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547B1 -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547B1
KR101794547B1 KR1020160159905A KR20160159905A KR101794547B1 KR 101794547 B1 KR101794547 B1 KR 101794547B1 KR 1020160159905 A KR1020160159905 A KR 1020160159905A KR 20160159905 A KR20160159905 A KR 20160159905A KR 101794547 B1 KR101794547 B1 KR 10179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d
wordbook
sentenc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훈
Original Assignee
미디어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젠(주) filed Critical 미디어젠(주)
Priority to KR102016015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시스템 및 암기훈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책을 통해 입력 또는 검색하지 않고 단어장에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의 단어장 등록 불편을 제거하며, 전자책에서 단어를 등록할 때 단어가 포함된 예문을 참조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전자책 문장과의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책을 통해 등록된 단어가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되지 않아 이용자입장에서 동일 단어의 지속적인 미습득 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학습효율이 떨어짐으로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적으로 반복학습이 필요한 단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시스템 및 암기훈련방법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of personal wordlist and learning-training word}
본 발명은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단어를 직접 입력 또는 검색하지 않고 전자책을 통해 단어를 단어장에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단어 등록의 불편을 제거하고자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자책에서 단어를 등록할 때 단어가 포함된 예문을 참조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전자책 문장과 연계하여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전자책을 통해 등록된 단어가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되지 않아 이용자입장에서 동일 단어의 습득 여부가 지속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적인 단어장을 구축하여 반복학습이 필요한 단어를 관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거나 또는 학원 간 이동 시간을 절약하여 온라인으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욕구를 느끼고 있으며, 최근 이에 부응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학습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학생들 특히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단말장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단어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며, 이를 반영하여 최근 학습단말장치에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들을 단어장에 저장/관리하고 학생의 단어장 열람 선택에 따라 해당 단어장에 저장된 단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어장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학습단말장치에서 제공하고 있는 단어장 기능은, 학생이 원하는 단어들을 직접 입력하거나 검색하여 단어장에 저장하는 단어등록의 불편함과 이를 열람하여 학습하며 단어장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과 같이 기본적이고 일률적인 기능을 가질 뿐, 학생의 단어 학습을 위해 능동적인 학습 유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어를 직접 입력 또는 검색하지 않고 전자책을 통해 해당 단어를 단어장에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의 단어장 등록 불편을 제거하고, 전자책에서 단어를 등록할 때 단어가 포함된 예문을 참조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전자책 문장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7098 단어장에 단어를 추가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매체
본 발명은 이용자가 단어를 단어장에 직접 입력 또는 검색하지 않고 전자책을 통해 단어장에 손쉽게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의 단어장 등록 불편을 제거하고, 전자책에서 단어를 등록할 때 단어가 포함된 예문을 참조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전자책 문장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등록된 단어가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되지 않아 이용자입장에서 동일 단어의 습득 여부가 지속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록된 단어를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하여 반복학습이 필요한 단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책 이외의 종이책을 전자화시키고 종이책에 있는 예문정보를 DB화 시켜 이용자로 하여금 종이책에 있는 예문을 통한 단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전자책(E-book)을 이용하여 단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어를 예문을 이용하여 학습하기 위한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은
전자책 내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110)을 포함하고,
전자책 내용 중 특정 단어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된 말뭉치(chunk)가 상기 인식수단(110)에 의해 일정시간 터치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단어암기훈련을 위한 학습훈련정보 요청신호를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에 따른 학습훈련정보를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부터 제공받아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을 수행하고, 수행된 학습훈련의 결과를 나타내는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며,
단어장정보 요청신호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어장정보 요청에 따른 단어장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단어장정보를 조회하고, 편집하고, 문서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앱(120)이 탑재되는 학습단말기(100)와;
학습단말기(100)로부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와 도서별 예문DB(420) 및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고,
학습단말기(100)에서 단어장정보 요청시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해당 고객의 단어장정보를 학습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과;
학습단말기(100)로부터 학습훈련정보 요청시,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도서별 예문DB(420)와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훈련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단어암기훈련수단(300)과;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도서별 예문DB(420)와 사전DB(430)를 포함하는 정보DB(400)를 포함하며,
상기 문장정보는 (책식별정보와 문장텍스트정보) 또는 (책식별정보와 문장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용자는 직접 입력 또는 검색등의 방식에 의하지 않고 학습하고 있는 전자책을 통해 단어를 단어장에 손쉽게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의 단어장 등록 불편을 제거하고, 전자책에서 단어를 등록할 때 단어가 포함된 예문을 참조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전자책 문장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책 뿐만 아니라 종이책에 있는 예문 정보를 단어장에 구성하고, 종이책의 페이지 정보를 상기 예문의 출처정보로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 종이책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책에서 쉽게 해당 단어와 예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종이책 페이지정보를 이용하여 종이책에서도 쉽게 해당 부분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 한다
