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384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384B1
KR101793384B1 KR1020160093556A KR20160093556A KR101793384B1 KR 101793384 B1 KR101793384 B1 KR 101793384B1 KR 1020160093556 A KR1020160093556 A KR 1020160093556A KR 20160093556 A KR20160093556 A KR 20160093556A KR 101793384 B1 KR101793384 B1 KR 10179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voltage
light
tu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경
윤성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6009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384B1/ko
Priority to US15/613,223 priority patent/US98546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84B1/ko
Priority to US15/811,626 priority patent/US10045416B2/en
Priority to US16/025,613 priority patent/US10085319B1/en
Priority to US16/109,723 priority patent/US103684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6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05B33/0809
    • H05B33/08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선된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이 조명 장치는, 직류 전원부와, 상기 직류 전원부로부터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1 색온도를 가지며 제1 턴온 전압(VB) 이상에서 턴온되는 제1 발광그룹과, 제2 색온도를 가지며 상기 제1 턴온 전압보다 큰 제2 턴온 전압(VA) 이상에서 턴온되는 제2 발광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그룹과 상기 제2 발광그룹이 병렬로 연결된, 발광부와,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직류 전원부에서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2 발광그룹이 발광되도록 하거나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따른 특정 색온도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웜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의 동작 중, 회로 내의 전압 조절부를 이용한 전압의 조절만으로 쿨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하거나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명 장치 내에서 발광부들의 발광하지 않는 구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되는 조명 장치는 그 본연의 기본 기능인 조명 기능 이외에도 독특한 분위기 연출을 위한 감성 조명을 구현하기도 한다. 조명 장치의 백색광은 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arature : CCT)에 따라 따뜻한 느낌을 주는 웜 화이트(warm white)와 차가운 느낌을 주는 쿨 화이트(cool wihte)로 구분할 수 있다. 분류 기준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색온도 3000K 이하의 백색광을 흔히 웜 화이트라고 부르고 5000K 이상의 백색광을 쿨 화이트라고 부른다. 조명의 효과와 분위기의 전환을 위해 웜 화이트와 쿨 화이트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발광부 1, 10)와 쿨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발광부 2, 20)를 동시에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발광부 1(10) 또는 발광부 2(20)만을 발광시켜 조명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직류 전원부(1)와의 연결을 필요에 따라 스위치들(S1, S2)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종래 기술의 예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전체 발광부가 사용되지 않고 웜 화이트 광이나 쿨 화이트 광의 발광을 위해 일부 발광부(10 또는 20)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효율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7718(2013.12.2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95506(2011.12.12.)
본 발명은 웜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쿨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동시에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이들 중 일부만을 발광시켜 조명의 색온도를 조절하는 종래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들고 효율이 좋지 않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직류 전원부와, 상기 직류 전원부로부터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1 색온도를 가지며 제1 턴온 전압(VB) 이상에서 턴온되는 제1 발광그룹과, 제2 색온도를 가지며 상기 제1 턴온 전압보다 큰 제2 턴온 전압(VA) 이상에서 턴온되는 제2 발광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그룹과 상기 제2 발광그룹이 병렬로 연결된, 발광부와,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직류 전원부에서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2 발광그룹이 발광되도록 하거나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따른 특정 색온도를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는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그룹은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2 발광 그룹의 안쪽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턴온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발광 그룹부터 상기 제2 발광 그룹 순으로 발광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발광 그룹은 색온도 3000K 이하의 웜 화이트(warm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발광 그룹은 색온도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cool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발광 그룹은 색온도 3000K 이하의 웜 화이트(warm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그룹은 색온도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cool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광부는 3000K 내지 8000K의 색온도를 가지는 백색광을 출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절부는, 상기 발광부에 상기 제2 턴온 전압과 상기 제1 턴온 전압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발광그룹만 턴온시키고, 상기 발광부에 상기 제2 턴온 전압보다 큰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발광그룹 및 상기 제2 발광그룹 모두를 턴온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절부는, 각각의 분기 저항을 갖는 T형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T형 회로의 중심 노드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양극 사이의 분기 저항이 가변 저항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T형 회로의 중심 노드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음극 사이의 분기 저항이 가변 저항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T형 회로의 중심 노드와 상기 발광부의 입력단 사이의 분기 저항이 가변 저항이다.
