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914B1 -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914B1
KR101794914B1 KR1020160084688A KR20160084688A KR101794914B1 KR 101794914 B1 KR101794914 B1 KR 101794914B1 KR 1020160084688 A KR1020160084688 A KR 1020160084688A KR 20160084688 A KR20160084688 A KR 20160084688A KR 101794914 B1 KR101794914 B1 KR 10179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ntral processing
switch
processing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곤
Original Assignee
문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곤 filed Critical 문병곤
Priority to KR102016008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주파 및 진동 방식의 마사지 기능과 인체 내의 독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으로 진행하는 다기능 피부헬스케어장치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피부 미용에 필요한 제품을 구입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저주파 및 진동 방식의 마사지 기능과 인체 내의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의 선택적인 사용이 스위칭 동작을 통해 하나의 전원공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휴대의 간편화를 통해 사용상의 공간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가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전체 회로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외부 신호를 입력시키는 다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입력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소정 크기 및 주기를 갖는 저주파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생성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전기분해용 전압 및 전류를 인가받는 어레이 전극부;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진동신호에 의해 진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부재; 상기 저주파 생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셀프스틱;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MULTI-FUNCTIONAL SKIN HEALTH CARE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주파 및 진동 방식의 마사지 기능과 인체 내의 독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다기능 피부헬스케어장치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피부 미용에 필요한 제품을 구입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저주파 및 진동 방식의 마사지 기능과 인체 내의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의 선택적인 사용이 스위칭 동작을 통해 하나의 전원공급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휴대의 간편화를 통해 사용상의 공간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표피층, 진피층, 지방조직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표피층은 다시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측층 및 기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영양분을 피부에 꾸준하게 공급하거나 피부에 쌓여 있는 노폐물 및 독소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제거해야 한다.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은 화장품 또는 비타민 등을 피부에 침투시키고, 노폐물 및 독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화장품이나 마사지, 찜질등을 통해 수행한다.
그러나,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관리하는 데에는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왜냐하면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피부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한다.
그리고, 마사지 또는 찜질 등을 통해 피부를 관리할 수도 있으나 매번 마사지 및 찜질을 하기 위해서 공을 들이는 시간이나 노력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피부 관리를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를 좀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기기등이 개발되고 제품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 미용기기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303157호에서는 전기이온영동법을 응용한 피부 관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피부 관리장치는 전기이온영동을 통해 아스크로빈산을 경피에 투여하여 피부미용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피부 관리장치는 고가이면서 조작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반면에 그 효과는 단순한 것이어서 사용에 많은 문제점을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주파 출력을 통해 피부 미용 및 인체 내의 불필요한 수분과 노폐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기능 및 진동부재의 진동 방식의 마사지를 통해 피부노폐물 및 이물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어레이 전극부를 통한 족욕수의 전기분해에 의해 인체 내의 독소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 미용에 필요한 제품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케이스에 마련된 스위치 입력부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여러기능을 손쉽게 조작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휴대의 간편화를 통해 사용상의 공간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가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전체 회로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외부 신호를 입력시키는 다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입력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소정 크기 및 주기를 갖는 저주파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생성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전기분해용 전압 및 전류를 인가받는 어레이 전극부;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진동신호에 의해 진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부재; 상기 저주파 생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셀프스틱;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에서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주기가 상이한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어레이 전극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서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어레이 전극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전압 값이 치료수 산화/환원 전위에 부합하도록 상기 어레이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의 선택 상태와 작동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 및 진동 방식의 마사지 기능과 인체 내의 독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으로 인한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피부 미용에 필요한 제품을 구입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상의 공간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재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스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스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재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스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스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는 전원공급부(11)가 설치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전체 회로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중앙처리부(20)와, 상기 중앙처리부(20)와 연결되고, 외부 신호를 입력시키는 다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입력부(30)와, 상기 스위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20)의 제어하에 소정 크기 및 주기를 갖는 저주파 펄스를 생성하는 저주파 생성부(40)와, 상기 스위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20)의 제어하에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50)와, 상기 케이스(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부(20)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20)의 제어하에 전기분해용 전압 및 전류를 인가받는 어레이 전극부(60)와,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진동신호에 의해 진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부재(70)와, 상기 저주파 생성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셀프스틱(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부(20)에는 소정의 제어단계가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 입력부(30)에서 스위치 입력으로 제공되는 제어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저주파 생성부(40), 진동신호 출력부(50)를 구동한다.
