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593B1 -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593B1
KR101794593B1 KR1020160064759A KR20160064759A KR101794593B1 KR 101794593 B1 KR101794593 B1 KR 101794593B1 KR 1020160064759 A KR1020160064759 A KR 1020160064759A KR 20160064759 A KR20160064759 A KR 20160064759A KR 101794593 B1 KR101794593 B1 KR 10179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molten steel
region
bricks
low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현
오동준
윤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6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5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6Use of slags or fluxes as tre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2007/0093Duplex process; Two stage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lten metal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container in which a space is formed for molten metal to circulate; a backflow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fireproof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A thickness of a portion placed on an upper area of the fireproof member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at of a portion placed in a lower portion, and refractories of the backflow pipe are stably supported to improve durability of a lower tank increasing an internal capacity of the lower tank.

Description

용강 처리 장치{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0001]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0002]

본 발명은 용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류관의 내화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 하부조의 수명을 향상시키면서 하부조의 내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inner volume of a lower tank while improving the life of the lower tank by stably supporting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pipe.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은 용선 예비 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주조 공정 순으로 진행된다. 용선에 산소 가스를 취입하여 처리하는 전로 정련을 마치고, 전로에서 출강되는 용강은 불순물이 많고 원하는 강의 성분이 대부분 미달인 상태이다. 2차 정련은 진공 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용강 내 불순물(예를 들어, 탄소 성분)이나 가스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Generally, the steelmaking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iron pre-treatment, converter refining, secondary refining, and casting. After finishing the refining of the furnace by blowing oxygen gas, the molten steel introduced from the converter has a lot of impurities and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desired steel are under. Secondary refining is a step of removing impurities (for example, carbon components) and gases in the molten steel by using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이러한 진공 탈가스 장치는 용강이 수용되는 하부조와, 하부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환류관을 포함한다. 진공 탈가스 장치는 환류관을 통해 하부조 내부로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용강 내 탄소(C), 수소(H)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Such a vacuum degassing apparatus includes a lower tank receiving molten steel and a pair of reflux pipe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In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molten steel is refluxed into a lower tank through a reflux pipe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carbon (C) and hydrogen (H) in the molten steel.

이때, 용강의 탈탄 반응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용강 환류량(Q)을 향상시키거나, 물질전달계수(q)를 높이는 방법이 있으며,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증가시키는 방법이 탈탄 반응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t this time,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decarburization reaction of molten steel, there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molten steel reflux amount (Q) or increasing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q). .

용강의 환류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상승관을 통과하는 용강으로 더 많은 양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거나, 침적관의 내경을 확대하거나, 하부조 내 진공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있고, 물질전달계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하부조의 단면적을 넓히는 방법이 있다. A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flux amount of molten steel, there is a method of supplying a larger amount of inert gas to the molten steel passing through the riser pipe, enlar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ttling pipe, or controlling the degree of vacuum in the lower tank.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tank.

종래에는 탈탄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조를 구성하는 내화물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하부조의 내용적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내화물의 두께가 줄어드는 경우 하부조 내부의 내화물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용강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내화물은 슬래그에 의한 침식, 열충격, 및 슬래그와 반응하여 변질층을 형성하고, 다른 내화물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Conventionally, to improve the decarburization reaction,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constituting the lower tank is de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lower tank.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is reduced, the refractory inside the lower tank may be partially damaged, resulting in the leakage of molten steel. At this time, the refractory reacts with the erosion by the slag, the thermal shock, and the slag to form a deteriorated layer, and can be removed from the other refractory.

또한, 하부조의 내화물은 환류관에 설치된 내화물의 상측에 위치하여 환류관에 설치된 내화물의 탈락을 막고 있다. 그런데 하부조 내부의 내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조의 내화물 두께를 감소시키면, 하부조의 내화물이 환류관의 내화물을 누르는 힘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환류관의 내화물이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쉽게 탈락하게 되고, 용강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Further, the refractory of the lower tank is positioned above the refractory installed in the reflux tube to prevent the refractory disposed on the reflux tube from falling off.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of the lower tank is reduced to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of the lower tank, the force of the refractory of the lower tank to press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tube decreases. Therefore,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pipe easily falls off by the rising molten steel, and the molten steel may leak out to the outside.

KRKR 2013-00103922013-0010392 AA

본 발명은 환류관의 내화물을 안정적으로 커버하면서 하부조의 내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ably covering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pipe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lower tank.

본 발명은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of equipment.

본 발명은 내부에 용강이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환류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부재는, 상부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하부영역에 위치한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neycomb structure, comprising: a vessel forming a space in which molten steel is circulated; A reflux tu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ssel; And a refractory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refractory member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reg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lower region.

상기 내화부재는 복수의 내화벽돌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은 두께가 동일하다.The refractory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nd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have the same thickness.

상기 내화부재는 복수의 내화벽돌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 중 적어도 일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The refractory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is thinn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진다.At least some of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have slopes or curved surfaces.

상기 경사면과 상기 내화벽돌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가 30~90도이다.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fractory brick is 30 to 90 degrees.

