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600B1 - Compressor - Google Patents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3600B1 KR101793600B1 KR1020110011179A KR20110011179A KR101793600B1 KR 101793600 B1 KR101793600 B1 KR 101793600B1 KR 1020110011179 A KR1020110011179 A KR 1020110011179A KR 20110011179 A KR20110011179 A KR 20110011179A KR 101793600 B1 KR101793600 B1 KR 101793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ief valve
- pressure relief
- refrigerant
- discharge
- compr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완화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내부의 압력을 완화하는데 사용하는 압력완화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완화밸브는, 압축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구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경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경로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소정 압력이상인 경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압력완화밸브,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와 연결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배출부재,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를 압력완화밸브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의 방향이 가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에 의하면, 기존의 금형을 공용하면서, 저비용으로 압력완화밸브의 출구를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relief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ressor capable of variously setting discharge directions of refrigerant discharged from a pressure relief valve used for relieving pressure inside a compressor. A pressur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a compressor, a compress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housing for sucking and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discharge path formed in the housing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mechanism, A pressure relief valv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discharge path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side when the press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and an opening connected to the passage A discharge member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ischarge member to the pressure relief valve, wherein a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member is Lt; / RTI > According to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outlet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in a desired direction by the customer while sharing the existing mold and at low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내부의 압력을 완화하는데 사용하는 압력완화밸브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가 포함된다. 이러한 압축기에는 일반적으로 사판식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an evaporator into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and sends it to a condenser. In such a compressor,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generally used.
사판식 압축기는 자동차의 전면패널에 설치된 에어컨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되는데, 압축기가 구동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하강 되고, 압축기가 정지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된다.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lowered.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increased.
사판식 압축기는 압축기 내에 구비된 회전축에 일정각도 경사각을 가지는 사판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사판에 연결된 실린더보어내의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함에 의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방식이다.I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 swash plat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angle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provided in a compressor, and a piston in a cylinder bore connected to the swash plate reciprocates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to compress the refrigerant.
이러한 사판식 압축기로는 고정 용량형 타입과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배출용량은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함에 따라 달성되는데, 냉방부하가 커지면 사판의 경사각이 커지고, 냉방부하가 작아지면 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지도록 제어된다. 참고로 사판의 경사각이란 구동축과 수직한 면과 사판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Such swash plate type compressors include a fixed capacity type and a variable capacity type. Generally,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achieved by controll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When the cooling load is increas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is increased and when the cooling load is decreas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is controlled to be decreased. For reference,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means the angle formed by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and the swash plate.
도 1은 일반적인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블록(10)과, 상기 실린더블록(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크랭크실(21)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20), 그리고 실린더블록(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흡입실(31)과 토출실(33)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30)을 포함한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es a
상기 실린더보어(11)에는 피스톤(40)이 수납되는데, 상기 피스톤(40)이 직선왕복운동함으로써, 실린더보어(11) 내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실(21)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40)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6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60)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61)과, 상기 구동축(61)에 대하여 왕복 슬라이딩하게 결합된 슬리브(65), 상기 구동축(61)에 결합되어 구동축(61)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70), 상기 슬리브(6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로터(70)와 힌지로 결합되어 경사각이 가변되는 사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로터(70)에는 상기 사판(80)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아암(75)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아암(75)에는 장공형상의 힌지슬롯(7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판(80)에는 사판허브(8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사판허브(81)의 선단에는 상기 힌지아암(75)과 힌지핀(P)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사판아암(85)이 형성된다.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하우징(30)의 외부 일측에는 압력완화밸브(Pressure Relief Valve)(9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완화밸브(90)의 주위에는 상기 후방하우징(30)에서 연장되고, 상기 압력완화밸브(90)를 일정구간 둘러싸는 측벽(35)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완화밸브(90)는 압축기내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2, a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완화밸브(90)의 외측 하단에는 상기 후방하우징(30)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9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완화밸브(90)의 상측에는 배출구(9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95)를 통해 압축기내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3, a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61)이 외부의 동력원과 연결된 풀리(9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상기 로터(70)도 상기 구동축(61)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로터(70)가 회전하면 크랭크실(21)의 설정압력과 구동축(61)에 결합된 가압스프링(67) 및 복귀스프링(69)의 탄성 가압작용에 의해 사판(80)이 슬리브(65)와 함께 구동축(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각이 가변하면서 회전한다. 상기 사판(80)의 회전은 상기 피스톤(40)이 상기 실린더보어(11)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40)이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실린더보어(11)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미도시)로 전달된다.Referring again to FIG. 1, when the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mpresso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압축기의 내부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압축기 내부의 압력을 떨어뜨리기 위해 상기 압력완화밸브(90)에 의해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냉매의 배출방향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일반적인 압력완화밸브는 밸브의 상측에 배출구(95)가 구비되어 있고, 배출구(95)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냉매의 배출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압력완화밸브가 설치된 전방하우징 또는 후방하우징의 금형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우징의 금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an abnormal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compressor, the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소모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압력완화밸브 동작시 냉매의 배출방향을 수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ressor which can change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a refrigerant to a direction desired by a user in a pressure relief valve operation while minimizing cost consump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압축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구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경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경로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소정 압력이상인 경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압력완화밸브,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와 연결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배출부재,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를 압력완화밸브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의 방향이 가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부재를 상기 압력완화밸브쪽으로 눌러주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걸림홈에 걸어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지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는, 냉매의 배출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된 통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compressor, a compress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housing for sucking and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housing and discharging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mechanism part A pressure relief valv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utlet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discharge path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side when the press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A discharge member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ischarge member to the pressure relief valve, And the direction is vari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for pressing the discharge member toward the pressure relief valve, a fix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latching protrusion hooked to the latching groove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And a latch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to hook the latching protrusion.
