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251B1 -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by considering driver's propensity to brak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by considering driver's propensity to br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5251B1 KR101795251B1 KR1020160057415A KR20160057415A KR101795251B1 KR 101795251 B1 KR101795251 B1 KR 101795251B1 KR 1020160057415 A KR1020160057415 A KR 1020160057415A KR 20160057415 A KR20160057415 A KR 20160057415A KR 101795251 B1 KR101795251 B1 KR 101795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ing force
- braking
- vehicle
- driver
- dem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9—Later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4—Yaw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2—Lateral speed
- B60W2520/125—Later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4—Ya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 B60W2550/2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2—Lateral speed
- B60W2720/125—Lateral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4—Y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제동성향을 고려하여 운전자 요구에 따른 제동력을 보정하여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 밀린다고 느끼지 않도록 제동감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제동력을 감소시켜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force control method considering a braking tendency of a dr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ing forc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ing force of a driver in consideration of a driver's braking tendenc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forc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ing forc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제동장치의 특성에 맞게 차량 제동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운전자는 제동장치의 특성에 맞게 적응하여 차량 제동량을 조절하게 된다.Generally, the driver adjusts the vehicle braking amount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king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That is, the driver adjusts the vehicle braking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king device.
이를 위해, 운전자는 반복적인 차량 제동을 통해 제동장치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 특성에 맞게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동량을 조절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driver grasp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king device through repetitive vehicle braking and adjusts the braking amount by adjusting the pedal forc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king device.
그러나, 동일한 차량에 동일한 제동장치가 장착되어 있더라도 운전자의 운전성향 및 신체적 조건 등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밟힘이 민감하다고 느낄 수도 있고, 또한 밟은 만큼 감속도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느낄 수도 있어, 운전자가 느끼는 제동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ven if the same braking device is mounted on the same vehicle, it may feel that the depression of the brake pedal is sensitive depending on the driving propensity of the driver and the physical conditions, and that the deceleration does not occur as much as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nse of familiar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운전자의 제동성향을 고려하여 운전자 요구에 따른 제동력을 보정하여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 밀린다고 느끼지 않도록 제동감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제동력을 감소시켜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control system that corrects and controls a braking force according to a driver's request in consideration of a braking tendency of a driver, thereby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braking force so that the driver does not feel that the brake pedal is being pushed, And a braking force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braking tendency.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제동이 요구될 때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라 발생하는 목표 제동력을 보정하기 위한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이면, 목표 제동력의 제동력 보정 학습량의 결정을 위한 제동력 보정 기준을 운전자 제동요구량과 연비 중에 선택하는 제2단계; 선택한 제동력 보정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제동력 보정 학습량을 이용하여 목표 제동력을 보정하여 제동력 학습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ing forc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raking force learning for correcting a target braking force, which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stroke of a brake pedal,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criterion for determin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of the target braking force among the driver braking demand amount and the fuel consumption ratio when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braking force learning by correcting the target braking force us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braking force correction standard.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계에서는, 차량의 감속도에 기준한 급제동 여부, 차속에 따른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 확보 여부,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 및 변동횟수, 차량이 교차로에서부터 정해진 기준거리 이상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 전방의 신호등 신호가 주행가능상태인지 여부, 주행중인 도로상에 차속 감소 상황과 관련된 교통표지의 존재 여부, 차량의 요레이트 및 횡가속도가 각각 기준요레이트와 기준횡가속도 미만인지 여부 또는 조향각이 기준조향각 미만인지 여부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stopped based on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whether the safety distance to the front vehicle is secur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 stroke variation and the variation frequency of the brake pedal, and the vehicle is located apart from the inters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ther or not the front signal light signal is in a traveling state, whether there is a traffic sig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speed reduction state on the road under driving, whether the yaw rate and latera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re less than the reference yaw rate and the reference lateral acceleration, respectively,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if the conditions for whether the steering angle is less than the reference steering angle are satisfied.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운전자 제동요구량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단계; 제동 상황에서의 연비 만족도를 나타내는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이코노미 스탑 가중치(α)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상기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합산한 값으로서 토탈 스탑 스코어(T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토탈 스탑 스코어가 설정된 기준 스탑 스코어 미만이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의 크기값 비교 결과에 따라 운전자 제동요구량과 연비 중에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tep may include: calculat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indicating a degree of satisfaction of a driver braking demand;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indicating a degree of satisfaction of fuel economy in a braking situation; Calculating a total stop score (Tscore) as a sum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based on the economy stop weight (?); And determin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standard on the basis of a driver braking demand amount and a fuel consumption ratio according to a magnitude comparison result of an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when the total stop score is less than a set reference stop score.
그리고,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단계는,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에 따른 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수치화한 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를 평균한 값으로서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The step of calculating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includes the steps of: quantifying the driver braking demand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the stroke variation amount of the brake pedal whenever stroke variation of the brake pedal occurs; And determin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a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numerical satisfaction of the driver braking demand,
상기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판단하는 단계는,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 실제 감속도와 상기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 간에 차이값(DECdiff)을 계산하는 단계; 차량 제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차이값(DECdiff)을 누적 합산한 값으로서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includes: calculating an optimum fuel-economy required deceleration;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DECdiff) between the vehicle actual deceleration and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as a value obtained by cumulatively adding the difference value (DECdiff) generated during vehicle braking,
상기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비교하여,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 이상이면 운전자 제동요구량을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하고,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 미만이면 연비를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is compared with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If the on-demand stop sco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economy stop score, If the demanded stop score is below the economy stop score, the fuel economy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standard.