상기 내화벽돌은, 외측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용강을 마주보고 상기 제1 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화벽돌의 상부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한다.Wherein the refractory brick includes a first surface facing outwardly and a second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nd facing the molten steel and having a short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상기 제2 면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면의 상하방향 길이 대비 12~88%로 형성된다.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12 to 88% of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환류관의 내부에 보호부재가 설치되고, 최하층에 위치한 내화벽돌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And a protrusion in which a protection member is installed in the reflux pi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st layer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호부재와 중첩되는 면적을 가진다.The projecting portion has an area overlapping the protective member.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보호부재가 형성하는 용강의 이동경로와 접하도록 위치하거나 이동경로의 외측에 위치한다.The end of the protrus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molten steel formed by the protective member or is located outside the movement path.

상기 용기는 상부조 및 상부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영역은 용강의 상부면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상부영역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영역보다 상기 환류관에 근접한 영역이고, 상기 하부영역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조의 상하방향 길이 대비 5~50%로 형성된다.Wherein the upper region is a region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steel is located and the lower reg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region, And the length of the lower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5 to 50% of the length of the lower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조에 구비되는 내화부재의 두께가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즉, 내화부재의 환류관에 구비되는 내화물과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와 다른 부분의 두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내화부재가 환류관의 내화물을 안정적으로 커버하여 환류관의 내화물이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tank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ntacting the refractory provided in the reflux pipe of the refractory member can be made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 Thus, the refractory member can stably cover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pipe to suppress or prevent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pipe from falling off.

이와 함께 하부조의 내화부재의 두께를 감소시키므로, 하부조의 내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하부조 내부에서 처리되는 용강의 탕면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용강을 처리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member of the lower tank is reduced, the inner volume of the lower tank can be increas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 bath surface of the molten steel to be treated in the lower tank can be increased. Thus, the time for processing molten steel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따라서, 하부조의 내용적을 증가시켜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환류관의 내화물이 환류하는 용강에 의해 탈락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설비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by increasing the inner volume of the lower tank and to prevent or prevent the refractory of the reflux pipe from falling off by refluxing molten steel,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와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벽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벽돌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와 환류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하부조 용강의 유동해석 결과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 용강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molten ste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ower tank and a refractor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fractory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efractory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tank and a reflux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low analysis result of a conventional lower set steel and a flow analysis result of a lower set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olten stee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내부에 용강이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30), 하부조(32)의 하부에 연결되는 환류관(50), 및 하부조(32)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화부재(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olten stee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ssel 30 forming a space in which molten steel is circulated, a reflux pipe 5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32, And a refractory member 100 installed inside the lower tank 32.

상부조(31) 내부공간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다. 상부조(31)의 상부면에는 랜스(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31b)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함금철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31a)가 형성된다. 랜스(20)를 이용하여 산소를 취입할 수 있고, 투입구(31a)를 통해 투입되는 함금철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성질의 강에 부합하는 강을 제조할 수 있다.And the lower part is opened with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tank 31. [ A through hole 31b through which the lance 20 can penetr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ank 31 and an inlet 31a through which the molten iron is injecte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xygen can be taken in by using the lance 20 and a steel that meets the properties of steel to be produced by the molten iro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1a can be manufactured.

하부조(32)는 상부조(31)의 하부와 연결된다. 하부조(32)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다. 하부조(32)의 하부에는 환류관(50)이 연결되어 하부조(32)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거나 하부조(32) 내부의 용강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lower tank 3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ank 31. The lower tank 32 has an inner space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A reflux pipe 50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32 to allow molten steel to flow into the lower tank 32 or to discharge molten steel in the lower tank 32 to the outside.

환류관(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용강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환류관(5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조(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환류관(50), 및 제1 환류관(50)과 하부조(32)의 폭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하부조(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환류관(5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제1 환류관(50)을 통해 하부조(32) 내부로 유입되고, 제2 환류관(50)을 통해 하부조(3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환류관(50)과 제2 환류관(50)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다.The reflux pipe 50 can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nd form a path through which molten steel passes. A plurality of reflux pipes 50 may be provided. The first reflux pipe 5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nk 32 and the first reflux pipe 5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lux pipe 5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reflux pipe 5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h 32. Accordingly, the molten steel may flow into the lower tank 32 through the first reflux pipe 5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tank 32 through the second reflux pipe 50. At this time, the roles of the first reflux pipe 50 and the second reflux pipe 50 may be changed.

또한, 환류관(50)을 형성하는 철피의 내부에는 보호부재(53)가 설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53)는 환류관(50)의 철피가 고온의 용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피의 내부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53)는 캐스타블과 연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와는 환류관(5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축조되고, 캐스타블이 환류관(50)의 철피와 연와 사이에 구비되어 연와를 구속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보호부재(53)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member 5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ron pipe forming the reflux pipe 50. The protection member 53 may be install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iron pipe to prevent the iron pipe of the reflux pipe 50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temperature molten steel. The protection member 53 may include a casable and a soft case. The duct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flux pipe 50, and the castable is provided between the refractory pipe of the reflux pipe 50 and the duct to constrain the duct.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otection member 53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various.

