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201B1 - The launcher for a zip-line - Google Patents

The launcher for a zip-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201B1
KR101793201B1 KR1020170058521A KR20170058521A KR101793201B1 KR 101793201 B1 KR101793201 B1 KR 101793201B1 KR 1020170058521 A KR1020170058521 A KR 1020170058521A KR 20170058521 A KR20170058521 A KR 20170058521A KR 101793201 B1 KR101793201 B1 KR 10179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olley
wire
pai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2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cher for a zip line,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start of a trolley of a zip line. The launcher for a zip line comprises: a body having a pair of door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 trolley insertion part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allow a trolley to be inserted into a wire of the zip line; a slide rod having a pair of connection links, a fixing lever,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a safety lever having a blocking rod, a pair of rotation links, and a handle rod.

Description

집라인용 런처{The launcher for a zip-line}The launcher for a home line (the launcher for a zip-line)

본 발명은 집라인용 런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에 트롤리를 장착하고 경사를 따라 활강하도록 하는 집라인의 출발지에서 안전장비의 확인과 탑승자의 마음의 준비없이 하중에 의하여 갑작스럽게 출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집라인용 런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cher for a home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rt line of a home line in which a trolley is attached to a wire and slides along a tilt, and a sudden departure by a load without preparation of a passenger's mind To a launch line for a home line.

집라인(Zip-Line)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연결된 와이어에 트롤리를 장착하여 활강하도록 하는 것으로 주로 사람이 다닐 수 없는 오지에서 주로 운반수단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었다가 최근에는 레져를 위한 시설물로 많이 설치되고 있다.The Zip-Line is a high-to-low-wire trolley that attaches to a trolley. It is main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or transportation in remote areas. Many are installed.

기본적으로 집라인은 활강하는 구간 아래는 수m에서 수십m에 이르는 높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최초 트롤리에 단순히 몸을 매단 형태로 이루어졌던 것이 추락 사고는 바로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이 있기에 사고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Basically, the house line has a height difference ranging from several meters to several tens of meters under the sliding section. It is a simple tie-up to the first trolley. It is a danger that a falling accident could lead to personal injury. Various improvements have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is.

이에 탑승자는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단순한 밸트에서 체중에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하네스를 착용하도록 하고 트롤리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occupant is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the trolley from coming off so as to allow the driver to wear a harness for allowing the driver to feel more comfortable and to disperse his / her body weight without concentrating on a specific part in a simple belt.

또한 출발지에서도 안전요원이 탑승자와 트롤리의 정상적인 연결과 각종 안전수단의 정상 유무를 철저히 확인한 후 출발하도록 하고 있다.Also, at the departure point, the security officer thoroughly checks the normal connection of the passenger and the trolley and the normal state of various safety measures, and then starts.

하지만 트롤리에 탑승자의 체중이 실리면 중력에 의하여 하강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안전요원이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전 또는 활강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탑승자가 마음의 준비를 하기 전에 예기치 않은 출발이 이루어지면 다양한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weight of the occupant on the trolley is inevitably lowered by gravity, before the safety officer confirms the abnormality, or if an unexpected departure is made before the passenger is afraid of the glid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xposed to the risk of accident.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16563-0000호 (2013년10월02일)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16563-0000 (October 02, 201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46650-0000호 (2014년09월25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6650-0000 (September 25, 201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집라인의 트롤리가 와이어에 장착되고 탑승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체중에 의하여 예기치않게 출발하게 되는 것을 안전요원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트롤리를 출발을 제어할 수 있는 집라인용 런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olley of a home line, which is installed on a wire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safety personnel from unexpectedly starting due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while the occupant is connected And to develop a launcher for a home lin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eparture of a trolle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면과 정면이 개방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정면에는 각각 양측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가 장착되며, 양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절개되어 트롤리가 삽입되어 집라인의 와이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삽입부가 형성되고, 후방 저면에는 상하의 판넬이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전후 두 쌍의 와이어 결합부가 형성되며, 측면의 후방 일측에는 'ㄱ'의 형상으로 절개되는 레버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몸체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device including a pair of door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hinges on a front surfa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extending in a front- A trolley insert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trolley into the wire of the house line is 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wire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rear bottom surface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panels to each other with the wire interposed therebetween A body having a lever guide hol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side surface in a shape of 'a';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전방 끝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각각 한 쌍의 도어 중 하나의 상호 인접한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를 열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링크와, 내측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고정레버와, 일측은 몸체의 내측 후방에 밀착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레버에 밀착하여 전방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슬라이드봉과;A front end of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 mutually adjacent upper end of one of the pair of doors so as to be rotatable forward A pair of connection links for opening the door when the door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 fixing lever connected to the inside rear and extending outwardly through the lever guide hole, one sid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rear side of the body,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having a resilient restoring force applied in a forward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e bar;

