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320B1 -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 Google Patents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320B1
KR101795320B1 KR1020160173301A KR20160173301A KR101795320B1 KR 101795320 B1 KR101795320 B1 KR 101795320B1 KR 1020160173301 A KR1020160173301 A KR 1020160173301A KR 20160173301 A KR20160173301 A KR 20160173301A KR 101795320 B1 KR101795320 B1 KR 10179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proof
cap
omnidirectional camera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Original Assignee
김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한 filed Critical 김도한
Priority to KR102016017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2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와 방진 기능이 우수한 360도 촬영 가능한 전방위 카메라를 개시한다. 복수의 실리콘 부재가 컴팩트하게 조립되어 방수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Ominidirectional camera with water-proof and dust-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컴팩트한 모듈로 제작되며,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하여 해저와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카메라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전방위 카메라 관련 기술은 360도 카메라, 파노라마 카메라, 어라운드 뷰 시스템 등 촬영자나 객체를 기준으로 360도 모든 방향의 배경을 촬영하는 기기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응용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 카메라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제조업체와 인터넷 플랫폼 공급업체까지 전방위 카메라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전방위 카메라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기기를 이용하여 생생한 현장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전방위 카메라에 관한 기술로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입체 카메라나 깊이 카메라로 사용하는 것, 360도 영상 획득이 가능한 전방위 촬상렌즈를 구비하는 것, 전방위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장애물 위치와 모양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파노라마 영상을 활용하여 작업 현장을 교육하기 위한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등이 있다.
한편, 연구나 관광 등을 위한 목적으로 해저를 촬상하는 카메라는 다수 존재하지만, 컴팩트한 모듈의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방수와 방진이 완벽해야 한다. 특히, 수압이 10기압 이상, 수심 100 미터 정도의 가혹한 해저 환경에서 전방위 카메라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내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내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방수 및 방진 기능이 우수한 전방위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는 물론 지상에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방위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카메라로서,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전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된 캡과, 노출개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렌즈수용부;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제1측면리드와, 하우징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방수판;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전원/충전커버, 제1방수링, 제2측면리드와 제2방수링; 및 하우징 상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윈도우, 투명창 및 방수캡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수용부, 상기 방수판, 상기 제1방수링, 상기 제2방수링 및 상기 방수캡은 실리콘 재질의 방수부재인, 전방위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카메라로서,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전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전방은,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된 캡과, 캡의 뒤에 위치하고 하우징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렌즈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중앙에는 제1노출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수용부는 코너가 노치된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제1노출개구보다 작은 제2노출개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의 초광각렌즈를 설치하여 상기 제1노출개구 및 상기 제2노출개구를 통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360도 범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더욱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제1측면리드와, 하우징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방수판;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전원/충전커버, 제1방수링, 제2측면리드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방수링; 및 하우징 상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윈도우, 투명창 및 하우징에 고정되는 방수캡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수용부, 상기 방수판, 상기 제1방수링, 상기 제2방수링 및 상기 방수캡은 실리콘 재질의 방수부재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정면, 후면, 양측면 및 상면이 방수 밀봉되도록 된, 전방위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방수를 담당하는 부재가, 전방위카메라 하우징의 정면, 후방, 양측면 및 상면에 골고루 개재되므로, 하우징과 관련부재를 컴팩트하게 조립시킴과 아울러 기밀하게 밀봉하여 해저 환경에서 방수성과 내압성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은 수분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 차단과 같은 방진 효과를 발휘하므로, 내구성이 좋고 수명이 장기이며 유지보수비용을 줄인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은 전방위카메라용 액세서리를 하우징에 부착하여 해저나 지상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평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1d는 좌측면도, 도 1e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의 하우징을 제거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의 하우징을 중심으로 한 분해 조립도로서, 도 4a는 전방과 후방, 도 4b는 좌측면과 우측면, 도4c는 평면, 그리고 도 4d는 하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카메라의 실제 활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1)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평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1d는 좌측면도, 도 1e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1)는 컴팩트한 모듈로 조립되며, 양 측면이 라운드 처리된 전체적으로 구형의 하우징(10)이 전체 프레임을 형성한다. 하우징(10)의 단면은 원 또는 타원일 수 있다.
도 1a에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원형의 제1테두리로서의 캡(12)이 위치하고, 캡(12)의 내측으로 원형의 렌즈수용부(14)가 위치하고 있다. 렌즈수용부(14) 내부의 렌즈(C)는 18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190도 이상의 영역을 촬상할 수 초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일 수 있다. 하우징(10), 캡(12) 및 렌즈수용부(14)는 방수를 위하여 기밀하게 조립된다.
