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741B1 -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 Google Patents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741B1
KR101794741B1 KR1020160076852A KR20160076852A KR101794741B1 KR 101794741 B1 KR101794741 B1 KR 101794741B1 KR 1020160076852 A KR1020160076852 A KR 1020160076852A KR 20160076852 A KR20160076852 A KR 20160076852A KR 101794741 B1 KR101794741 B1 KR 101794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xed
hooking
hook
height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미디어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미디어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미디어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7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multi-branched, e.g. a chandel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04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pendant
    • F21S13/06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pendant multi-branched, e.g. chandel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호텔 등의 각종 건물 천장에 매달아 설치되는 샹들리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고정구의 하측으로 상단 장식링체와 점차 하향 축소 크기로 복수의 중간 장식링체 및 하단 장식링체를 순차적으로 상,하 이격 결합하고,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지지관 및 이들 지지관을 서로 연결하는 걸이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걸이링에는 크리스탈 장식구를 일정 간격으로 걸어 고정시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 크리스탈 장식구에 대한 배열 형태나 높이 조절 혹은 크기 조절을 통해 다양한 상품군의 형성 및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완벽하게 대응 생산이 가능한 것이고, 뛰어난 조립성은 물론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것이며, 외부 전체를 미려하게 감싸듯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와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상,하 적층 형성된 조명등으로 인해 미점등 상태에서의 화려한 장식성과 함께 점등 상태에서의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장식성을 연출하여 인테리어 효과 및 실내 설치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Prefabricated chandelier}
본 발명은 가정이나 호텔 등의 각종 건물 천장에 매달아 설치되는 샹들리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고정구의 하측으로 상단 장식링체와 복수의 중간 장식링체 및 하단 장식링체를 순차적으로 조립 형성하되,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에는 방사상의 조명등 및 크리스탈 장식구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조립은 다양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한 연결대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샹들리에에 비하여 더욱 화려하면서도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연출하는 것은 물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가정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또는 학교나 관공서 등의 건물 내에도 실내의 우수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대부분 실내의 천정 하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방법에 따라 천정 직착등과 천정 매다는 등으로 구분될 것이고, 설치 형태에 따라 천정등 또는 천정 매입등으로 구분될 것이며, 이들 조명등에 내장되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형광등과 백열등 및 엘이디등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천정 직착등은 가장 보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고정본체의 내측에 램프와 소켓 및 안정기 등을 내장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정본체의 저면에는 유백색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된 조명커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고정본체 내부에 결합된 램프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면 상기 램프의 점등 빛은 하측의 조명커버를 통해 투과 및 확산되면서 실내 전체를 고르게 조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정 매다는 등의 경우에는 천정면에 밀착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실내측으로 늘어져 고정 설치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조명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불투명의 커버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커버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램프 또는 엘이디가 점등되면 그 점등 빛은 개방된 커버체의 하부를 통해 실내를 향하여 조사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정 매다는 등은 넓은 면적에 대한 조명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식탁등과 같이 국부의 