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594B1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4594B1 KR101794594B1 KR1020160064760A KR20160064760A KR101794594B1 KR 101794594 B1 KR101794594 B1 KR 101794594B1 KR 1020160064760 A KR1020160064760 A KR 1020160064760A KR 20160064760 A KR20160064760 A KR 20160064760A KR 101794594 B1 KR101794594 B1 KR 1017945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actory
- brick
- bricks
- width
- molten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6—Use of slags or fluxes as treat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2007/0093—Duplex process; Two stage proc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화벽돌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하부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refractory bricks to improve the service life of the lower tank.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은 용선 예비 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주조 공정 순으로 진행된다. 용선에 산소 가스를 취입하여 처리하는 전로 정련을 마치고, 전로에서 출강되는 용강은 불순물이 많고 원하는 강의 성분이 대부분 미달인 상태이다. 2차 정련은 진공 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용강 내 불순물(예를 들어, 탄소 성분)이나 가스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Generally, the steelmaking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iron pre-treatment, converter refining, secondary refining, and casting. After finishing the refining of the furnace by blowing oxygen gas, the molten steel introduced from the converter has a lot of impurities and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desired steel are under. Secondary refining is a step of removing impurities (for example, carbon components) and gases in the molten steel by using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이러한 진공 탈가스 장치는 하부조에 마련된 한 쌍의 환류관을 통해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용강 내 불순물이나 가스를 제거한다. 환류관에는 환형으로 내화벽돌이 축조되어 있고, 내화벽돌은 부정형 내화물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Such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removes impurities and gas in the molten steel while refluxing molten steel through a pair of reflux pipes provided in the lower tank. Reflow bricks are annularly formed in the reflux pipe, and the refractory bricks are kept in a state constrained by a monolithic refractory.
그런데 내화벽돌이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부상하여 탈락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벽돌이 부상한 영역의 환류관의 철피가 용강과 접촉하여 용융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환류관이 용융되는 경우, 설비의 사용을 중단하고 하부조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조업안정성과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However, the refractory bricks can be lifted by molten steel rising and can be dropped. Therefo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refuse of the reflux pipe in the area where the refractory bricks are floated comes into contact with molten steel and melts. If the reflux tube melts, the use of the equipment should be discontinued and the entire sub-tank must be replaced, which may reduce operational stability and productivity.
종래에는 용강의 부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내화벽돌 측면에 경사를 형성하여 내화벽돌의 부상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장시간 공정을 진행하면서 내화벽돌이 마모되고 내화벽돌의 두께가 얇아졌다. 이에, 내화벽돌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손상되고, 설비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inclina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fractory brick at the portion where the buoyant force of the molten steel acts, thereby suppressing the rise of the refractory brick. However, the refractory brick was worn down and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brick thinned during the long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refractory brick is deteriorated to be easily damag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refractory brick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내화벽돌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refractory bricks.
본 발명은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service life of a facility.
본 발명은, 내부에 용강이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환류관; 상기 환류관의 하부에 연결되고, 용강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침적관; 및 상기 환류관의 내벽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내화벽돌을 구비하고, 상기 환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화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defining a space in which molten steel is circulated; A plurality of reflux tube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ss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vessel; A plurality of submerged pipe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flux pipe and forming a moving path of the molten steel; And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toward an inner wall of the reflux pipe, wherein the refractory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reflux pipe; .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환류관과 상기 내화벽돌 사이에 구비되는 내화물을 더 포함한다.The refractory member further includes a refractory provided between the reflux pipe and the refractory brick.
상기 내화벽돌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The refractory brick includes: a body extending vertically;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
상기 내화벽돌은 상하방향으로 축조되고, 상기 돌출부는 최상층의 내화벽돌에 형성된다.The refractory brick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uppermost refractory brick.
상기 돌출부는 상기 침적관보다 상기 용기에 근접하게 배치된다.The projection is disposed closer to the vessel than the deposition tube.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폭 대비 20~50%로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protrusion is 20 to 50% of the width of the body.
상기 돌출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 길이 대비 12~50%로 형성된다.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12 to 50% of the length of the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복수의 내화벽돌의 돌출부가 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The projections of the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re arranged to form a circle.