전방위카메라(1)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렌즈를 총 두 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방위카메라(1)는 고정된 위치에서 360도 범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후방은 정면과 같은 구조이므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측 중앙에는 사각 형상의 윈도우(16) 가 설치되고, 윈도우(16) 내부에는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18)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좌측에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리셋버튼(100a), 녹화버튼(100b) 및 녹화LED(100e)가 배열된다. 하우징(10)의 우측에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와이파이LED(100f), 와이파이버튼(100c), 전원/충전버튼(100d) 및 전원/충전LED(100g)가 배열된다. 그러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이며, 디스플레이 대신 스타트 버튼을 설치하거나 버튼을 측면으로 이동하는 등, 전방위카메라의 기능과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c에서는, 하우징(10)의 중앙을 사각 형상의 하부리드(50)가 폐쇄하고 있다.
도 1d에서는, 하우징(10)의 중앙을 사각 형상의 제1측면리드(40)가 폐쇄하고 있다. 제1측면리드(40)에는 예를 들어 "MENU"및 "BACK"버튼과 문자가 기입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e에서는, 하우징(10)의 중앙을 사각 형상의 제2측면리드(30)가 폐쇄하고, 제2측면리드(30)의 내부에는 원형의 전원/충전커버(32)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충전커버(32)는 개폐 가능하다. 전원/충전커버(32) 내부에는 기능에 따라 USB케이블 및 마이크로SD케이블 단자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도1은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형상, 모양 및 갯수는 카메라의 스펙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는, 구형의 하우징이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면에 "ON"버튼을 장착한 모델이다. 또, 도 2b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의 하우징이 프레임을 형성한 모델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1)의 하우징(10)을 제거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후 한쌍의 렌즈(C)를 중심으로 상하에 하나씩 두 개의 평판형의 PCB(Print Circuit Board;P1,P2)가 배열되어 있다. 상부PCB(P1)의 중앙에는 LCD디스플레이(18)가 설치되고, 좌측에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리셋버튼(100a), 녹화버튼(100b) 및 녹화LED(100e)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와이파이LED(100f), 와이파이버튼(100c), 전원/충전버튼(100d) 및 전원/충전LED(100g)가 설치되어 있다. 측면의 (102)는 리모트컨트롤러용안테나이고, (104)는 와이파이안테나이다. 하부PCB(P2)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마이크, 배터리, 충전용USB 및 마이크로SD카드의 단자와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상 도 3은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1)의 분해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각 부품의 구조와 배치는 카메라의 스펙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1)의 하우징(10)을 중심으로 한 분해 조립도로서, 도 4a는 전방과 후방, 도 4b는 좌측면과 우측면, 도4c는 평면, 그리고 도 4d는 하부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의 부품은 각각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모여 도1 과 같은 컴팩트한 전방위카메라(1) 모듈을 형성하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4a에서, 하우징(10)의 정면에는 차례로 원형의 캡(12)과, 렌즈수용부(14)가 위치한다. 캡(12)의 중앙에는 제1노출개구(122)가 형성되고, 캡의 테두리(120)의 4개소에는 관통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관통홀(12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내부로 도시하지 않은 나사가 체결되어 캡(12)이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캡(12)은 가공과 착색이 용이하며, 가볍고,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절연 기능이 뛰어난 ABS(acrylintrile-butadiene-styrene)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캡(12)의 앞뒤에는 실버 도장을 하는 것이 미감면에서 바람직하다.
렌즈수용부(14)는 코너가 노치된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제2노출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수용부(14)는 방수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합성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노출개구(140)는 제1노출개구(122)보다 작은 크기이다. 렌즈수용부(14)의 코너 외곽 4개소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통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인서트가 삽입된다. 인서트는 예를 들어 M3규격으로 SUS304로 제작된다. 인서트는 경금속, 주물, 플라스틱, 목재 등 경도가 약한 모재에 강한 나사 체결력을 제공하므로 방수 실리콘의 밀봉 작업에 적합하다.
후방의 구조는 전방과 대칭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좌측의 외부에서는 차례로 제1측면리드(40)와 방수판(60)이 설치되어 있다. 제1측면리드(40)의 도면에서 보이는 후면에는 십자형의 볼록부로 형성되고, 각각의 십자로에는 총 4개의 관통홀(42)이, 각각의 관통홀(42)과 인접해서는 미세공(44)이 형성되어 있다.
방수판(60)은 제1측면리드(40)의 볼록부에 긴밀히 접하도록 그 형상에 맞추어 플랜지가 짧은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방수판(60)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홀(42)과 미세공(44) 각각에 삽입되기 로드(62)와 핀(64)이 제1측면리드(4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측면리드(40)는 ABS 재질로 제작되며 부식 방지용 도장 처리를 하고, 방수판(60)은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판(60)은 코너 외곽 4개소의 관통홀을 통해 인서트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우측의 외부에서는 차례로 전원/충전커버(32), 제1방수링(38), 제2측면리드(30)와 제2방수링(70)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충전커버(32)의 내면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돌출부(36)가 하우징(10)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36)에는 전원/충전커버(32)의 나사산과 상보하는 형상의 나사산을 구비한 체결홈(34)이 형성된 제2측면리드(30)가 결합한다. 나사산끼리의 암수 결합에 의하여 제2측면리드(30)와 전원/충전커버(32)는 긴밀하게 결합한다.
