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29B1 -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529B1
KR101793529B1 KR1020160095655A KR20160095655A KR101793529B1 KR 101793529 B1 KR101793529 B1 KR 101793529B1 KR 1020160095655 A KR1020160095655 A KR 1020160095655A KR 20160095655 A KR20160095655 A KR 20160095655A KR 101793529 B1 KR101793529 B1 KR 10179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apter
holder
light sour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김두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윈
Priority to KR102016009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30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4Platinum group metals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648Vanadium, niobium or tantalum or polonium
    • B01J23/6484Niob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76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어댑터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선택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내부에 광촉매부, 광원부, 송풍팬이 설치되는 공기정화모듈과, 공기정화모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어댑터의 저면에는 전원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어댑터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걸림턱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어댑터의 상면에는 전원잭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공기정화모듈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홀더와, 홀더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광원부와,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원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광촉매부와, 홀더의 상면에 조립 설치되는 송풍팬과,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송풍팬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토출구멍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Compact Air Cleaner with Photocatalyst}
본 발명은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선택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을 비롯한 공기로 호흡하는 모든 동물들에게 공기의 질이 건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공기의 오염으로 공기의 질은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이나 자동차 등의 사람이나 동물이 오랫동안 머무르는 공간에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는 공기정화기를 설치하여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공기를 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광촉매(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TiO2) 등)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8501호, 제10-2009-0122335호, 제10-2015-0034872호, 제10-2016-0035818호, 제10-2016-0035826호, 제10-2016-005473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355667호 등에는 광촉매를 이용하는 다양한 공기정화기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경우에는 특정한 환경과 장소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이동 설치하여 사용하는 점에는 제약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어댑터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선택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내부에 광촉매부, 광원부, 송풍팬이 설치되는 공기정화모듈과, 상기 공기정화모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댑터의 저면에는 전원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걸림턱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상면에는 전원잭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광촉매부와, 상기 홀더의 상면에 조립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송풍팬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토출구멍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링을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또는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홀더에는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광원지지부와, 상기 광촉매부가 설치되는 광촉매지지부가 내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홀더의 하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또는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결합부가 설치된다.
상기 광원부는 광원이 탑재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전원잭이 결합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부의 회로기판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보조커넥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부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된 필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광촉매물질이 코팅되는 다공판이나 다공질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하단부의 체결돌기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공기정화모듈로부터 분리한 다음, 어댑터가 결합되었던 위치에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광촉매부와 광원부 및 송풍팬을 홀더에 조립하여 일체화된 광촉매모듈을 형성한 다음, 이를 하우징에 조립하여 공기정화모듈을 구성하므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공기정화모듈에 어댑터를 결합된 상태에서는 직접 전원의 콘센트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댑터를 제거하고 받침대를 공기정화모듈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별도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공기정화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어댑터를 광원부 등의 조립된 홀더에 먼저 조립한 다음 하우징에 조립하는 순서로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정화모듈과 어댑터를 쉽게 분리할 수 없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정화모듈을 먼저 조립한 다음 어댑터를 공기정화모듈에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정화모듈로부터 어댑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홀더에 광원부, 광촉매부, 송풍팬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공기정화모듈과 받침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하우징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하우징에 홀더 및 광원부, 광촉매부, 송풍팬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홀더에 광원부, 광촉매부, 송풍팬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모듈에 어댑터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모듈을 먼저 조립한 다음 어댑터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공기정화모듈과 받침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광촉매부(60), 광원부(50), 송풍팬(70)이 설치되는 공기정화모듈(10)과, 상기 공기정화모듈(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저면에는 전원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82)가 설치된다.