또한, 상기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a) 기본 권장 감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b) 주행중인 차량이 정차할 때까지의 예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산출한 예상거리에 기초하여 정차할 때까지 필요한 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산출한 감속도와 상기 기본 권장 감속도 중 더 큰 값을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로서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s of: (a) setting a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b) calculating a predicted distance until a vehicle stop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c) calculating a required deceleration until stopping based on the estimated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ep (b); (d) determining a greater value of the deceleration calculated in the step (c) and the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as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제동감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비를 향상시키는 제동력을 구현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force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can be realiz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hinder the driver's sense of driver's contr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제어를 위해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경우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보정한 제동력 발생을 위해 액추에이터 구동이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제어를 위해 운전자 제동 요구시 제동력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제어를 위해 제동력 학습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화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 및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으로부터 각각 운전자 제동요구량에 대한 만족도의 산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와 차량 실제 감속도 간에 차이값을 수치화하여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을 산출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 및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와 차량 실제 감속도의 차이값(DECdiff) 간에 연동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보정 기준 결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학습 수행 이후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라 변동되는 목표 감속도를 예시한 그래프FIG. 1 is a flowchart showing a case wher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for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ctuator driving is performed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corrected according to the braking force learning.
2 is a schematic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learning braking force when a driver is requested to braking for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for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mput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stroke change amount of a brak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lculation method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driver's braking demand from the under stroke change amount and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of the brak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by digitizing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and the actual vehicle decel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fference value (DECdiff) between an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of fuel consumption and a vehicle actual decelera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graph illustrating a target deceleration rate that varies according to a stroke of a brake pedal after execution of braking forc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전자적으로 제동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유압 배력식 제동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제동성향에 맞게 제동력 수준을 학습 보정하여 운전자의 제동성향에 능동적으로 적응하여 제동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비 향상을 위한 제동력 수준과 운전자 제동요구량을 모두 고려하여 제동력을 보정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제동요구량 대비 상대적인 제동력 감소를 통해 연비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 밀린다고 느끼지 않도록 제동감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연비 향상을 위해 제동력을 감소시킴에 의해 운전자가 제동 시 느끼는 밀림감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동력 제어를 이루어지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aulic-pressure-type braking device in which a braking force is electronically controlled as a driver depresses a brake pedal, wherein the braking force is learned and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braking tendency, and the braking force is actively adjusted The braking force can be corrected and controlled based on both the braking force level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and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the driver so that the braking force is reduced relative to the driver braking force and the driver feels that the brake pedal is pushed Ensure that your feelings are properly maintain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feels a trembling feeling in braking by reducing the braking force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the braking force control is performed in a direction to increase the braking forc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연비 향상을 위해 제동력을 감소시켜 급제동을 방지함에 의해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차량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이 밀린다고 느끼게 될 경우, 제동력 학습(즉, 목표 제동력 보정) 누적을 통해 운전자의 동일한 페달 밟음량(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차량의 제동력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금씩 변화시킴으로써, 다시 말해 운전자 제동요구량 대비 연비 향상을 위해 감소된 제동력 감소량을 제동량 학습 누적을 통해 조금씩 줄임으로써,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 밀린다고 느끼지 않을 정도까지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feels that the brake pedal is pushed as much as the driver does not by the reduction of the braking force by reducing the braking force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the braking force learning (i.e., the target braking force correction) By slightly reducing the braking force reduction amount in order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relative to the driver braking required amount by accumulating the braking force little by little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pedal depression amount (brake pedal stroke) So that the braking force can be improv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brake pedal does not feel depress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제동력 학습량(즉, 제동력 보정량)이 증대됨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제동력, 연비 향상을 위한 최소한의 제동력, 운전자가 적응하는 제동장치의 제동력 수준(즉,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밟음량에 따라 발생하는 제동장치의 제동력 수준)을 조화시키게 되어 운전자의 제동감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비를 향상시키는 제동력을 구현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raking force learning amount (i.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amoun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the braking force desired by the driver, the minimum braking force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and the braking force level of the braking device adapted to the driver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which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braking device) is matched with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첨부한 도 1은 운전자 제동요구 정보,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외부 환경 정보, 교통 정보 등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경우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보정한 제동력 발생을 위해 액추에이터 구동이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2는 운전자 제동 요구시 제동력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제동력 학습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1 shows a case wher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based on detection results of driver braking request information, vehicle state information,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shows that the actuator is driven for generating braking force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learning braking force when a driver braking is requested,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먼저, 운전자 제동요구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제동력 학습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도 1에 보듯이, 실시간으로 검출한 운전자 제동요구 정보,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외부 환경 정보, 네트워크 교통 정보 등이 이용된다.Firs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in a situation where a driver braking demand occurs, driver braking request information, vehicle state information, vehicl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network traffic information detected in real time are used as shown in FIG. 1 .
운전자 제동요구는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의 압력,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되고, 차량 상태는 차속, 감속도, 요레이트, 횡가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되고, 차량 외부 환경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 전방 장애물과의 이격 거리, 차량 위치(GPS 위치), 도로 구배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되고, 네트워크 교통 정보는 교통 표지판 위치 및 내용, 신호등 위치 및 상태, 교차로 위치, 공사 위치 등의 정보로서 파악된다.The driver braking request is grasped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stroke of the brake pedal, the pressure of the brake master cylinder,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vehicle state is grasped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vehicle speed, deceleration, yaw rate, lateral accelera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preceding vehicl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preceding obstacle, a position of the vehicle (GPS position), a gradient of the road and the network traffic information includes traffic sign position and contents, , An intersection position, a construction position, and the like.
일례로, 운전자 제동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제동이 발생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braking is occurring based on the driver braking request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인지 판단한다.It detects the abov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learn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또한, 도 2에 보듯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 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제동력(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른 목표 제동력) 학습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제동력의 보정을 위한 제동력 보정 학습량(즉, 제동력 보정치)을 결정을 위한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driver brakes the vehicle by depressing the brake ped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aking force (target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stroke of the brake pedal) can be learn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at i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value) for determin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value.
그리고, 결정한 제동력 보정 기준에 따라 산출되는 제동력 보정 학습량을 이용하여 목표 제동력을 보정함으로써 제동력 학습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학습된 제동력은 다음 제동 시에 반영된다.Then,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erformed by correcting the target braking force us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braking force correction standard, and the learned braking force is reflected at the next braking.
따라서, 제동력 학습을 통해 보정된 최종 제동력(목표 제동력 + 제동력 보정 학습량)이 다음 제동 시의 목표 제동력이 된다.Therefore, the final braking force (target braking force +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corrected through braking force learning becomes the target braking force at the next braking.
