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952B1 -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952B1
KR101794952B1 KR1020160013535A KR20160013535A KR101794952B1 KR 101794952 B1 KR101794952 B1 KR 101794952B1 KR 1020160013535 A KR1020160013535 A KR 1020160013535A KR 20160013535 A KR20160013535 A KR 20160013535A KR 101794952 B1 KR101794952 B1 KR 10179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ing door
lower roller
building wal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324A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16001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9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은, 건물벽에 부착되는 슬라이딩유도부; 건물벽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부회전부; 및 슬라이딩도어 본체, 상기 슬라이딩도어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슬라이딩유도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슬라이딩도어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딩하는 하부가이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라이딩도어의 하중을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 분산시켜 내구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도어 시스템{SLIDING DOOR SYSTEM}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로부터 받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도어에는 레일상에서 슬라이드 개폐동작이 용이하도록 롤러장치가 설치된다. 롤러장치는 슬라이딩도어에 설치되거나 건물벽에 부착되며, 롤러장치에 대응되는 가이드(guide) 가 건물벽 또는 슬라이딩도어에 부착된다.
롤러장치가 슬라이딩도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롤러장치에 대응되도록 건물벽에 가이드가 설치되는 경우에, 슬라이딩도어의 무게 때문에 롤러장치 또는 가이드가 파손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장치 및 가이드에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도어의 무게를 지지함으로써 롤러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KR20030036385A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로부터 받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벽에 부착되는 슬라이딩유도부; 건물벽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부회전부; 및 슬라이딩도어 본체, 상기 슬라이딩도어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슬라이딩유도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슬라이딩도어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딩하는 하부가이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한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회전부는, 프레임; 및 건물벽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이 회동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프레임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프레임회동축에서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롤러가 상기 하부가이드를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건물벽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롤러와 마주보는 제1위치, 상기 하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회동축과 마주보는 제2 위치, 및 상기 프레임회동축과 하부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력제공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건물벽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건물벽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홀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부바디;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바디의 길이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은 어긋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바디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이거나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사익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하부롤러가 상기 슬라이딩도어로부터 받는 하중을 계측하는 하중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건물벽에 힌지결합하는 가스압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스압력제공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압력제공부는, 건물벽에 힌지결합하되 외부로부터 가스를 제공받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는 가스압력을 제공받고,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가스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하부롤러가 상기 슬라이딩도어로부터 받는 하중을 계측하는 하중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되, 길이방향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어긋나는 랙기어; 및 건물벽에 부착되되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니언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기어부는, 건물벽에 부착된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되,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라이딩도어로부터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12는 하부회전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은 슬라이딩유도부(100), 슬라이딩도어(200) 및 하부회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200)는 슬라이딩도어 본체(230),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롤러(210) 및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가이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도부(100)는 건물벽에 부착되며, 상부롤러(210)는 슬라이딩유도부(10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부롤러(210)가 슬라이딩유도부(100)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0)가 슬라이딩하며 문이 개폐된다.
하부회전부(300)는 건물벽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회전부(300)는 프레임(310), 프레임회동축(330), 하부롤러(350), 및 지지력제공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회동축(330)은, 건물벽(10)에 고정되고, 프레임(310)이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프레임(310)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롤러(350)는 프레임회동축(330)에서 이격되어 프레임(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는 하부롤러(350)에 접하며 지지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가 이동함에 따라 하부롤러(350)는 회전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는,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력제공부(370)는, 하부롤러(350)가 하부가이드(250)를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건물벽에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는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복수 개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지지력제공부(370)가 프레임회동축(330)을 사이에 두고 하부롤러(350)와 마주보는 위치이다. 제2 위치는, 지지력제공부(370)가 하부롤러(350)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회동축(330)과 마주보는 위치이다. 제3 위치는, 지지력제공부(370)가 프레임회동축(330)과 하부롤러(350) 사이에 있는 위치이다. 도 2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지지력제공부(370)를 도시한다.