상기 어댑터(80)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걸림턱(87)이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80)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걸림턱(87) 대신에 걸림홈(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상면에는 전원잭(84)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전원잭(84)은 USB방식의 잭도 사용가능하고, 시리얼방식 또는 패러렐방식의 잭 등 다양한 구조의 잭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전원잭(84)으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USB 잭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호환성의 면에서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모듈(10)은 하우징(20)과, 홀더(40)와,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와, 송풍팬(70)과,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공기유입구멍(2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멍(21)은 상기 광촉매부(60)가 설치되는 지점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입되는 공기가 광촉매부(60)를 통과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의 외면에는 다양한 패턴으로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하우징(20)을 지름이 큰 대경부와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소경부의 2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멍(21)을 대경부와 소경부가 연결되는 단차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유입구멍(21)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저면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토출구멍(32)은 풍량이 증대되는 벌집형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30)에는 공기토출구멍(32)을 벌집형상으로 배열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벌집구조의 지지틀(3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링(36)을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링(36)이 결합되는 링결합부(23)를 단차가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커버(30)를 고정링(36)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직접 결합하여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을 모아 풍량을 증대시키도록 반구형을 이루도록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모서리에는 상기 커버(30)의 모서리가 걸쳐지는 지지턱(2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9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36)의 내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39)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에는 위로부터 아래쪽으로 길게 상기 지지돌기(39)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삽입홈(24)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돌기(39)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삽입홈(24)에는 상기 지지돌기(39)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돌기고정홈(2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기고정홈(25)은 상기 지지돌기(39)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돌기삽입홈(24)과 돌기고정홈(25)을 형성하면, 상기 고정링(36)의 지지돌기(39)가 상기 돌기삽입홈(24)에 삽입될 때에, 상기 돌기삽입홈(24)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가 바깥쪽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돌기(39)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39)가 상기 돌기고정홈(25)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형상으로 오므려지면서 상기 지지돌기(39)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링(36)의 상기 하우징(20)에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링(36)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30)의 상면 모서리에 밀착하여 누르기 위한 누름돌기(37)가 테두리를 따라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0)과 커버(30)가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20)의 공기유입구멍(2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커버(30)의 공기토출구멍(32)으로 배출되는 흐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4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된다.
도 3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40)에는 상기 광원부(50)가 설치되는 광원지지부(43)와, 상기 광촉매부(60)가 설치되는 광촉매지지부(45)가 내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에서 광원지지부(43)는 상기 하우징(20)의 공기유입구멍(21)으로 유입된 공기가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광원부(5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지지부(43)는 상기 홀더(40)의 내면 테두리 전체에 형성하지 않고 일부에만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40)에서 상기 광원지지부(43)와 광촉매지지부(45) 사이의 측면 일부를 제거하여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의 공기유입구멍(21)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홀더(40) 측면의 빈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광촉매부(60)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어댑터(80)의 걸림턱(87)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결합부(41)를 형성한다.
상기 광원부(50)는 상기 홀더(40)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광원부(50)는 상기 홀더(40)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는 광원지지부(43)에 조립 고정된다.
상기 광원부(50)는 광원(52)이 탑재되는 회로기판(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51)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보조커넥터(59)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커넥터(59)는 USB 잭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설치한다.
상기 회로기판(51)에는 상기 어댑터(80)의 전원잭(84)이 결합되는 전원커넥터를 저면쪽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원(52)으로는 엘이디(LE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발광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광원부(50)의 회로기판(51) 모서리를 상기 광원지지부(43)로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지지부(43)를 상기 회로기판(51)의 모서리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광원지지부(43)에 회로기판(51)의 모서리를 작은나사 등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회로기판(51)은 가능하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원지지부(43)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51)에는 상기 송풍팬(7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도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부(60)는 상기 홀더(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5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광촉매부(60)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된 필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부(6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광촉매물질이 코팅되는 다공판이나 다공질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부(60)는 통형상의 부재 내면 및 외면을 광촉매물질로 코팅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광촉매부(60)에 코팅되는 광촉매물질로는 이산화티타늄, 탄화텅스텐, 산화니오븀 등의 다양한 물질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부(60)는 상기 하우징(20)의 공기유입구멍(21)으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커버(30)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이나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송풍팬(70)은 상기 홀더(40)의 상면에 조립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송풍팬(70)은 모서리에 형성되는 조립구멍(78)에 체결나사(79)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4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돌기(49)에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홀더(40)에 조립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70)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30)에 의하여 덮여진다.