또한, 구축된 단어장을 통해 자신이 등록한 단어들을 손쉽게 반복 복습할 수 있으며, 복습시 자신이 학습한 책의 예문을 통해 복습하여 연관기억효과를 높여 암기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전자책을 통해 학습한 단어를 이용자 기준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 이용자별, 단어별 암기 여부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의 단어정보생성수단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의 정보DB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방법의 고객별 단어정보생성단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시스템 및 암기훈련방법의 데이타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자책(E-book)을 이용하여 단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어를 예문을 이용하여 학습하기 위한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 훈련시스템은,
전자책 내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110)을 포함하고,
전자책 내용 중 특정 단어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된 말뭉치(chunk)가 상기 인식수단(110)에 의해 일정시간 터치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단어암기훈련을 위한 학습훈련정보 요청신호를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에 따른 학습훈련정보를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부터 제공받아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을 수행하고, 수행된 학습훈련의 결과를 나타내는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며,
단어장정보 요청신호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어장정보 요청에 따른 단어장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단어장정보를 조회하고, 편집하고, 문서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앱(120)이 탑재되는 학습단말기(100)와;
학습단말기(100)로부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와 도서별 예문DB(420) 및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고,
학습단말기(100)에서 단어장정보 요청시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해당 고객의 단어장정보를 학습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과;
학습단말기(100)로부터 학습훈련정보 요청시,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도서별 예문DB(420)와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훈련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단어암기훈련수단(300)과;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도서별 예문DB(420)와 사전DB(430)를 포함하는 정보DB(400)를 포함하며,
상기 문장정보는 문장식별정보 또는 문장텍스트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식수단(110)은 전자책에 있는 내용 중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 선택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식수단(110)은 사용자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일정 시간 터치하는 경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식수단(110)은 전자 인식펜을 포함하며, 전자책에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전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단말기(100)에는 후술할 학습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전용앱(120)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인식수단(110)을 통해 인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정보와,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장정보는 문장식별정보 또는 문장텍스트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정보는 예를 들어, 단어정보인 "house" 또는 말뭉치(chunk)정보인 "blue house"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는 문장식별정보 또는 문장텍스트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문장정보가 문장식별정보일 경우 전송되는 문장정보는 "책 정보와 문장위치정보"를 포함하게되며, 예를 들어 "ISBN 123-***-4567_P12G011"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책 정보는 ISBN번호, 출판사 정보, 책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ISBN 123-***-4567_P12G011" 는 책 정보로 ISBN번호를 사용한 예인 것이다.
또한, 상기 문장식별정보인 "ISBN 123-***-4567_P12G011" 에서 P12G011는 ISBN 123-***-4567라는 책의 12페이지 11번째 문장이라는 것으로, ISBN 123-***-4567라는 책을 구성하는 수 많은 문장들 중에서 상기 특정 문장을 식별할 수 있도록 붙여진 식별자를 의미한다.
상기 문장식별정보는 상기 형식에 제한되지 않고 문장들을 식별할 수 있는 형식이면 족하다.
상기 문장정보가 문장텍스트정보일 경우 전송되는 문장정보는 "문장식별정보+ 텍스트내용" 으로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텍스트내용이 부가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 Shop men's & women's clothing and plant 10 tree while you're at it. Hoodies, t shirts, tank tops, and long sleeve sweaters. ten trees are planted for every item" 란 문장을 통해 tree란 단어를 학습하고 단어장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문장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전송하는 문장정보는 "ISBN 123-***-4567_P12G011"의 문장식별정보일 수 있고,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부가하여 " Shop men's & women's clothing and plant 10 tree while you're at it. Hoodies, t shirts, tank tops, and long sleeve sweaters. ten trees are planted for every item" 란 텍스트내용 자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되는 고객식별정보는 학습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고객식별정보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되어 해당 고객의 단어장을 생성시 고객 식별자로 이용된다.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복수의 고객별로 단어장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다른 고객과의 식별을 위해 고객식별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학습단말기(100)에서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 "문장정보(책식별정보+문장텍스트정보 또는 책식별정보+문장식별정보)" 이외에 고객 식별정보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는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 단어암기훈련을 위한 학습훈련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학습훈련 요청에 따른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에서 전송한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을 수행하고, 수행한 학습훈련의 결과를 나타내는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학습훈련정보는 특정 단어나 말뭉치 또는 복수의 단어나 말뭉치에 대한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이 수행되면, 수행한 학습훈련에 대한 결과정보인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생성하여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는 요청한 학습대상 단어나 말뭉치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 정보인 것이다.