상기 복수의 내화벽돌의 돌출부는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The projections of the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상기 용기는 보호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내화벽돌 중 상기 보호부재의 하측에 위치한 내화벽돌의 돌출부 폭이 상기 보호부재와 이격된 내화벽돌의 돌출부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container has a protective member and a protruding portion width of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below the protective member among the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a protruding portion width of the refractory brick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member.
상기 돌출부에 함몰홈이 형성된다.A recess is formed in the protrusion.
상기 내화벽돌은,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The refractory brick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연결부의 경사각도는 30~80도이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30 to 80 degrees.
상기 연결부는 상부가 상기 돌출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측면이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연결된다.The connection portion has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a side surface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내화물은 1400~1600℃의 온도에서 열팽창률이 0.8~1.5%이다.The refractory has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0.8 to 1.5% at a temperature of 1400 to 1600 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환류관에 설치되는 내화벽돌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는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내화벽돌이 마모되더라도 두께가 증가한 만큼 내화벽돌을 더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내화벽돌의 내구성 및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abrasion of the refractory brick provided in the reflux pipe easily occurs is increased. Therefore, even if the refractory bricks are worn, the refractory bricks can be used for a longer time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us, the durability and life of the refractory brick can be improved.
또한, 두께가 증가하면 내화벽돌들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내화벽돌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내화벽돌이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벽돌이 환류관의 철피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고, 조업안정성과 설비의 수명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Also,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fractory bricks increases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efractory bricks may incre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rising of the refractory bricks by the rising molten steel. Therefore, the refractory brick can stably protect the refuse of the reflux pipe,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and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류관과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류관과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벽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벽돌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벽돌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벽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류관과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lten ste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flux pipe and a refractor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flux pipe and a refractor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fractory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first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r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flux pipe and a refractory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operation of a refractor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류관과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류관과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벽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벽돌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벽돌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벽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류관과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flux pipe and a refr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fractory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br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 FIG.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fract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내부에 용강이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30), 용기(30)의 하부에 연결되고, 용기(3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환류관(50), 환류관(50)의 하부에 연결되고, 용강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침적관(40), 및 환류관(50)의 내벽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내화벽돌(110)을 구비하고, 환류관(5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화부재(100)를 포함한다.1,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용기(3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조(31), 및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조(32)를 포함한다. The
상부조(31)의 상부면에는 랜스(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31b)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함금철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31a)가 형성된다. 랜스(20)를 이용하여 산소를 취입할 수 있고, 투입구(31a)를 통해 투입되는 함금철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성질의 강에 부합하는 강을 제조할 수 있다.A through