상기에서 송풍팬(70)이 작동하여 회전하면, 상기 커버(30)의 공기토출구멍(32)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흐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의 공기유입구멍(21)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70)은 상기 광원부(50)의 회로기판(51)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40)는 세로로 2등분하여 서로 대칭되는 2개의 부재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구성하면, 상기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의 조립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40)를 2개의 부재로 나누어 제작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결합면에는 후크돌기(47)와 후크홈(48)을 서로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후크돌기(47)를 후크홈(48)에 결합하는 것으로 일체화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홀더(40)에 광원부(50), 광촉매부(60), 송풍팬(70)을 조립하면, 일체형 광촉매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정화모듈(10)은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광촉매모듈을 상기 하우징(20)에 조립한 다음, 상기 하우징(20)에 커버(30)를 덮고 상기 고정링(36)을 체결하는 것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정화모듈(10)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50) 및 송풍팬(70)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하우징(20)의 공기유입구멍(2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광촉매부(60)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30)의 공기토출구멍(32)으로 토출되고, 상기 광원(52)이 발광함에 따라 상기 광촉매부(60)에서 촉매작용이 이루어져 광촉매부(60)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정화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광촉매모듈 및 공기정화모듈(10)을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고,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하여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어댑터를 일체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부재로 제작된 상기 홀더(40)의 한쪽에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를 조립한 다음, 다른쪽을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체결나사(79)를 사용하여 송풍팬(70)을 상기 홀더(40)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홀더(40)에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 송풍팬(70)을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일체형 광촉매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 송풍팬(70)이 조립된 홀더(40)의 아래쪽에 상기 어댑터(80)를 결합하여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어댑터(80)를 결합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전원잭(84)은 상기 광원부(50)에 설치된 전원커넥터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80)의 걸림턱(87)에 상기 홀더(40)의 걸림돌기(42)가 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일체형 광촉매모듈과 어댑터(80)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위쪽으로부터 어댑터(80)가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로 조립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에 커버(30)를 덮고, 상기 고정링(36)을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커버(30)를 고정하면, 모든 조립과정이 완료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의 제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모듈(10)에 어댑터(80) 대신에 받침대(9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90)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돌기(26)에 결합되는 고정돌기(95)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대(90)의 상면에는 고정돌기(95)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95)의 상단부 끝부분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돌기(26)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받침대(90)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홈(28)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97)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돌기(97)를 형성하면, 상기 받침대(90)를 상기 하우징(20)에 조립할 때에 조립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여 원활한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0)에 받침대(90)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에 노출되는 보조커넥터(59)에 전원케이블(100)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케이블(100)의 한쪽에는 상기 보조커넥터(59)에 결합되는 전원잭(102)이 설치되고, 반대쪽에는 다양한 전원장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 USB 잭(103)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USB 잭(103)은 가정용 전원의 커넥터(105), 차량용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시거잭(104), 컴퓨터(107)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90)를 사용하면, 필요한 곳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를 세워서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전원케이블(100)을 맞추어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정이나 자동차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8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등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조립돌기(88)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80)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제1걸림홈(85)과 제2걸림홈(86)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1걸림홈(85)과 제2걸림홈(86)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립돌기(88)의 상단부(89)는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80)의 상면에는 전원잭(84)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전원잭(84)으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USB 잭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호환성의 면에서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어댑터(80)의 제1걸림홈(85) 또는 제2걸림홈(86)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홀더(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어댑터(80)의 제1걸림홈(8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2)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결합부(4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우징(20)에 홀더(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에 형성하는 