상기 스위치 입력부(30)는 동작 시한 설정용 스위치(31)와, 저주파 출력 스위치(32)와, 저주파 출력 조절을 위한 조절스위치(33)와, 진동 출력 스위치(34)와, 어레이 전극부(60)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톡스 실행스위치(35)가 마련되고, 각 스위치에는 스위칭 레벨의 안정적인 검출을 이루기 위하여 저항과 콘덴서가 연결된다.
상기 저주파 생성부(40)의 저주파 펄스의 크기 및 주기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30)의 조절스위치(33)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저주파 펄스는 상기 셀프스틱(80)을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의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강제적인 근운동을 유도하여 근육을 풀어주게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진동신호에 의해 진동되도록 구성된 진동부재(70)가 연결된다. 상기 진동부재(70)는 진동체가 내장된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진동구(7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구(72)는 상기 몸체(71)에 연결되는 연결편(73)과 상기 연결편(73)의 선단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접촉편(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진동부재(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 출력 스위치(34)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50)에서 진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진동부재(70)의 선단에 마련된 진동구(72)가 진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 출력 스위치(34)의 스위칭 횟수에 따라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50)에서는 진동세기 및 주기가 상이한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한 번의 스위칭동작일 경우에는 약한 세기의 진동이 상기 진동구(72)에서 지속적(초당 3만번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이루어지고, 두 번의 스위칭 동작일 경우에는 강한 세기의 진동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진동 출력 스위치(34)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상기 진동부재(7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피부노폐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두번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진동구(72)가 강한 진동의 세기로 간헐적 진동하게 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편(74)의 끝단을 얼굴에 밀착시켜 피부를 밀어내듯이 사용하게 되면 피부노폐물이나 이물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미온수로 피부를 씻어 깨끗이 한 다음 피부에 에센스를 듬뿍 바른 상태에서 한 번의 스위칭동작을 통해 상기 진동구(72)를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구(72)의 접촉편(74)의 면부를 피부에 밀착시켜 밀어내듯이 사용하게 되면 피부에 바른 에센스가 피부깊숙히 침투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레이 전극부(60)는 상기 케이스(10)에 전기적으로 연결에 의해 상기 중앙처리부(20)와 연결되어 족욕통(미도시)의 족욕수(전해질이 포함된 물)에 잠기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어레이 전극부(60)를 통한 족욕수의 전기분해에 의해 인체 내의 독소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어레이 전극부(60)로 전압 및 전류의 인가는 상기 케이스(10)에 마련된 톡스 실행스위치(35)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20)에는 상기 어레이 전극부(60)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21)가 연결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0)에서는 상기 측정부(21)를 통해 어레이 전극부(60)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전압 값이 족욕수 산화/환원 전위에 부합하도록 상기 어레이 전극부(60)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분해란 소금 등의 전해질을 포함한 물을 매개로 하여 전류를 양과 음 전극에 도통시키면 물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때 음 전극 주변에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며, 양 전극 주변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전기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음이온은 사용자 발의 기공(땀쌤)으로 흡수되어 체내의 독소인 양이온과 반응하게 되고, 이들은 삼투압 현상에 의해 체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중앙처리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의 선택 상태와 작동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셀프스틱(80)은 상기 저주파 생성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셀프스틱(8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파지구(81)와 상기 제1파지구(81)의 길이방향 일측에 "V" 형상으로 설치되는 분기봉(82)와 상기 분기봉(82)의 단부에 형성되는 구형의 밀착구(83)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셀프스틱(8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파지구(85)와 상기 제2파지구(85)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구(86)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써의 셀프스틱은 얼굴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실시예로써의 셀프스틱은 바디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셀프스틱(80)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셀프스틱(8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저주파 출력 스위치(3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저주파 생성부(40)에서 1~1,000Hz 이하의 저주파 전류가 출력되게 하고, 셀프스틱의 밀착구(83)나 돌출구(86)를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켜 문지르듯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는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피부노폐물 및 이물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어레이 전극부(60)를 통한 족욕수의 전기분해에 의해 인체 내의 독소가 제거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고, 저주파 출력을 통해 피부미용 및 인체 내의 불필요한 수분과 노폐물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으로, 여러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어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 케이스 20: 중앙처리부
