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11B1 - 집초기용 스키장치 - Google Patents

집초기용 스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11B1
KR101794211B1 KR1020150101024A KR20150101024A KR101794211B1 KR 101794211 B1 KR101794211 B1 KR 101794211B1 KR 1020150101024 A KR1020150101024 A KR 1020150101024A KR 20150101024 A KR20150101024 A KR 20150101024A KR 101794211 B1 KR101794211 B1 KR 10179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coupled
lower s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264A (ko
Inventor
박정규
박석민
Original Assignee
박정규
박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박석민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15010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5/00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2Implements for collecting grain cro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는 집초기의 스키장치가 습지이거나 고랑이진 작업장을 이동할 때에 작업장에 빠지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집초기에서 작물을 모으는 타인바를 회전시키고 하측에 축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축에 결합되는 축연결프레임과, 상기 축연결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넓은 판형의 스키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초기용 스키장치{Ski plate for hayrake}
본 발명은 집초기용 스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초기의 로터 하측에 결합되는 스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초기는 예취기 및 콤바인으로 베어 눕힌 작물을 베일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줄로 모아주는 작업기계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6061호(2014.04.10.등록)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트랙터 후방 영역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고, 후방 양측에 보조바퀴가 축설된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수평으로 장착된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양단부의 하부 영역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타인 스프링이 결합되는 집초암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케이스와, 로터케이스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되고, 수직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로터캡 및 하부케이스와, 수직 샤프트 하부에 장착된 주바퀴로 이루어진 로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초기에 있어서, 상기 로터캡 상부에 체결 고정되고, 수직 샤프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며, 주바퀴 상부에 연결되어 주바퀴의 높이조절 및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바퀴 완충 및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집초기는 로터에 체결되는 운송장치는 바퀴로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장이 습지인 경우 작업시에 바퀴 빠짐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인해 진흙과 사료 작물이 바퀴에 감기게 되며, 고랑이 형성된 작업장에서 이동할 때에는 바퀴가 고랑에 빠지면서 집초기 전체가 하향되므로 집초기의 집초장치가 회전시 바닥에 닿아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또한 집초장치가 바닥에 닿으면서 흙과 함께 작물을 모으게 되어 작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로터 하측에 결합되는 스키장치가 습지이거나 고랑이진 작업장에서 이동할 때에 작업장에 빠지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하도록 하는 스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초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집초기에서 작물을 모으는 타인바를 회전시키고 하측에 축이 형성된 로터가 구비된 집초기의 스키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집초기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집초기가 질거나 굴곡진 작업장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용 스키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집초기에서 작물을 모으는 타인바를 회전시키고 하측에 축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축에 결합되는 축연결프레임과, 상기 축연결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넓은 판형의 스키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연결프레임은 상기 로터의 축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양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은 양측에 작업수단이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축연결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고 하단 양측이 상향하게 경사지며, 일측에 회동부재가 관통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키판에는 상기 가이드판이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으로 형성된 회동슬릿과, 상기 회동슬릿의 하측에 결합되는 넓은 판형의 이동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판은 전방단부와 양측단부가 상향하게 절곡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슬릿에는 상기 한쌍의 측벽의 이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측벽 사이에 끼움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판은 전방단부와 양측단부가 상향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는, 로터 하측에 장착되는 스키장치를 바퀴가 아닌 스키판을 사용함에 따라 습지에서 작업 할 때에 진흙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고랑이 형성된 작업장을 작업할 때에 넓은 판형의 스키판에 의해 스키장치가 고랑에 빠지지 않으므로 집초장치가 작업장 바닥에 긁혀 부러지거나 작물과 진흙이 함께 모으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의 사시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에서 스키판의 회동을 표현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은 집초기에서 작물을 모으는 타인바를 회전시키고 하측에 축이 형성된 로터가 구비된 집초기의 스키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집초기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집초기가 질거나 굴곡진 작업장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형부재를 포함한다. 종래의 집초기의 스키장치로 사용하던 바퀴를 판형부재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장이 질거나 굴곡지더라도 집초기가 진흙에 빠지지 않고 미끄러지면서 작업할 수 있는 집초기용 스키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초기(100)에서 작물을 모으는 타인바(110)를 회전시키고 하측에 축이 형성된 로터(120)와, 상기 로터(120)의 축에 결합되는 축연결프레임(10)과, 상기 축연결프레임(10)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30)과, 상기 고정프레임(3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넓은 판형의 스키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로터(120)는 작물을 모아주는 타인바(110)를 회전시키는 장치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초기(100)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쌍으로 설치되고, 하측에는 작업시 상기 로터(120)를 이동시키는 스키장치가 결합되도록 하향하게 축이 형성된다.