다시 말해, 소정의 페달 스트로크에 매칭되는 목표 제동력에 제동력 보정 학습량(제동력 보정치)을 합산하여 보정된 최종 제동력(목표 제동력 + 제동력 보정 학습량)이 다음 제동 시의 목표 제동력이 된다.In other words, the final braking force (target braking force +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ed amount) corrected by add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braking force correction value) to the target braking force matched to the predetermined pedal stroke becomes the target braking force at the next braking.
이때 상기 최종 제동력은 제동장치의 제동력 발생을 위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통해 구현된다.At this time, the final braking force is realized by driving the actuator for generating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그리고, 상기 제동력 학습과 더불어 제동력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내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제동요구의 감지를 위한 운전자 제동요구 감지부, 상기 차량 상태의 감지를 위한 차량 상태 감지부, 상기 차량 외부 환경의 감지를 위한 차량 외부 환경 감지부, 상기 네트워크 교통 정보의 감지를 위한 네트워크 교통 정보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축될 수 있다.The in-vehicle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braking force learning together with the braking force learning includes a driver braking deman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driver braking demand, a vehicle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vehicle state, And a network traffic inform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network traffic information.
또한, 차량 제동이 요구될 때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급제동 상황, 교통신호, 및 선회 상황 등과 같은 조건이 제동력 학습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에 불분명한 제동 상황일 경우에는 제동력 학습을 배제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when the vehicle braking is requested, in a braking situation in which the conditions such as the sudden braking state, the traffic signal, and the turning state are unclear for determining whether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Exclude learning.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제동 상황이 아닌 조건, 차속에 따라 전방 물체와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조건,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 및 변동횟수(이동빈도)가 각각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조건, 교차로에 차량이 근접하고 있지 않거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의 신호등 신호가 녹색(주행가능상태의 신호)인 조건, 차속 감소 상황과 관련된 교통표지가 주변에 없는 조건, 차량의 요레이트 및 횡가속도 또는 조향각이 작은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차량 제동시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인지 판단하고 제동력 학습 수행을 결정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a condi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orward object is sufficiently secured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other than the sudden braking situation, a condition in which the stroke variation amount of the brake pedal and the variation frequency (movement frequency) A condition in which the vehicle is not in proximity to the vehicle or the traffic light signal in front of the vehicle is a green (signal capable of running)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no traffic sig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speed reduction situation, If all of these small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at the time of vehicle braking and the execution of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determined.
여기서, 급제동 상황의 여부는 차량의 감속도 크기값으로 판단하고, 차량의 감속도가 설정된 제1기준값(기준감속도) 이하이면 급제동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Here, whether or not the sudden braking state is determined is determined as the vehicle deceleration magnitude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in a sudden braking state if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reference deceleration).
차속에 따른 전방 물체와의 거리 확보는 차속에 따라 가변 결정되는 제2기준값(기준간격)과 비교하여 판단되며, 전방 물체와의 거리가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전방 물체와의 안전 거리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된다.The distance to the forward object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i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a second reference value (reference interval) that is vari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when the distance from the forward objec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cured.
이때 상기 제2기준값은 차속에 따른 제2기준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전 구축된 맵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acquired from a map constructed in advance to determine a second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다음,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 및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변동횟수가 각각 설정된 제3기준값(기준변동량)과 제4기준값(기준변동횟수) 이하이면, 운전자의 급격하거나 빈번한 브레이크 페달 조작(제동 요구)이 미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Next, if the stroke variation amount of the brake pedal and the number of times of positional variation of the brake pedal are respectively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reference variation amount) and the fourth reference value (reference variation number), the driver's sudden or frequent brake pedal operation .
차량이 교차로에서부터 정해진 제5기준값(기준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차량이 교차로에 근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위치 및 교차로에 대한 이격 거리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vehicle is locat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intersection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reference distance)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pproaching the intersection. At this time, the vehicle position and the distance to the intersection are determined in real time can do.
내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교통 정보나 전자식 교통표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속 감소 상황을 발생시키는 교통표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에서 차속 감소가 필요함을 안내하지 않거나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취득한 전자식 교통표지의 정보가 차속 제한용 표지가 아닌 경우, 차속 감소 상황을 발생시키는 교통표지가 차량 주변에(즉, 주행 중인 도로상에)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raffic sign that causes a vehicle speed reduction situation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by navigation or electronic traffic sign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electronic traffic sign ,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traffic sign around the vehicle (that is, on the running road) that causes the vehicle speed reduction situation.
그리고, 차량의 요레이트와 횡가속도 및 조향각 정보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요레이트 센서, 횡가속도 센서, 조향각 센서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며, 취득한 요레이트와 횡가속도 정보가 각각 설정된 제6기준값(기준요레이트) 및 제7기준값(기준횡가속도)보다 작거나, 또는 취득한 조향각 정보가 설정된 제8기준값(기준조향각)보다 작으면,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The yaw rate, the lateral acceleration, and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be acquired from a yaw rate sensor,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nd a steering angl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acquired yaw rate and lateral acceleration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set to a sixth reference value Rate) and the seventh reference value (reference lateral acceleration), or if the obtained steering angle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set eighth reference value (reference steering angle), it is judged that the conditions capable of braking force learning are satisfied.
상기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이면, 운전자의 답력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매칭되는 목표 제동력을 보정하여 제동력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학습된 제동력은 다음 제동 시에 반영된다.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erformed by correcting the target braking force that matches the stroke of the brake pedal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abilities. The learned braking force is reflected at the next braking.
여기서, 제동력 보정은 2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제동력이 발생하고 있는가의 관점이다. 운전자 제동요구량의 관점에서 운전자 제동요구량을 얼마나 만족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On demand stop score)(혹은 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 스코어)를 도입한다. 두번째는 차량 연비 관점이다. 불필요한 급제동은 차량 연비를 악화시키게 되므로 연비 관점에서 제동력이 연비 개선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즉, 제동 상황에서의 연비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conomy stop score)(혹은 연비 만족 스코어)를 도입한다.Her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is performed from two viewpoints. The first is the viewpoint of whether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as much as the driver wants. An on demand stop score (or driver braking demand satisfaction score) is introduced as an index indicating how much the driver braking demand is satisfi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river braking demand. The second is vehicle fuel efficiency. Since the unnecessary sudden braking deteriorates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an index indicating whether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at a level at which the braking force can be improved in terms of fuel economy (that is, a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fuel economy in the braking situation) is referred to as an economy stop score Satisfaction score).