기존에 슬라이딩도어는 통상적으로 슬라이딩도어의 상측에 롤러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되었으며 이는 롤러 또는 롤러에 연결되는 가이드에 과부하를 인가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롤러를 연결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도어의 하중 분배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에서, 지지력제공부(370)는 하부롤러(350)가 하부가이드(25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도어(200)의 하중을 상부롤러(210)와 함께 분산하여 수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200)의 하중을 일부 수용하는 하부롤러(350)는 프레임(310)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건물벽에 고정되는 프레임회동축(330)이 연결됨으로써, 하부롤러(350)의 중심축은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롤러(350)는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롤러(350)는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하부롤러(350)가 슬라이딩도어(200)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한 토크(torque)는,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발생할 수 있다. 하부롤러(350)가 슬라이딩도어(200)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한 토크에 상반되는 토크는 지지력제공부(37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력제공부(370)는 프레임(31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하부롤러(350)가 슬라이딩도어(200)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한 연직방향의 힘(force)는 프레임회동축(330)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너비(width)를 'W1'이라 하고, 슬라이딩도어(200)에 의해 개폐되며 슬라이딩도어(200)에 대응되어 건물벽(10)에 형성되는 어퍼쳐(aperture, 15))의 너비를 'W2'라 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200)가 슬라이딩하면서 어퍼쳐를 개폐하여야 하므로, W1은 W2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지지력제공부(370)의 위치에 대응되어 프레임(310)의 일측에 고정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는 고정홀(313)을 관통하여 건물벽(10)에 고정되는 고정핀(37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317)에는 하부롤러(370)가 슬라이딩도어(200)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한 토크(torque)가 전달될 수 있으며, 고정핀(317)은 건물벽에 고정됨으로써 전달된 토크를 상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3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350)는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하중을 수용하며 회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도어 본체(23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상부롤러(210)의 회전축은 수직이 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도어 본체(23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하부롤러(350)의 회전축은 수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롤러(210)의 회전축과 하부롤러(350)의 회전축은 나란할 수 있다.
도 3은, 상부롤러(210)의 회전축과 하부롤러(350)의 회전축이 나란함(평행함)을 도시한다. 일점쇄선은 상부롤러(210)와 하부롤러(350)의 회전축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는 상부롤러(210)의 회전축 방향과 하부롤러(350)의 회전축 방향이 서로 평행함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롤러(210)는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딩유도부(100)에 접하며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하중을 슬라이딩유도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도부(100)는, 슬라이딩도어 본체(230)가 슬라이딩하는 영역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부롤러(350)는 프레임(310)에 연결될 수 있고, 프레임(310)은 프레임회동축(330)을 통해 건물벽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롤러(350)에는 하부가이드(250)가 접할 수 있고, 하부가이드(250)를 통해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하중이 하부롤러(350)에 전달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250)는 슬라이딩도어 본체(230)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하부롤러(350)에 의해 지지 받아야 하므로, 하부가이드(250)의 길이는 슬라이딩도어 본체(230)의 폭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서, 지지력제공부(370)는 프레임회동축(330)을 사이에 두고 하부롤러(350)와 마주보는 제1위치에 있다. 도 6의 (b)에서, 지지력제공부(370)는 하부롤러(350)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회동축(330)과 마주보는 제2 위치에 있다. 도 6의 (c)에서, 지지력제공부(370)는 프레임회동축(330)과 하부롤러(350)의 사이인 제3 위치에 있다. 지지력제공부(370)는, 프레임(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건물벽에 힌지(hinge) 결합하여 프레임(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7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탄성부재(373)와 연결되는 연결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시소(seesaw)의 형상과 같이,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하부롤러(350)와 지지력제공부(370)가 토크(torque)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쇠지레의 작동과 유사하게,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하부롤러(350)와 지지력제공부(370)가 토크(torque)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지지력제공부(370)와 프레임회동축(330) 사이의 거리는 하부롤러(350)와 프레임회동축(330)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따라서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지지력제공부(370)에 의한 토크와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하부롤러(350)에 의한 토크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지지력제공부(370)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force)은 하부롤러(350)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가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지지력제공부(370)와 프레임회동축(330) 사이의 거리는 하부롤러(350)와 프레임회동축(330)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지지력제공부(370)에 의한 토크와 프레임회동축(330)을 중심으로 하부롤러(350)에 의한 토크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지지력제공부(370)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force)은 하부롤러(350)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보다 커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를 나타낸다. 