상기 로터(120)의 축에는 축연결프레임(10)이 삽입 결합되는데, 이 축연결프레임(10)은 상기 로터(120)에 후술될 스키판(50)을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120)의 축이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의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전방 상부에서 수직프레임(11)으로부터 양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판(1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5)은 상기 수직프레임(11)을 보호하고, 후술될 고정판(30)에 하중을 넓게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판(15a)은 상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3)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15a)의 배면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또한, 견고한 지지를 위해 상기 전면판(15a)의 전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3)의 하단 양측을 지지하는 보조지지부(15b)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5a)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측면판(15c)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5a)과 측면판(15b) 하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 하단과 결합되는 바닥판(15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양측에는 이동수단이 결합되도록 결합수단(13a)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수단(13a)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형태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13a)은 종래에 사용되는 이동수단인 바퀴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13)의 양측에 바퀴의 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연결프레임(10)의 하측에는 고정프레임(30)이 결합되는데, 이 고정프레임(30)은 상기 축연결프레임(10)과 후술될 스키판(50)을 연결하며, 스키판(50)이 회동 가능하도록 돕는 부재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연결프레임(10)에서 지지판(15)에 형성된 바닥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판(3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바닥판(15c)의 면적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된 판형으로 전방 단부가 상향하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전면판의 보조지지부(15d)가 결합되도록 요입부(31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31)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판(33)이 결합되는데, 이 가이드판(33)은 후술될 스키판(50)을 회동 가능하게 하며, 그 회동 반경을 설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회동부재(B)가 관통하는 제1결합공(33a)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은 상향하게 경사져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33)의 하단의 경사도는 후술될 스키판(50)의 회동 각도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판(33)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33)은 고정판(31)의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판(33)이 끼움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축삽입부재(10)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상기 스키판(5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33)의 전방과 후방의 상측 단부는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판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30) 하측에는 스키판(50)이 형성되는데, 이 스키판(50)은 상기 가이드판(3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슬릿(51)과 상기 회동슬릿(51) 하측에 형성되는 넓은 판형의 이동판(5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슬릿(51)은 한쌍의 이격된 측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51)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공(33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결합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33a)과 제2결합공(51a)에는 회동부재(B)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회동부재(B)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재(B)는 상기 제1결합공(33a)과 제2결합공(51a)에 삽입되는 관형의 부싱과, 상기 부싱 내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키판(50)은 상기 회동부재(B)을 축으로 회동한다.
또한 회동슬릿(51)의 상기 한쌍의 측벽은 이동시 마찰을 줄이고 장애물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 양측이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슬릿(51)에 형성된 한쌍의 측벽은 이격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끼움부재(51b)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끼움부재(51b)는 상기 가이드판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측벽의 전후방 단부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51b)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회동슬릿(51)에는 상기 끼움부재(51b)가 결합되는 홈인 끼움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부재(51b)와 회동슬릿(5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상기 회동슬릿(51) 하측에는 넓은 판형인 이동판(53)이 형성되는데, 이 이동판(53)은 작업장의 지면을 이동하는 스키장치로 스키처럼 지면을 미끄러져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전방단부가 상향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좌우로 이동시 지면의 흙이 스키판(50) 내부로 침투하여 스키판(50)이 움직이지 않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단부도 상향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초기용 스키장치(1)는 로터(120)의 하측에 결합되는 스키장치가 바퀴가 아닌 스키판(50)이 결합됨에 따라 작업장이 습지이거나 고랑이 형성된 곳이라도 빠지지 않고 지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키판(50)은 고정프레임(30)의 가이드판(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작업장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스키판(50)이 상기 굴곡에 대응되게 회동하여 굴곡을 부드럽게 넘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축연결프레임(10)에는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3)에 결합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스키판(50)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스키장치인 바퀴를 상기 수평프레임(13)에 결합할 수 있어, 스키판(50)과 바퀴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고정프레임(30)과 스키판(50)을 상기 축연결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여 바퀴만을 사용하거나, 스키판(50)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1a, 1b, 1c : 집초기용 스키장치 10 : 축연결프레임
11 : 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13a : 결합수단 15 : 지지판
15a : 전면판 15b : 측면판
15c : 바닥판 15d : 보조지지부
30 : 고정프레임 31 : 고정판
31a : 요입부 33 : 가이드판
33a : 제1결합공 50 : 스키판
51 : 회동슬릿 51a : 제2결합공
51b : 끼움부재 53 : 이동판
100 : 집초기 110 : 타인바
120 : 로터 B : 회동부재