그리고, 상기 2가지 관점에서 연비 관점에 어느 정도의 가중치를 둘 것인지 별도의 가중치(α)를 상수값으로서 설정하여 제동력 보정 학습량을 최종 결정하며,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어느 관점을 기준으로 제동력 보정을 수행할지 결정한 후 제동력 보정에 따른 제동력 학습이 이루어진다.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finally determined by setting a weight (?) As a constant value to what degree the weight is to be given to the fuel consumption point from the two viewpoints, and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it is determined which point of view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is to be performed on, and then braking force lear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이에 따라, 도 4에 보듯이, 제동력 보정 기준을 선택 결정하는 과정은,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단계;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에 대해 정해진 이코노미 스탑 가중치(α)를 기반으로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합산한 값으로서 토탈 스탑 스코어(T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토탈 스탑 스코어가 설정된 기준 스탑 스코어(Tthreshold) 미만이면,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의 크기값 비교 결과에 따라 운전자 제동요구량과 연비 중 제동력 보정 기준을 선택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결정한 제동력 보정 기준에 기초하여 제동력 보정 학습량을 결정 산출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determin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includes: calculat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Calculating a total stop score (Tscore) as a sum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based on the economy stop weight (?) Determined for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If the total stop score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stop score (T threshold ),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criterion during driver braking demand and fuel consumption is select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comparison result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and calculated based on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thus determined.
그리고, 도 5에 보듯이,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밟음에 의해 발생하는 페달 스트로크 패턴을 판단하고, 페달 스트로크 패턴에 따른 스트로크 변화량을 산출/파악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포지션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화량에 따른 운전자의 제동요구량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수치화한 제동요구량 만족도의 평균값으로서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결정/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5,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the pedal stroke pattern generated by the brake pedal depression of the driver is determined, and the stroke change amount according to the pedal stroke pattern is calculated / grasped step; Numerically express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driver's braking demand amount according to the stroke change amount of the brake pedal whenever stroke variation (position variation) of the brake pedal occurs; And determining / calculat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as an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도 6의 (a)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을 수행한 후 원하는 감속도(요구감속도)가 발생하지 않아 브레이크 페달을 추가적으로 밟게 됨에 따른 차량 감속도 및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a)와 반대의 상황으로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을 수행한 후 원하는 감속도(요구감속도)보다 큰 감속도가 발생하여 오버브레이킹(overbraking)되고 있을 때의 차량 감속도 및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를 나타낸 것이다.6 (a) shows the vehicle deceleration and brake pedal stroke as the brake pedal is additionally depressed by the driver since the desired deceleration (required deceleration) does not occur after the driver performs the braking by depressing the brake pedal. Fig. 6 (B) is a situation opposite to (a) in which the vehicle decelerates after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and then decelerates to a desired deceleration (over-brakeing) And brake pedal strokes.
도 6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전자가 차량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뒤 일정시간(δTA)이 경과한 뒤에 원하는 감속도(요구감속도)가 나오지 않으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추가로 더 밟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더 밟은 후 일정시간(δTB)이 지난 후 추가적으로 밟은 브레이크 페달의 언더브레이킹 스트로크(δSunderbraking1)를 계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if the desired deceleration (required deceleration) does not occur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ΔT A after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for braking the vehicle, the driver releases the brake pedal I will step further. The under braking stroke (? S underbraking1 ) of the brake pedal which is additionally depres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 T B ) after the brake pedal is further depressed can be calculated.
다시 말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1차로 밟은 뒤 일정시간(δTA)이 경과한 뒤에 검출한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와, 요구감속도가 만족되지 않아 브레이크 페달을 2차로 밟은 뒤 일정시간(δTB)이 지난 후 검출한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 간에 차이를 계산하여, 추가적으로(2차로) 밟은 브레이크 페달의 언더브레이킹 스트로크(δSunderbraking1) 즉, 요구감속도가 부족하여 만족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1)을 계산하여 파악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detected brake pedal stroke and the required deceleration rate are not satisfied after the driver has depressed the brake pedal first time and the predetermined time (DELTA T A ) has elapsed, the predetermined time DELTA T B The under brake stroke (? S underbraking1 ) of the brake pedal which is additionally (secondarily) depressed, that is,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of the brake pedal (δS underbraking1 ).
이때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를 통해 검출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brake pedal strok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brake pedal position sensor of the vehicle.
도 6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뒤 일정시간(δTA)이 경과한 뒤에 원하는 감속도(요구감속도)보다 큰 차량 감속도가 발생하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 답력을 축소하여 페달 밟음량을 줄이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량을 감소시키고 일정시간(δTB)이 지난 후 축소시킨 페달 밟음량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오버브레이킹 스트로크(δSoverbraking1)를 계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when a vehicle deceleration that is greater than a desired deceleration (required deceleration) occurs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ΔT A after the driver steps on the brake pedal, The pedal pressure is reduced by reducing the pedal pressure.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step on the brake pedal, and to calculate the certain period of time (δT B) over-braking stroke (δS overbraking1) of the brake pedal according to the pedal tread volume was reduced after the last.
다시 말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1차로 밟은 뒤 일정시간(δTA)이 경과한 뒤에 검출한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와, 요구감속도가 과다하게 발생되어 2차로(추가로)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량을 감소시키고 일정시간(δTB)이 지난 후 검출한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 간에 차이를 계산하여, 추가적으로(2차로) 페달 답력을 조절하여 변동시킨 브레이크 페달의 오버브레이킹 스트로크(δSoverbraking1) 즉, 요구감속도가 과다하여 만족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1)을 계산하여 파악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river is also the
이에 따라, 차량 제동시 운전자가 2차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패턴은 언더 스트로크 패턴(혹은 언더브레이킹 패턴)인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량을 축소시키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패턴은 오버 스트로크 패턴(혹은 오버브레이킹 패턴)인 것으로 판단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at the time of braking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oke pattern of the brake pedal is an under-stroke pattern (or an under braking pattern). When the driver reduces the amount of stepping on the brake pedal, It is judged that the pattern is an overstroke pattern (or an overbraking pattern).