상기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요청하는 학습훈련정보는 구체적으로, 하나의 단어나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정보 또는 복수의 단어나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전용앱(120)이 수행하는 학습훈련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단어암기훈련수단(300)으로부터 제공받는 학습훈련정보는 학습단말기(100)에 탑재된 전용앱(120)을 통해 실행되어 학습훈련이 수행되는 것으로 아래에 예시한 학습훈련 이외에 복합적인 학습훈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용앱(120)을 통해 수행되는 학습훈련은
첫째,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객관식 또는 주관식의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맞추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나무"라는 뜻이 제시되고, 객관식인 경우 "1. tree , 2. trea, 3. three" 등의 보기 중 선택하도록 하거나, "나무_( )"의 빈칸으로 제시함으로 주관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둘째,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제시되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한 뜻을 객관식 또는 주관식의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맞추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house"라는 단어가 보여지고, 객관식인 경우 "1.집 2.학교" 등의 보기 중 선택하도록 하거나, "house_( )"의 빈칸으로 제시함으로 주관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셋째,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공란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주관식 방식으로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여 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객관식 방식의 훈련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나와 동생은 파란집에 살고 있습니다. My brother and I ( ) in a blue house."의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하는 단어를 "live"의 주관식으로 입력하거나, "1.live 2.lived" 중 선택하여 입력하는 훈련이다.
넷째, 미암기 또는 미학습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제시하는 훈련으로, 단어장에 저장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중 미암기 되었거나 학습되지 않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반복 제공하여 미암기 또는 미학습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해서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훈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단어장정보에서 저장된 단어는 5개이며, "tree, house, blue, red, green" 중 현재까지 학습한 단어는 "tree, house, blue"의 3개로 미학습된 2개의 단어 "red, green"을 제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어장정보에서 저장된 단어는 5개이며, "tree, house, blue, red, green" 중 현재까지 암기된 단어는 "tree, house, blue"의 3개로 미암기된 2개의 단어 "red, green"을 제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는 단어장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요청한 단어장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부터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단어장정보를 조회, 편집하며 문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고객에 대한 단어장정보에 대해 조회하여 학습한 후 조회한 단어를 삭제 또는 단어에 대한 내용 추가를 위한 편집이 가능하고, 조회한 단어를 문서로 출력하여 학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부터 제공 받은 단어장정보에는 등록한 단어들의 리스트와 단어별 발음정보, 뜻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암기여부정보, 단어출처정보 등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어장에는 고객별로 복수의 등록한 단어 리스트가 존재하게 되는데, 그 중 tree란 단어의 단어장은 발음정보_뜻정보(나무)_복수개의 tree관련 예문정보_학습횟수정보(예:3회 학습)_암기여부정보(미암기상태)_단어출처정보(예: **출판사 고3 영어교과서 30페이지)등의 형식으로 단어장이 구성될 수 있다.
고객은 특정 단어의 단어장을 요청하여 조회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I ilve in a blue house"인 문장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I live in a ( ) house", "I ilve in a red house" 등으로 편집할 수 있으며, 편집된 내용을 문서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에 탑재된 전용앱(120)은 제공받은 단어장 정보를 문서로 출력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이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공란으로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_( )"이거나, "black_( )" 또는 "나는 집에 간다_I'm go ( )_1.home 2.school" 등으로 출력하여 출력된 단어장을 이용하여 고객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학습단말기(100)로부터 단어 또는 말뭉치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가 포함된 문장정보, 고객식별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상기 문장정보는 (책식별정보+문장텍스트정보) 또는 (책식별정보+문장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고객별로 단어장 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며, 상기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되는 단어장정보는 단어 또는 말뭉치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와 도서별 예문DB(420) 및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고객 K의 단어장 정보는 고객별 단어장DB(410)에 K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 K의 단어장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고객 K의 단어장은 복수의 등록한 단어 리스트가 존재하게 되며, 각 단어마다 발음정보_뜻정보_복수개의 예문정보_학습횟수정보_암기여부정보_단어출처정보 등의 형식으로 단어장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학습단말기(100)에서 단어장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고객별 단어장DB(410)에서 요청하는 해당 고객의 단어장정보를 추출하여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LEE라는 고객식별자를 갖는 고객이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단어장정보 요청시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고객별 단어장DB(410)에서 식별자가 LEE인 단어장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장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상기 학습단말기(100)로부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정보,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 고객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어정보수신부(210)와,
사전DB(430)를 이용하여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해당하는 뜻과 발음정보를 생성하는 제1단어장정보생성부(220)와,
상기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후보문장정보(미학습된 문장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장정보들과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학습된 문장정보)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가 텍스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텍스트정보를 추출된 후보문장정보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가 문장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장정보를 추출한 후 후보문장정보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제2단어장정보생성부(230)와,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학습한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고 갱신처리하는 제3단어장정보생성부(240)와,
학습단말기(100)가 전송한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평가하여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의 암기 여부를 나타내는 암기여부정보를 생성하고 갱신처리 하는 제4단어장정보생성부(250)와,
상기 문장정보에 포함된 책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출처를 나타내는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하는 제5단어장정보생성부(260)와,
상기 제1,2,3,4,5 단어장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는 제6단어장정보생성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정보수신부(210)는 학습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고객식별정보와 인식수단(110)을 통해 인식된 단어 또는 말뭉치정보, 인식수단(110)을 통해 인식된 단어 또는 말뭉치가 포함된 문장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어장정보생성부(220)는 단어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제공받은 단어 또는 말뭉치정보에 해당하는 뜻과 발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뜻과 발음은 사전DB(430)에 저장된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뜻과 발음을 추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어장정보생성부(220)를 통해 생성되는 단어장정보는 해당 고객의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저장된다.