하부조(32)는 고온의 용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벽에 보호부재(32a)를 구비한다. 보호부재(32a)는 하부조(32)의 철피에서 내측방향으로, 단열재, 영구장, 내장 연와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부재(32a)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환류관(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용강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환류관(5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조(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환류관(51), 및 제1 환류관(51)과 하부조(32)의 폭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조(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환류관(5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제1 환류관(51)을 통해 하부조(32) 내부로 유입되고, 제2 환류관(52)을 통해 하부조(3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환류관(51)과 제2 환류관(52)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다.The reflux pipe 50 can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nd form a path through which molten steel passes. A plurality of reflux pipes 50 may be provided. The
침적관(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용강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침적관(40)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류관(51)의 하부의 연결되는 제1 침적관(41), 및 제2 환류관(5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침적관(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침적관(41)은 래들(10)에 침지되어 래들(10) 내 용강을 흡입하는 상승관일 수 있고, 제1 침적관(41)에는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41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침적관(42)은 래들(10)에 침지되어 하부조(32) 내 용강을 래들(10)로 배출하는 하강관일 수 있다. 이때, 제1 침적관(41)과 제2 침적관(42)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고, 제1 침적관(41)과 제2 침적관(42)의 역할이 바뀌는 경우 제2 침적관(42)에 노즐(41a)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bmerged pipe 40 can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molten steel moves inside. A plurality of immersion tubes 4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 first submerged
이러한 상부조(31)와 하부조(32)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면, 제1 침적관(41)을 통해 래들(10) 내 용강이 하부조(32) 내부로 상승하고, 제2 침적관(42)을 통해 하부조(32) 외부의 래들(10)로 배출되는 환류가 이루어진다. 용강이 하부조(32) 내부로 상승했을 때 랜스(20)를 통해 산소를 취입하면 용강 중의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When a vacuum is formed in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화부재(100)는 고온의 용강으로부터 환류관(50)의 철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내화부재(1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환류관(50)의 철피의 내부를 감싸고, 환류관(50)을 통과하는 용강이 철피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화부재(100)는, 환류관(50)의 내부둘레를 따라 축조되는 복수의 내화벽돌(110), 및 환류관(50)과 내화벽돌(110) 사이에 구비되는 내화물(120)을 포함한다.2 and 3, the
내화물(120)은 내화벽돌(110)과 환류관(50)의 철피 사이에 시공되어 환류관(50)의 철피와 내화벽돌(110)을 접합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내화벽돌(110)들은 내화물(120)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환류관(50)에 접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efractory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또한, 내화물(120)은 비정형 내화물일 수 있고, Al2O3-MgO계, Al2O3-스피넬계, MgO-Cr2O3계 캐스타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내화물(120)은 열팽창률이 높다. 그러나 내화물(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refractory 120 may be at least one of Al 2 O 3 -MgO-based, Al 2 O 3 -spinel-based, and MgO-Cr 2 O 3 -based castable. The refractory 120 made of such a material has a high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refractory 1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예를 들어, 내화물(120)은 1400~1600℃의 온도에서 열팽창률이 0.8~1.5%일 수 있다. 내화물(120)의 열팽창률이 0.8%보다 작으면, 내화물(120)이 내화벽돌(110)을 구속하는 힘이 작아 환형으로 축조된 내화벽돌(110)들이 이완되거나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fractory 120 may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0.8 to 1.5% at a temperature of 1400 to 1600 ° C. I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refractory 120 is less than 0.8%, the force of the refractory 120 to restrain the
반대로, 내화물(120)의 열팽창률이 1.5%보다 크면, 내화물(120)이 수직방향으로 너무 많이 팽창할 수 있다. 이에, 내화벽돌(110)이 팽창하는 내화물(120)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측의 내화벽돌(110)과 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내화물(120)은 내화벽돌(110)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면서 내화벽돌(110)들 사이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열팽창률을 가져야 한다.Conversely, i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refractory 120 is greater than 1.5%, the refractory 120 may expand too much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the
내화벽돌(110)은 환류관(50)의 내부에 축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용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벽돌(110)은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내화벽돌의 재질은 MgO-Cr2-O3 또는 MgO-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내화벽돌은 용강 및 슬래그에 의한 침식에 대해 내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내화벽돌이 용강이나 슬래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내화벽돌(1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내화벽돌(110)은 상하방향으로 축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화물(120)은 3개의 층으로 축조될 수 있는데,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1 벽돌(111), 제2 벽돌(112), 및 제3 벽돌(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벽돌(111), 제2 벽돌(112), 및 제3 벽돌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환류관(50)의 내부 둘레형상을 따라 축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화벽돌(110)은 상하방향으로 다양한 개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The