본 발명은 웜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의 동작 중, 전압의 조절만으로 쿨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하거나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따른 특정 색온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변저항(Rt)에 걸리는 전압과 저항 R2에 걸리는 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가변저항(Rt)에 걸리는 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저항 R2에 걸리는 전압 특성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변저항(Rt)에 걸리는 전압과 저항 R2에 걸리는 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가변저항(Rt)에 걸리는 전압 특성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저항 R2에 걸리는 전압 특성 그래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직류 전원부(110), 직류 전원부(110)로부터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발광부(120), 및 전압 조절부(130)를 포함하여,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조절을 통해, 발광부(120) 내의 특정 발광 그룹이 발광되도록 하거나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따른 특정 색온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직류 전원부(110)는, 직류 전원 자체일 수도 있고,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정류회로, AC-DC 컨버터 등을 거쳐서 직류로 변환한 후 발광부(120) 측으로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발광부(120)는 서로 다른 턴온 전압 및 색온도를 갖는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을 포함한다. 제1 발광그룹(122, 123)은 제1 턴온 전압(VB) 이상에서 턴온되는 발광 그룹이며, 제1 색온도를 갖는다. 제2 발광그룹(121, 124)는 제2 턴온 전압(VA) 이상에서 턴온되는 발광 그룹이며, 제2 색온도를 갖는다. 여기서, 제1 턴온 전압(VB)은 제2 턴온 전압(VA)보다 낮다. 그리고, 발광부(120)의 제1 발광그룹(122, 123)이 갖는 제1 색온도는 3000K 이하일 수 있고, 제2 색온도는 5000K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120)는 전체적으로, 색온도 3000K 내지 8000K의 색온도를 가지는 백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을 각각 두 개씩 구분하여, 제2 발광그룹(121, 124)의 안쪽에 제1 발광그룹(122, 123)을 배열하되 모든 발광그룹들(121, 122, 123, 124)이 서로 병렬연결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발광 그룹 및 제2 발광 그룹 각각을 세 개 이상 구분하여 서로 병렬연결되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전압 조절부(130)는 직류 전원부(110)로부터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전압 조절부(13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 및 조명 장치 내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전압 조절부(130)는, 발광부(120)에 제2 턴온 전압(VA)과 제1 턴온 전압(VB)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제1 발광그룹(122, 123)만 턴온시키고, 발광부(120)에 제2 턴온 전압(VA)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제1 발광그룹(122, 123) 및 제2 발광그룹(121, 124) 모두가 턴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20)는 전압 조절부(130)에 의해 조절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존하여, 제1 발광그룹(122, 123)만 턴온되는 상태와,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턴온되는 상태를 갖도록 동작한다.