The discharge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passag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to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에 의하면, 기존의 금형을 공용하면서, 저비용으로 압력완화밸브의 출구를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outlet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in a desired direction by the customer while sharing the existing mold and at low cost.
그리고 압력완화밸브의 조립방향에 무관하게 냉매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relief valve is assembled.
도 1은 일반적인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압력완화밸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완화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완화밸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of a general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pressure relief valve,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ssur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ssur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완화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완화밸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ssur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축기(100)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블록(110)과,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크랭크실(121)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120), 그리고 실린더블록(1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흡입실(131)과 토출실(133)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10)과 전후방하우징(120,130)은 체결볼트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압축기의 하우징을 형성한다.4, the
상기 실린더보어(111)에는 상기 실린더보어(111)와 대응되는 형상의 피스톤(140)이 수납된다. 상기 피스톤(140)이 직선왕복운동 함으로써 실린더보어(111)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A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후방하우징(130) 사이에는 상기 흡입실(131)에서 실린더보어(111)로, 상기 실린더보어(111)에서 상기 토출실(33)로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113)가 설치된다.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rom the cylinder bore 111 to the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일단에는 전방하우징(120)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하우징(120)은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결합하여 내부에 크랭크실(121)을 형성한다. 상기 크랭크실(121)은 외부와 기밀이 유지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전방하우징(120)에는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반대쪽에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풀리(1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리(125)의 내주면에는 구동축(161)의 일단과 결합되는 허브(미도시)가 설치된다.A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타단, 즉, 상기 전방하우징(120)이 설치된 반대쪽에는 후방하우징(130)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30)에는 상기 실린더보어(11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흡입실(131)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실(131)은 상기 후방하우징(130) 중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마주보는 면의 중앙에 해당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실(131)은 상기 실린더보어(111)의 내부로 압축될 냉매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
또한 상기 후방하우징(130)에는 토출실(133)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33) 역시 상기 실린더보어(111)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토출실(133)은 상기 후방하우징(130) 중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마주보는 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133)은 상기 실린더보어(11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어 임시로 머무르는 공간이다. 상기 토출실(13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냉매는 토출포트(미도시)를 통해 압축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1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실(133)을 지나 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토출경로라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130)의 일측에는 제어밸브(136)가 구비되어 후술할 사판(180)의 각도를 조절한다.A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전방하우징(120)을 관통하여 구동축(161)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61)은 엔진에서 풀리(125)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161)은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전방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된다.A
상기 구동축(161)이 중앙을 관통하고, 구동축(161)과 일체로 회전되게 로터(170)가 상기 크랭크실(121)에 설치된다. 상기 로터(17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상기 구동축(16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A
상기 구동축(161)에는 사판(180)이 상기 로터(170)와 힌지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사판(180)은 상기 구동축(161)에 압축기의 토출 용량에 따라 각도가 가변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축(16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거나 구동축(16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 사이에 있도록 상기 사판(18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사판(180)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피스톤(140)들과 슈(144)를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피스톤(140)의 연결부(142)에 상기 사판(180)의 가장자리가 슈(144)를 통해 연결되어 사판(1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스톤(140)의 실린더보어(111)에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한다.The