한정된 면적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천정 매다는 등의 일종인 샹들리에의 경우 거실 천정이나 호텔 로비 혹은 각종 건물의 내부에 미려한 장식성이 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인데,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어 조명등 본래의 역할과 함께 뛰어난 장식성을 연출하므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샹들리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08290호와 같이 다수의 아암이 각각 장착플레이트에 대하여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고, 본체부와 각 아암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전선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정을 간편화시킬 수 있어 샹들리에의 조립 및 해체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안출된 바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05241호와 같이 샹들리에에 설치되는 체인에 적은 수의 장식구를 결합하여도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샹들리에에 적용되는 체인으로 인해 경량화를 실현하며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천정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샹들리에 구조가 안출되어 등록된 바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735호의 경우 샹들리에의 본체에 구성된 다수개의 가지관을 각각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채로운 형상을 연출하면서 제품의 조립 및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지관의 줄기 부분에 엘이디 및 방열체를 형성하여 화려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엘이디를 이용한 샹들리에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이처럼, 기존의 샹들리에는 다양한 형태로 된 가지관 혹은 아암을 평면상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아암에 다양한 무늬 및 모양의 장식구를 매달아 더욱 입체적이고 화려하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샹들리에는 단일 개체의 플레이트 상에 방사상으로 가지관 혹은 아암을 체결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구조가 단조로운 것이고, 단조로운 구조로 인해 화려한 장식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과거의 샹들리에는 다단 적층 형태를 갖고 있었으나 이러한 형태의 샹들리에는 제작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므로 전기한 바와 같이 단순화되는 추세인데, 단순화된 근래의 샹들리에는 웅장함과 화려함이 떨어지므로 상기 종래의 기술보다는 과거의 적층형 샹들리에를 더욱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적층형 샹들리에의 경우 많은 수의 체인과 고리 및 다단을 구성하기 위한 링체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체인이나 링체에 장식구 및 조명 등을 촘촘하게 무수히 배치함에 따라 웅장하고 화려함이 연출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나, 이러한 샹들리에의 경우 제작 기간이 매우 길고 제작비용이 과도하여 지극히 비경제적인 것이고 대중성을 갖지 못하므로 막대한 비용을 들여 주문 제작하는 형태로만 만들어지고 있어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웅장하고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는 샹들리에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나, 지나친 가격 및 과도한 제작기간으로 인해 실구매자는 물론 제작 및 판매자 모두 합리적인 결과를 얻고 있는 못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체인고정구의 하측으로 상단 장식링체와 점차 하향 축소 크기로 복수의 중간 장식링체 및 하단 장식링체를 순차적으로 상,하 이격 결합하고,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지지관 및 이들 지지관을 서로 연결하는 걸이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걸이링에는 크리스탈 장식구를 일정 간격으로 걸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크리스탈 장식구가 하향 축소 형태로 입체 배치되면서 화려하고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는 것은 물론 상기 크리스탈의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시킴에 따라 계단형 샹들리에 혹은 원뿔형 샹들리에 등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각각의 장식링체 내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조명등에 의해 점등시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인고정구의 하단에 상단 장식링체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상단 장식링체의 하측으로는 제1중간 장식링체와 제2중간 장식링체 및 제3중간 장식링체를 서로 상,하 이격하여 결합 형성하며, 상기 제3중간 장식링체의 하측으로는 하단 장식링체를 결합 형성하되,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는 원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측으로부터 점차 축소 외경을 갖고 상,하 다단으로 배치되는 걸이링과 상기 고정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소켓관과 상기 걸이링에 연속하여 일정간격으로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중간 장식링체와 하단 장식링체에 각기 형성되는 걸이링은 각 지지관의 저면 및 각 지지관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높이조절대의 하단에 고정되게 하되, 전체의 걸이링은 제1중간 장식링체에 형성된 상단의 걸이링으로부터 등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하향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걸이링에 