상기 도어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차단봉과, 각각 상기 차단봉의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몸체의 측면에 돌출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후방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는 손잡이봉으로 구성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front and rear shutters, each of which is fixed to one end of the shut-off bar and extends rearwardly inclined upward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And a safety lever which is composed of a handlebar attached to a rear end of the rotary link.

아울러, 상기 몸체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전방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 방향으로 연장된 후 'U'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봉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판넬과, 일측은 상기 가이드봉의 후방 끝단과 수직으로 고정되어 연장되며 중간에 절첩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부를 구비하는 손잡이 링크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손잡이 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판넬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위치와 이탈되는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 링크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보조 안장장치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rod has one end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guide ro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wire direction and having a U shape, A handle link which is fixedly extended from the rear end of the guide rod and has a hinge connection portion so as to be foldable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a hooking protrusion for hooking the knob link at a position where the wire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hooking panel due to the rotation of the knob.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라인에서 트롤리에 탑승자가 매달린 상태에서도 활강하지 않고 안전요원이 장착 장비의 이상 유무와 탑승자의 마음의 준비 여부를 확인한 후 고정레버를 작동해야 전방의 도어가 열리면서 트롤리가 활강하도록 하여 집라인을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assenger is hanging on a trolley in a house line, the safety agent does not slip, and afte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ounting equipment is abnormal and the passenger's mind is ready,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using a home l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레버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을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1 shows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lever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레버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저면과 정면이 개방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정면에는 각각 양측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11)가 장착되며, 양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절개되어 트롤리(2)가 삽입되어 집라인의 와이어(3)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삽입부(112)가 형성되고, 후방 저면에는 상하의 판넬이 와이어(3)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전후 두 쌍의 와이어 결합부(113)가 형성되며, 측면의 후방 일측에는 'ㄱ'의 형상으로 절개되는 레버 가이드홀(114)이 형성되는 몸체(11)와;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re opened, And a trolley insertion portion 1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olley insertion portion 112 so that the trolley 2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 3 of the collection line. Rear A pair of front and rear wire connecting parts 113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panels to each other with the wire 3 interposed therebetween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lever guide hole 114 A body 11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ormed;

상기 몸체(11)의 내측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전방 끝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각각 한 쌍의 도어(111) 중 하나의 상호 인접한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111)를 열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링크(121)와, 내측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 가이드홀(114)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고정레버(122)와, 일측은 몸체(11)의 내측 후방에 밀착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레버(122)에 밀착하여 전방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123)을 구비하는 슬라이드봉(12)과;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en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one of the pair of doors 111, A pair of connection links 121 for opening the door 111 when the door 1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door 111 and a fixing lever 115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oor 111 and extending outwardly through the lever guide hole 114 A slide bar 12 hav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123 whose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rear of the body 11 and the oth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lever 122 to apply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

상기 도어(111)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차단봉(131)과, 각각 상기 차단봉(131)의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몸체(11)의 측면에 돌출된 회전축(1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후방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133)와, 상기 회전링크(133)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는 손잡이봉(134)로 구성되는 안전레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라인용 런처를 나타내었다.A shut-off rod 131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111 and a shut-off rod 131 fixed to one end of the shut-off rod 131 and sloping upward to the rear, And a safety lever 13 composed of a pair of rotary links 13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rotary link 133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132 and a handle bar 134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otary link 133 And a launcher for a home line is provided.