이때, 환류관(50)의 하부에 침적관(40)이 연결될 수 있다. 침적관(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용강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침적관(40)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환류관(50)의 하부의 연결되는 제1 침적관(40), 및 제2 환류관(5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침적관(4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침적관(40)은 래들(10)에 침지되어 래들(10) 내 용강을 흡입하는 상승관일 수 있고, 제1 침적관(40)에는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41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침적관(40)은 래들(10)에 침지되어 하부조(32) 내 용강을 래들(10)로 배출하는 하강관일 수 있다. 이때, 제1 침적관(40)과 제2 침적관(40)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고, 제1 침적관(40)과 제2 침적관(40)의 역할이 바뀌는 경우 제2 침적관(40)에 노즐(41a)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merged pipe 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flux pipe 50. The submerged pipe 40 can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molten steel moves inside. A plurality of immersion tubes 4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 first submerged pipe 4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flux pipe 50 and a second submerged pipe 4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flux pipe 50 may be provided. The first submerged pipe 40 may be an uptake pipe which is immersed in the ladle 10 to suck the molten steel in the ladle 10 and the first submerged pipe 40 may be provided with a nozzle 41a for injecting an inert gas. have. The second deposition pipe 40 may be a downfalling pipe that is immersed in the ladle 10 and discharges the molten steel in the lower tank 32 to the ladle 10. At this time, the role of the first deposition pipe 40 and the second deposition pipe 40 may be changed, and when the roles of the first deposition pipe 40 and the second deposition pipe 40 are changed, A nozzle 41a may be provided.

이러한 상부조(31)와 하부조(32)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면, 제1 침적관(40)을 통해 래들(10) 내 용강이 하부조(32) 내부로 상승하고, 제2 침적관(40)을 통해 하부조(32) 외부의 래들(10)로 배출되는 환류가 이루어진다. 용강이 하부조(32) 내부로 상승했을 때 랜스(20)를 통해 산소를 취입하면 용강 중의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When a vacuum is formed in the upper tank 31 and the lower tank 32, the molten steel in the ladle 10 rises to the inside of the lower tank 32 through the first settling pipe 40, And then discharged to the ladle 10 outside the lower tank 32 through the return pipe 40. When oxygen is blown through the lance 20 when the molten steel rises into the lower tank 32, impurities in the molten steel can be remov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와 내화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ower tank and a refractor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화부재(100)는 하부조(3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하부조(32)의 외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외피는 철피일 수 있고, 내화부재(100)는 철피의 내벽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부재(100)의 내측에는 용강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내화부재(100)는 철피에서 내측방향으로, 단열재(미도시), 영구장(미도시), 및 복수의 내화벽돌(110) 순서로 이루어진 내화물층일 수 있다. 그런 내화부재(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refractory member 100 can be installed inside the lower tank 32 and protects the outer tank of the lower tank 32. The outer shell may be an iron core, and the refractory member 100 may be installed in a ring shap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ron core. Therefore, a space in which molten steel can be received can be formed inside the refractory member 100. The refractory member 100 may be a refractory lay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a permanent set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110 in the inner direction in the metal sheet. The structure of such a refractory member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도 2를 참조하면, 내화부재(100)는, 하부조(32)의 상부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d1)가 하부영역에 위치한 부분의 두께(d2)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하부조(32)의 상부영역 내경이 하부영역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fractory member 100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d1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tank 32 is narrow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lower region.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tank 32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region.

내화벽돌(110)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축조되어 하부조(32) 철피의 내벽을 덮을 수도 있다. 수평방향으로 축조된 복수의 내화벽돌(110)은 환형으로 배치되고, 이를 상하방향으로 축조하여 복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내화벽돌(110)들이 하부조(32) 내부에서 용강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조(32)의 철피가 내부에 축조된 내화벽돌(110)에 의해 용강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refractory bricks 110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the inner wall of the lower tank 32.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110 constru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nd can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ly, the refractory bricks 110 form a space in which the molten steel is stored in the lower tank 32. Therefore, the scrap of the lower tank 32 can be protected from the molten steel by the refractory bricks 110 built therein.

또한, 내화벽돌(110)은 MgO이 70~90 중량부, 흑연이 1~15 중량부로 이루어진 MgO-C계 내화물, 또는 MgO가 40~70 중량부, Cr2O3가 10~35 중량부로 이루어진 MgO-Cr2O3계 내화물, 또는 Al2O3가 85 중량부 이상인 내화물일 수 있다. 그러나 내화벽돌(1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refractory brick 110 is made of a MgO-C refractory comprising MgO in an amount of 70 to 90 parts by weight and graphite in an amount of 1 to 15 parts by weight, or MgO in an amount of 40 to 70 parts by weight and Cr 2 O 3 in an amount of 10 to 35 parts by weight MgO-Cr 2 O 3 refractory material, or refractory material having Al 2 O 3 content of 85 wt% or more. However, the material of the refractory brick 110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복수의 내화벽돌(110)은 상부영역(A)에 위치하는 제1 벽돌(111)과 하부영역(B)에 위치하는 제2 벽돌(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내화벽돌(110) 중 상부영역(A)에 위치하는 내화벽돌(110)의 두께가 하부영역(B)에 위치한 내화벽돌(110)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영역(A)은 용강의 탕면(또는 상부면)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하부영역(B)은 상부영역(A)의 하측에 연결되는 영역이다. 즉, 하부영역(B)은 환류관(50)의 상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상부영역(A)은 하부영역에 상측에 위치한 영역이다. 이에, 하부영역(B)이 상부영역(A)보다 환류관(50)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110)들이 환류관(50)에 설치된 보호부재(53)를 눌러줄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110 may consist of a first brick 111 located in the upper region A and a second brick 112 located in the lower region B.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bricks 110 located in the upper region A of the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11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bricks 110 located in the lower region B. At this time, the upper region A is a region where the molten steel bath surface (or upper surface) is located, and the lower region B is a reg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gion A. That is, the lower region B is a reg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lux tube 50, and the upper region A is a reg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wer region. The lower region B is disposed closer to the reflux pipe 50 than the upper region A and the refractory bricks 110 located in the lower region press the protection member 53 installed in the reflux pipe 50 .