이때, 최상층의 내화벽돌(110) 즉, 제1 벽돌(111)은 환류관(50)과 하부조(32)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속이 빨라지는 용강과 가장 많이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벽돌(111)은 제2 벽돌(112)이나 제3 벽돌보다 쉽게 마모될 수 있고, 용강에 의해 부상하려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다. 따라서, 환류관(50)의 철피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11b)는 최상층의 내화벽돌(110) 즉, 제1 벽돌(111)들에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벽돌(112)이나 제3 벽돌(113)에 돌출부(111b)가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refractory bricks (110) of the uppermost layer, that is, the first bricks (111) are located between the reflux pipe (50) and the lower tank (32), they are most in contact with molten steel whose flow rate is accelerated. Therefore, the
한편, 한 쌍의 환류관(50) 사이 및, 환류관(50)과 하부조(32) 사이에도 연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와(140)는 제1 벽돌(111)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제1 벽돌(111)과 함께 하부조(32)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벽돌(1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111a), 및 몸체부(111a)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몸체부(111a)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11b)를 포함하고, 몸체부(111a)와 돌출부(111b)에 연결되는 연결부(1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1a), 돌출부(111b), 및 연결부(111c)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4 to 6, the
몸체부(111a)는 벽돌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1a)는 제2 벽돌(112) 및 제3 벽돌(113)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1a)는 환류관(50)의 내부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1a)의 일면은 환류관(50) 철피의 내벽과 마부보고, 타면은 용강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용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11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돌출부(111b)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11a)와 교차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1b)는 몸체부(111a)의 일면에서 환류관(50) 철피의 내벽을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고, 상하방향 길이가 몸체부(111a)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1a)의 돌출부(111b)와 연결된 부분은 돌출부(111b)가 합쳐진 만큼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제1 벽돌(111)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제1 벽돌(111)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돌출부(111b)는 침적관(40)보다 하부조(3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1b)는 몸체부(111a)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고, 돌출부(111b)의 상부면 높이와 몸체부(111a)의 상부면 높이가 같을 수 있다. 돌출부(111b)와 몸체부(111a)는 하부조(32)의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11a)의 상부가 용강에 의해 쉽게 마모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몸체부(111a)의 상부를 돌출부(111b)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벽돌(111)의 상부의 두께가 증가하여 상부가 마모되더라도 제1 벽돌(111)을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제1 벽돌(111)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Further, the projecting
또한, 돌출부의 폭(t1)은 몸체부의 폭(t2) 대비 20~5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폭은 전후방향 길이 또는 두께일 수 있다. 돌출부의 폭(t1)이 몸체부의 폭(t2) 대비 20% 미만의 크기로 형성되면, 내화벽돌(110)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고, 두께도 얇아 제1 벽돌(111)이 용강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Also, the width t1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20 to 50% of the width t2 of the body portion. In this case, the width may be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or thickness. If the width t1 of the projection is less than 20% of the width t2 of the body por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반대로, 돌출부의 폭(t1)이 몸체부의 폭(t2) 대비 5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제1 벽돌(111)을 환류관(50)에 축조하기 어렵고, 제1 벽돌(111)이 환류관(50) 상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벽돌(110)의 축조가 용이하며서 제1 벽돌(1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의 폭(t1)이 몸체부의 폭(t2) 대비 20~50%로 형성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width t1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exceed 50% of the width t2 of the body portion,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또한, 돌출부의 상하방향 길이(h1)는 몸체부의 상하방향 길이(h2) 대비 12~50%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상하방향 길이(h1)가 몸체부의 상하방향 길이(h2) 대비 12% 미만의 크기로 형성되면, 돌출부(111b)의 길이가 너무 짧아 몸체부(111a)가 용강에 의해 마모되는 부분을 보강해줄 수 없다. The length h1 of the protrus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12 to 50% of the length h2 of the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f the length h1 of the protrus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less than 12% of the length h2 of the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ength of the
반대로, 돌출부의 상하방향 길이(h1)가 몸체부의 상하방향 길이(L) 대비 5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제1 벽돌(111)의 돌출하는 부분이 증가하여 환류관(50)의 철피와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1b)의 상하방향 길이는 몸체부(111a)를 보강하면서 환류관(50)의 철피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1b)의 상부면 높이와 몸체부(111a)의 상부면 높이가 동일한 경우를 기준으로 돌출부(111b)의 상하방향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length h1 of the protrus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greater than 50% of the length L of the body port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또한, 돌출부의 너비(d1)는 몸체부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너비는 좌우방향 길이일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1b)와 몸체부(111a)는 환류관(5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벽돌(111)들을 환형으로 축조할 때 제1 벽돌(111)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제1 벽돌(111)들의 몸체부(111a) 및 돌출부(111b)가 다른 제1 벽돌(111)의 몸체부(111a) 및 돌출부(111b)와 접촉할 수 있고, 제1 벽돌(111)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Further, the width d1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d2 of the body portion. The width can be left or right. At this time, the