발광부(120)의 제1 발광그룹(122, 123)은 제1 색온도, 즉 3000K 이하의 웜 화이트(warm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 발광그룹(121, 124)은 제2 색온도, 즉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cool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색온도와 관련하여 발광부의 턴온전압 특성은 일반적으로 색온도가 높을수록 턴온전압이 높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제1 발광그룹(122, 123)의 턴온전압인 제1 턴온전압(VB)은 제2 발광그룹(121, 124)의 턴온전압인 제2 턴온전압(VA)보다 낮다.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원부(110), 전압 조절부(130) 및 발광부(120)는 하나의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특히, 기판 상에 실장되는 발광부(120)에서 제1 발광그룹(122, 123)가 제2 발광그룹의 안쪽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1 발광그룹(122, 123)부터 제2 발광그룹(121, 124)이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와 발광부의 동작 특성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조절부(130)가 직류 전원부(110)와 발광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전압 조절부(130)는 가변 저항(Rt)을 포함하여, 가변 저항(Rt)을 조절함으로써 그에 따라 가변 저항(Rt)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직류 전원부(110)에서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전압 조절부(130)는 T형 회로(T-type circuit)로서, T형 회로의 분로 각각에 분기 저항(Rt, R1, R2)을 가지며, 도 3의 예에서는 중심 노드(Nc)와 직류 전원부(110)의 양극(+) 사이의 분기 저항(Rt)이 가변 저항인 경우이다. 전압 조절부(130)의 삽입에 따라, 가변 저항(Rt)에 걸리는 전압(VRt)과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VR2)의 특성 곡선을 도 4에 도시하였다. 전압 조절부(130)를 분석해 보면, 가변 저항(Rt)에 걸리는 전압(VRt)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VRt = (Rt * Vs) / {Rt + (R1//R2)}
따라서, 위의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변저항 Rt를 조절하면 VRt는 그에 따라 비례하고, 그 범위는 0<VRt<Vs로 정해지며, 도 4의 g1 그래프와 같은 특성을 보인다. 또한,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 즉 저항 R2에 걸리는 전압 VR2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VR2 = Vs - VRt = Vs - (Rt * Vs) / {Rt + (R1//R2)}
= Vs*[R1*R2 / {Rt*(R1+R2) + R1*R2}]
따라서, 가변 저항 Rt를 조절함에 따라서, VR2는 도 4의 g2 그래프와 같은 전압특성을 보인다. VR2는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볼 수 있으므로(여기서 R1은 회로상에서 발광부(120)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는 저항으로 작용함), VR2가 제1 턴온 전압(VB)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광부(120)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가변 저항 Rt를 Rt2보다 더 크게 하는 경우가 그 경우이다. 한편, 가변 저항 Rt를 조절하되, Rt1과 Rt2 사이에 있도록 조절하는 경우, VR2는 제1 턴온 전압(VB)과 제2 턴온 전압(VA) 사이(영역 S1)에 있게 되고, 이 경우, 제1 발광그룹(122, 123)만이 발광한다. 가변 저항 Rt를 조절하되, Rt1보다 작게 조절하는 경우, VR2는 제2 턴온 전압(VA)보다 크게 되고(영역 S2), 이 경우에는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발광하게 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전압 조절부(130)의 가변저항 Rt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 발광그룹(122, 123)만이 발광하도록 하여 웜 화이트 광을 구현하거나,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발광하도록 하여, 웜 화이트와 쿨 화이트가 동시에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전압 조절부(130)를 T형 회로로 구성하되, 가변 저항(Rt)을 중심 노드(Nc)와 직류 전원부(110)의 음극(-) 사이에 배치한 경우에 관한 설명이다. 가변저항 Rt에 걸리는 전압(VRt)은 다음의 수학식 3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VRt= Vs*[R1 / {R1*R2/Rt + (R1+R2)}
가변저항 Rt에 걸리는 전압이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볼 수 있으므로(여기서 R1은 회로상에서 발광부(120)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는 저항으로 작용함), 도 6의 g3 그래프와 같은 전압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가변 저항 Rt를 Rt1보다 작아지도록 조절하는 경우에는 발광부(120)가 동작하지 않는다. 가변 저항 Rt를 조절하되, Rt1과 Rt2 사이(영역 S1)에 있도록 조절하는 경우, VRt는 제1 턴온 전압(VB)과 제2 턴온 전압(VA) 사이에 있게 되고, 이 경우, 제1 발광그룹(122, 123)만이 발광한다. 한편, 가변 저항 Rt를 조절하되, Rt2보다 더 크도록 조절하는 경우(영역 S2), VRt는 제2 턴온 전압(VA)보다 크게 되고, 이 경우에는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발광하게 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전압 조절부(130)의 가변저항 Rt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 발광그룹(122, 123)만이 발광하도록 하여 웜 화이트 광을 구현하거나,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발광하도록 하여, 웜 화이트와 쿨 화이트가 함께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은 전압 조절부(130)를 T형 회로로 구성하되, 가변 저항(Rt)을 중심 노드(Nc)와 발광부(120)의 입력단(N1) 사이에 배치한 경우에 관한 설명이다.