제1 벽돌(111)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돌(111)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하부조(32)의 상부영역에 축조된다. 이에, 제1 벽돌(111)들은 하부조의 상부영역에서 하부조(32)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brick 111 may be formed in a cubic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lurality of the first bricks 111 are provided and are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tank 32. Thus, the first bricks 111 can form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tank 32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tank.

또한, 제1 벽돌(111)은 평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벽돌(111)들이 하부조(32)의 둘레 방향으로 축조되었을 때, 제1 벽돌(111)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1 벽돌(111)들이 안정적으로 축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icks 111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plan view. Therefore, when the first bricks 111 are construc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tank 32,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first bricks 111 and prevent the first bricks 111 And can be stably built.

또한, 제1 벽돌(111)은 제2 벽돌(112)보다 두께(또는 수평방향 길이)가 얇게 형성된다. 이에, 제1 벽돌(111)들의 두께가 얇아진 만큼 상부영역에서 하부조(32)의 내경이 증가하여 하부조(32)의 내용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조(32) 내부로 유입되는 용강이 양이 증가하여 용강 처리 공정의 속도가 빨리질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rick 11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rick 112 (or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bricks 111 becomes thinner,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tank 32 increases in the upper region, and the volume of the lower tank 32 increases. Therefore, the amount of the molten steel flowing into the lower tank 32 increases, and the speed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can be accelerated.

또한, 제1 벽돌(111)들의 두께가 얇아진 만큼 용강의 탕면(또는 상부면)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랜스(2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용강의 탕면(또는 상부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용강 처리 공정의 속도가 향상되고,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벽돌(111)들은 두께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벽돌(1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Further,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bricks 111 becomes thinner, the surface area of the molten steel bath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gas sprayed from the lance 20 and the melt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steel increases,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The first bricks 111 may have the same thickness. However,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first brick 111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제2 벽돌(112)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돌(112)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하부조(32)의 하부영역에 축조될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이 하부조(32) 내부에서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bricks 112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 plurality of second bricks 112 may be provided and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lower tank 32. Accordingly, the second brick 112 can form a space in which the molten steel is received within the lower tank 32.

또한, 제2 벽돌(112)은 평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이 하부조(32)의 둘레 방향으로 축조되었을 때, 제2 벽돌(112)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2 벽돌(112)들이 안정적으로 축조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bricks 112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plan view. Therefore, when the second bricks 112 are construc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tank 32,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second bricks 112, and the second bricks 112 And can be stably built.

또한, 제2 벽돌(112)은 환류관(50)의 상측에 위치하여 환류관(50) 내부에 구비되는 보호부재(53)를 덮고 있다. 이에, 제2 벽돌(112)은 보호부재(53)가 환류하는 용강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 벽돌(112)의 하부조(32)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두께(또는 수평방향 길이)는 제1 벽돌(11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2 벽돌들과 보호부재(53)가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커버해주어 환류하는 용강에 의해 보호부재(53)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벽돌(1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second brick 11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lux pipe 50 and covers the protection member 53 provided in the reflux pipe 50. [ Thus, the second brick 112 can prevent the protective member 53 from falling off by the refractory molten steel. The thickness (or the horizontal length)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tank 32 of the second brick 112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rick 111 so that the second bricks and the protection member 5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decrease in the area of the surface of the wafer. Therefore, the second bricks 112 stably cover the protective member 53, and the falling of the protective member 53 by the refractory molten steel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econd brick 112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이때, 하부영역(B)의 상하방향 길이(h2)는 하부조(32)의 상하방향 길이(h1) 대비 5~50%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영역(B)의 상하방향 길이(h2)가 하부조(32)의 상하방향 길이(h1) 대비 5% 미만이면,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에 가하는 하중이 너무 많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눌러주지 못해 보호부재(53)가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쉽게 탈락할 수 있다. 이에, 환류관(50)에 제2 벽돌(112)이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눌러주도록, 하부영역의 상하방향 길이(h2)가 하부조(32)의 상하방향 길이(h1) 대비 5% 이상일 수 있다.The length h2 of the lower region 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5 to 50% of the length h1 of the lower portion 3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f the length h2 of the lower region 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less than 5% of the length h1 of the lower tank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ad applied to the protection member 53 by the second bricks 112 is reduced can do. Therefore, since the second bricks 112 can not stably press the protective member 53, the protective member 53 can easily fall off by the rising molten steel. The length h2 of the lower reg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length h1 of the lower tank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h1 so that the second brick 112 can stably press the protection member 53 into the reflux tube 50. [ % ≪ / RTI >