30: 스위치 입력부 40: 저주파 생성부
50: 진동신호 출력부 60: 어레이 전극부
70: 진동부재 80: 셀프스틱

Claims (4)

  1.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가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전체 회로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외부 신호를 입력시키는 다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입력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소정 크기 및 주기를 갖는 저주파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저주파 생성부;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신호 출력부;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하에 전기분해용 전압 및 전류를 인가받는 어레이 전극부;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진동신호에 의해 진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진동체가 내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선단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접촉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진동구로 구성된 진동부재;
    상기 저주파 생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셀프스틱;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입력부는 동작 시한 설정용 스위치와, 저주파 출력 스위치와, 저주파 출력 조절을 위한 조절스위치와, 진동 출력 스위치와, 상기 어레이 전극부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톡스 실행스위치가 마련되고, 각 스위치에는 스위치 레벨의 안정적인 검출을 이루기 위하여 저항과 콘덴서가 연결되며,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에서는, 상기 스위치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주기가 상이한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어레이 전극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에서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 어레이 전극부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전압 값이 치료수 산화/환원 전위에 부합하도록 상기 어레이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신호 출력부의 선택상태와 작동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4688A 2016-07-05 2016-07-05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KR10179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88A KR101794914B1 (ko) 2016-07-05 2016-07-05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88A KR101794914B1 (ko) 2016-07-05 2016-07-05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914B1 true KR101794914B1 (ko) 2017-12-01

Family

ID=6092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88A KR101794914B1 (ko) 2016-07-05 2016-07-05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9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94B1 (ko) * 2006-02-13 2007-05-25 임수향 휴대용 통합 피부 미용장치
KR200439184Y1 (ko) * 2007-01-10 2008-03-26 주식회사 녹주맥반석 히터와 펄스봉이 구비된 다기능 전해수 족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94B1 (ko) * 2006-02-13 2007-05-25 임수향 휴대용 통합 피부 미용장치
KR200439184Y1 (ko) * 2007-01-10 2008-03-26 주식회사 녹주맥반석 히터와 펄스봉이 구비된 다기능 전해수 족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8263B1 (en) Total sk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P2289595B1 (en) Electrostimulation devices for cosmetics
KR102143819B1 (ko) 피부 관리 장치 및 그 피부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2020534054A (ja) 化粧剤の経皮送達のためのイオン導入システム、キットおよび方法
KR101212749B1 (ko) 피부질환치료장치
JP6282049B2 (ja) 美容器具
KR20190043378A (ko) 초음파 피부미용장치
KR20160038566A (ko) 피부침투장치 및 피부침투방법
JP2013059556A (ja) 美容装置
CN101185792B (zh) 低频治疗仪
JP2016202660A (ja) 美顔器及び美顔システム
KR101794914B1 (ko) 다기능 피부 헬스케어장치
JP4360734B2 (ja) 電子美肌器
KR200148926Y1 (ko) 이온 맛사지기
JP4444839B2 (ja) 電子トリートメント装置
WO2007060741A1 (ja) 物質浸透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793532B1 (ko) 블랙헤드 제거기
JP3665632B2 (ja) イオン導入用の電気刺激装置及び電子美容器
KR20020065308A (ko) 휴대용 안면피부 미용/비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321393Y1 (ko) 피부상태 측정 겸용 피부 마사지 장치
JP3117166U (ja) 美容器具
KR20190065380A (ko) 일렉트로포레이션 장치 및 일렉트로포레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0159142B1 (ko) 휴대용 피부 미용기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166631Y1 (ko) 미소전류를 이용한 피부관리기
KR200338721Y1 (ko) 휴대용 이온도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