본원은 집라인의 출발지에서 안전요원이 탑승자의 하네스(4)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확인하고 트롤리(2)를 와이어(3)에 장착하고 하네스(4)와 트롤리(2)를 연결한 후 안전요원의 신호에 따라 활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때 안전요원이 각종 안전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탑승자가 마음의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한 이후에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in which a safety agent confirms a safety device including a harness 4 of a passenger at the start of a house line and attaches the trolley 2 to the wire 3 and connects the harness 4 and the trolley 2, When the driver makes a descent according to the signal, the safety officer confirms the safety of the various safety devices and confirms that the passenger is ready for his / her departure.

즉 고정레버(122)를 후방으로 당기고 아래로 내리면 슬라이드봉(12)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어(111)를 닫게 되며, 추가적으로 안전레버(13)를 내려 차단봉(131)이 도어(111)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트롤리(2)를 와이어(3)에 결합하면 탑승자가 발을 바닥에서 때어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도 트롤리(2)는 도어(111)에 막혀 활강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When the locking lever 131 is lower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111, the locking lever 131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111, When the trolley 2 is coupled to the wire 3, the trolley 2 is clogged with the door 111 and can not be slid even under a load in which the occupant hits the foot from the floor.

따라서 안전요원은 장비의 이상 유무를 꼼꼼하게 확인하고 탑승자의 마음의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할 충분한 시간이 있으며 기존에 탑승자가 발을 들어 매달리는 과정에서 신체의 움직임 즉 무게의 이동이 활강중에 흔들림을 유발할 수 있으나 매달린 상태에서 출발하기에 이러한 흔들림이 최대한 억제하여 보다 안정적인 활강이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the safety officer has enough time to check the equipment abnormally and make sure that the passenger's mind is ready,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ie the movement of the weight during the hanging of the occupant, When starting from the state, this shake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nd a more stable gliding is possible.

안전요원은 모든 상태를 점검한 후 손잡이봉(134)을 아래로 내리면 차단봉(131)은 위로 들리면서 도어(111)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하며, 이때 회전축(132)을 기준으로 차단봉(131)이 있는 전방의 무게가 더 크도록 형성하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고 이때 차단봉(131)이 완전히 밀착하지 않도록 몸체(11)의 측면에 돌출되어 회전축(132)과 손잡이봉(134)의 사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출부(135)를 형성할 수도 있다.When the handle bar 134 is lowered down, the safety agent checks the entire state and the blocking rod 131 is lifted up to open the front of the door 111. At this time, So that the weight of the front barrel 132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bar 131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1 so as not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r 131 and is caught between the rotation shaft 132 and the barrel 134 The engaging protrusion 135 may be formed.

이렇게 안전레버(13)를 해제하고 고정레버(122)를 위로 들어올리면 압축코일스프링(123)과 탑승자의 체중이 실린 트롤리(2)의 힘에 의하여 슬라이드봉(12)은 전진하면서 도어(111)가 개방되어 활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afety lever 13 is released and the fixing lever 122 is lifted upward, the slide bar 12 is moved forward by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23 and the weight of the occupant's trolley 2, So that it can open and open.

이러한 구성은 보다 안전하게 집라인을 이용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자세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활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Such a configura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house line more safely and prevent the posture of the passenger from changing and to glide stably.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몸체(11)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봉(141)과, 상기 가이드봉(141)의 전방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3) 방향으로 연장된 후 'U'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봉(14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3)가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판넬(142)과, 일측은 상기 가이드봉(141)의 후방 끝단과 수직으로 고정되어 연장되며 중간에 절첩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부(143)를 구비하는 손잡이 링크(144)와, 상기 몸체(11)의 후방에 손잡이 링크(144)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판넬(142)에 와이어(3)가 삽입되는 위치와 이탈되는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 링크(144)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145)를 포함하는 보조 안장장치(1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uide rod 14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body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other end of the wire 3 is fixed to the wire 3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3 is inserted into the U3. A handle link 144 having a hinge connection part 143 which is vertically fixed and extend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rod 141 so as to be foldable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a handle link 144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11, And a latching protrusion 145 for latching the handle link 144 at a position where the wire 3 is inserted into and disengaged from the latching panel 142 by rotation of the auxiliary saddle device 14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Served.

전술한 실시 예는 추가적으로 트롤리(2)의 활강을 막을 수 있는 수단으로 와이어(3)가 걸림판넬(142)에 삽입되면 트롤리(2)의 진로를 차단하여 활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안전수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 실시 예이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further prevent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olley 2 by preventing the sliding of the trolley 2 when the wire 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anel 142 as means for preven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olley 2, Safety measures can be used.