R2에 걸리는 전압 VR2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
VR2= Vs*[R2 / {(R1+R2) + R1*R2/Rt}
가변저항 R2에 걸리는 전압이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볼 수 있으므로(여기서 Rt 자체는 회로상에서 발광부(120)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는 저항으로 작용함), 도 8의 g4 그래프와 같은 전압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가변 저항 Rt가 Rt1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광부(120)는 동작하지 않는다. 가변 저항 Rt가 Rt1과 Rt2 사이로 조절되는 경우, VR2는 제1 턴온 전압(VB)과 제2 턴온 전압(VA) 사이(영역 S1)에 있게 되고, 이 경우, 제1 발광그룹(122, 123)만이 발광한다. 한편, 가변 저항 Rt가 Rt2보다 크도록 조절되는 경우, VR2는 제2 턴온 전압(VA)보다 크게 되고(영역 S2), 이 경우에는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발광하게 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전압 조절부(130)의 Rt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 발광그룹(122, 123)만이 발광하도록 하여 웜 화이트 광을 구현하거나, 제1 발광그룹(122, 123)과 제2 발광그룹(121, 124)이 동시에 발광하도록 하여, 웜 화이트와 쿨 화이트가 함께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세 가지 타입에서, 가변 저항(Rt)을 중심 노드(Nc)와 발광부(120)의 입력단(N1) 사이에 배치한 경우에는, 가변 저항(Rt)과 발광부(120)가 직접적으로 직렬연결되어 있어, 발광부(120) 측으로 흐르는 전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므로, 앞서 설명된 두 가지 배치 예에 비해 선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광부(120)는 전체적으로, 색온도 3000K 내지 8000K의 색온도를 가지는 백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조명 장치에서 전압 조절부(130)의 일 예로서 T형 회로가 삽입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120)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전압 조절부(130)는 다양한 회로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웜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의 동작 중, 턴온전압의 조절만으로 쿨 화이트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하거나 발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명 장치 내에서 발광부들의 발광하지 않는 구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높이고, 조명 장치의 구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10 : 직류 전원부
120 : 발광부
122, 123 : 제1 발광 그룹 121, 124 : 제2 발광그룹
130 : 전압 조절부

Claims (12)

  1. 직류 전원부;
    상기 직류 전원부로부터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1 색온도를 가지며 제1 턴온 전압(VB) 이상에서 턴온되는 제1 발광그룹과, 제2 색온도를 가지며 상기 제1 턴온 전압보다 큰 제2 턴온 전압(VA) 이상에서 턴온되는 제2 발광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그룹과 상기 제2 발광그룹이 병렬로 연결되고, 하나의 공통 입력단과 하나의 공통 출력단을 갖는, 발광부; 및
    상기 직류 전원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직류 전원부에서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부의 상기 공통 입력단과 상기 공통 출력단에 인가하기 위해, 분로 내에 각각의 분기 저항을 갖는 T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T형 회로의 분로 내 분기 저항 중 하나가 가변 저항인, 전압 조절부; 및
    상기 직류 전원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전압 조절부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조절부는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1 턴온 전압과 상기 제2 턴온 전압 사이에 있도록 조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제1 발광그룹만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 턴온 전압보다 크도록 조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제1 발광그룹이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발광그룹이 추가로 발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따른 특정 색온도를 구현하며,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발광 그룹은 상기 제2 발광 그룹의 안쪽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 값을 조절하여 상기 발광부 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상기 제1 턴온 전압보다 작은 전압에서부터 상기 제2 턴온 전압보다 큰 전압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판 상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제1 발광그룹에서 상기 제2 발광그룹 순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그룹은 색온도 3000K 이하의 웜 화이트(warm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그룹은 색온도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cool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그룹은 색온도 3000K 이하의 웜 화이트(warm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그룹은 색온도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cool white) 광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3000K 내지 8000K의 색온도를 가지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형 회로의 중심 노드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양극 사이의 분기 저항이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형 회로의 중심 노드와 상기 직류 전원부의 음극 사이의 분기 저항이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형 회로의 중심 노드와 상기 발광부의 상기 공통 입력단 사이의 분기 저항이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60093556A 2016-07-22 2016-07-22 조명 장치 KR10179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56A KR101793384B1 (ko) 2016-07-22 2016-07-22 조명 장치
