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005B1 - 피부용 클렌징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용 클렌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05B1
KR101795005B1 KR1020150184669A KR20150184669A KR101795005B1 KR 101795005 B1 KR101795005 B1 KR 101795005B1 KR 1020150184669 A KR1020150184669 A KR 1020150184669A KR 20150184669 A KR20150184669 A KR 20150184669A KR 101795005 B1 KR101795005 B1 KR 10179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xes
cross shaft
cleans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253A (ko
Inventor
곽택종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8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05B1/ko
Priority to CN201621232086.1U priority patent/CN206491736U/zh
Publication of KR2017007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46B7/02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where the bristle carrier collaps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06Brushes for cleaning the hand or the huma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피부용 클렌징 장치가 개시된다. 두 개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렌징 본체부룰 포함하며, 얼굴 형상에 맞춰 기울어지는 브러쉬부의 피부 밀착 정도가 증가하여, 피부 세정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피부용 클렌징 장치{Cleansing apparatus for skin}
본 발명은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러쉬가 구비된 피부용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의 미 특히, 피부의 미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청결하고도 체계적인 피부관리가 요구되는 바, 이를 위한 수단으로 피부미용 관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피부미용 관리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각각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신체 중 얼굴의 피부미용 관리를 위한 피부미용 관리기로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얼굴에 도포되어 있는 세안용 크림을 문질러, 모공 깊숙히 인입된 화장품, 노폐물 등을 빼내는 클렌징 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클렌징 장치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태의 클렌징 본체부 및, 클렌징 본체부에 결합되는 브러쉬판과 브러쉬판에 고정되는 브러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 클렌징용 브러쉬는, 클렌징 본체부에 고정 결합되는 평면의 브러쉬판에 고정되므로, 피부 세정시 돌출되거나 움푹들어간 얼굴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때문에 피부로부터 화장품 또는 노폐물을 제거하기에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브러쉬의 피부 밀착 정도를 계속해서 높은 상태로 유지하여 피부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징 장치는 두 개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렌징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회전 방향은 피치 방향 및 롤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부는, 사용자 피부 세정에 이용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 고정부; 수평 방향 사방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축을 가지고, 상기 네 개의 축 중 제1, 제2 축이 상기 브러쉬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십자축; 및 상기 십자축의 네 개의 축 중 제3, 제4 축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고정부는, 상기 브러쉬가 고정되는 일면을 구비한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십자축의 제1, 제2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부재가 회전하면 피치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십자축의 제3, 제4 축이 회전하면 롤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십자축의 제3, 제4축이 연결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한 쌍의 제2 수직부재;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본체부는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상기 회전축부의 원통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 상기 십자축 및 상기 브러쉬 고정부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요 방향으로 연동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십자축의 네 개의 축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징 장치에 의하면, 브러쉬 고정부가 얼굴 형상에 따라 피치 방향 또는 롤 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브러쉬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의 피부 밀착 정도가 계속해서 높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러한 브러쉬에 의해 피부 세정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브러쉬부를 위에서 본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징 장치(10)는 브러쉬부(100) 및 클렌징 본체부(200)를 포함하며, 브러쉬부(100)가 두 개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클렌징 본체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클렌징 본체부(200)가 브러쉬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피부 세정시, 사용자 얼굴 형태에 맞춰 브러쉬부(100)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어, 브러쉬부(100)의 피부 밀착 정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고, 이러한 브러쉬부(100)에 의해 피부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브러쉬부(100)는 브러쉬(110), 브러쉬 고정부(120), 십자축(130), 회전축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피치(Pitch) 방향(도 2기준) 및 롤(Roll) 방향(도 2기준)으로 기울어지거나 요(Yaw) 방향(도 2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브러쉬(110)는 사용자 피부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문지르게 되면, 사용자 피부로부터 화장품,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브러쉬 고정부(120)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브러쉬 고정부(120)는 판부재(121) 및 제1 수직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판부재(121)는 원형의 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부재(121)의 일면에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쉬(110)는 판부재(121)의 고정홈에 고정될 수 있다.