도 7에서 하부회전부(300)의 지지력제공부(370)는 고정핀(37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371)은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실선 화살표는 하부롤러(350)가 받는 힘과 고정핀(371)이 제공하는 힘을 각각 나타내며, 점선 화살표는 고정핀(370)이 프레임(310)으로부터 전달받는 힘을 나타낸다. 도 7의 (a)에서 양 실선 화살표가 나타내는 힘에 의한 토크(torque)가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도 7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핀(371)의 위치에 따라 하부롤러(370)의 높이 방향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하부롤러(370)의 높이 방향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하부롤러(370)에 가해지는 슬라이딩도어(200)의 하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를 나타낸다. 도 8에서 지지력제공부(370)는 탄성부재(373)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310)에는 탄성부재(373)와 연결되는 연결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73)는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 화살표는 하부롤러(350)가 받는 힘과 탄성부재(373)가 제공하는 힘을 각각 나타낸다. 양 화살표가 나타내는 힘에 의한 토크(torque)가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지지력제공부(370)가 탄성부재(373)를 포함함으로써, 하부롤러(350)가 받는 힘에 의한 토크는 탄성력에 의한 토크로 상쇄될 수 있다. 탄성부재(373)는 인장스프링이거나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인장스프링이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373)에 의해 프레임(310)에 제공되는 힘은 탄성부재(373)의 스프링상수(spring constant)와 탄성부재(373)의 인장되는 길이(length)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탄성부재(373)에 의해 프레임(310)에 제공되는 힘은, 하부롤러(350)가 받는 하중으로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73)인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면, 하부롤러(350)가 슬라이딩도어(200)를 지지하는 하중을 알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력제공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계측부는 프레임(3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길이 변화에 따라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연결부(311)는, 탄성부재(373)와 연결되는 연결부홀(31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홀(315)은 복수 개로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3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홀(315)이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310)에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과 프레임회동축(330) 사이의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73)가 인장되는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73)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연결부(311)는 연결부바디(313)와 연결부홀(31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바디(313)는 프레임(3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부홀(315)은 탄성부재(373)와 연결되되 연결부바디(313)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바디(313)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바디(313)의 길이방향과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은 서로 어긋날 수 있으며, 특히 수직(perpendicular)할 수 있다.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73)가 인장되는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73)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바디(313)는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바디(313)가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탄성부재(373)에 연결되는 연결부홀(315)과 프레임회동축(3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바디(313)의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73)가 프레임(310)에 제공하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력제공부(370)는 가스압력제공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압력제공부(380)는, 건물벽에 힌지(hinge)결합하되 외부로부터 가스(gas)를 제공받는 실린더(cylinder, 3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스톤(383)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83)은, 실린더(381)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실린더(381)에 형성되는 가스의 압력을 제공받고, 연결부(311)에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가스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실린더(381) 내부의 압력은 프레임(310)에 의한 피스톤(383)의 힘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린더(381) 내부의 압력은 하부롤러(350)가 슬라이딩도어(200)로부터 받는 하중과 비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력제공부는, 실린더(381) 내부의 압력에 따라 하중을 계측하는 하중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계측부는 프레임(3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회전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력제공부(370)는 랙기어(390)와 피니언기어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90)는 프레임(310)의 일측에 연결되되, 길이방향이 프레임(310)의 길이방향과 어긋날 수 있으며 특히 수직(perpendicular)일 수 있다. 피니언기어부(395)는 건물벽에 부착되되 랙기어(390)와 맞물려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부(395)는 전기모터(397)와 피니언기어(399)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모터(397)는 건물벽에 부착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399)는 전기모터(397)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되, 랙기어(390)와 맞물려서 랙기어(39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모터(397)는 피니언기어(399)와 랙기어(390)를 통해 프레임(310)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슬라이딩유도부 200: 슬라이딩도어