걸림돌기(27)와 상기 홀더(40)에 형성하는 걸림돌기(42) 사이의 간격을 상기 어댑터(80)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85)과 제2걸림홈(86)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설정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어댑터결합부(41)의 걸림돌기(42)에 상기 어댑터(8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87)이 걸려서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50)는 광원(52)이 탑재되는 회로기판(51)과, 상기 회로기판(51)의 저면에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기판(53)과, 상기 보조기판(53)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80)의 전원잭(84)이 결합되는 전원커넥터(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어댑터를 일체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부재로 제작된 상기 홀더(40)의 한쪽에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를 조립한 다음, 다른쪽을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체결나사(79)를 사용하여 송풍팬(70)을 상기 홀더(40)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홀더(40)에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 송풍팬(70)을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일체형 광촉매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 송풍팬(70)이 조립된 홀더(40)의 아래쪽에 상기 어댑터(80)를 결합하여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어댑터(80)를 결합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전원잭(84)은 상기 광원부(50)의 보조기판(53)에 설치된 전원커넥턱(58)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80)의 제1걸림홈(85)에 상기 홀더(40)의 걸림돌기(42)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광촉매모듈과 어댑터(80)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위쪽으로부터 어댑터(80)가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로 조립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에 커버(30)를 덮고, 상기 고정링(36)을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커버(30)를 고정하면, 모든 조립과정이 완료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가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하우징(20)에 어댑터(80)를 조립하면, 상기 어댑터(80)의 제2걸림홈(86)에 하우징(20)의 걸림돌기(27)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어댑터(80)의 제1걸림홈(85)에 홀더(40)의 걸림돌기(42)가 삽입되고 상기 어댑터(80)의 제2걸림홈(86)에 하우징(20)의 걸림돌기(27)가 결합되므로, 어댑터(80)는 공기정화모듈(10)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 일체형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어댑터를 분리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부재로 제작된 상기 홀더(40)의 한쪽에 광원부(50)와 광촉매부(60)를 조립한 다음, 다른쪽을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체결나사(79)를 사용하여 송풍팬(70)을 상기 홀더(40)의 상단부에 조립 고정하여 광촉매모듈을 제작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작된 광촉매모듈을 상기 하우징(20)에 위쪽으로부터 광원부(50)가 아래로 향한 상태로 조립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상면에 커버(30)를 덮고, 상기 고정링(36)을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커버(30)를 고정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기정화모듈(1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공기정화모듈(10)의 아래쪽에서 상기 어댑터(80)를 결합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80)의 전원잭(84)은 상기 광원부(50)의 보조기판(53)에 설치된 전원커넥터(58)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80)의 제1걸림홈(85)에 상기 하우징(20)의 걸림돌기(27)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되고, 모든 조립과정이 완료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가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면, 어댑터(80)의 제1걸림홈(85)에 하우징(20)의 걸림돌기(27)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어댑터(80)는 공기정화모듈(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공기정화모듈(10)에 어댑터(80)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어댑터(80)를 광원부(50) 등의 조립된 홀더(40)에 먼저 조립한 다음, 하우징(20)에 조립하는 순서로 조립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정화모듈(10)과 어댑터(80)를 쉽게 분리할 수 없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정화모듈(10)을 먼저 조립한 다음 어댑터(80)를 공기정화모듈(10)에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정화모듈(10)로부터 어댑터(8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모듈(10)에 어댑터(80) 대신에 하면이 개방되는 통형상의 받침대(9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는 체결돌기(29)를 형성한다.
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90)의 상면(91)에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홈(96)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90)의 상면(91)에는 상기 하우징결합홈(96)이 부분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29)가 걸리는 체결걸림부(98)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결합홈(96)에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돌기(29)에 상기 체결걸림부(98)가 걸린 상태로 되고, 상기 받침대(90)는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받침대(90)의 외주면(93)에는 복수의 케이블구멍(94)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90)의 상면(91) 중앙에는 전원케이블(100)의 전원잭(102)이 관통 삽입되는 잭구멍(92)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케이블(100)에는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시거잭(104)이 한쪽에 설치되고, 반대쪽에는 전원잭(102)이 설치된다.
상기 전원케이블(100)은 전원잭(102)쪽을 상기 케이블구멍(94)으로 삽입한 다음, 상기 잭구멍(92)으로 삽입하여 공기정화모듈(10)의 광원부(50) 전원커넥터(58)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전원잭(102)은 상기 광원부(50)의 전원커넥터(58)에 대응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USB 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공기정화모듈, 20 - 하우징, 21 - 공기유입구멍, 22 - 지지턱
23 - 링결합부, 24 - 돌기삽입홈, 25 - 돌기고정홈, 26 - 체결돌기
27 - 걸림돌기, 28 - 가이드홈, 29 - 체결돌기, 30 - 커버
32 - 공기토출구멍, 36 - 고정링, 37 - 누름돌기, 39 - 지지돌기
40 - 홀더, 41 - 어댑터결합부, 42 - 걸림돌기, 43 - 광원지지부
45 - 광촉매지지부, 47 - 후크돌기, 48 - 후크홈, 49 - 나사돌기
50 - 광원부, 51 - 회로기판, 52 - 광원, 53 - 보조기판, 58 - 전원커넥터
59 - 보조커넥터, 60 - 광촉매부, 70 - 송풍팬, 78 - 조립구멍
79 - 체결나사, 80 - 어댑터, 82 - 플러그, 84 - 전원잭, 85 - 제1걸림홈
86 - 제2걸림홈, 87 - 걸림턱, 88 - 조립돌기, 90 - 받침대, 91 - 상면