판부재(121)의 타면에는 제1 수직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직부재(122)는 판부재(121)의 타면으로부터 수직방향(도1 기준)으로 연장되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부재(122)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부재(122)는 관통홀을 통해 십자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십자축(130)은 중심부로부터 수평 방향(도 1기준)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네 개의 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네 개의 축은 제1, 제2, 제3, 제4 축(s1, s2, s3, s4)을 포함할 수 있다.
십자축(130)의 제1 축(s1)은 중심부로부터 좌측(도3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고, 십자축(130)의 제2 축(s2)은 중심부로부터 우측(도3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며, 십자축(130)의 제3 축(s3)은 중심부로부터 상측(도3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고, 십자축(130)의 제4 축(s4)은 중심부로부터 하측(도3 기준)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십자축(130)의 제1, 제2 축(s1, s2)은 한 쌍의 제1 수직부재(122)의 관통홀에 삽입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십자축(130)의 제1, 제2 축(s1, s2)은 한 쌍의 제1 수직부재(122)의 중심축이 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수직부재(122)는 십자축(130)의 제1, 제2 축(s1, s2)을 통해 피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십자축(130)의 제1, 제2 축(s1, s2)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는, 외부 힘이 없을 경우 수평한 상태의 브러쉬 고정부(120)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기울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코일형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는, 십자축(130)의 제1, 제2 축(s1, s2)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제1 수직부재(122) 각각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에 의해 일부분이 지지됨으로써, 브러쉬 고정부(120)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기울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쉬 고정부(120)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상기한 탄성부재에 의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적용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십자축(130)의 제3, 제4 축(s3, s4)은 회전축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십자축(130)의 제3, 제4 축(s3, s4)이 회전되면, 브러쉬 고정부(120)가 롤 방향으로 연동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회전축부(140)는 요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러쉬 고정부(120)를 요 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제2 수직부재(141), 수평부재(142) 및 원통부재(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140)는, 예컨대 한 쌍의 제2 수직부재(141) 각각의 상부(도1 기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수평부재(142)가 한 쌍의 제2 수직부재(141)의 하부(도1 기준)를 연결하고, 원통부재(143)가 수평부재(142)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140)의 원통부재(143)는 클렌징 본체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십자축(130)의 제3, 제4 축(s3, s4)은, 한 쌍의 제2 수직부재(141)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다. 이때 십자축(130)의 제3, 제4 축(s3, s4)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십자축(130)의 제3, 제4 축(s3, s4)이 외부 힘 없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십자축(130)의 제1, 제2 축(s1, s2)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외부 힘 없이 십자축(130)의 제3, 제4 축(s3, s4)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상기한 탄성부재에 의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적용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클렌징 본체부(2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일측이 형성되고, 브러쉬부(1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타측이 형성될 수 있다. 클렌징 본체부(200) 타측에는 회전축부(140)의 원통부재(143)의 위치가 한정되도록 하는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g)에 삽입되는 회전축부(140)의 원통부재(143)는, 외부로 이탈되지 않은 채 회전 가능하다.
