管治療装置
KR100935532B1 (ko) * 2009-06-08 2010-01-06 이승준 스테인레스 루프 드레인 및 그 상부몸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468810B1 (ko) * 2013-06-11 2014-12-08 서민정 세면대용 분리식 팝업장치
JP2016098568A (ja) * 2014-11-21 2016-05-30 株式会社Lixil 排水栓開閉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6819B2 (en) Drain stopper with removable debris trap
US6067669A (en) Strainer equipped drain plug assembly
US3443264A (en) Swimming pool vacuuming apparatus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US20150321127A1 (en) Sink filter
KR10099816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US6153095A (en) Drainpipe filter kit
US20180073229A1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CA2845661C (en) Wastewater sump assembly
US11725374B2 (en) Drain pipe connector system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101795460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0701785B1 (ko) 공동주택의 악취방지 배수전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0298925Y1 (ko) 배수트랩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101703102B1 (ko) 개폐기능 및 역류방지 배수장치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KR100435079B1 (ko) 배수트랩
KR20150124093A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200235707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