결합되는 크리스탈 장식구가 제1중간 장식링체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내측 방향으로 순차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 크리스탈 장식구에 대한 배열 형태나 높이 조절 혹은 크기 조절을 통해 다양한 상품군의 형성 및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완벽하게 대응 생산이 가능한 것이고, 뛰어난 조립성은 물론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것이며, 외부 전체를 미려하게 감싸듯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와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상,하 적층 형성된 조명등으로 인해 미점등 상태에서의 화려한 장식성과 함께 점등 상태에서의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장식성을 연출하여 인테리어 효과 및 실내 설치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상단 장식틀체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상단 장식틀체에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1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1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1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2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2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2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3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3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제3중간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하단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하단 장식틀체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하단 장식틀체에 대한 전체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의 전체 구성도로서, 식별부호(n)은 가변 숫자를 표현하는 것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샹들리에는 샹들리에 전체를 천정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체인고정구(10)와, 상기 샹들리에를 구성하기 위한 상단 장식링체(20) 및 제1중간 장식링체(30)와 제2중간 장식링체(40) 그리고 제3중간 장식링체(50)와 하단 장식링체(6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상단 장식링체(20)는 전체 샹들리에 중 상부 장식을 위해 형성된 것으로, 유리재 혹은 투명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크리스탈 장식구(n5)를 원형으로 배치함에 따라 기존의 단순함을 탈피하여 상단에도 장식성이 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 장식링체(20)의 하측으로는 제1중간 장식링체(30)와 제2중간 장식링체(40) 및 제3중간 장식링체(50)가 하향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는 전체적인 샹들리에의 구조를 완성하는 역할과 동시에 각 장식링체가 갖는 고유의 구성으로 인해 개별적인 장식성을 연출하는 것으로,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는, 중앙부의 고정몸체(n1)와 상기 고정몸체(n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지지관(n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관(n2)의 하측으로는 동심원으로 된 다수 개의 걸이링(n3)이 균등 높이 혹은 차등 높이를 갖고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n1) 혹은 지지관(n2)에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램프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소켓관(n4)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각각의 걸이링(n3)에는 원형으로 크리스탈 장식구(n5)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개별적인 장식성은 물론 전체적인 입체 장식이 화려하게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중간 장식링체(50)의 하측으로는 샹들리에의 하단을 마감 및 장식하기 위한 하단 장식링체(6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 장식링체(60)의 경우 중앙의 고정몸체(n1)와 방사상의 지지관(n2) 및 걸이링(n3)과 소켓관(n4) 그리고 크리스탈 장식구(n5)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동심원을 갖고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하단걸이링(n8)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샹들리에의 하단이 개방되지 않고 크리스탈 장식구(n5)를 통해 하단부까지 장식성이 충분히 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샹들리에는 상기 크리스탈 장식구(n5)에 대하여 모두 동일 크기 내에서 서로 다른 길이만을 갖도록 구성하되, 길이가 긴 형태의 크리스탈 장식구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크리스탈 장식구를 구비하여, 상단 장식링체(20)에는 길이가 긴 크리스탈 장식구만 원형으로 걸어 고정하여 이들에 의해 장식성이 연출되도록 하고, 제1중간 장식링체(30) 내지 제3중간 장식링체(50)와 하단 장식링체(60)에는 길이가 긴 크리스탈 장식구와 길이가 짧은 크리스탈 장식구를 조화롭게 배치하여 더욱 미려한 샹들리에가 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중간 장식링체(30)는 평면상 원형의 전체 크기를 상단 장식링체(20)의 전체 외곽 크기보다 크게 제작한 후, 상기 제2중간 장식링체(40)와 제3중간 장식링체(50) 및 하단 장식링체(60)의 체외곽 크기를 점진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역삼각의 단면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40)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링(n3)을 이용하여 크리스탈 장식구(n5)를 걸어 고정하되,