상기와 같이 산출한 브레이크 페달의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 및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으로부터 각각 운전자 제동요구량에 대한 만족도를 도 7에 나타낸 그래프를 기반으로 수치화(Dunderbraking, Doverbraking)할 수 있다.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driver's braking demand can be quantified (D underbraking , D overbraking ) based on the graph shown in FIG. 7 based on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S underbraking and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S overbraking of the brake pedal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have.
도 7의 (a)와 (b)에 나타낸 그래프는 각각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패턴이 언더 스트로크 패턴인 경우와 오버 스트로크 패턴인 경우 운전자 제동요구량에 대한 만족도를 미리 맵핑하여 구축된 것으로서,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과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에 기초하여 운전자 제동요구량에 대한 만족도(Dunderbraking, Doverbraking)를 수치화하여 결정하는데 사용된다.The graphs shown in Figs. 7 (a) and 7 (b) are constructed by previously mapping the stroke pattern of the brake pedal to the under-stroke patter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driver's braking demand in the case of the over-stroke pattern, (D underbraking , D overbraking ) on the basis of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ΔSunderbraking) and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ΔSunderbraking).
도 7의 (a)와 같이 언더 스트로크 패턴에 대해 구축된 제동요구량 만족도 맵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의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이 작은 값을 가질수록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가 큰 값으로 결정되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가 증가하게 되고,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이 큰 값을 가질수록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가 작은 값으로 결정되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에 대한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는, 최대값(Dunderbraking.max)과 최소값(0)이 설정되어 있어서,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이 로우값(δSunder.low) 이하로 발생하는 경우 최대값(Dunderbraking.max)으로 유지되고, 하이값(δSunder.high)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최소값(0)으로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map constructed for the under-stroke pattern as shown in Fig. 7 (a),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underbraking ) is determined to be a larger value as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Delta] Sunderbraking of the brake pedal has a smaller value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increases, and as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delta] Sunderbraking has a large value, the satisfaction of the braking demand (D underbraking ) is determined to be a small value and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decreases. The brake demand satisfaction with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δSunderbraking) (D underbraking), the maximum value (D underbraking.max) and the minimum value in (0) is set, under the stroke change amount (δSunderbraking) to a low value (δSunder.low) (D underbraking.max ), and when it occurs above the high value (delta Sunder.high), it is maintained at the minimum value (0).
또한, 도 7의 (b)와 같이 오버 스트로크 패턴에 대해 구축된 제동요구량 만족도 맵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의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이 작은 값을 가질수록 제동요구량 만족도(Doverbraking)가 큰 값으로 결정되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가 증가하게 되고,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이 큰 값을 가질수록 제동요구량 만족도(Doverbraking)가 작은 값으로 결정되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에 대한 제동요구량 만족도(Doverbraking)는, 최대값(Doverbraking.max)과 최소값(0)이 설정되어 있어서,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이 로우값(δSover.low) 이하로 발생하는 경우 최대값(Doverbraking.max)으로 유지되고, 하이값(δSover.high)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최소값(0)으로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map constructed for the overstroke pattern as shown in FIG. 7 (b),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overbraking ) becomes larger as the overstroke variation amount? S overbraking of the brake pedal becomes smaller The determined demand stop score Davg increases and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overbraking is determined to be a smaller value as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S overbraking has a larger value to reduce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 At this time,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overbraking with respect to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S overbraking is set such that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S overbraking is set to the low value? S over.low because the maximum value D overbraking.max and the
다시 말하면,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δSunderbraking) 또는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δSoverbraking)이 작을수록 운전자의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 Doverbraking)가 큰 값으로서 결정되고,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 Doverbraking) 값이 클수록 운전자 제동요구량이 만족된다는 의미이므로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도 큰 값으로서 결정되게 된다.In other words, as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Delta] Sunderbraking or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Delta] Soverbraking is smaller, the driver's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underbraking , D overbraking ) is determined to be a large value and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underbraking , D overbraking ) The greater the value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is determined to be, since it means that the driver braking demand is satisfied.
차량 제동시 운전자는 통상 원하는 감속도가 구현될 때까지 브레이크 페달을 추가적으로 밟아 페달 밟음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량을 감소시키는 상황을 1회 이상 반복하게 된다.During braking, the driver typically repeats the situation of increasing the pedal depression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additionally, or decreasing the pedal depression of the brake pedal, more than once until the desired deceleration is achieved.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포지션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에 따른 운전자의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 Doverbraking)를 상술한 바와 같이 수치화한다.Therefore, every time the stroke fluctuation (position fluctuation) of the brake pedal occurs, the satisfaction of the driver's braking demand amount (D underbraking , D overbraking ) according to the stroke variation amount of the brake pedal is numerically expressed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차량 제동 중 운전자가 추가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상황이 여러 번(n회) 발생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스트로크 변동량(δSunderbraking)을 수치화한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n)를 평균하여 산출값으로서 제1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avg)를 계산하고, 차량 제동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량을 감소시키는 상황이 여러 번(m회) 발생하는 경우에도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스트로크 변동량(δSoverbraking)을 수치화한 제동요구량 만족도(Doverbraking.m)를 평균하여 산출한 값으로서 제2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Doverbraking.avg)를 계산한다.Accordingly,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 further depresses the brake pedal occurs several times (n times) during the vehicle braking,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underbraking ) in which the stroke variation amount (delta Sunderbraking) is quantified every time the stroke change of the brake pedal occurs . n ) to calculate the first driver's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underbraking.avg ) as the calculated value, and even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 during braking reduces the amount of depression of the brake pedal occurs several times (m times) The second driver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overbraking.avg ) is calculated as a valu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overbraking.m ) obtained by digitizing the stroke variation amount (ΔSoverbraking) whenever the stroke variation of the pedal occurs.
그리고, 상기 제1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avg)와 제2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Doverbraking.avg)를 평균하여 연산한 값으로서 최종적으로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결정한다.The on-demand stop score (Davg) is finally determined as a valu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first driver's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underbraking.avg ) and the second driver's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D overbraking.avg ).