또한, 복수의 제1 벽돌(111)의 돌출부(111b)는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1b)들의 폭이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돌출부(111b)들이 이루는 둘레가 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1b)들이 서로 접촉하여 제1 벽돌(111)들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Further, the projecting
또는, 복수의 제1 벽돌(111)의 돌출부(111b)는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폭이 큰 돌출부(111b)와 폭이 작은 돌출부(111b)가 번갈아가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폭이 다른 돌출부(111b)를 가지는 제1 벽돌(111)들이 서로 억갈려 배치되므로, 폭이 큰 돌출부(111b)와 폭이 작은 돌출부(111b) 사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벽돌(111)들과 내화물(120)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고, 제1 벽돌(111)들이 내화물(120)에 더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그러나 폭이 다른 돌출부(111b)를 가지는 제1 벽돌(111)들이 배치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는, 복수의 제1 벽돌(111) 중 보호부재(32a)의 하측에 위치한 제1 벽돌(111)의 돌출부(111b) 폭이 보호부재(32a)와 이격된 제1 벽돌(111)의 돌출부(111b) 폭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벽돌(111) 중 보호부재(32a) 하측에 위치한 제1 벽돌(111)들은 보호부재(32a)의 중량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보호부재(32a) 하측에 위치한 제1 벽돌(111)이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보호부재(32a)가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protruding
그러나 복수의 제1 벽돌(111) 중 보호부재(32a)와 이격된 제1 벽돌(111)들은 상측에서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쉽게 부상하여 탈락할 수 있다. 이에, 보호부재(32a)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힘을 받는 제1 벽돌(111)에는 짧은 폭의 돌출부(111b)를 구비하고, 보호부재(32a)와 이격된 제1 벽돌(111)에는 긴 폭의 돌출부(111b)를 구비하여 제1 벽돌(111)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용강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mong the plurality of
또는, 복수의 제1 벽돌(111) 중 보호부재(32a)의 하측에 위치한 제1 벽돌(111)에는 돌출부(111b)를 구비하지 않고, 보호부재(32a)과 이격된 제1 벽돌(111)에만 돌출부(111b)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돌출부(111b)의 형상, 크기, 구조,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연결부(111c)는 돌출부(111b) 및 몸체부(111a)에 연결되어 열응력 또는 기계적 응력에 의해 돌출부(111b)가 몸체부(111a)에서 절단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화벽돌(110)은, 경사면을 가지고 몸체부(111a) 및 돌출부(111b)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1c)는 측면 형상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면이 돌출부(111b)의 하부와 연결되고, 측면이 몸체부(111a)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의 일측은 돌출부(111b)의 모서리와 연결되고, 타측은 몸체부(111a)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연결부의 경사각도(θ)는 30~80도일 수 있다. 이때, 경사각도(θ)는 돌출부(111b)의 하면과 연결부(111c)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한 값이다. 연결부의 경사각도(θ)가 30도 미만이면, 기계적 응력에 의해 돌출부(111b)가 쉽게 절단될 수 있다. 연결부의 경사각도(θ)가 80도를 초과하면, 연결부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하여 몸체부(111a)의 하단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배면의 철피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의 경사각도(θ)는 돌출부(111b)에 가해지는 응력을 상쇄시키면서 몸체부(111a)보다 하측으로 돌출시키지는 않는 각도로 결정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30 to 80 degrees.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I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angl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이러한 연결부의 경사각도(θ)는 돌출부(111b)의 폭 길이와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즉, 돌출부(111b)의 폭이 증가할수록 경사각도(θ)는 감소할 수 있다. 즉, 돌출부(111b)의 폭과 연결부의 경사각도(θ)가 비례관계에 있으면, 돌출부(111b)의 폭이 증가할 때마다 연결부(111c)의 상하방향 길이도 증가하고, 공간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1b)의 폭이 증가할 때마다 연결부의 경사각도(θ)를 감소시키면 연결부(111c)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111c)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또는, 연결부가 오목한 곡면(111d)을 가지거나 볼록한 곡면(111e)을 가지고 몸체부(111a) 및 돌출부(111b)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1c)의 경사면을 가공하여 오목한 곡면(111d)이나 볼록한 곡면(111e)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경사면이 가공되면서 연결부(111c)의 부피가 감소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1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necting portion may have a concave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돌출부(112)에 함몰홈(111f)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함몰홈(111f)은 돌출부(111b)의 일면 즉, 환류관(50) 철피의 내벽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홈(111f)은 돌출부(112)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111f)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돌출부(111b)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홈들이 구비된 만큼 돌출부(111b)와 내화물(12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내화물(120)이 안정적으로 제1 벽돌(111)을 고정시켜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또는, 함몰홈(111f)이 사각형 또는 원형의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돌출부(111b)의 일면에 분포될 수도 있다. 이에, 함몰홈(111f)이 구비된 개수만큼 돌출부(111b)와 내화물(120)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돌출부(111b)가 내화물(120)에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그러나 함몰홈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또는, 돌출부(111b)의 일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표면 거칠기를 거칠게 할 수도 있다. 돌출부(112)의 일면이 울퉁불퉁해지면서 돌출부(111b)와 내화물(120)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내화물이 제1 벽돌(1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Alternatively,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ojecting