92 - 잭구멍, 93 - 외주면, 94 - 케이블구멍, 95 - 고정돌기
96 - 하우징결합홈, 97 - 가이드돌기, 98 - 체결걸림부, 100 - 전원케이블
102 - 전원잭, 103 - USB 잭, 104 - 시거잭

Claims (13)

  1. 내부에 광촉매부, 광원부, 송풍팬이 설치되는 공기정화모듈과, 상기 공기정화모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의 저면에는 전원의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걸림턱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상면에는 전원잭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또는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광촉매부와, 상기 홀더의 상면에 조립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송풍팬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토출구멍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링을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내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위로부터 아래쪽으로 길게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삽입홈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돌기고정홈을 형성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멍은 벌집구조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광원지지부와, 상기 광촉매부가 설치되는 광촉매지지부가 내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하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 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결합부가 설치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세로로 2등분하여 서로 대칭되는 2개의 부재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홀더의 결합면에는 후크돌기와 후크홈을 서로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후크돌기를 후크홈에 결합하는 것으로 일체화하도록 구성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원이 탑재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전원잭이 결합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원이 탑재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기판과, 상기 보조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의 전원잭이 결합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회로기판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보조커넥터를 설치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부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된 필터 또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되는 다공판이나 다공질체로 구성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걸림턱 대신에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어댑터의 제1걸림홈 또는 제2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하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제1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홀더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홀더에 형성하는 걸림돌기 사이의 간격을 상기 어댑터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설정하여 구성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하단부의 체결돌기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하우징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케이블구멍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전원잭이 관통 삽입되는 잭구멍이 형성되는 하면이 개방된 통형상의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KR1020160095655A 2016-07-27 2016-07-27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KR10179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55A KR101793529B1 (ko) 2016-07-27 2016-07-27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55A KR101793529B1 (ko) 2016-07-27 2016-07-27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529B1 true KR101793529B1 (ko) 2017-11-03

Family

ID=6038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55A KR101793529B1 (ko) 2016-07-27 2016-07-27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77A (ko) * 2020-07-27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40115A (ko) * 2020-09-23 2022-03-30 (주)웨이투메이크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252A (ja) 2003-10-16 2005-05-12 Osada Giken Co Ltd 空気清浄器
KR200453494Y1 (ko) 2009-10-27 2011-05-06 한국캠브리지필터 주식회사 콘센트 직결형 제균장치
JP5706383B2 (ja) 2012-09-13 2015-04-22 田中 誠治 携帯用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252A (ja) 2003-10-16 2005-05-12 Osada Giken Co Ltd 空気清浄器
KR200453494Y1 (ko) 2009-10-27 2011-05-06 한국캠브리지필터 주식회사 콘센트 직결형 제균장치
JP5706383B2 (ja) 2012-09-13 2015-04-22 田中 誠治 携帯用空気清浄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77A (ko) * 2020-07-27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2536072B1 (ko) * 2020-07-27 202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20040115A (ko) * 2020-09-23 2022-03-30 (주)웨이투메이크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WO2022065593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웨이투메이크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578832B1 (ko) 2020-09-23 2023-09-14 (주)웨이투메이크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43767U (zh) 风扇
KR20170141577A (ko) 공기 청정기
TWI542824B (zh) 具有通風扇之燈具
US10596293B2 (en) Scent air purifier capable of replacing case thereof
KR101793529B1 (ko) 소형 광촉매 공기정화기
KR102096044B1 (ko) 공기청정기
US20230115276A1 (en) Air purifier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KR102100221B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KR20080020028A (ko) 공기 정화기
TW202229787A (zh) 空氣淨化器
KR102032401B1 (ko) 공기청정기
CN210107505U (zh) 抽油烟机
EP3572098A1 (en) Scent air purifier capable of replacing case thereof
KR101851066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다운라이트 조명 장치
KR102546344B1 (ko) 공기청정기
KR20180060796A (ko) 다기능 스마트 엘이디 천장등
KR20060112419A (ko) 공기청정기
CN217031507U (zh) 一种基于磁吸拆卸结构空气净化器
CN111811001A (zh) 抽油烟机
JPH02184312A (ja) 空気清浄装置
CN219889727U (zh) 空气净化器
CN216308134U (zh) 一种便于腰部拆卸的空气净化器
KR20200111895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CN212226832U (zh) 一种多功能筒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