제1중간 장식링체(30)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걸이링(n3)에는 긴 길이의 크리스탈 장식구를 걸어 고정하고, 그 내측에는 길이가 짧은 크리스탈 장식구를 2열로 걸어 고정하되 크리스탈 장식구 상호 간의 간격은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총 3열의 크리스탈 장식구는 하단이 서로 동일 높이를 갖도록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2중간 장식링체(40)와 제3중간 장식링체(50) 및 하단 장식링체(60)에 길이가 다른 크리스탈 장식구를 연속하여 반복 배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다층의 계단 형상을 갖는 역삼각의 샹들리에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각 크리스탈 장식구의 길이를 다양하게 가변 적용하여 계단형이 아닌 사선형 역삼각의 샹들리에가 완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길이가 긴 크리스탈 장식구는 각각의 장식링체에 대한 측면 전체의 장식성을 연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크리스탈 장식구는 각 장식링체의 하단을 보다 화려하고 입체적으로 장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각의 장식링체는 단일 개체로서의 화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는 동시에 이들 조합에 의한 샹들리에 전체의 화려한 장식성을 함께 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상단 장식링체(20)를 포함한 각각의 장식링체(30)는 상호 간의 사이에 연결조립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 연결조립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의 간격 조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연결조립관과 고정몸체(n1) 간의 결합구조 역시 상호 간의 나사 결합 혹은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샹들리에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식링체를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단 장식링체(20)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중앙의 고정몸체(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몸체(21)의 상면에는 사각관 형태로 된 지지관(22)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몸체(21)는 하측의 장식링체와 결합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의 지지관(22)은 무수히 많은 크리스탈 장식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22)의 끝단 저면에는 원형으로 된 걸이링(23)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용접 혹은 볼트 고정 등을 통해 지지관(22)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걸이링(23)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원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걸이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이공을 통해 크리스탈 장식구(25)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몸체(21)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관(22)의 개체수 및 각도와 동일하게 배치된 소켓관(24)이 횡방향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소켓관(24)을 이용하여 방사상으로 램프를 결합 배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램프의 점등 시 점등 빛은 투명의 크리스탈 장식구(25)를 통해 실내를 조명하는 것은 물론 크리스탈 장식구(25)가 갖는 빛의 굴절 작용으로 인해 자체의 미려함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상단 장식링체(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중간 장식링체(30)는 도 4 내지 도 6의 도시와 같이, 중앙에 고정몸체(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31)의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지지관(32)이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32)의 하측으로 다수의 걸이링(33a)(33b)(33c)(33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링 중 제1걸이링(33a)은 지지관(32)의 끝단 저면에 직접 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제2걸이링(33b)과 제3걸이링(33c)은 내측으로 하향 이격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관(32)에는 제1높이조절대(36)가 하향 결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높이조절대(36a)의 하단에는 간격유지편(37)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간격유지편(37)의 저면을 이용하여 상기 제2걸이링(33b)과 제3걸이링(33c)이 서로 동일 높이로 이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32)의 저면에는 또 다른 제2높이조절대(36b)가 하향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높이조절대(36b)의 하단에 제4걸이링(33d)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이들 걸이링(33a)(33b)(33c)(33d)을 이용하여 크리스탈 장식구(35)를 다양한 높이로 서로 이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관(32)에는 양측면에 소켓관(54)을 외향 결합 형성하고, 상기 소켓관(54)이 위치하고 있는 지지관(32)의 저면에는 또 다른 소켓관(54')을 수직으로 하향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소켓관(54)(54')에 결합된 램프의 점등 