고객별 단어장 정보는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며, 발음정보, 뜻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암기여부정보, 단어출처정보 등을 하위 카테고리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식별정보가 KIM인 고객이 선택한 단어 또는 말뭉치정보가 Blue 인 경우, Blue의 뜻과 발음 정보가 KIM이라는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갖는 단어장 정보의 하위 카테고리 정보로 "고객식별정보(KIM)_단어(Blue)_뜻(파란, 파랑)_발음([blu:])"의 형식으로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어장정보생성부(230)는 단어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제공 받은 단어 또는 말뭉치정보에 연관된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문정보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도서별 예문DB(420)에서 추출한 문장(이하 후보문장정보라 함)과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로부터 획득한 문장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서별 예문DB(420)에서 추출한 예문은 고객이 학습하지 않은 예문으로서, 상기 도서별 예문DB(420)에 수록된 수 많은 문장들 중 단어장을 구성하기 위해 학습단말기에서 전송된 단어 또는 말뭉치가 포함된 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가 문장텍스트정보인 경우는 전송된 텍스트정보를 예문정보로 사용하고,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가 문장식별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장을 도서별예문DB(420)로부터 추출하여 예문정보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학습단말기(100)가 제공한 단어가 tree 이고, 도서별 예문DB(420)에서 추출되는 tree를 포함하는 문장(후보문장정보)들은 "I plant trees, I give water to a tree, I like trees" 이고,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문장텍스트정보가 "I am studying trees"인 경우,
상기 예문정보는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예문인 "I am studying trees"와 도서별 예문DB(420)에서 추출된 예문인 "I plant trees", "I give water to a tree", "I like trees" 를 포함하게 된다.
만약,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것이 문장텍스트정보가 아닌 문장식별정보인 경우, 예를 들어
문장식별정보가 "ISBN 123-***-4567_P12G011" 이라면 도서별예문DB(420)에 수록 저장된 문장들 중 문장식별정보가 "ISBN 123-***-4567_P12G011" 인 문장을 추출하여 예문정보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예문정보를 구성하는 각 문장들은 문장출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장출처정보란 해당 문장이 어느 책, 어느 페이지의 문장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예문정보를 구성하는 각 문장들은 번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어장정보생성부(240)는 단어장 정보를 구성하는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해 학습한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학습단말기(100)의 학습훈련 요청에 의해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은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학습 요청한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학습훈련정보를 제공하고, 학습단말기(100)는 학습훈련을 수행한다.
학습훈련이 종료되면 학습단말기(100)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으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3단어장정보생성부(240)는 학습단말기(100) 측에서 전송한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의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 전송횟수를 카운트하여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해 학습한 학습횟수정보의 생성 및 갱신처리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어장정보가 처음 생성된 초기에는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학습횟수정보는 0이란 값으로 학습횟수정보는 생성된다. 이후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면 학습단말기(100) 측에서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의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가 전송되게 되고, 이를 카운팅하게 되면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학습횟수정보는 1 이상의 값으로 변경되는데 1 이상의 값으로 변경처리하는 것이 상기 학습한 학습횟수정보의 갱신 처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3단어장정보생성부(240)가 생성하는 학습횟수정보는 단어장 생성 초기에는 0이란 값을 갖도록 하고,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는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의 전송 횟수를 카운팅함에 따라 1 이상의 값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해당 학습훈련은 학습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게 되어 학습횟수로 카운팅 되지 않는다.
상기 제4단어장정보생성부(250)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학습단말기(100)로부터 학습훈련수행 결과정보를 전송받아 평가하여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암기여부정보를 생성하고 갱신처리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어장정보가 처음 생성된 초기에는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암기여부정보는 "미암기" 인 것으로 생성된다. 이후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면 학습단말기(100) 측에서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의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가 전송되게 되고, 상기 제4단어장정보생성부(250)는 상기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평가하여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학습상태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면 암기여부정보를 "암기완료"인것으로 갱신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단어장정보가 처음 생성된 초기에는 tree에 대한 암기여부정보는 "미암기" 인 것으로 생성된다. 이후 학습훈련이 수행되고 학습훈련정보가 "tree=( )"의 질문이고 이에 대해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가 "tree=(나무)" 인 경우 tree 는 암기를 한 것으로 평가하고, tree에 대한 암기여부정보는 암기완료로 수정되며, 상기 질문에 대한 답을 못하거나 오답인 경우 tree에 대한 암기여부정보는 수정처리 되지 않고 그대로 미암기인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어장정보생성부(250)가 상기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평가한 평가정보는 정보DB(400)에 저장 관리 된다.