이때, 제1방수링(38)과 제2방수링(70)은 제2측면리드(30)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어 전원/충전커버(32)와 제2측면리드(30)를 기밀하게 방수한다. 제1방수링(38)과 제2방수링(70)은 돌출부(36)에 거치되어 워셔와 같은 기능도 병행한다. 제1방수링(38)은 환형의 링 형상이다. 제2방수링(70)은 제2측면리드(30)의 테두리 형상에 맞도록 플랜지가 짧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관통홀(7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방수링(70)은 인서트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전원/충전커버(32)와 제1측면리드(40)는 ABS 재질로 제작되며 부식 방지용 도장 처리를 하고, 제1방수링(38)과 제2방수링(70)은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하우징(10) 상면의 외부에서부터 차례로 윈도우(16), 투명창(84) 및 방수캡(80)이 배열되어 있다.
윈도우(16)에 형성된 창(160)은 LCD 디스플레이(18)에 맞추어 긴 사각형의 형상이다. 사각 형상의 투명창(84)은, 사각홈(82)을 구비한 방수캡(80) 상에 안착된다. 투명창(84)은 외부에서 화면 시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아크릴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방수캡(80)은 인서트에 의하여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윈도우(16)는 ABS 재질로 제작되며 부식 방지용 도장 처리를 하고, 방수캡(80)은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0)과 윈도우(16)가 실리콘 재질의 방수캡으로 밀봉되므로 우수한 방수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d의 하부 구성은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것으로, 예를 들어 셀카봉과 같은 카메라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하우징(10)의 바깥쪽에서부터 차례로 수용구(160), 체결링(150), 하부하우징(140) 및 상부하우징(130)이 조립된다. 상부 및 하부하우징(130,140)은 일체로 조립되고 하우징(10) 하부에 고정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카메라(1)를 지지하는 중량추 및 액세서리의 커넥터로서의 기능을 한다. 체결링(15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하부하우징(140)의 밑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는 수용구(16)의 홈안에 안착된다. 셀카봉과 같은 액세서리는 수용구(160)의 홈을 통해 체결링(15)의 미세공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한 하부 구성은 해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액세서리 수용 구조이므로, 별도의 방수 부재를 설치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부 구성은 ABS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개시한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수를 담당하는 실리콘부재가, 전방과 후방의 렌즈수용부(14), 좌측면의 방수판(60), 우측면의 제1방수링(38)과 제2방수링(70), 상부의 방수캡(80)으로서, 하우징(10) 및 관련부재를 정면, 후방, 양측면 및 상면에서 컴팩트하게 조립시킴과 아울러 기밀하게 밀봉하므로 특히 가혹한 해저 환경에서 방수성이 뛰어난 점에 특징이 있다. 또, 하우징(10)에 면하는 방수부재들은 인서트로 고정되므로 내압성이 뛰어나며, 수압이 높은 환경에서의 적응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구조의 전방위카메라(1)는 수압 10기압 이상, 수심 100 미터의 환경에서도 완전한 방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 이유로,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1)를 육상에서 사용할 경우, 우수와 같은 물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 차단과 같은 방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방위카메라(1)는 내구성이 좋고 수명이 장기이며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방수 부재를 제외한 부품들은 ABS재질을 예로 들었으나, 내충격성이 좋고 고열에 잘 견디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제작하여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카메라(1)의 실제 활용예를 보인 것이다.
도 5a는 전방위카메라(1)의 하면에 지지대(500)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다. 지지대(500)는 예를 들어 손으로 파지하여 셀카봉으로 활용되거나 지면 또는 해저에 셋팅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지지대(500)를 펼치면 고정대(500a)와 날개(500b)가 전개되어 지면 또는 해저에 세워지므로 더욱 높은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도 5c와 같이 고정대(500a)에 포개져 접혀진 연장로드(500c)를 외부로 전개하면 높은 곳에서의 전방위 촬영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를 임의로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 변형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는 점은 자명하다.