US15/613,223 US9854638B1 (en) 2016-07-22 2017-06-04 Lighting apparatus
US15/811,626 US10045416B2 (en) 2016-07-22 2017-11-13 Lighting apparatus
US16/025,613 US10085319B1 (en) 2016-07-22 2018-07-02 Lighting apparatus
US16/109,723 US10368415B2 (en) 2016-07-22 2018-08-22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56A KR101793384B1 (ko) 2016-07-22 2016-07-22 조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36A Division KR102147564B1 (ko) 2017-10-13 2017-10-13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384B1 true KR101793384B1 (ko) 2017-11-03

Family

ID=6038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556A KR101793384B1 (ko) 2016-07-22 2016-07-22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9854638B1 (ko)
KR (1) KR101793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798B1 (ko) * 2019-11-07 2020-04-28 주식회사 애즈원 전류 제어를 통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384B1 (ko) * 2016-07-22 2017-11-03 주식회사 루멘스 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628A (ja) * 2003-06-18 2005-01-13 Fuji Photo Film Co Ltd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光源調整方法
JP2012221948A (ja) * 2011-04-05 2012-11-12 Seijiyun Kin Led点灯用安定器回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4223B2 (en) * 2002-10-30 2004-06-01 Quebec, Inc. Multicolor lamp system
US6995355B2 (en) * 2003-06-23 2006-02-07 Advanced Optical Technologies, Llc Optical integrating chamber lighting using multiple color sources
US7145125B2 (en) * 2003-06-23 2006-12-05 Advanced Opt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ing chamber cone light using LED sources
EP2453489A4 (en) 2009-07-07 2014-04-16 Ccs Inc LIGHT EMITTING DEVICE
US8928249B2 (en) * 2011-08-25 2015-01-06 Abl Ip Holding Llc Reducing lumen variability over a range of color temperatures of an output of tunable-white LED lighting devices
US10234119B2 (en) * 2014-03-24 2019-03-19 Cree, Inc. Multiple voltage light emitter packag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9618162B2 (en) * 2014-04-25 2017-04-11 Cree, Inc. LED lamp
KR20160072534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솔루엠 조명장치
KR101793384B1 (ko) * 2016-07-22 2017-11-03 주식회사 루멘스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628A (ja) * 2003-06-18 2005-01-13 Fuji Photo Film Co Ltd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光源調整方法
JP2012221948A (ja) * 2011-04-05 2012-11-12 Seijiyun Kin Led点灯用安定器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798B1 (ko) * 2019-11-07 2020-04-28 주식회사 애즈원 전류 제어를 통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8231A1 (en) 2018-12-20
US10368415B2 (en) 2019-07-30
US9854638B1 (en) 2017-12-26
US10045416B2 (en) 2018-08-07
US20180098400A1 (en) 2018-04-05
US10085319B1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706B2 (en) Current splitter for LED lighting system
US10681784B2 (en) Lighting fixture with selectable color temperature
US11172558B2 (en) Dim-to-warm LED circuit
JP6482563B2 (ja) Led駆動回路
US118125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ied to light emitting diodes
TW201507544A (zh) 多串可調光之發光二極體驅動器
CN105792407A (zh) 照明系统以及照明器具
US20170307174A1 (en) Lighting device
CN104113961A (zh) 对半导体发光元件的驱控
US11259377B2 (en) Color temperature and intensity configurable lighting fixture using de-saturated color LEDs
JP5454189B2 (ja) 電源回路、及び照明装置
KR101793384B1 (ko) 조명 장치
KR102147564B1 (ko) 조명 장치
WO2021094126A1 (en) A light emitting diode, led, based lighting device arranged for emitting a particular color of light as well as a corresponding method
KR102488473B1 (ko) 딤 투 웜 led 회로
US20240032165A1 (en) Color changing lighting assembly
TWI403217B (zh) 具單一電源之光源系統
JP2015053198A (ja) 照明用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