반대로, 하부영역(B)의 상하방향 길이(h2)가 하부조(32)의 상하방향 길이(h1) 대비 50%를 초과하면, 하부영역(B)의 높이가 용강의 상부면(또는 탕면) 높이보다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조(32)의 내용적 및 용강의 탕면 표면적이 거의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부영역(A)에 용강의 상부면이 위치할 때보다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용강의 탕면(또는 상부면)이 상부영역(A)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부영역(B)의 상하방향 길이(h2)를 하부조(32)의 상하방향 길이(h2) 대비 50% 이하일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length h2 of the lower region B in the vertical direction exceeds 50% of the length h1 of the lower tank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lower region B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r bath surface) Lt; / RTI > Therefore, the inner volume of the lower tank 32 and the bath surface area of the molten steel may hard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may be lower tha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steel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A. [ The length h2 of the lower region 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et to be not more than 50% of the length h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lower tank 32 so that the molten steel can be positioned in the upper region A. [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벽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fractory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2 벽돌(112)은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 즉, 제2 벽돌(112)들은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돌(112)은 제1 벽돌(111)보다는 두께가 두껍다. 따라서, 제2 벽돌(112)의 형상이 단순해져 제2 벽돌(112)을 제작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에 가하는 중량이 증가하여 보호부재(53)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bricks 112, that is, the second bricks 112, may have the same thickness. The second bricks 112 are thicker than the first bricks 111. Therefore, the shape of the second brick 112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of the second brick 112 can be facilitated. Also, the weight of the second bricks 112 applied to the protection member 53 increases, and the protection member 53 can be stably supported.

한편, 제2 벽돌(112)들 중 적어도 일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를 참조하면, 높이에 따라 제2 벽돌(112)들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하측의 제2 벽돌(112)이 상측의 제2 벽돌(112)보다 두께가 더 크게 형성되어 제2 벽돌(112)들이 계단식으로 축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의 두께가 동일할 때보다 하부조(32)에 수용되는 용강의 양의 증가할 수 있고,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ricks 112 may become thinn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b), the heights of the second bricks 11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the second bricks 112 on the lower side ar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econd bricks 112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second bricks 112 can b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Therefore, the amount of molten steel accommodated in the lower tank 32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thicknesses of the second bricks 112 are the same, and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can be improved.

또는, 도 3의 (c)와 같이 제2 벽돌(112)들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면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벽돌(112)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과 보호부재(53)가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제2 벽돌(112)들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조(32)의 내용적을 증가시키면서 제2 벽돌(112)들로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some of the second bricks 112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3 (c).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brick 112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hus, the volume of the second bricks 112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area in which the second brick 112 and the protection member 53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rotection member 53 with the second bricks 112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lower tank 32.

또는, 도 3의 (d) 및 도 3의 (e)와 같이 제2 벽돌(112)들 중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가지는 경우, 곡면은 볼록한 면(112b) 또는 오목한 면(112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과 보호부재(53)가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제2 벽돌(112)들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조(32)의 내용적을 증가시키면서 제2 벽돌(112)들로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Alternatively, if at least some of the second bricks 112 have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ures 3 (d) and 3 (e), the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as a convex surface 112b or a concave surface 112c have. Thus, the volume of the second bricks 112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area in which the second brick 112 and the protection member 53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rotection member 53 with the second bricks 112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lower tank 32.

또는 도 3의 (f)와 같이, 제2 벽돌(112)이 하부조(32)의 철피를 마주보는 제1 면, 제1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용강을 마주보고 제1 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제2 면, 및 제2 벽돌(112)의 상부면과 제2 면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의 하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제2 벽돌(112)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면을 구비하는 제2 벽돌(112)은 복수의 제2 벽돌(112)들 중 최하층 제2 벽돌(112)일 수 있다.3 (f), the second brick 11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iron plate of the lower tank 32,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brick 112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ort second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brick 112. [ Therefore, stress can be concentr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rick 112, thereby preventing or preventing the second brick 112 from being damaged. At this time, the second brick 112 having the second surface may be the lowermost second brick 112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bricks 11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벽돌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efractory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2 벽돌(112)에 경사면이 구비되는 경우 제2 벽돌(112)의 경사면과 제2 벽돌(112)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θ)가 30~90도일 수 있다. 경사면(112a)과 하부면 사이의 각도(θ)가 30도 미만이면, 제2 벽돌(112)들의 가공되는 부분이 증가하여 제2 벽돌(112)들의 중량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눌러주지 못해 보호부재(53) 용강에 의해 쉽게 부상할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의 중량이 감소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경사면(112a)과 하부면 사이의 각도(θ)는 30도 이상으로 할 수 있다.4A, when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on the second brick 112,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brick 1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ick 112 is 30 to 90 . If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112a and the lower surface is less than 30 degrees, the processed portion of the second bricks 112 may increase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bricks 112 may decrease. Therefore, the second bricks 112 can not be stably pressed against the protection member 53, so that the second bricks 112 can be easily floated by the molten steel of the protection member 53.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loss of the second brick 112,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112a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30 degrees or more.