1 : 런처
11 : 몸체
111 : 도어 112 : 트롤리 삽입부
113 : 와이어 결합부 114 : 레버 가이드홀
12 : 슬라이드봉
121 : 연결링크 122 : 고정레버
123 : 압축코일스프링
13 : 안전레버
131 : 차단봉 132 : 회전축
133 : 회전링크 134 : 손잡이봉
14 : 보조 안전장치
141 : 가이드봉 142 : 걸림판넬
143 : 힌지 연결부 144 : 손잡이 링크
145 : 걸림돌기
2 : 트롤리
3 : 와이어
1: Launcher
11: Body
111: Door 112: Trolley insertion part
113: wire coupling portion 114: lever guide hole
12: Slide rod
121: connecting link 122: locking lever
123: Compression coil spring
13: Safety lever
131: shut-off bar 132:
133: rotating link 134: handle bar
14: Auxiliary safety device
141: guide rod 142: latching panel
143: hinge connection part 144: handle link
145:
2: Trolley
3: Wire

Claims (2)

저면과 정면이 개방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정면에는 각각 양측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개방되는 한 쌍의 도어(111)가 장착되며, 양측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절개되어 트롤리(2)가 삽입되어 집라인의 와이어(3)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트롤리 삽입부(112)가 형성되고, 후방 저면에는 상하의 판넬이 와이어(3)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전후 두 쌍의 와이어 결합부(113)가 형성되며, 측면의 후방 일측에는 'ㄱ'의 형상으로 절개되는 레버 가이드홀(114)이 형성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내측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전방 끝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각각 한 쌍의 도어(111) 중 하나의 상호 인접한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111)를 열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링크(121)와, 내측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 가이드홀(114)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고정레버(122)와, 일측은 몸체(11)의 내측 후방에 밀착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레버(122)에 밀착하여 전방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123)을 구비하는 슬라이드봉(12)과;
상기 도어(111)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차단봉(131)과, 각각 상기 차단봉(131)의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몸체(11)의 측면에 돌출된 회전축(1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후 후방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링크(133)와, 상기 회전링크(133)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는 손잡이봉(134)으로 구성되는 안전레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라인용 런처.
A pair of doors (111),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hinges on both sides, ar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n both sides, the door is cu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 form a trolley 2 are inserted into the trolley insertion portion 112 so that the trolley insertion portion 112 can be mounted on the wire 3 of the collection line and the upper and lower panel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ire 3, And a lever guide hole 114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side surface in the shape of a letter 'A';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en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one of the pair of doors 111, A pair of connection links 121 for opening the door 111 when the door 1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door 111 and a fixing lever 115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oor 111 and extending outwardly through the lever guide hole 114 A slide bar 12 hav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123 whose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rear of the body 11 and the oth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lever 122 to apply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
A shut-off rod 131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111 and a shut-off rod 131 fixed to one end of the shut-off rod 131 and sloping upward to the rear, And a safety lever 13 composed of a pair of rotary links 13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rotary link 133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132 and a handle bar 134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otary link 133 And a launcher for a home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봉(141)과, 상기 가이드봉(141)의 전방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3) 방향으로 연장된 후 'U'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된 부분이 가이드봉(14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3)가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판넬(142)과, 일측은 상기 가이드봉(141)의 후방 끝단과 수직으로 고정되어 연장되며 중간에 절첩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부(143)를 구비하는 손잡이 링크(144)와, 상기 몸체(11)의 후방에 손잡이 링크(144)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판넬(142)에 와이어(3)가 삽입되는 위치와 이탈되는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 링크(144)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145)를 포함하는 보조 안장장치(1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라인용 런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rod (141) rotatably mounted on a top edge of one side of the body (11) A part of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U' after being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bar 3 and inserted into the guide bar 141 to insert the wire 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uide bar 141, A handle link 144 extending vertically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11 and having a hinge connection portion 143 so as to be foldable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addle device (14)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145) for locking the handle link (144) at a position where the wire (3) Launcher for home line.
KR1020170058521A 2017-05-11 2017-05-11 The launcher for a zip-line KR101793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21A KR101793201B1 (en) 2017-05-11 2017-05-11 The launcher for a zip-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21A KR101793201B1 (en) 2017-05-11 2017-05-11 The launcher for a zip-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201B1 true KR101793201B1 (en) 2017-11-06