이처럼, 환류관(50)에 설치되는 내화벽돌(110)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는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켜, 내화벽돌(110)이 마모되더라도 두께가 증가한 만큼 내화벽돌(110)을 더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내화벽돌(110)의 내구성 및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두께가 증가하면 내화벽돌(110)들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내화벽돌(11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내화벽돌(110)이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벽돌(110)이 환류관(50)의 철피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고, 조업안정성과 설비의 수명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Also,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lten steel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용강이 수용된 래들(10)이 용강 처리 장치의 하측으로 이송시키고, 제1 침적관(41)과 제2 침적관(42)을 래들(10)의 용강에 침적시킨다. 노즐(41a)로 제1 침적관(41)의 내부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용기(30)의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조성하면, 제1 침적관(41) 및 제1 환류관(51)을 통해 용강이 용기(30) 내부로 흡입되고, 제2 환류관(52) 및 제2 침적관(42)을 통해 용기(30) 내부의 용강이 래들(10)로 배출된다. 이에, 용강이 환류될 수 있고, 제조하고자 하는 성질의 강에 부합하는 함금철을 용기 내부로 투입하여 용강을 정련할 수 있다.The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환류관(5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축조된 내화벽돌(110) 중 최상측의 제1 벽돌(111)이 다른 벽돌들에 비해 용강에 의해 쉽게 마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벽돌(111)에 돌출부(111b)를 구비하여 제1 벽돌(111)의 일부분의 두께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제1 벽돌(111)의 일부분이 마모되더라도 돌출부(111b)가 이를 보강해주어 제1 벽돌(111)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또한, 돌출부(111b)로 인해 제1 내화벽돌(110)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제1 벽돌(111)이 상승하는 용강과 충돌하여 부상하려고 할 때 제1 벽돌(111)들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제1 벽돌(111)이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벽돌(111)의 수명이 연장되고, 제1 벽돌(111)들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내화벽돌(110)들의 탈락에 의한 철피적열 또는 용강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 래들 30: 용기
40: 침적관 50: 환류관
100: 내화부재 110: 내화벽돌
111: 제1 벽돌 111a: 몸체부
111b: 돌출부 120: 내화물10: ladle 30: container
40: deposition tube 50: reflux tube
100: refractory member 110: refractory brick
111:
111b: protrusion 120: refractory
Claims (15)
상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환류관;
상기 환류관의 하부에 연결되고, 용강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침적관;
상기 환류관의 내부 둘레형상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내화벽돌; 및
상기 환류관과 상기 내화벽돌 사이에 설치되고, Al2O3-스피넬계 캐스타블을 구비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내화벽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환류관의 내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화벽돌들 중 상기 보호부재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힘을 받는 내화벽돌은, 상기 보호부재와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는 내화벽돌보다, 상기 돌출부의 폭이 짧게 형성되거나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며,
일 돌출부를 가진 내화벽돌과, 상기 일 돌출부보다 폭이 크거나 작은 타 돌출부를 가진 내화벽돌이 환형으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되는 용강 처리 장치.A container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molten steel is circulated, and a protective member on the inner wall;
A plurality of reflux tube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ss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of the vessel;
A plurality of submerged pipe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flux pipe and forming a moving path of the molten steel;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reflux pipe; And
And a refractory disposed between the reflux tube and the refractory brick, the refractory including an Al 2 O 3 - spinel system castable,
At least a part of the refractory bricks includes a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reflux pipe,
The refractory brick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protection member and are urged downward in contact with the protection member may have a wid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refractory bricks or not provided with protrusions,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ruggedly,
A refractory brick having one projecting portion and a refractory brick having another projecting portion having a width larger or smaller than the one projecting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상기 내화벽돌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으로 축조되고,
모든 층에 위치한 내화벽돌들에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actory brick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s are provided on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all layers.
상기 내화벽돌은 상하방향으로 축조되고,
상기 돌출부는 최상층의 내화벽돌에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actory bricks are constru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most refractory brick.
상기 돌출부는 상기 침적관보다 상기 용기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jection is disposed closer to the vessel than the deposition tube.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폭 대비 20~50%로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wid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20 to 50% of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상기 돌출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 길이 대비 12~50%로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about 12 to 50% of the length of the body in the up-and-down direction.