상기 제5단어장정보생성부(260)는 사용자가 학습한 단어 또는 말뭉치가 어느 책에서 출처된 단어 또는 말뭉치인지를 나타내는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한다.
단어장 정보에 있는 단어 또는 말뭉치의 출처를 알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단어출처정보를 이용하여 단어 또는 말뭉치가 어느 책에서 출처 된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출처정보는 출판사정보, 책명정보, 페이지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어출처정보는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식별정보는 책 정보(출판사,책명 등)와 문장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문장식별정보를 이용하면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단어장 정보에 있는 단어 또는 말뭉치가 tree인 경우, tree의 하위 카테고리정보인 단어출처정보를 확인하면, tree의 출처인 책의 출판사, 책명, 페이지의 정보를 알려줌으로 사용자가 단어출처정보를 통해 실제 책(자신이 학습한 책)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단어장정보생성부(270)는 상기 제1~5 단어장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각종 정보를 취합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저장시 각 단어 또는 말뭉치별 뜻정보_발음정보_예문정보_학습횟수정보_암기여부정보_단어출처정보등의 형식으로 저장 할 수 있으며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저장한다.
도 7은 단어장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 기술사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단어장 구성의 형식은 자유롭게 변경 할 수 있다.
상기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은 사용자가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해 학습훈련을 수행하도록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학습훈련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학습훈련정보를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단어장정보를 이용해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여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훈련정보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예문을 보여주고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훈련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나무"라는 뜻이 제시되고, 객관식인 경우 "1. tree , 2. trea, 3. three" 등의 보기 중 선택하도록 하거나, "나무_( )"의 빈칸으로 제시함으로 주관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또한, "house"라는 단어가 보여지고, 객관식인 경우 "1.집 2.학교" 등의 보기 중 선택하도록 하거나, "house_( )"의 빈칸으로 제시함으로 주관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또한, "나와 동생은 파란집에 살고 있습니다. My brother and I ( ) in a blue house."의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하는 단어를 "live"의 주관식으로 입력하거나, "1.live 2.lived" 중 선택하여 입력하는 등의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또한, 예문을 제시하고 예문에 맞는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 장문의 예문을 읽고 예문에서 말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를 리스트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here do I contact to find the weather?" 를 제시하였을 때, "1.Meteorological office 2.National Police Agency 3.Fire Department"의 단어 또는 말뭉치를 제시함으로 질문에 맞는 답을 하도록 하는 등의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또한,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제시하는 훈련으로, 단어장에 저장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중 학습되지 않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반복 제공하여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해서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장정보에서 저장되는 단어는 5개이며, "tree, house, blue, red, green" 중 현재까지 학습한 단어는 "tree, house, blue"의 3개로 미학습된 2개의 단어 "red, green"을 제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훈련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DB(400)는 고객별 단어장정보가 저장되는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복수의 도서별 예문이 저장되는 도서별 예문DB(420)와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뜻 정보와 발음정보 등이 포함된 사전DB(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DB(400)는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가 저장되고, 고객별 단어장정보는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와 각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별 뜻 정보, 발음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 암기여부정보 등이 포함되는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복수의 문장정보와 문장정보에 대한 번역정보와 문장정보에 대한 문장출처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문장정보마다 문장식별정보와 책식별정보가 인덱싱되어 저장되는 도서별 예문DB(420)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한 뜻과 발음정보가 저장되는 사전DB(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별 단어장DB(410)는 고객별 단어장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고객별 단어장정보에는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 리스트와 각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뜻 정보와 발음정보와 예문정보와 학습횟수정보와 암기여부정보와 단어출처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별 단어장DB(410)에 고객별 단어장 정보 저장시 고객 구분을 위한 고객실별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서별 예문DB(420)는 복수의 문장들이 수록 저장되며, 상기 각 문장마다 문장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저장 될 수 있다.