반대로, 경사면(112a)과 하부면 사이의 각도(θ)가 90도를 초과하면, 제2 벽돌(112)의 상부가 하부조(32)의 중심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된 부분이 용강의 환류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용강이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경사면(112a)과 하부면 사이의 각도(θ)를 90도 이하로 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112a and the lower surface exceeds 90 degrees,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rick 112 can protrud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tank 32. [ Therefore, the protruding portion can hinder the reflux of the molten steel. Accordingly, the angle [theta]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112a and the lower surface can be made 90 degrees or less so that molten steel can circulate smoothly.

한편, 도 4의 (b)와 같이, 최하층의 제2 벽돌(112)은, 외측을 향하는(또는, 하부조(32)의 철피를 마주보는) 제1 면, 제1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용강을 마주보고(또는, 내측을 향하고) 제1 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제2 면(112d), 및 제2 벽돌(112)의 상부면과 제2 면(112d)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하층의 제2 벽돌(112)의 단면 형상이 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B, the lowermost second brick 112 has a first surface facing outward (or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tank 32) and a first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112d having a short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molten steel (or facing inward), and an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112d of the second brick 112 I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most second brick 112 may b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이때, 제2 면(112d)의 상하방향 길이(L1)는 제1 면의 상하방향 길이(L2) 대비 12~88%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의 상하방향 길이(L1)가 제2 면의 상하방향 길이(L2) 대비 12% 미만이면, 제2 벽돌(112)의 하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초기에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이 초기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벽돌(112)의 제2 면의 상하방향 길이(L1)를 제1 면의 상하방향 길이(L2) 대비 12% 이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gth L1 of the second surface 112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12 to 88% of the length L2 of the first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f the length L1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1 is less than 12% of the length L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L2, stress can be concentr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rick 112,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brick 112 from being damaged at an early stage, the length L1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brick 112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at least 12% .

반대로, 제2 면(112d)의 상하방향 길이(L1)가 제1 면의 상하방향 길이(L2) 대비 88% 초과하면, 하부조(32)의 하부공간에서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의 부피가 충분히 증가하지 못해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면(112d)의 상하방향 길이(L1)를 낮추면, 경사면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의 일부 영역의 두께가 감소시켜 용강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면의 상하방향 길이(L1)를 제1 면의 상하방향 길이(L2) 대비 88%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length L1 of the second surface 112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exceeds 88% of the length L2 of the first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olume of the space in which the molten steel is received in the lower space of the lower tank 32 is sufficiently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may be insignificant. Therefore, if the length L1 of the second surface 112d is lowered, the length of the inclined surface can be increased. Thus, the thickness of a partial area of the second brick 112 can be reduce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pace in which the molten steel can be received. Therefore, the length L1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be set to 88% or less of the length L2 of the first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와 환류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tank and a reflux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2 벽돌(112)들은 환류관(50)의 상부에 위치하고, 환류관(50)에 설치된 보호부재(53)와 평면상으로 중첩되어 보호부재(5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의 중량에 의해 보호부재(53)에 하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부재(53)가 상승하는 용강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제2 벽돌(112)이 방지할 수 있고, 환류관(5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5 (a), the second bricks 112 ar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flux pipe 50 and are superimposed on the protection member 53 provided on the reflux pipe 50 in a planar manner, As shown in FIG. Thus, the force of the downward force can be applied to the protection member 53 by the weight of the second brick 112. Therefore, the second bricks 112 can prevent the protective member 53 from floating by the rising molten steel, and the life of the reflux pipe 50 can be prolonged.

또는, 도 5의 (b)와 같이, 최하층에 위치한 제2 벽돌(112) 중 적어도 일부가 하부조(32)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부(112e)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돌출부(112e)는 보호부재(53)와 제2 벽돌(112)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b),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ricks 112 positioned at the lowermost layer may have the protruding portion 112e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tank 32. The protruding portion 112e serves to increase an area in which the protection member 53 and the second brick 112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the second bricks 112 can support the protection member 53 more stably.

돌출부(112e)가 최하층의 제2 벽돌(112)들 전체에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면, 최하층 제2 벽돌(112)들의 두께가 동일해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2e)가 환류관(50)이 형성하는 용강의 이동경로와 중첩되는 경우, 돌출부(112e)를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벽돌(112)들과 보호부재(53)의 접촉면적은 증가시키면서 제2 벽돌(112)이 용강의 환류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If the protrusions 112e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length as all the second bricks 112 in the lowermost layer, the thicknesses of the lowermost second bricks 112 can be the same. At this time, when the projecting portion 112e overlaps the moving path of the molten steel formed by the reflux pipe 50, the projecting portion 112e can be machined. Therefo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bricks 112 and the protection member 53 is increased, and the second bricks 112 may not interfere with the reflux of the molten steel.