1 : 전방위카메라 10 : 하우징
12 : 캡 14 : 렌즈수용부
38 : 제1방수링 60 : 방수판
70 : 제2방수링 80 : 방수캡

Claims (8)

  1.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카메라로서,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전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전방은,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된 캡과, 캡의 뒤에 위치하고 하우징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렌즈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중앙에는 제1노출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수용부는 코너가 노치된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제1노출개구보다 작은 제2노출개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의 초광각렌즈를 설치하여 상기 제1노출개구 및 상기 제2노출개구를 통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360도 범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더욱 상기 전방위카메라는,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제1측면리드와, 하우징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방수판;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전원/충전커버, 제1방수링, 제2측면리드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방수링; 및
    하우징 상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열된 윈도우, 투명창 및 하우징에 고정되는 방수캡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수용부, 상기 방수판, 상기 제1방수링, 상기 제2방수링 및 상기 방수캡은 실리콘 재질의 방수부재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정면, 후면, 양측면 및 상면이 방수 밀봉되도록 된, 전방위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플랜지가 짧은 십자형이며, 제1측면리드에 결합하기 위한 로드와 핀이 돌출 형성된, 전방위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충전커버의 내면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돌출부가 하우징을 향하고, 제2측면리드에는 상기 나사산과 상보하는 형상의 나사산을 구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나사산끼리의 암수 결합에 의하여 제2측면리드와 전원/충전커버가 결합하며, 제1방수링과 제2방수링은 제2측면리드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어 전원/충전커버와 제2측면리드를 기밀하게 이중으로 방수하는, 전방위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링은 환형의 링 형상이며, 제2방수링은 제2측면리드의 테두리 형상에 맞도록 플랜지가 짧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전방위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는 디스플레이를 시인하기 위한 창이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투명창이 사각홈을 구비한 방수캡 상에 안착되는, 전방위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의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수용구, 체결링,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이 배열되는, 전방위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조에는, 지상 또는 해저에 지지되는 전개 가능한 날개를 구비한 지지대가 결합되도록 한, 전방위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면이 원 또는 타원인 전체적으로 구 형상인, 전방위카메라.
KR1020160173301A 2016-12-19 2016-12-19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KR10179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01A KR101795320B1 (ko) 2016-12-19 2016-12-19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01A KR101795320B1 (ko) 2016-12-19 2016-12-19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320B1 true KR101795320B1 (ko) 2017-11-09

Family

ID=6038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01A KR101795320B1 (ko) 2016-12-19 2016-12-19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181A (zh) * 2018-05-24 2018-10-19 苏州惠琪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精密仪器的防水装置
KR20200009852A (ko) * 2018-07-20 2020-01-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중 모니터링을 위한 vr 영상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1704A (ja) 2007-05-09 2008-11-20 Sony Corp 防水ケース
WO2009047649A2 (en) 2007-06-30 2009-04-16 Daymen Photo Marketing Lp Battery grip protective device for cameras, video record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JP2009516946A (ja) 2005-11-21 2009-04-23 ホ,ケニス,カム−シン 水中カメラ組み合わせ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6946A (ja) 2005-11-21 2009-04-23 ホ,ケニス,カム−シン 水中カメラ組み合わせ機構
JP2008281704A (ja) 2007-05-09 2008-11-20 Sony Corp 防水ケース
WO2009047649A2 (en) 2007-06-30 2009-04-16 Daymen Photo Marketing Lp Battery grip protective device for cameras, video record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181A (zh) * 2018-05-24 2018-10-19 苏州惠琪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精密仪器的防水装置
KR20200009852A (ko) * 2018-07-20 2020-01-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중 모니터링을 위한 vr 영상 제공 방법
KR102095009B1 (ko) 2018-07-20 2020-04-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중 모니터링을 위한 vr 영상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451B2 (en) Quick-release ball-and-socket joint camera mount
US9423673B2 (en) Quick-release ball-and-socket joint camera mount
US10237455B2 (en) Camera system
CN218996373U (zh) 用于图像捕获设备的壳体组件
CN104670512A (zh) 一种多镜头航拍云台
JP6811313B2 (ja) カメラおよび撮影アセンブリ
KR101795320B1 (ko)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구비한 전방위 카메라
TW201342871A (zh) 照相模組及可攜式裝置
JP2017506364A (ja) 画像取込モジュール及びそのフード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JP3216526U (ja) ルアーカメラ
CN204473156U (zh) 一种多镜头航拍云台
CN206863472U (zh) 一体式立体视觉三维全景相机
JP6665981B2 (ja) 全天球カメラ
JP6542859B2 (ja) パノラマカメラ装置
WO2021027580A1 (zh) 终端
CN203951547U (zh) 千兆网相机
US11061301B2 (en) Underwater photography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lens
CN210109541U (zh) 拍摄设备、云台装置及无人机
KR200407266Y1 (ko) 카메라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방수 비닐 케이스
KR101502227B1 (ko) 휴대폰 케이스
CN206638946U (zh) 一体式多镜头全景相机
CN219287623U (zh) 红外触发的智能拍摄装置
CN203951548U (zh) 一种带sd卡和红外遥控的usb和vga双输出相机
CN215514168U (zh) 一种视觉传感装置和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