운전자의 제동요구량 만족도(Dunderbraking.n, Doverbraking.m)에 기초하여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계산하는 과정은 아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driver's braking demand (D underbraking.n , D overbraking.m ) can be expressed as
식 1 : Equation 1:
다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산출하는 단계는, 연비에 대한(혹은 연비 향상을 위한) 최적 요구감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차량의 실제 감속도와 상기 연비에 대한 최적 요구감속도 간에 차이값(DECdiff)을 계산하는 단계; 차량 제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차이값(DECdiff)을 누적 합산한 값으로서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 8, calculating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includes: determining an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for fuel economy (or for improving fuel economy);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DECdiff) between an actual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an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for the fuel economy; And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as a value obtained by cumulatively adding the difference value (DECdiff) generated during vehicle braking.
상기 연비에 대한 최적 요구감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차량 현재 위치 정보(GPS 위치 정보)와 교통 정보와 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및 교통 신호등 정보 등에 기초하여 연비 향상을 위한 최적의 요구감속도를 산출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for the fuel economy, the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for fuel economy improvement based on the vehicl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GPS position informati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preceding vehicle, .
구체적으로, 연비에 대한 최적 요구감속도(혹은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라고 함)란 운전자 제동요구량 대비 연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최적의 요구감속도로서, 급제동 등을 방지하고 연비 향상에 유리하도록 결정되는 값이다. Specifically, the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or the 'optimum fuel-economy required deceleration') for the fuel economy is an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el consumption relative to the driver's braking demand, so as to prevent sudden braking, Is a determined value.
상기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는, 기본 권장 감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주행중인 차량이 정차할 때까지의 예상거리(정차 예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차 예상거리에 기초하여 정차할 때까지 필요한 감속도(정차 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차 감속도와 기본 권장 감속도에 기초하여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통해 구할 수 있다.Wherein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is determined by: setting a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Calculating a predicted distance (a predicted stopping distance) until the vehicle stop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Calculating a required deceleration (stop deceleration) until stopping based on the estimated stop distance; And determining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based on the stop deceleration and the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상기 기본 권장 감속도는 제동 시 연비 향상을 위한 일정 감속도 값으로서 설정된다.The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is set as a constant deceleration value for improving the fuel economy during braking.
상기 정차 예상거리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와, 차량의 현재 위치와 전방의 교차로 정지선까지의 거리 중 더 작은 값으로서 산출되며, 이러한 정차 예상거리는 전방의 교통 신호등 정보가 적색 신호(정차 신호)일 때에만 계산된다.The stop estimated distance is calculated as a smaller value of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intersection stop line in front of the vehicle. Such a stop estimated distance is calculated only when the preceding traffic light information is a red signal .
상기 정차 감속도(a)는 정차 예상거리(S)와 현재 차속(V1)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구체적으로 아래 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stop deceleration (a)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stopping distance S and the current vehicle speed V1, and can be specifically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식 2 : Equation 2:
상기 식 2는 현재 차속이 0이 될 때까지의 운동에너지 공식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즉, V1는 현재 차속이고 V2는 정차시 차속이라고 하면, Equation 2 can be derived using the kinetic energy formula until the current vehicle speed becomes zero. That is, if V1 is the current vehicle and V2 is the vehicle speed at the stop,
이고, F=m*a이므로 상기 식 2가 도출된다. And F = m * a, so that the above equation 2 is derived.
그리고,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는 상기 정차 감속도와 기본 권장 감속도 중에 더 큰 값으로서 결정된다.Then,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is determined as a larger value among the stop deceleration and the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상기와 같이 산출한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와 제동에 의한 차량의 실제 감속도를 비교하여,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와 실제 감속도 간에 차이값(DECdiff)을 계산할 수 있다.The difference value DECdiff between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and the actual deceleration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uel consumption optimum deceleration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with the actual deceleration of the vehicle by braking.
도 9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상기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와 제동에 의한 실제 감속도는 각각 운전자 요구에 따른 차량 제동 중에 가변 발생하므로, 차량 제동 시간 동안 발생하는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와 실제 감속도 간에 차이값(DECdiff)을 적분을 통해 누적 합산하여 수치화함으로써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을 산출할 수 있다.9, the actual deceleration by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and the braking is variable during the vehicle braking according to the driver's demand,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timum fuel consumption deceleration required during the vehicle braking time and the actual deceleration (DECdiff) are cumulatively added by integrating and integrating them to calculate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산출한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는 차량 제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차이값(DECdiff)이 일정값 이하일 때는 최대값을 유지하다가 상기 차이값(DECdiff)이 일정값을 초과한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calculated economy stop score (Escore) maintains the maximum value when the difference value DECdiff occurring during the vehicle braking i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difference value DECdiff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ereafter, it gradually decreases.
다음, 차량 연비와 운전자 제동요구량 중 연비 측에 가중치를 두기 위해 정해진 이코노미 스탑 가중치(α)에 기초하여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합산한 값으로서 토탈 스탑 스코어(Tscore)를 결정하며, 이러한 토탈 스탑 스코어(Tscore)는 아래 식 3과 같이 산출한다.Next, a total stop score (a total sum) is calculated as a sum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based on the economy stop weight (?) Determined to set a weight on the fuel consumption side among vehicle fuel economy and driver braking demand Tscore), and the total stop score Tscore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식 3 : Tscore = α×Escore + (1-α)×DavgEquation 3: Tscore =? Escore + (1 -?) 占 Davg
그리고, 상기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도 11에 보듯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의 값을 비교하여 제동력 보정 기준을 선택하는데, 이때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 이상이면 운전자 제동요구량을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하고,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 미만이면 연비를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as shown in FIG. 11, the values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are compared to select a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Dav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the driver braking demand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and when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is less than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the fuel economy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운전자 제동요구량을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제동의지가 반영되어 제동력 보정 학습량이 결정되며, 보정된 목표 제동력(즉, 최종 제동력)은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른 목표 제동력과 제동력 보정 학습량(제동력 보정치)을 합산한 값으로서 결정된다.When the driver's braking demand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driver's braking intent, and the corrected target braking force (i.e., final braking for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arget brak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Braking force correction value).