한편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후방하우징(130)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실(131) 및 상기 토출실(133)과 실린더보어(111) 사이에서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113)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113)는 상기 흡입실(131)로부터 실린더보어(111)로의 냉매의 유동과, 실린더보어(111)로부터 상기 토출실(133)로의 냉매 유동을 제어한다.A
상기 크랭크실(121)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40)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전방하우징(120)과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61)과, 상기 구동축(161)에 대하여 왕복 슬라이딩하게 결합된 슬리브(165)와, 상기 크랭크실(121)내에서 상기 구동축(161)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61)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170), 상기 슬리브(16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로터(170)와 힌지로 결합되어 경사각이 가변되는 사판(180), 상기 사판(180)의 경사각이 감소하도록 사판(180)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167), 그리고 상기 사판의 경사각이 증가하도록 사판(180)을 가압하는 복귀스프링(16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driving
상기 로터(170)에는 상기 사판(180)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아암(175)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아암(175)의 상측에는 장공 형상의 힌지슬롯(17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판(180)에는 사판허브(181)가 일체로 결합되는데, 상기 사판허브(181)에는 상기 힌지아암(175)과 힌지핀(P)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사판아암(185)이 형성된다.A
상기 구동축(161)이 외부의 동력원과 연결된 풀리(12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상기 로터(170)도 상기 구동축(161)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로터(170)가 회전하면 크랭크실(121)의 설정압력과 가압스프링(167) 및 상기 복귀스프링(169)의 탄성 가압작용에 의해 사판(180)이 슬리브(165)와 함께 구동축(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각이 가변하면서 회전한다.When the
상기 사판(180)이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면, 사판(180)의 둘레부분은 피스톤(140)의 연결부(142)에 개재된 슈(144)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상기 피스톤(140)들을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When the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기(100)의 후방하우징(130)의 일측에는 압력완화밸브(Pressure Relief Valve)(19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완화밸브(190)는 토출경로상에 설치되어 압축기 내부 냉매의 압력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냉매를 배출한다.Referring to FIG. 5, a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하측에는 압축기(100)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입구(192)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유입구(192)와 연통되고 냉매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95)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측면에는 후술할 결합부재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193)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외측하단에는 압축기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91)이 형성된다.6 and 7, an
상기 배출구(195)의 상측에는 상기 배출구(195)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의 배출방향을 변경시키는 배출부재(150)가 결합된다. 상기 배출부재(15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52)와, 상기 본체부(152)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15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95)와 연통되는 상기 본체부(152)의 하단에는 일정깊이의 통로(1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52)의 상측에는 상기 통로(151)와 연통되어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구부(153)가 원주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재(150)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상기 배출부재(150)의 상측에는 상기 배출부재(150)를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5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155)는 상기 본체부(152)가 삽입되는 결합홀(158)이 형성되는 몸체(156)와, 상기 몸체(156)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157), 그리고 상기 지지부(157)에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93)에 걸리는 걸림돌기(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a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완화밸브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ssembling process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해 상기 압력완화밸브(190)를 압축기의 일측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150)를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배출구(195)가 형성된 곳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구(195)와 상기 통로(151)이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부(153)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키도록 한다.The user uses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그 후 상기 결합부재(155)를 상기 배출부재(150)의 몸체에 끼우고, 상기 걸림돌기(159)가 상기 걸림홈(193)에 걸어지도록 조립한다. 이때 상기 배출부재(15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부재(150)가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에 결합될 때, 상기 배출부재(150)가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와 결합부재(155)가 완전하게 밀착하면서 결합됨으로 인해, 압력완화밸브(190)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다른 곳으로 분산배출되지 않고, 상기 배출구(195)와 연통된 개구부(153)로만 배출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만 냉매가 배출되고, 다른 쪽으로 냉매가 누설되지 않는 효과가 생긴다.