상기 문장식별정보는 해당 문장의 출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문장이 속한 책 정보, 문장의 위치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책 정보는 ISBN번호, 출판사 정보, 책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문장이 위치한 페이지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장식별정보가 "ISBN 123-***-4567_P12G011" 인 경우, 책 정보는 ISBN 123-***-4567 이며, 문장위치정보는 ISBN 123-***-4567 란 책의 페이지 12이고, 페이지 12에서 문장이 위치한 곳은 G011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종이책을 전자화한 전자책으로부터 추출된 문장인 경우, 상기 책정보는 출판사 정보, 책명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전DB(430)는 각 단어 또는 말뭉치에 대한 뜻 정보와 발음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단어장 정보 생성시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사용자가 등록 요청한 단어 또는 말뭉치의 발음과 뜻 정보를 상기 사전DB(4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단어장 자동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시스템은,
종이책 전자화수단(500)과 전자책 재구성수단(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종이책 전자화수단(500)과 전자책 재구성수단(600) 종이책에 나와 있는 문장들을 전자화하여 도서별 예문DB(420)에 저장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종이책 전자화수단(500)은 종이책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텍스트와 이미지를 페이지단위로 파싱하여 전자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책 재구성수단(600)은 종이책 전자화수단(500)이 생성한 전자파일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파싱하고, 파싱된 문장마다 문장식별정보를 매칭시켜 도서별 예문DB(420)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장식별정보는 해당 문장의 출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문장이 속한 책 정보, 문장위치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책 정보는 출판사 정보와 책명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문장위치정보는 해당 문장이 종이책에서 위치한 페이지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책정보는 "**출판사 _ 고3영어교과서" 등일 수 있고, 문장 위치정보는 "페이지30" 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는 본 발명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훈련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훈련 방법의 구성단계들의 구체적 기술적 특징들은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훈련 시스템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된바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자책(E-book)을 이용하여 단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어를 예문을 이용하여 학습하기 위한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은,
전자책(E-book)을 이용하여 단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어를 예문을 이용하여 학습하기 위한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에 있어서,
학습단말기(100)가 인식수단(110)을 통해 전자책 내용 중 특정 단어 또는 두개 이상의 단어로 된 말뭉치(chunk)를 인식하는 단계와;
학습단말기(100)가 인식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인식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와 도서별 예문DB(420) 및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생성한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단어장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상기 단어장정보 요청에 따른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학습단말기(100)가 제공받은 단어장정보를 조회하고, 편집하고, 문서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 학습훈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이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에 따른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이 생성된 학습훈련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학습단말기(100)가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을 수행하는 단계와;
학습단말기(100)가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수행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상기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훈련수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학습훈련수행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단계에서의 학습훈련정보 요청은 특정 단어나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정보 요청이고, 상기 학습훈련수행단계에서 수행하는 학습훈련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 예문을 보여주고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 단어장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것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이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공란으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전DB(430)를 이용하여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해당하는 뜻과 발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후보문장정보(미학습된 문장정보) 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장정보들과 전송된 문장정보(학습된 문장정보)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전송된 문장정보가 텍스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텍스트정보를 추출된 후보문장정보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된 문장정보가 문장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장정보를 추출한 후 후보문장정보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학습한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단어 또는 말뭉치 정보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평가하여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 정보의 암기여부를 나타내는 암기여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출처를 나타내는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뜻과 발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내지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예문정보를 구성하는 각 문장정보들에는 번역정보와 문장출처를 나타내는 문장출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의 학습횟수는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한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의 전송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는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리스트와 각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별 뜻정보, 발음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 암기여부정보, 단어출처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되는 학습훈련정보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예문을 보여주고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장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대한 학습훈련수행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의 학습횟수정보와 암기 여부를 나타내는 암기여부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학습단말기
110 : 인식수단 120 : 전용앱
200 :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
210 : 단어정보수신부 220 : 제1단어장정보생성부
230 : 제2단어장정보생성부 240 : 제3단어장정보생성부
250 : 제4단어장정보생성부 260 : 제5단어장정보생성부
270 : 제6단어장정보생성부
300 : 단어암기훈련수단
400 : 정보DB
410 : 고객별 단어장DB 420 : 도서별 예문DB
430 : 사전DB
500 : 종이책 전자화수단
600 : 전자책 재구성수단

Claims (20)

  1. 전자책(E-book)을 이용하여 단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어를 예문을 이용하여 학습하기 위한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책 내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110)을 포함하고,
    전자책 내용 중 특정 단어 또는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된 말뭉치(chunk)가 상기 인식수단(110)에 의해 일정시간 터치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단어암기훈련을 위한 학습훈련정보 요청신호를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에 따른 학습훈련정보를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부터 제공받아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을 수행하고, 수행된 학습훈련의 결과를 나타내는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며,
    단어장정보 요청신호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어장정보 요청에 따른 단어장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단어장정보를 조회하고, 편집하고, 문서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앱(120)이 탑재되는 학습단말기(100)와;

    학습단말기(100)로부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와 도서별 예문DB(420) 및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횟수정보가 포함된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고,
    학습단말기(100)에서 단어장정보 요청시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해당 고객의 단어장정보를 학습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과;

    학습단말기(100)로부터 학습훈련정보 요청시,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단어장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훈련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단어암기훈련수단(300)과;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도서별 예문DB(420)와 사전DB(430)를 포함하는 정보DB(400)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DB(400)는,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가 저장되고, 고객별 단어장정보는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와 각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별 뜻 정보, 발음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 암기여부정보 등이 포함되는 고객별 단어장DB(410)와,
    복수의 문장과 각 문장에 대한 번역정보와 문장에 대한 문장출처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문장마다 문장식별정보가 인덱싱되어 저장되는 도서별 예문DB(420)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한 뜻과 발음정보가 저장되는 사전DB(430)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에 포함되는 예문정보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추출된 전자책에 있는 예문정보와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들어가 있는 도서별 예문DB(420)에 저장되어 있는 예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에 포함된 학습횟수정보는 학습단말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의 전송 횟수를 카운팅하여 생성된 정보이며,
    상기 전송되는 문장정보는 문장식별정보이거나 문장식별정보와 문장텍스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 훈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장 자동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시스템은,