시 상기 복수의 크리스탈 장식구는 미려한 간접 점등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링(33a)(33b)(33c)(33d)과 이들을 상,하 및 좌,우로 이격시키는 제1 및 제2높이조절대(36a)(36b) 그리고 간격유지편(37)으로 인해 상기 걸이링(33a)(33b)(33c)(33d)에 걸어 고정되는 다양한 길이의 크리스탈 장식구(35)는 샹들리에 전체에 있어 일부의 장식성을 화려하게 연출하는 것은 물론 제1중간 장식링체(30) 자체의 장식성을 화려하게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제2중간 장식링체(40)는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중앙의 고정몸체(41)를 갖고 상기 고정몸체(4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의 지지관(42)이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42)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의 높이조절대(46a)(46b)(46c)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의 높이조절대(46a)(46b)(46c)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6의 걸이링(43a)(43b)(43c)(43d)(43e)(43f)가 등간격으로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지지관(42)의 끝단으로부터 제1높이조절대(46a)가 수직으로 결합되면 상기 제1높이조절대(46a)의 하단에 제1간격유지편(47a)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간격유지편(47a)의 저면에 각기 제1걸이링(43a)과 제2걸이링(43b)을 이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관(42)의 저면에 제2높이조절대(46b)를 수직으로 하향 결합한 후 상기 제2높이조절대(46b)의 하단에 제3걸이링(43c)을 직접 고정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42)의 저면에 제3높이조절대(46c)를 수직으로 하향 결합한 후 제3높이조절대(46c)의 하단에 제2간격유지편(47b)을 고정시킨 후 제2간격유지편(47b)을 이용하여 제4걸이링(43d)과 제5걸이링(43e)을 이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2간격유지편(47b)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연결된 제3간격유지편(47c)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제3간격유지편(47c)의 저면에 제6걸이링(43f)을 고정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걸이링(43a)과 제2걸이링(43b)은 서로 동일 높이로 갖고 이격되어 있고, 제3걸이링(43c)은 하측으로 내려온 상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4걸이링(43d)과 제5걸이링(43e)은 하측으로 더욱 내려온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6걸이링(43f)은 더욱 하강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걸이링(43a)(43b)(43c)(43d)(43e)(43f)에 크리스탈 장식구(45)를 걸어 고정시킴에 따라 전체적으로 크리스탈 장식구(45)가 횡방향으로는 중복되어 투시되거나 저면으로부터 등간격을 갖고 배치되면서 입체적이고 화려한 장식성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각각의 크리스탈 장식구(45)에 대한 길이의 가변 적용을 통해 더욱 다양한 형상 및 입체감을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41)에는 측부로부터 상기 지지관(42)과 동일 개체 및 각도를 갖도록 소켓관(44)(44')을 상,하로 배열 형성하되, 상측의 소켓관(44)은 횡방향으로 결합 고정하고 하측의 소켓관(44')은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함에 따라 이들 소켓관(44)(44')에 결합되는 램프의 점등 시 모든 크리스탈 장식구(45)에 대한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고른 장식 조명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제3중간 장식링체(50)는 도 10 내지 도 12의 도시와 같이 중앙의 고정몸체(5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몸체(5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지지관(52)을 결합 형성한 것이며, 상기 지지관(52)의 저면으로부터 제1 내지 제3높이조절대(56a)(56b)(56c)와 제1내지 제2간격유지편(57a)(57b) 및 제1 내지 제5걸이링(53a)(53b)(53c)(53d)(53e)을 통해 크리스탈 장식구(55)에 대한 미려한 장식성이 연출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지지관(52) 끝단 저면으로부터 제1높이조절대(56a)를 하향 수직으로 결합 형성한 후 상기 제1높이조절대(56a)의 하단에 제1간격유지편(57a)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제1간격유지편(57a)의 저면에 제1걸이링(53a)과 제2걸이링(53b)을 이격 고정하게 된다.
이어, 지지관(52)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1높이조절대(56a) 보다 긴 길이의 제2높이조절대(56b)를 결합 형성한 후 상기 제2높이조절대(56b)의 하단에 제3걸이링(53c)을 고정하면 되는 것이고, 지지관(52)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2높이조절대(56b) 보다 긴 길이의 제3높이조절대(56c)를 결합 형성한 후 상기 제3높이조절대(56c)의 하단에 제2간격유지편(57b)을 고정하여 상기 제2간격유지편(57b)의 저면에 각각 제4걸이링(53d)과 제5걸이링(53e)을 서로 이격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측으로 등간격의 동심원을 형성하면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이들 제1 내지 제5걸이링(53a)(53b)(53c)(53d)(53e)에 크리스탈 장식구(55)를 걸어 고정시킴에 따라 화려하고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51)에는 측부로부터 상기 지지관(52)과 동일 개체 및 각도를 갖도록 소켓관(54)(54')을 상,하로 배열 형성하되, 상측의 소켓관(54)은 횡방향으로 결합 고정하고 하측의 소켓관(54')은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함에 따라 이들 소켓관(54)(54')에 결합되는 램프의 점등 시 모든 