이때, 상기 제동력 보정 학습량은 스트로크 변화량이 최대치일 때의 페달 스트로크를 기준으로 해당 페달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목표 제동력 수치를 보정하는데 이용된다.At this tim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used to correct the target braking for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edal stroke on the basis of the pedal stroke when the stroke change amount is the maximum value.
다시 말해, 보정할 목표 제동력은 언더 브레이킹 상황과 오버 브레이킹 상황에서 구한 운전자의 추가적인 브레이크 페달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의 페달 스트로크를 참조하여 결정되며, 1회 제동 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추가 조작 횟수가 여러 번인 경우 스트로크 변동량이 최대치일 때의 페달 포지션에서의 목표 제동력을 보정할 목표 제동력으로서 결정된다.In other words, the target braking force to be corrected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pedal stroke before the additional brake pedal operation of the driver, which is obtained in the under braking situation and the over braking situation, is performed. If the number of times of additional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is several The target braking force in the pedal position when the stroke variation amount is the maximum is determined as the target braking force to be corrected.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패턴이 언더 스트로크 패턴인 경우 제동력 보정 학습량은 플러스(+) 값으로서 결정되고,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패턴이 오버 스트로크 패턴인 경우 제동력 보정 학습량은 마이너스(-) 값으로서 결정된다.When the stroke pattern of the brake pedal is an under-stroke pattern,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as a positive (+) value. When the stroke pattern of the brake pedal is an overstroke pattern,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as a minus (-) value.
또한, 스트로크 변화량이 클수록 운전자가 원하는 제동요구량이 만족되지 못한 것이므로, 제동력 보정 학습량은 언더 스트로크 변화량에 비례하는 플러스(+) 값으로서 결정되거나, 또는 오버 스트로크 변화량에 비례하는 마이너스(-) 값으로서 결정된다.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as a positive (+) value proportional to the under-stroke change amount or as a negative (-) value proportional to the overstroke change amount, sinc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amount required by the driver is not satisfied as the stroke change amount increases. do.
또한, 연비를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제동의지가 아니라 연비 관점에서 연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동력 보정 학습량이 결정되며, 보정된 목표 제동력(즉, 최종 제동력)은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른 목표 제동력과 제동력 보정 학습량(제동력 보정치)를 합산한 값으로서 결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fuel consumption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so that the fuel economy can be improved in view of the fuel efficiency, not the driver's braking intent. The corrected target braking force (i.e., final brak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braking force correction value).
이때, 상기 제동력 보정 학습량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에 비례하는 값으로서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is determined a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아울러, 제동력 보정 학습량은 제동 시간 동안 목표 제동력을 점진적으로 미소하게 변동시키도록 합산되며, 다시 말해 목표 제동력은 제동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최종 제동력(목표 제동력 + 제동력 보정 학습량)에 도달하게 되며, 이에 의해 운전자가 제동감이 급격하게 변하는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target braking force i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braking time to reach the final braking force (target braking force +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ed amount), and the target braking force i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braking time. So that the driver does not feel a sense of heterogeneity in which the feeling of change is suddenly changed.
또한,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조건의 차량 제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제동력 학습 누적이 가능하므로, 제동력 보정 학습량이 설정된 일정 수치를 초과할 경우 목표 제동력이 아니라 실제 제동력을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the braking force learning accumulation can be performed as the vehicle braking under the condition capable of learning the braking force is repeatedly performed. Therefore, when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exceeds a predetermined constant value, not the target braking force but also the actual braking force can be corrected.
첨부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학습 수행 이후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라 변동되는 목표 감속도를 예시한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제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보여준다.FIG. 12 is a graph illustrating a target deceleration varying with the stroke of a brake pedal after execution of braking forc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effect obtained by the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보면, 케이스 1의 경우는 제동력 학습 이후 목표 제동력이 낮아짐에 따라 초기(제동력 학습 이전) 대비 목표 감속도가 감소된 상태의 경우이고, 케이스 2는 제동력 학습 이후 제동력이 증가됨에 따라 초기(제동력 학습 이전) 대비 목표 감속도가 감소된 상태의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12,
이때, 목표 제동력의 보정을 통한 변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주행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동력 보정 학습량의 하한치와 법규 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한치를 설정함으로써, 도 12와 같이 제동력 학습 이전의 목표 감속도 대비 제동력 학습 이후의 목표 감속도의 최소치와 최대치를 한정할 수 있다.Since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range of variation through correction of the target braking force at this time, by setting the lower limit of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that does not affect the running stability and the upper limit value that can satisfy the regulatory requirement level, The target deceleration can be limited to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target deceleration after the braking force learn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상황이면, 목표 제동력의 제동력 보정 학습량의 결정을 위한 제동력 보정 기준을 운전자 제동요구량과 연비 중에 선택하는 제2단계;
선택한 제동력 보정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제동력 보정 학습량을 이용하여 목표 제동력을 보정하여 제동력 학습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운전자 제동요구량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단계;
제동 상황에서의 연비 만족도를 나타내는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이코노미 스탑 가중치(α)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상기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합산한 값으로서 토탈 스탑 스코어(Tscore)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토탈 스탑 스코어가 설정된 기준 스탑 스코어 미만이면,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의 크기값 비교 결과에 따라 운전자 제동요구량과 연비 중에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raking force learning for correcting a target braking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a stroke of a brake pedal is possible when a vehicle braking is required;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criterion for determin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of the target braking force among the driver braking demand amount and the fuel consumption ratio when the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braking force learning by correcting the target braking force us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learning amount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braking force correction standard,
The second step includes: calculat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indica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driver braking demand;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indicating a degree of satisfaction of fuel economy in a braking situation;
Calculating a total stop score (Tscore) as a sum of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based on the economy stop weight (?);
Determining a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during driver braking demand and fuel consumption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magnitude values of an on-demand stop score (Davg) and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when the total stop score is less than a set reference stop score;
And a braking for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force based on the driver's braking tendency.