또한, 돌출부(112e)는 최하층의 제2 벽돌(112)들 중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부(112e)는 환류관(50)의 근방에 위치할 수 있고, 평면상으로 보호부재(53)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돌출부(112e)로 인해 제2 벽돌(112)의 하부면과 보호부재(53)의 상부면의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제2 벽돌(112)들이 보호부재(53)를 눌러주는 영역이 증가하여 보호부재(53)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112e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 of the second bricks 112 of the lowest layer. The protrusion 112e can be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reflux tube 50 and has a region overlapping the protective member 53 in a plan view. Therefo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ick 1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on member 53 can be increased due to the protrusion 112e. Accordingly, the area where the second bricks 112 press the protection member 53 increases, so that the protection member 53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최하층의 제2 벽돌(112)들 중 일부에만 돌출부(112e)가 구비되면, 돌출부(112e)로 인해 하부조(32) 내용적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2e)는 보호부재(53)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부재(53)의 평면형상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112e is provided in only a part of the second bricks 112 as the lowest layer, the protection member 53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preventing the inner volume of the lower tank 32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protrusion 112e . The protrusion 112e may protrude along the planar shape of the protection member 53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protection member 53. [

또한, 돌출부(112e)의 돌출되는 단부는 보호부재(53)가 형성하는 용강의 이동경로와 접하도록 위치하거나 이동경로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돌출부(112e)가 이동경로와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부(112e)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원활하게 환류될 수 있고, 제2 벽돌(112)은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112e)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protruding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e may be loca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oving path of the molten steel formed by the protecting member 53 or may be located outside the moving path. That is,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12e protruding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rotrusion 112e does not overlap the movement path. Therefore, the molten steel can be smoothly refluxed, and the second brick 112 can stably press the protecting member 53. [ 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112e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이처럼 하부조(32)에 구비되는 내화부재(100)의 두께가 높이에 따라 달라져, 내화부재(100)가 환류관(50)의 보호부재(53)를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내화부재(100)가 환류관(50)의 보호부재(53)를 눌러주어 환류하는 용강에 의해 보호부재(53)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member 100 provided in the lower tank 32 varies according to the height so that the refractory member 100 can stably cover the protection member 53 of the reflux pipe 50. [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refractory member 100 from falling off by molten steel that presses the refractory member 53 of the reflux tube 50 and refluxes.

이와 함께 내화부재(100)의 두께를 감소시키므로, 하부조(32)의 내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하부조(32) 내부에서 처리되는 용강의 탕면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용강을 처리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member 100 is reduced, the inner volume of the lower tank 32 can be increas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of the molten steel to be processed in the lower tank 32 can be increased. Thus, the time for processing molten steel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따라서, 하부조(32)의 내용적을 증가시켜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호부재(53)가 환류하는 용강에 의해 탈락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설비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설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of the lower tank 32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or prevent the protection member 53 from falling off by the reflowed molten steel, Maintenance can be facilitated.

도 6은 종래의 하부조 용강의 유동해석 결과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 용강의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flow analysis of a conventional bottom steaming steel and a result of a flow analysis of a bottom steaming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교예 1은 두께가 두꺼운 내화벽돌들이 설치된 하부조에서 측정한 것이고, 비교예 2는 두께가 얇은 내화벽돌들이 설치된 하부조에서 측정한 것이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조에서 측정한 것이다. 표 1은 비교예 1의 환류량 지수, 탈탄 처리시간, 노체 문제 발생지수, 하부조 수명지수를 100%로 했을 때, 비교예 2와 실시예의 환류량 지수, 탈탄 처리시간, 노체 문제 발생지수, 하부조 수명지수를 비교한 것이다.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in a lower tank provided with thick refractory bricks, Comparative Example 2 was measured in a lower tank provided with refractory bricks having a smaller thickness, and Examples were measured in a low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able 1 shows the reflux amount index, decontamination treatment time, non-body problem occurrence index, and non-body problem index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when the reflux amount index, decontamination treatment time, And the lower tank life index.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Example 환류량 지수Reflux Index 100%100% 97%97% 98%98% 탈탄 처리시간Decarburization treatment time 100%100% 78%78% 85%85% 노체 문제 발생지수Noh body problem occurrence index 100%100% 180%180% 100%100% 하부조 수명지수Lower tank life index 100%100% 80%80% 100%100%

비교예 2의 경우 내화벽돌의 두께가 얇아져 하부조(32) 내부의 탕면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 2는 비교예 1 보다 환류량 지수가 감소하고, 탈탄 처리시간이 감소하여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내화벽돌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영구장이나 단열재가 용강에 노출되거나 하부조(32)의 철피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상승하는 등 다양한 노체 문제의 발생률이 비교예 1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하부조(32)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brick is reduc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 bath surface in the lower tank 32 can be widened. Therefore, the refractory index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time was reduc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However, as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brick becomes thin, it can be easily damaged or broken. Accordingly, the incidence of various solid matter problems such as permanent sheet or heat insulating material being exposed to molten steel or locally rising temperature of iron in the lower tank 32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Also, the life of the lower tank 32 is lowered.