    종이책 전자화수단(500)과 전자책 재구성수단(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이책 전자화수단(500)은 종이책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텍스트와 이미지를 페이지단위로 파싱하여 전자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책 재구성수단(600)은 종이책 전자화수단(500)이 생성한 전자파일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파싱하고, 파싱된 문장마다 책식별정보와 문장식별정보와 종이책페이지정보(책명,페이지정보)를 부여하여 도서별 예문DB(420)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 훈련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은 특정 단어나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정보요청이고,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전용앱(120)이 수행하는 학습훈련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 학습 훈련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120)은 제공받은 단어장 정보를 문서로 출력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이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공란으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은,
    상기 학습단말기(100)로부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정보, 선택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 고객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어정보수신부(210)와,
    사전DB(430)를 이용하여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해당하는 뜻과 발음정보를 생성하는 제1단어장정보생성부(220)와,
    상기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포함하고 있는 후보문장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장들과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가 텍스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텍스트정보를 추출된 후보문장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문장정보가 문장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장을 추출한 후 후보문장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제2단어장정보생성부(230)와,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학습한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제3단어장정보생성부(240)와,
    학습단말기(100)가 전송한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평가하여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의 암기 여부를 나타내는 암기여부정보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제4단어장정보생성부(250)와,
    상기 문장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출처를 나타내는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하는 제5단어장정보생성부(260)와,
    상기 제1,2,3,4,5 단어장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하는 제6단어장정보생성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어장정보생성부(240)의 학습횟수는,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의 전송 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어장정보생성부(270)의 고객별 단어장정보는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리스트와 각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별 뜻정보, 발음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 암기여부정보, 단어출처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예문을 보여주고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시스템.
  9. 삭제
  10. 전자책(E-book)을 이용하여 단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어를 예문을 이용하여 학습하기 위한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에 있어서,
    학습단말기(100)가 인식수단(110)을 통해 전자책 내용 중 특정 단어 또는 두개 이상의 단어로 된 말뭉치(chunk)를 인식하는 단계(S110)와;
    학습단말기(100)가 인식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인식한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S120)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포함된 문장정보와 고객식별정보와 도서별 예문DB(420) 및 사전DB(4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생성한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20)와;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단어장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310)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상기 단어장정보 요청에 따른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제공하는 단계(S320)와;
    학습단말기(100)가 제공받은 단어장정보를 조회하고, 편집하고, 문서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330)와;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암기훈련수단(300) 측으로 학습훈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410)와;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이 고객별 단어장DB(4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에 따른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20)와;
    단어암기훈련수단(300)이 생성된 학습훈련정보를 학습단말기(100)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S430)와;
    학습단말기(100)가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학습훈련을 수행하는 단계(S440)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는,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후보문장정보(미학습된 문장정보) 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장정보들과 전송된 문장정보(학습된 문장정보)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전송된 문장정보가 텍스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텍스트정보를 추출된 후보문장정보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된 문장정보가 문장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도서별 예문DB(420)로부터 상기 문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장정보를 추출한 후 후보문장정보들과 결합하여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문정보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추출된 전자책에 있는 예문정보와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들어가 있는 도서별 예문DB(420)에 저장되어 있는 예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도서별 예문DB(420)는 복수의 문장과 각 문장에 대한 번역정보와 문장에 대한 문장출처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문장마다 문장식별정보가 인덱싱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송되는 문장정보는 문장식별정보이거나 문장식별정보와 문장텍스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학습단말기(100)가 상기 학습훈련정보에 따라 수행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제공하는 단계(S450)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상기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훈련수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460)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이 학습훈련수행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수정하는 단계(S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종이책전자화수단(500)이 종이책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텍스트와 이미지를 페이지단위로 파싱하여 전자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610)와;
    전자책 재구성수단(600)이 종이책 전자화수단(500)이 생성한 전자파일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파싱하고, 파싱된 문장마다 책식별정보와 문장식별정보와 종이책페이지정보(책명,페이지정보)를 부여하는 단계(S620)와;
    전자책 재구성수단(600)이 책식별정보와 문장식별정보와 종이책페이지정보가 부여된 문장을 도서별 예문DB(420)에 저장하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훈련정보 요청단계(S410)에서의 학습훈련정보 요청은 특정 단어나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정보 요청이고,
    상기 학습훈련수행단계에서 수행하는 학습훈련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 예문을 보여주고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장정보를 조회하고, 편집하고, 문서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330)에서 단어장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것은,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이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공란으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는,
    사전DB(430)를 이용하여 상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해당하는 뜻과 발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를 학습한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단계와;
    단어 또는 말뭉치 정보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를 평가하여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 정보의 암기여부를 나타내는 암기여부정보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출처를 나타내는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뜻과 발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내지 단어출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식별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예문정보를 구성하는 각 문장정보들에는 번역정보와 문장출처를 나타내는 문장출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횟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의 학습횟수는 학습단말기(100)가 단어장정보생성및관리수단(200) 측으로 전송한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에 대한 학습훈련수행결과정보의 전송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고객별 단어장정보는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리스트와 각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별 뜻정보, 발음정보, 예문정보, 학습횟수정보, 암기여부정보, 단어출처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훈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20)에서 생성되는 학습훈련정보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보여주고 단어 또는 말뭉치(chunk)의 뜻을 맞추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가 공란으로 표시되는 예문을 제시하고 공란에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예문을 보여주고 해당하는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를 선택하도록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미암기 단어 또는 말뭉치(chunk)만 반복해서 보여주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학습훈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장정보를 수정하는 단계(ㄴ510)는 특정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에 대한 학습훈련수행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단어 또는 말뭉치(chunk) 정보의 학습횟수정보와 암기 여부를 나타내는 암기여부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장 자동 생성 및 단어학습 훈련 방법.