크리스탈 장식구(55)에 대한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고른 장식 조명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하단 장식링체(60)는 도 13 내지 도 15의 도시와 같이 중앙에 고정몸체(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몸체(61)의 상측으로는 다수의 지지관(62)이 방사상으로 배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62)의 끝단 및 하부에는 제1 내지 제4걸이링(63a)(63b)(63c)(63d)이 내측 등간격으로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걸이링(63a)은 지지관(62)의 끝단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지지관(62)의 내측 저면에는 제1높이조절대(66a)가 수직으로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높이조절대(66a)의 하단에는 간격유지편(67)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간격유지편(67)의 저면을 이용하여 제2걸이링(63b)과 제3걸이링(63c)을 서로 이격 고정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높이조절대(66a)에 비하여 더욱 긴 길이를 갖는 제2높이조절대(66b)를 구비하여 이를 각 지지관(62)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결합 형성한 후 상기 제2높이조절대(66b)의 하단에 제4걸이링(63d)을 결합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제4걸이링(63d)을 이용하여 내측 횡방향으로 수평유지편(69)을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유지편(69)의 저면을 이용하여 서로 동심원을 갖고 점차 내경이 축소되는 형태의 제1 내지 제3하단걸이링(68a)(68b)(68c)을 순차 고정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하향 차등 혹은 균등의 높이를 갖고 있는 제1 내지 제4걸이링(63a)(63b)(63c)(63d)을 이용하여 크리스탈 장식구(65)를 다양한 높이로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4걸이링(63d)에 걸려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65)를 상기 제1 내지 제3하단걸이링(68a)(68b)(68c)에 순차적으로 배치 고정시키면 이들 제1 내지 제3하단걸이링(68a)(68b)(68c)이 크리스탈 장식구(65)에 의해 거대한 샹들리에의 하단을 장식 마감하는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61)의 측면에는 하향 경사지도록 복수 개의 소켓관(64)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소켓관(64)에 결합되는 램프의 점등 빛으로 인해 제1 내지 제4의 걸이링(63a)(63b)(63c)(63d)에 고정된 크리스탈 장식구(65)가 간접 점등을 통해 장식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몸체(61)의 저면에도 또 다른 소켓관(64')을 수직으로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소켓관(64')에 결합되는 램프의 점등 빛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하단걸이링(68a)(68b)(68c)에 걸려 고정된 크리스탈 장식구(65)에 대한 간접 점등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샹들리에는 조립식 장식링체 및 각기 다른 차등의 크기를 갖는 장식링체와 이들 장식링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길이의 크리스탈 장식구가 원형으로 배열 및 배치 고정됨에 따라 내부 램프의 점등 시 수많은 크리스탈 장식구가 간접 점등 상태를 연출하면서 화려하고도 뛰어난 장식성을 연출하는 것이고, 미점등 상태에서도 내부의 고정몸체(n1) 혹은 지지관(n2) 및 걸이링(n3)과 소켓관(n4) 등은 모두 은폐된 상태에서 수많은 크리스탈 장식구가 마치 갑옷 혹은 비늘과 같은 외장을 연출하면서 수많은 빛의 굴절 및 반사를 연출할 것이므로 화려하고 고급스러움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체인고정구
20 : 상단 장식링체
30 : 제1중간 장식링체
40 : 제2중간 장식링체
50 : 제3중간 장식링체
60 : 하단 장식링체
n1 : 고정몸체 n2 : 지지관
n3 : 걸이링 n4 : 소켓관
n5 : 크리스탈 장식구 n6 : 높이조절대
n7 : 간격유지편 n8 : 하단걸이링
n9 : 수평유지편

Claims (7)

  1. 체인고정구(10)의 하단에 상단 장식링체(2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상단 장식링체(20)의 하측으로는 제1중간 장식링체(30)와 제2중간 장식링체(40) 및 제3중간 장식링체(50)를 서로 상,하 이격하여 결합 형성하며, 상기 제3중간 장식링체(50)의 하측으로는 하단 장식링체(60)를 결합 형성하되, 이들 각각의 장식링체는 원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측으로부터 점차 축소 외경을 갖고 상,하 다단으로 배치되는 걸이링과 상기 고정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소켓관과 상기 걸이링에 연속하여 일정간격으로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중간 장식링체(30)(40)(50)와 하단 장식링체(60)에 각기 형성되는 걸이링은 각 지지관의 저면 및 각 지지관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높이조절대의 하단에 고정되게 하되, 전체의 걸이링은 제1중간 장식링체(30)에 형성된 상단의 걸이링으로부터 등간격을 갖고 내측으로 하향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걸이링에 결합되는 크리스탈 장식구가 제1중간 장식링체(30)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내측 방향으로 순차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한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에 있어서,
    상기 크리스탈 장식구는 길이가 긴 것과 길이가 짧은 것의 두 종류로 구비하여, 상단 장식링체((20)의 걸이링에는 길이가 긴 크리스탈 장식구만 걸어 고정하고 나머지 장식링체의 전체 걸이링에는 최선단 외측에 위치되게 한 긴 크리스탈 장식구의 내측으로 짧은 길이의 크리스탈 장식구가 상호 하단 동일 높이를 갖고 2열 배치되게 하고, 다시 긴 길이의 크리스탈 장식구의 1열 배치 및 짧은 길이의 크리스탈 장식구가 2열 배치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다층의 계단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2. 제 1항에 있어서,