한편, 실시예의 경우 일부 영역의 내화벽돌(110)들만 두께가 얇아져 하부조(32)의 용강의 탕면의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비교예 1보다 환류량 지수가 감소하고, 탈탄 처리시간이 감소하여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이 향상되었다. 비교예 1의 유동해석 결과인 도 6의 (a)와 실시예의 유동해석 결과인 도 6의 (b)를 비교해보면, 실시예가 비교예 1보다 용강의 탕면(또는 상부면) 표면적 및 하부조(32)의 내용적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탈탄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여 탈탄 시간이 단축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nly the refractory bricks 110 in a certain region are thinn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 molten steel in the lower tank 32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reflux amount index of the exampl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time was reduc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6 (a), which is the result of the flow analysi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 6 (b), which is the flow analysis result of the Example, the surface area of the molten steel (or upper surface) 32). Therefore, the area where the decarburization reaction can take place is increased and the decarburization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실시예의 경우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영역 또는 환류관(50)의 보호부재(53)를 눌러주는 영역의 내화벽돌(110)의 두께는 감소시키지 않았다. 이에, 노체 문제 발생지수나 하부조 수명지수가 비교예 1에 비해 증가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2보다 노체 발생지수는 낮고 하부조의 수명은 증가하였다. 실시예에 경우, 용강 처리 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노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부조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하부조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refractory brick 110 in the area where the abrasion is easily generated or the area where the protecting member 53 of the reflux pipe 50 is pressed is not reduced. Thus, the Noh body problem index and the lower tank life index did not increase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generation index of the Noh body was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life of the lower tank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problem of the furnace body or the lowering of the life of the furnace while de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olten steel treatment process. Therefore, the molten steel can be efficiently treated and maintenance of the lower tank can be facilit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 래들 30: 용기
31: 상부조 32: 하부조
40: 침적관 50: 환류관
100: 내화부재 110: 내화벽돌
111: 제1 벽돌 112: 제2 벽돌
10: ladle 30: container
31: upper tank 32: lower tank
40: deposition tube 50: reflux tube
100: refractory member 110: refractory brick
111: first brick 112: second brick

Claims (11)

내부에 용강이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환류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내화벽돌을 구비하는 내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부재는, 상부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하부영역에 위치한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높이에 따라 두께가 서로 다르고,
최하층에 위치한 내화벽돌은 단면 형상이 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최하층 위치한 내화벽돌 중 상기 보호부재와 접촉하는 내화벽돌에 상기 보호부재의 형상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를 설치되는 용강 처리 장치.
A container forming a space through which molten steel is circulated;
A reflux tu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ssel and having a protective member installed therein; And
A refractory member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fractory bricks; Including,
The refractory member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reg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lower region,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are thinner in thicknes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st layer ar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in sec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shape of the protec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refractory brick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ection member among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at the lowest lev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은 두께가 동일한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have the same thickness.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영역에 위치한 내화벽돌들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는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refractory brick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내화벽돌의 하부면 사이의 각도가 30~90도인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angl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fractory brick is 30 to 90 degre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돌은, 외측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용강을 마주보고 상기 제1 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화벽돌의 상부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fractory brick includes a first surface facing outwardly and a second surfac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nd facing the molten steel and having a short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conn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actory brick with the second surf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면의 상하방향 길이 대비 12~88%로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to 12 to 88% of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호부재와 중첩되는 면적을 가지는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truding portion has an area overlapping the protective memb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보호부재가 형성하는 용강의 이동경로와 접하도록 위치하거나 이동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는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end of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movement path of the molten steel formed by the protection member or outside the movement path.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부조 및 상부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영역은 용강의 상부면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상부영역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영역보다 상기 환류관에 근접한 영역이고,
상기 하부영역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조의 상하방향 길이 대비 5~50%로 형성되는 용강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7,
The container includes an upper tank and a lower tank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ank,
Wherein the upper region is a region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steel is located and the lower reg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gion and is closer to the reflux pipe than the upper region,
And the length of the lower reg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5 to 50% of the length of the lower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60064759A 2016-05-26 2016-05-26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KR101794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59A KR101794593B1 (en) 2016-05-26 2016-05-26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59A KR101794593B1 (en) 2016-05-26 2016-05-26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593B1 true KR101794593B1 (en) 2017-11-07

Family

ID=6038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759A KR101794593B1 (en) 2016-05-26 2016-05-26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59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02425A (en) Vacuum dega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ning molten steel
KR101794593B1 (en)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KR101794594B1 (en)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WO2006040394A1 (en) Metallurgical furnace
JP2010188405A (en) Method for reducing amount of residual steel in ladle
JP2007002269A (en) Side-blown vacuum refining furnace
KR101974567B1 (en) Apparatus for in vacuum degassing vessel
JP4676927B2 (en) Immersion tube for molten metal treat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vacuum degassing method
EP0767021B1 (en) Ladle cover for vacuum refining process
JP6293233B2 (en) Refining apparatus and refining method
KR101794599B1 (en) Apparatus for blowing ga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olten material using the same
KR102074897B1 (en) Rh snorkel
JP4216745B2 (en) Operation method of vacuum degassing tank
CN117448507B (en) Method for processing ring Zhou Zengjiang cooling wall and cooling wall thereof
JP6226483B2 (en) Circulation tube of vacuum degasser
JP7222407B2 (en) Method for suppressing temperature change in refractory, method for operating vacuum degassing fac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molten steel
WO2021106120A1 (en) Dip tube for molten steel processing
KR20190069091A (en) Apparatus for molten met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16065B1 (en) A submerged pipe for rh systen
CN208091209U (en) A kind of metallurgical furnace
KR200152850Y1 (en) Tundish digestion nozzle
JP2022160897A (en) Lining structure of molten metal vessel
JP2674316B2 (en) Cooling method for dip tube in refining equipment
JP3070416B2 (en) Vacuum degassing method for molten steel
JP2017094386A (en) Upper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