상기 제1단계에서는, 차량의 감속도에 기준한 급제동 여부, 차속에 따른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 확보 여부,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 및 변동횟수, 차량이 교차로에서부터 정해진 기준거리 이상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 전방의 신호등 신호가 주행가능상태인지 여부, 주행중인 도로상에 차속 감소 상황과 관련된 교통표지의 존재 여부, 차량의 요레이트 및 횡가속도가 각각 기준요레이트와 기준횡가속도 미만인지 여부 또는 조향각이 기준조향각 미만인지 여부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제동력 학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tep,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stopped based on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whether the safety distance from the front vehicle is secur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 stroke fluctuation amount and the variation frequency of the brake pedal, whether the vehicle is located apart from the intersection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Whether the signal light signal in front is in a travelable state, whether there is a traffic sign related to a vehicle speed reduction situation on a road under driving, whether the yaw rate and latera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re less than a reference yaw rate and a reference lateral acceler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braking force learning is possible if all of the conditio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raking force is less than the steering angle are satisfied.
상기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산출하는 단계는,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브레이크 페달의 스트로크 변동량에 따른 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수치화한 운전자 제동요구량 만족도를 평균한 값으로서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를 결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Numerically expressing the degree of driver braking dem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troke variation of the brake pedal whenever stroke variation of the brake pedal occurs;
Determining an on-demand stop score (Davg) a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calculated driver braking demand satisfaction degree;
And a braking for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force based on the driver's braking tendency.
상기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판단하는 단계는,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 실제 감속도와 상기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 간에 차이값(DECdiff)을 계산하는 단계;
차량 제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차이값(DECdiff)을 누적 합산한 값으로서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계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Calculating a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DECdiff) between the vehicle actual deceleration and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Calculating an economy stop score (Escore) as a value obtained by cumulatively adding the difference value (DECdiff) generated during vehicle braking;
And a braking for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force based on the driver's braking tendency.
상기 제동력 보정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Davg)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Escore)를 비교하여,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 이상이면 운전자 제동요구량을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하고, 온 디멘드 스탑 스코어가 이코노미 스탑 스코어 미만이면 연비를 제동력 보정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Comparing the on-demand stop score (Davg) with the economy stop score (Escore), if the on-demand stop score is above the economy stop score, then the driver braking demand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standard. If the on-demand stop score is below the economy stop score, Is selected as the braking force correction reference.
상기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a) 기본 권장 감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b) 주행중인 차량이 정차할 때까지의 예상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산출한 예상거리에 기초하여 정차할 때까지 필요한 감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산출한 감속도와 상기 기본 권장 감속도 중 더 큰 값을 연비 최적 요구감속도로서 결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제동성향을 고려한 제동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includes:
(a) setting a default recommended deceleration;
(b) calculating a predicted distance until a vehicle stop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c) calculating a required deceleration until stopping based on the estimated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ep (b);
(d) determining a greater value among the deceleration calculated in the step (c) and the basic recommended deceleration as the fuel economy optimum required deceleration;
The braking force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7415A KR101795251B1 (en) | 2016-05-11 | 2016-05-11 |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by considering driver's propensity to br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7415A KR101795251B1 (en) | 2016-05-11 | 2016-05-11 |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by considering driver's propensity to brak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5251B1 true KR101795251B1 (en) | 2017-11-07 |
Family
ID=6038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7415A KR101795251B1 (en) | 2016-05-11 | 2016-05-11 |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by considering driver's propensity to br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525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2573A (en) * | 2018-11-29 | 2020-06-23 | 한국과학기술원 | Lane-based Probabilistic Surrounding Vehicle Motion Prediction and its Application for Longitudinal Control |
CN112776779A (en) * | 2019-11-11 | 2021-05-1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Variable flexible brak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4409A (en) * | 2012-07-25 | 2014-02-06 | Denso Corp | Vehicle braking control device |
-
2016
- 2016-05-11 KR KR1020160057415A patent/KR1017952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4409A (en) * | 2012-07-25 | 2014-02-06 | Denso Corp | Vehicle braking control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2573A (en) * | 2018-11-29 | 2020-06-23 | 한국과학기술원 | Lane-based Probabilistic Surrounding Vehicle Motion Prediction and its Application for Longitudinal Control |
KR102138979B1 (en) * | 2018-11-29 | 2020-07-29 | 한국과학기술원 | Lane-based Probabilistic Surrounding Vehicle Motion Prediction and its Application for Longitudinal Control |
US11433884B2 (en) | 2018-11-29 | 2022-09-06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Lane-based probabilistic motion prediction of surrounding vehicles and predictive longitudin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CN112776779A (en) * | 2019-11-11 | 2021-05-1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Variable flexible braking system |
CN112776779B (en) * | 2019-11-11 | 2024-02-13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Variable flexible brak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3049B1 (en) |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interlocking with lka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ant speed of the same | |
US10583835B2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adapting acceleration in a motor vehicle | |
US7809488B2 (en) | Headway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 |
US8396639B2 (en) | Vehicle deceleration controller that inhibits warning braking during pre-initiated vehicle deceleration | |
US9196162B2 (en) | Vehicular driving support system | |
KR20150056000A (en) | Adaptive cruis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with sensing distance regul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thereof | |
EP3121423B1 (en) |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 |
EP2168832A1 (en) | Speed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JP2013248925A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US10974723B2 (en) | Drive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US6584395B2 (en) | Vehicle running controller and vehicle | |
US8718891B2 (en) | Smart feel regenerative braking | |
CN103097701A (en) |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 |
US20110282559A1 (en) | Vehicle-use speed control apparatus | |
US2016013720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 |
KR101795251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force by considering driver's propensity to brake | |
US1017368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vehicle longitudinal dynamics | |
JP4613124B2 (en) | Navigation cooperative travel control device | |
CN114906137A (en) | Adaptive cruise control with user-defined lateral acceleration threshold | |
KR20150134059A (en) |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with vehicle interval regul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thereof | |
JPWO2012098963A1 (en) |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 |
JP2018193011A (en) | Control device of vehicle | |
JP2015067193A (en) | Preceding vehicle selection device | |
JP6311288B2 (en) | Braking /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and braking /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 |
JP4083552B2 (en) | Vehicle alarm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