상기 복수의 내화벽돌의 돌출부가 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jections of the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re arranged to form a circle.
상기 돌출부에 함몰홈이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a recessed groove is formed in the projecting portion.
상기 내화벽돌은,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fractory brick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연결부의 경사각도는 30~80도인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30 to 80 degrees.
상기 연결부는 상부가 상기 돌출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측면이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연결되는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a side surface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내화물은 1400~1600℃의 온도에서 열팽창률이 0.8~1.5%인 용강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8, and 11 to 14,
Wherein the refractory has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0.8 to 1.5% at a temperature of 1400 to 1600 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760A KR101794594B1 (en) | 2016-05-26 | 2016-05-26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760A KR101794594B1 (en) | 2016-05-26 | 2016-05-26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4594B1 true KR101794594B1 (en) | 2017-11-07 |
Family
ID=6038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4760A KR101794594B1 (en) | 2016-05-26 | 2016-05-26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45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8153A (en) * | 2017-11-21 | 2019-05-29 | 주식회사 포스코 | Processing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9124A (en) * | 2001-10-17 | 2003-05-08 | Kawasaki Steel Corp | Structure of reflux tube for rh vacuum degassing tank |
JP2013082969A (en) * | 2011-10-11 | 2013-05-09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 Lower structure of vacuum degassing apparatus |
CN203462076U (en) * | 2013-08-17 | 2014-03-05 | 辽宁中镁高温材料有限公司 | Upper layer double-ring masonry structure of ruhstahl hausen (RH) circulating tube |
-
2016
- 2016-05-26 KR KR1020160064760A patent/KR1017945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9124A (en) * | 2001-10-17 | 2003-05-08 | Kawasaki Steel Corp | Structure of reflux tube for rh vacuum degassing tank |
JP2013082969A (en) * | 2011-10-11 | 2013-05-09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 Lower structure of vacuum degassing apparatus |
CN203462076U (en) * | 2013-08-17 | 2014-03-05 | 辽宁中镁高温材料有限公司 | Upper layer double-ring masonry structure of ruhstahl hausen (RH) circulating tub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8153A (en) * | 2017-11-21 | 2019-05-29 | 주식회사 포스코 | Processing apparatus |
WO2019103233A1 (en) * | 2017-11-21 | 2019-05-31 | 주식회사 포스코 | Treatment apparatus |
KR102083533B1 (en) | 2017-11-21 | 2020-03-02 | 주식회사 포스코 | Process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4594B1 (en)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
JP2020002425A (en) | Vacuum dega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molten steel | |
JP5312090B2 (en) |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remaining in the ladle | |
KR101794593B1 (en)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
KR101484630B1 (en)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and the method thereof | |
US20150321251A1 (en) | Refractory component for lining a metallurgical vessel | |
JP6419680B2 (en) | Method for cooling steelmaking slag | |
JP7303781B2 (en) | reflux tube | |
KR102074897B1 (en) | Rh snorkel | |
JP6293233B2 (en) | Refining apparatus and refining method | |
KR102293736B1 (en) | An Ascending Pipe Structure for Vacuum Degassing Equipment and Vacuum Degassing Equipment comprising it | |
KR101794599B1 (en) | Apparatus for blowing ga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olten material using the same | |
KR101974567B1 (en) | Apparatus for in vacuum degassing vessel | |
KR100916065B1 (en) | A submerged pipe for rh systen | |
EP0767021B1 (en) | Ladle cover for vacuum refining process | |
WO2021106120A1 (en) | Dip tube for molten steel processing | |
JP6226483B2 (en) | Circulation tube of vacuum degasser | |
WO2021199951A1 (en) | Molten metal holding furnace for low-pressure casting | |
JP4765770B2 (en) | Swirl suppression method, converter, and hot metal or steel manufacturing method | |
JPH0643167Y2 (en) | Immersion pipe for molten steel degassing equipment | |
JP5962257B2 (en) | Vacuum degasser flue structure | |
JPH10280030A (en) | Repaired side wall of rh vacuum degassing furnace and method for repairing rh vacuum degassing furnace | |
KR200152850Y1 (en) | Tundish digestion nozzle | |
KR200349967Y1 (en) | Sagger tray for tunnel kiln | |
WO2020036179A1 (en) | Ladle for molten met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