Thereafter, the engag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엔진의 구동력이 벨트를 통해 풀리(125)에 전달되면, 상기 풀리(125)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풀리(12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풀리(125)의 내주면에 설치된 허브에도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허브에 결합된 구동축(161)이 회전하게 되므로, 압축기가 구동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is transmitted to the
이와 같이, 상기 구동축(16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판(180)이 구동축(161)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161)이 회전하면, 로터(170)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로터(170)가 회전하면 크랭크실(121)의 설정압력과 가압스프링(190) 및 복귀스프링(195)의 탄성 가압 작용에 의해 사판(180)이 슬리브(165)와 함께 구동축(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각이 변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사판(180)이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면, 사판의 둘레영역은 피스톤(140)의 연결부(142)에 개재된 슈(144) 사이를 지나감에 따라 피스톤(140)을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Thus, as the
이에 따라 상기 흡입실(131)의 냉매가 각 실린더보어(111)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보어(111)에 냉매가 전달된 후, 해당되는 상기 실린더보어(111) 내의 피스톤(140)이 상기 밸브어셈블리(11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냉매의 압축이 일어난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in the
이와 같이,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11) 내에서 압축되면, 상기 실린더보어(111)의 내부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아져 상기 실린더보어(111) 내의 냉매가 상기 밸브어셈블리(113)를 통해 상기 토출실(133)로 전달된다. 상기 토출실(133)에 일시저장된 냉매는 토출포트(미도시)를 통해 압축기(100)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밸브(136)에 의해 상기 사판(180)의 경사각이 가변되면, 상기 실린더보어(111)의 내부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양이 가변되므로, 냉매의 토출량이 가변된다.When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in the cylinder bore 111,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bore 111 become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refrigerant in the cylinder bore 111 flows through the
그리고 압축기(100)내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는 압력완화밸브(19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압력완화밸브(190)는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소정 압력이상인 경우에만 동작한다. 즉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유입구(19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인 경우에는 유입구(192)가 열리게 되고 압축기 내부의 냉매가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유입구(192)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구(195)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배출구(195)에서 배출된 냉매는 상기 배출구(195)와 연통된 배출부재(150)의 통로(152)를 거쳐, 개구부(1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pressure in the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상측에 결합된 배출부재(150)의 결합위치를 변경시킴으로 인해, 냉매의 배출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타입의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compressor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in the claim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110: 실린더블록 111: 실린더보어
120: 전방하우징 121: 크랭크실
130: 후방하우징 131: 흡입실
133: 토출실 136: 제어밸브
139: 분출구 140: 피스톤
161: 구동축 167: 가압스프링
169:복귀스프링 170: 로터
180: 사판 150:배출부재
155: 결합부재 190: 압력완화밸브
195:배출구110: cylinder block 111: cylinder bore
120: front housing 121: crank chamber
130: rear housing 131: suction chamber
133: Discharge chamber 136: Control valve
139: jet port 140: piston
161: drive shaft 167: pressure spring
169: return spring 170: rotor
180: swash plate 150: discharge member
155: coupling member 190: pressure relief valve
195: Outlet
Claims (4)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구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경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경로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소정 압력이상인 경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95)를 구비하는 압력완화밸브(190);
상기 배출구(195)와 연통하는 통로(151)와 상기 통로(151)와 연결되는 개구부(153)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배출부재(150);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150)를 압력완화밸브(19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15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냉매의 방향이 가변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출부재(150)를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쪽으로 눌러주는 몸체부(156)와, 상기 몸체부(156)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기 압력완화밸브(190)의 걸림홈(193)에 걸어지는 걸림돌기(159)가 형성되는 결합부재(155)와, 상기 압력완화밸브(19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59)가 걸어지는 걸림홈(193)을 포함하는 압축기.A housing constituting an appearance of the compressor;
A compress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uck and compress the refrigerant;
A discharge path formed in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mechanism;
A pressure relief valve 19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195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sid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discharge path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 discharge member 150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190 and having a passage 151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195 and an opening 153 connected to the passage 151; An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ischarge member (150) to the pressure relief valve (190)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member 150,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changed,
Wherein,
A body portion 156 that presses the discharge member 150 toward the pressure relief valve 190 and a stopper groove 193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156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193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190 And a latching groove (193)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relief valve (190) and on which the latching protrusion (159) is hooked.
냉매의 배출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된 통로(151)가 형성된 본체부(152)와,
상기 통로(151)와 연통되어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153)를 포함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member (150)
A main body 152 having a passageway 151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opening (153)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151)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side,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1179A KR101793600B1 (en) | 2011-02-08 | 2011-02-08 | Compr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1179A KR101793600B1 (en) | 2011-02-08 | 2011-02-08 | Compr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643A KR20120090643A (en) | 2012-08-17 |
KR101793600B1 true KR101793600B1 (en) | 2017-11-03 |
Family
ID=4688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1179A Active KR101793600B1 (en) | 2011-02-08 | 2011-02-08 | Compr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36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0627B1 (en) | 2015-02-26 | 2020-04-14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Pressure control device of crank chamber for variable swash platecompressor |
KR102619908B1 (en) * | 2018-10-01 | 2024-01-04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Compressor |
-
2011
- 2011-02-08 KR KR1020110011179A patent/KR10179360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643A (en) | 201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3403B1 (en) | Compressor | |
KR101793600B1 (en) | Compressor | |
KR101451472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8369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91596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43756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599551B1 (en) | Driving control method of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93597B1 (en) | Pressure Relief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
KR20110035597A (en) |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2051661B1 (en) | Control valve and variable capacity type compressure | |
KR20110053743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
KR20090118513A (en) | Swash plate compressor | |
KR20160097633A (en) | Discharge check valve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210344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348835B1 (en) | Compressor | |
KR20150008587A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US20090148312A1 (en) |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30027262A (en) | Compressor | |
KR101866735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10098215A (en) | 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0852130B1 (en) |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check valve in discharge chamber | |
KR10200634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32707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30142833A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20070635A (en) |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