Family

ID=6038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521A KR101793201B1 (en) 2017-05-11 2017-05-11 The launcher for a zip-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20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81B1 (en) * 2019-12-30 2020-04-28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Stopper for Rail
EP3693071A1 (en) * 2019-02-11 2020-08-12 Castree Projects Limited Stop for a rail
KR102281015B1 (en) 2020-11-09 2021-07-22 한성수 a zip-line trolley
WO2022140835A1 (en) * 2020-12-30 2022-07-07 Skyline Ziplines Holdings Ltd. Trolley launcher system for ziplines
KR20220105570A (en) 2021-01-20 2022-07-27 강병욱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for zip line using rotating tunnel
KR102508660B1 (en) * 2022-07-14 2023-03-09 주식회사 더챌린지 Trolley break apparatus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3115A1 (en) 2005-06-28 2011-12-15 Zipholdings, Llc Load-minimizing, trolley arre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323341B1 (en) 2012-06-04 2013-10-29 와바다다 주식회사 Remote arrival assistance device for air descent experiance ride
KR101446650B1 (en)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KR101446649B1 (en)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skyline trolley having a brake system
KR101770650B1 (en) 2016-03-16 2017-08-2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safety system for Zip-l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3115A1 (en) 2005-06-28 2011-12-15 Zipholdings, Llc Load-minimizing, trolley arre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323341B1 (en) 2012-06-04 2013-10-29 와바다다 주식회사 Remote arrival assistance device for air descent experiance ride
KR101446650B1 (en)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KR101446649B1 (en)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skyline trolley having a brake system
KR101770650B1 (en) 2016-03-16 2017-08-2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The safety system for Zip-li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3071A1 (en) * 2019-02-11 2020-08-12 Castree Projects Limited Stop for a rail
US11654940B2 (en) 2019-02-11 2023-05-23 Castree Projects Limited Stop for a rail
KR102105181B1 (en) * 2019-12-30 2020-04-28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Stopper for Rail
KR102281015B1 (en) 2020-11-09 2021-07-22 한성수 a zip-line trolley
WO2022140835A1 (en) * 2020-12-30 2022-07-07 Skyline Ziplines Holdings Ltd. Trolley launcher system for ziplines
KR20220105570A (en) 2021-01-20 2022-07-27 강병욱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for zip line using rotating tunnel
KR102508660B1 (en) * 2022-07-14 2023-03-09 주식회사 더챌린지 Trolley break apparatus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201B1 (en) The launcher for a zip-line
CZ20021860A3 (en) Catch devic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US20100012424A1 (en) Fall arrester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EP2514486B1 (en) Arresting device for a fall protection system
KR101664565B1 (en) Device for preventing opening of door
US6345849B1 (en) Safety door stopper
US20170114824A1 (en) Rebar snap hook
EP1916173A2 (en) Safety lock for an umbrella stroller
CA2612071C (en) Emergency opening device for an overhead locker with a lowerable shell
US20080093825A1 (en) Safety lock for a baby stroller
EP2714204A2 (en) A safety clamp
EP2944216B1 (en) Automatic buckle
KR20220092996A (en) Side impact protection interlock and safety seat base
US20080104888A1 (en) Locking Mechanism
KR102056911B1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Building
US20040113469A1 (en) Latch indication apparatus for strollers and car seats
DE69813509T2 (en) BUCKLE
DE602004009566T2 (en) Car seat, swiveling between a forward and a forward facing position, with an automatic reset to the front
KR102634035B1 (en) Device for folding emergency seat of bus
KR100897693B1 (en) A door outside handle of a car
DE2330950A1 (en) Safety seat and harness for vehicle - has impact damping coiled spring to absorb force by pivoting and harness for head
US10772289B2 (en) Head gate for a cattle containment chute
KR101144942B1 (en) Handrail for emergency door of railway vehicle
DE4423218C2 (en) Integrable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seat
JP7173553B2 (en) Fall prevention key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