210: 상부롤러 230: 슬라이딩도어 본체
250: 하부가이드 300: 하부회전부
310: 프레임 330: 프레임회동축
350: 하부롤러 370: 지지력제공부

Claims (15)

  1. 건물벽에 부착되는 슬라이딩유도부;
    건물벽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부회전부; 및
    슬라이딩도어 본체, 상기 슬라이딩도어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슬라이딩유도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슬라이딩도어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딩하는 하부가이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상부롤러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하며,
    상기 하부 회전부는,
    프레임; 및
    건물벽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이 회동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프레임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프레임회동축에서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회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롤러가 상기 하부가이드를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건물벽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롤러와 마주보는 제1위치, 상기 하부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회동축과 마주보는 제2 위치, 및 상기 프레임회동축과 하부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력제공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건물벽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건물벽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홀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부바디;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바디의 길이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은 어긋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바디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이거나 압축스프링인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하부롤러가 상기 슬라이딩도어로부터 받는 하중을 계측하는 하중계측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고, 건물벽에 힌지결합하는 가스압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스압력제공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압력제공부는,
    건물벽에 힌지결합하되 외부로부터 가스를 제공받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는 가스압력을 제공받고,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가스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하부롤러가 상기 슬라이딩도어로부터 받는 하중을 계측하는 하중계측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제공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되, 길이방향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어긋나는 랙기어; 및
    건물벽에 부착되되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니언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부는,
    건물벽에 부착된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되,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KR1020160013535A 2016-02-03 2016-02-03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KR10179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35A KR101794952B1 (ko) 2016-02-03 2016-02-03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35A KR101794952B1 (ko) 2016-02-03 2016-02-03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24A KR20170092324A (ko) 2017-08-11
KR101794952B1 true KR101794952B1 (ko) 2017-11-07

Family

ID=5965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35A KR101794952B1 (ko) 2016-02-03 2016-02-03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701A (ko) 2020-11-23 2022-05-31 박수철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701A (ko) 2020-11-23 2022-05-31 박수철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24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40546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055590B2 (ja) 家具ヒンジ
KR101372268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CA2519079C (en) Drive system for garage door
US20180010376A1 (en) Hinge
CA2486160C (en) Force assistance module for providing a load-dependent assistance force
US20060099007A1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original cover closer
ITTO20100779A1 (it) Giunto rotante a rigidezza regolabile
US10253539B2 (en) Pivoting fitting
KR101794952B1 (ko)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AU2021201367B2 (en) Damping hinge
KR20090061639A (ko) 가구용 힌지
NL2005520A (nl) Scharnier voor een paneeldeur, in het bijzonder voor een koelmeubel.
AU2003241403B2 (en) Drive system for garage door
EP1183988B1 (en) Counterbalanced hinge device with vertical and frontal movement of a door particularly for dishwashing machine
CA2897794A1 (en) Hinge mechanism for pivotable door
JP2000045625A (ja) 上下可動開閉要素の駆動装置
EP0919776B1 (en) Hinge device, particularly for the door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and the like with counterbalancing and self-regulating means
KR101919082B1 (ko) 방화문의 개폐 조절장치
US5435103A (en) Compact window operator
EP0629763B1 (en) Counterbalanced window operator
KR102290084B1 (ko) 스피드 게이트 구동장치
ES1052969U (es) Dispositivo para el equilibrado de la puerta de un lavavajillas.
KR20210005891A (ko) 카운터밸런스 조립체 및 시스템
KR102289326B1 (ko) 플랩 피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