    상단 장식링체(20)는, 중앙의 고정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2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지지관(22)과 각 지지관(22)의 저면에 고정되는 걸이링(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몸체(21)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소켓관(24)이 결합 형성되며, 상기 걸이링(23)에는 크리스탈 장식구(25)을 일정 간격으로 걸어 고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3. 제 1항에 있어서,
    제1중간 장식링체(30)는, 중앙의 고정몸체(31)와 상기 고정몸체(3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지지관(32)과 각 지지관(32)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이링(33)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지지관(32)의 양측부에는 외향 경사상으로 소켓관(34)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지지관(32)의 저면에는 하향 수직의 또 다른 소켓관(34')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32)의 저면에는 제1 내지 제4의 걸이링(33a)(33b)(33c)(33d)를 고정 형성하되,
    제1걸이링(33a)은 지지관(32)의 끝단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링(33b)과 제3걸이링(33c)은 지지관(32)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1높이조절대(36a) 및 상기 제1높이조절대(36a)의 하단에 고정된 간격유지편(37)의 저면에 서로 이격 고정되며, 상기 제4걸이링(33d)는 제2높이조절대(36b)의 하단에 고정되게 하여, 이들 제1 내지 제4의 걸이링(33a)(33b)(33c)(33d)을 통해 크리스탈 장식구(35)가 걸어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4. 제 1항에 있어서,
    제2중간 장식링체(40)는, 중앙의 고정몸체(41)와 상기 고정몸체(4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지지관(42)과 각 지지관(42)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이링(43)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몸체(41)의 측면에는 소켓관(44)(44')이 상,하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42)의 저면에는 제1 내지 제6의 걸이링(43a)(43b)(43c)(43d)(43e)(43f)를 고정 형성하되,
    제1걸이링(43a) 및 제2걸이링(43b)는 지지관(42)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1높이조절대(46a) 및 상기 제1높이조절대(46a)의 하단에 고정된 제1간격유지편(47a)의 저면에 서로 이격 고정되고, 제3걸이링(43c)은 지지관(42)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2높이조절대(46b)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4걸이링(43d) 및 제5걸이링(43e)은 지지관(42)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3높이조절대(46c) 및 상기 제3높이조절대(46c)의 하단에 고정된 제2간격유지편(47b)의 저면에 서로 이격 고정되고, 제6걸이링(43f)은 상기 제2간격유지편(47b)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 형성된 제3간격유지편(47c)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들 제1 내지 제3높이조절대(46a)(46b)(46c) 및 제1 내지 제3간격유지편(47a)(47b)(47c)에 의해 제1 내지 제6의 걸이링(43a)(43b)(43c)(43d)(43e)(43f)에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45)가 일정 간격 및 차등 높이로 배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5. 제 1항에 있어서,
    제3중간 장식링체(50)는, 중앙의 고정몸체(51)와 상기 고정몸체(5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지지관(52)과 각 지지관(52)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이링(53)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몸체(51)의 측면에는 소켓관(54)(54')이 상,하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52)의 저면에는 제1 내지 제5의 걸이링(53a)(53b)(53c)(53d)(53e)를 고정 형성하되,
    제1걸이링(53a) 및 제2걸이링(53b)는 지지관(52)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1높이조절대(56a) 및 상기 제1높이조절대(56a)의 하단에 고정된 제1간격유지편(57a)의 저면에 서로 이격 고정되고, 제3걸이링(53c)은 지지관(52)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2높이조절대(56b)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4걸이링(53d) 및 제5걸이링(53e)은 지지관(52)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3높이조절대(56c) 및 상기 제3높이조절대(56c)의 하단에 고정된 제2간격유지편(57b)의 저면에 서로 이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들 제1 내지 제3높이조절대(56a)(56b)(56c) 및 제1 내지 제2간격유지편(57a)(57b)에 의해 제1 내지 제5의 걸이링(53a)(53b)(53c)(53d)(53e)에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55)가 일정 간격 및 차등 높이로 배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6. 제 1항에 있어서,