KR1020160159905A 2016-11-29 2016-11-29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179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05A KR101794547B1 (ko) 2016-11-29 2016-11-29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05A KR101794547B1 (ko) 2016-11-29 2016-11-29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547B1 true KR101794547B1 (ko) 2017-11-07

Family

ID=6038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905A KR101794547B1 (ko) 2016-11-29 2016-11-29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5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91A (ko) * 2020-08-12 2022-02-21 봉래 박 Ai를 활용한 어휘 연상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
KR20230132340A (ko) 2022-03-08 2023-09-15 전경희 인공지능 기반 질문생성 학습기술습관 훈련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58876A (ko) 2022-05-12 2023-11-21 주식회사월시스 한영 코퍼스 단위 자동 조절 방식 단어장 생성방법 및 그 생성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520A (ja) * 2002-11-11 2004-06-10 Als:Kk 外国語単語学習システム
JP2012118640A (ja) 2010-11-30 2012-06-21 Casio Comput Co Ltd 例文帳作成装置及び例文帳作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3520A (ja) * 2002-11-11 2004-06-10 Als:Kk 外国語単語学習システム
JP2012118640A (ja) 2010-11-30 2012-06-21 Casio Comput Co Ltd 例文帳作成装置及び例文帳作成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91A (ko) * 2020-08-12 2022-02-21 봉래 박 Ai를 활용한 어휘 연상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
KR102641331B1 (ko) * 2020-08-12 2024-02-27 봉래 박 Ai를 활용한 어휘 연상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
KR20230132340A (ko) 2022-03-08 2023-09-15 전경희 인공지능 기반 질문생성 학습기술습관 훈련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58876A (ko) 2022-05-12 2023-11-21 주식회사월시스 한영 코퍼스 단위 자동 조절 방식 단어장 생성방법 및 그 생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3659B (zh) 一种远程教学互动方法、服务器、终端以及系统
CN110795543B (zh) 基于深度学习的非结构化数据抽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Barth et al. State of the art in research on high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S9666098B2 (en) Languag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CN102262634B (zh) 一种自动问答方法及系统
CN111475623A (zh) 基于知识图谱的案件信息语义检索方法及装置
Chujo et al. A corpus and grammatical browsing system for remedial EFL learners
CN110851599A (zh) 一种中文作文自动评分方法及教辅系统
CN110929045B (zh) 诗歌-语义知识图谱的构建方法及系统
CN113609103A (zh) 一种基于ai的交互式阅读支持数据库构建方法及系统
KR101794547B1 (ko) 단어장 자동 생성 및 학습훈련 시스템 및 방법
Rokade et al. Automated grading system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N107943940A (zh) 数据处理方法、介质、系统和电子设备
Dumal et al. Adaptive and automated online assessment evaluation system
KR102149935B1 (ko)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897274B (zh) 一种跨语种的点评复述方法
US10275487B2 (en) Demographic-based learning in a question answering system
Atapattu et al. Educational question answering motivated by question-specific concept maps
CN112989811A (zh) 一种基于BiLSTM-CRF的历史典籍阅读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8090117A (ja) 学習システム、類似問題検索方法、プログラム
CN115640403A (zh) 基于知识图谱的知识管控方法及装置
Prinsloo et al. A copulative decision tree as a writing tool for Sepedi
Sokolová et al. An introduction to detection of hate speech and offensive language in Slovak
Richter et al. Tracking the evolution of written language competence: an NLP–based approach
CN112560431A (zh) 用于生成试题辅导信息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以及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