Claims (8)

  1. 집초기에서 작물을 모으는 타인바를 회전시키고 하측에 축이 형성된 로터가 구비된 집초기의 스키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집초기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집초기가 질거나 굴곡진 작업장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로터의 축에 결합되는 축연결프레임;
    상기 축연결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넓은 판형의 스키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축연결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고 하단 양측이 상향하게 경사지며, 일측에 회동부재가 관통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고정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전방과 후방의 상측 단부는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로 갈수록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스키판에는 상기 가이드판이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으로 형성된 회동슬릿과,
    상기 회동슬릿의 하측에 결합되는 넓은 판형의 이동판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이동판은 전방단부와 양측단부가 상향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회동슬릿에는 상기 한쌍의 측벽의 이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측벽 사이에 끼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용 스키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프레임은
    상기 로터의 축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으로부터 양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용 스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양측에 이동수단이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용 스키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01024A 2015-07-16 2015-07-16 집초기용 스키장치 KR10179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24A KR101794211B1 (ko) 2015-07-16 2015-07-16 집초기용 스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24A KR101794211B1 (ko) 2015-07-16 2015-07-16 집초기용 스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64A KR20170009264A (ko) 2017-01-25
KR101794211B1 true KR101794211B1 (ko) 2017-11-07

Family

ID=5799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024A KR101794211B1 (ko) 2015-07-16 2015-07-16 집초기용 스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89B1 (ko) * 2007-07-25 2009-01-29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집초기
KR200443646Y1 (ko) * 2008-10-09 2009-03-06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
KR101106075B1 (ko) * 2011-03-28 2012-01-18 유한회사 웅진기계 농기계용 쟁기장치
KR101407567B1 (ko) * 2013-08-30 2014-06-13 이병현 스키판이 구비된 갯벌용 경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89B1 (ko) * 2007-07-25 2009-01-29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집초기
KR200443646Y1 (ko) * 2008-10-09 2009-03-06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
KR101106075B1 (ko) * 2011-03-28 2012-01-18 유한회사 웅진기계 농기계용 쟁기장치
KR101407567B1 (ko) * 2013-08-30 2014-06-13 이병현 스키판이 구비된 갯벌용 경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64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498B2 (en) Toolbar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US6234495B1 (en) Sulky device with triple pivot attachment to mower
US7600365B2 (en) Walk-type lawn mower and catcher frame apparatus
US4825570A (en) Lift system for front-mounted implements for lawn and garden tractors
CA2511797A1 (en) Ride on platform for small loader
US8066081B2 (en) Small-sized tiller
JP6242007B2 (ja) 農作業機
KR101794211B1 (ko) 집초기용 스키장치
US6607204B2 (en) Self-propelled harvesting machine, especially a pick-up chopper
US20180086359A1 (en) Stroller tray or bumper bar with movement in two axes
US20170129516A1 (en) Caster Adapter for Hand Truck
US7491027B1 (en) Pivoting loader attachment system
US7040079B2 (en) Rake with four-wheel stabilizing system
IE20150129A1 (en) Agricultural machine
KR101407678B1 (ko) 소농기계용 청소 작업기
KR10099084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3륜 의자
US3455406A (en) Agricultural machine with alternate caster wheel positions
JP6981439B2 (ja) 歩行型耕耘機
US3998489A (en) Cab for a harvesting machine
AU2001269619B2 (en) Device for maintaining grass fields
US6449935B1 (en) Lawnmower handle assembly
NL2008876C2 (nl) Landbouwwerktuig.
JP2007124980A (ja) シート敷設作業機
DK2517546T3 (en) Mower
JP2002084859A (ja) 乗用型茶園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