또한 클렌징 본체부(200)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는 회전축부(140)의 원통부재(143)와 모터축이 연결됨으로써, 회전축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축과 회전축부(140)의 연결은 기어 등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클렌징 본체부(20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징 장치(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피부 세정을 위해, 사용자가 클렌징 본체부(200)를 손에 파지한 채 브러쉬부(100)의 브러쉬(110)를 얼굴에 맞닿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클렌징 본체부(200)의 모터를 동작시켜 브러쉬부(100)를 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쉬부(100)가 회전하면 피부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클렌징 본체부(200)를 거의 수직한 상태로 유지한 채, 브러쉬(110)를 얼굴 전체에 걸쳐 문지르게 되면, 돌출되거나 움푹들어가는 사용자 얼굴 형상에 따라 회전하고 있는 브러쉬 고정부(120)가 피치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롤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브러쉬(110)를 피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손동작이 거이 없어도, 브러쉬 고정부(120)가 얼굴 형상에 따라 피치 방향 또는 롤 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브러쉬(110)의 피부 밀착 정도는 계속해서 높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러한 브러쉬(110)에 의해 피부 세정력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피부용 클렌징 장치
100: 브러쉬부
110: 브러쉬
120: 브러쉬 고정부
121: 판부재
122: 제1 수직부재
130: 십자축
s1, s2, s3, s4: 제1, 제2, 제3, 제4 축
140: 회전축부
141: 제2 수직부재
142: 수평부재
143: 원통부재
200: 클렌징 본체부

Claims (9)

  1. 두 개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브러쉬부; 및
    상기 브러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렌징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사용자 피부 세정에 이용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 고정부, 수평 방향 사방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축을 가지는 십자축 및, 상기 십자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고정부는, 상기 브러쉬가 고정되는 일면을 구비한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축의 네 개의 축은 제1, 제2, 제3, 제4 축을 포함하고,
    상기 십자축의 제1, 제2 축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십자축의 제3, 제4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한 쌍의 제2 수직부재,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피부용 클렌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방향은 피치 방향 및 롤 방향을 포함하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부재가 회전하면 피치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십자축의 제3, 제4 축이 회전하면 롤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본체부는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상기 회전축부의 원통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 상기 십자축 및 상기 브러쉬 고정부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요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축의 네 개의 축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
KR1020150184669A 2015-12-23 2015-12-23 피부용 클렌징 장치 KR10179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69A KR101795005B1 (ko) 2015-12-23 2015-12-23 피부용 클렌징 장치
CN201621232086.1U CN206491736U (zh) 2015-12-23 2016-11-16 皮肤用清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69A KR101795005B1 (ko) 2015-12-23 2015-12-23 피부용 클렌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53A KR20170075253A (ko) 2017-07-03
KR101795005B1 true KR101795005B1 (ko) 2017-11-07

Family

ID=5935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69A KR101795005B1 (ko) 2015-12-23 2015-12-23 피부용 클렌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5005B1 (ko)
CN (1) CN20649173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075A1 (ko) 2018-05-03 2019-1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장치
CN109008744B (zh) * 2018-09-13 2020-11-13 永康市华格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多功能洁面仪
CN112472470B (zh) * 2020-12-22 2021-08-31 四川省妇幼保健院 一种卧床患者护理清洗装置
CN113892846A (zh) * 2021-10-11 2022-01-07 吉林大学 一种便携式泌尿外科恒温恒压清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026Y1 (ko) * 2005-04-04 2005-07-07 이영길 면도기
KR101425988B1 (ko) * 2013-09-06 2014-08-05 아이큐어 주식회사 클렌징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026Y1 (ko) * 2005-04-04 2005-07-07 이영길 면도기
KR101425988B1 (ko) * 2013-09-06 2014-08-05 아이큐어 주식회사 클렌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53A (ko) 2017-07-03
CN206491736U (zh)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005B1 (ko) 피부용 클렌징 장치
US11071429B2 (en) Robot cleaner
US8185992B2 (en) Hand-guided device and tool connectable thereto
JP5992520B2 (ja) 優しい皮膚トリートメント装置
US9642768B2 (en) Skin treatment device and implement
EP2700330A1 (en) Brush implement for a skin treatment device
CN204500504U (zh) 皮肤清洁装置及配件
KR101643811B1 (ko) 피부 관리 장치
WO2018170496A1 (en) Cosmetic brush cleaner and dryer
KR200489176Y1 (ko) 클렌징 장치
JP2009189534A (ja) 床清掃機
KR20130109508A (ko) 회전식 때밀이 장치
CN109174749A (zh) 一种简易手摇式抹布清洗装置
CN110636788B (zh) 清洁装置
US10194941B2 (en) Callus removal apparatus
KR102012922B1 (ko) 클렌징 장치
CN204363251U (zh) 多角度清洁刷
KR102349125B1 (ko) 피부용 클렌징 장치
JP2008200457A (ja) 壁面手入れ機
CN218165184U (zh) 滚刷、地刷组件及清洁设备
KR20150120106A (ko) 세척 솔
CN111712167B (zh) 洁面装置
KR101956878B1 (ko) 거품 발생용 회전식 브러시 헤드
JP6984049B2 (ja) 身体ケア装置のためのブラシヘッド及び該ブラシヘッドを有する身体ケア装置
JP2011152379A (ja) 足裏の角質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