    하단 장식링체(60)는, 중앙의 고정몸체(61)와 상기 고정몸체(6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지지관(62)과 각 지지관(62)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이링(63)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몸체(61)의 측면에는 소켓관(64)이 결합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61)의 저면에는 또 다른 소켓관(64')이 수직으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62)의 저면에는 제1 내지 제4 걸이링(63a)(63b)(63c)(64d)이 결합되고, 상기 제4걸이링(64d)의 내측으로는 제1 내지 제3의 하단걸이링(68a)(68b)(68c)을 결합 형성하되,
    제1걸이링(63a)은 지지관(62)의 끝단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링(63b)과 제3걸이링(63c)은 지지관(62)으로부터 하향 고정된 제1높이조절대(66a) 및 상기 제1높이조절대(66a)의 하단에 고정된 간격유지편(67)의 저면에 서로 이격 고정되며, 상기 제4걸이링(63d)는 제2높이조절대(66b)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의 하단걸이링(68a)(68b)(68c)은 상기 제4걸이링(64d)과 연결되게 한 수평유지편(69)에 의해 상기 제4걸이링(64d)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면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높이조절대(66a) 및 간격유지편(67)에 의한 제1 내지 제3걸이링(63a)(63b)(63c)에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65)가 일정 간격 및 차등 높이로 배열되게 하고, 제2높이조절대(66b) 및 수평유지편(69)에 의한 제4걸이링(63d) 및 제1 내지 제3의 하단걸이링(68a)(68b)(68c)에 걸어 고정되는 크리스탈 장식구(65)에 의해 하단 마감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7. 삭제
KR1020160076852A 2016-06-20 2016-06-20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KR101794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52A KR101794741B1 (ko) 2016-06-20 2016-06-20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52A KR101794741B1 (ko) 2016-06-20 2016-06-20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741B1 true KR101794741B1 (ko) 2017-11-09

Family

ID=6038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52A KR101794741B1 (ko) 2016-06-20 2016-06-20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7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9965A (zh) * 2018-07-10 2018-11-13 浙江佳合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环状摇摆灯演艺装置及多层环状摇摆灯演艺装置
CN110985934A (zh) * 2019-12-12 2020-04-10 嘉兴市正大照明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的led灯
KR102635567B1 (ko) * 2023-06-28 2024-02-07 박지은 조명 어셈블리 및 그 설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210A (ja) * 2000-12-12 2002-06-28 Kazuo Yoshitake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に装着される反射板
KR200405241Y1 (ko) 2005-10-24 2006-01-11 홍현주 샹들리에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210A (ja) * 2000-12-12 2002-06-28 Kazuo Yoshitake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に装着される反射板
KR200405241Y1 (ko) 2005-10-24 2006-01-11 홍현주 샹들리에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9965A (zh) * 2018-07-10 2018-11-13 浙江佳合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环状摇摆灯演艺装置及多层环状摇摆灯演艺装置
CN108799965B (zh) * 2018-07-10 2024-01-23 浙江佳合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环状摇摆灯演艺装置及多层环状摇摆灯演艺装置
CN110985934A (zh) * 2019-12-12 2020-04-10 嘉兴市正大照明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的led灯
KR102635567B1 (ko) * 2023-06-28 2024-02-07 박지은 조명 어셈블리 및 그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741B1 (ko) 장식성을 극대화한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KR101089055B1 (ko)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 매다는 등
KR200413753Y1 (ko) 천정등
KR200411570Y1 (ko) 조명등용 전등커버
KR200396890Y1 (ko) 스팽글 샹들리에
KR101787005B1 (ko) 사이키 조명장치를 갖는 다단 조립식 샹들리에
KR101136050B1 (ko) 장식성이 뛰어난 천장 매다는 등
CN212841106U (zh) 一种led吸顶灯
KR20090034136A (ko) 탈부착형 장식구를 갖는 조명등
KR20090066536A (ko) 반복 배열된 장식타공으로부터 개별 노출되는 투명장식구를갖는 천정매립등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KR200421207Y1 (ko) 샹들리에 구조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CN213453229U (zh) 一种新型led吸顶灯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100715258B1 (ko) 천정등
KR20130005916U (ko) 조립식 전등갓
CN209838924U (zh) 一种用于灯串组的挂钩
CN209672126U (zh) 一种壁灯
CN208123972U (zh) 一种新型的灯体结构
KR100779567B1 (ko) 흔들림 장식관이 배열 결합된 천정용 조명등
KR101704713B1 (ko) 가변형 조립구조에 의해 장식성이 향상되게 한 조명커버
CN201897161U (zh) 一种具有繁星点缀效果的组合灯饰
CN206257570U (zh) 一种多角度折射图案的宫灯
KR200364532Y1 (ko) 천정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