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092B1 -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 Google Patents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092B1
KR101793092B1 KR1020170006032A KR20170006032A KR101793092B1 KR 101793092 B1 KR101793092 B1 KR 101793092B1 KR 1020170006032 A KR1020170006032 A KR 1020170006032A KR 20170006032 A KR20170006032 A KR 20170006032A KR 101793092 B1 KR101793092 B1 KR 10179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frame
cover
li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이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정 filed Critical 이민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덮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내벽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높여 결합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환자의 치조골을 3차원 영상촬영한 3차원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나 CAD/CAM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의 외부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맞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IMPLANT ASSEMBLY TO ENHANCE ALVEOLAR BONE}
본 발명은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치조골을 삭제하지 않고 치조골을 보강하며, 치조골을 덮는 구조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치조골을 삭제하지 않고 치조골을 보강하며, 치조골을 덮는 구조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인공치아를 사람의 치조골에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치과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의 금속재료로 만든 치근을 치아가 없는 잇몸 속의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고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널리 시술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 과정은 전용의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천공한 후 시술공에 픽스쳐(fixture)를 식립하여 치조골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시킨 후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공개특허 제10-2014-0079380호 "뼈 조직의 천공을 충진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의 사용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한편, 도 1은 임플란트(40)가 시술되는 상악(11)과 하악(13)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11)에는 상악동(12)이 양쪽으로 형성된다. 상악동(12)은 상악 구치부 상방의 인체 두개골에 형성된 부비강의 하나로 한 쌍의 공동(空洞)이다. 상악 구치부 치조골(21)은 상악동(12)과 맞닿아 있으므로 치조골(210)의 두께가 얇고 밀도가 낮다.
임플란트(40)가 시술되는 치조골의 두께가 얇고 밀도가 낮으면 임플란트(40)의 픽스쳐(41)가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치조골(21)이 깨지게 되므로 임플란트(40)를 시술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데도 불구하고 임플란트(40)를 상악 구치부 치조골(21)에 시술하는 경우, 임플란트(40)가 상악동(12) 내부로 이탈되어 소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임플란트(40)가 상악동(12) 내부로 이탈되면 수술을 통해 이탈된 임플란트(40)를 제거해야 하므로 환자에게 큰 불편과 고통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도 2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동(12)과 이를 형성하는 막(12a)이 너무 아래로 쳐져 있어 상악동(12)과 치조골(21) 사이에 임플란트(40)를 심을만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악동(12)의 공간에 뼈를 채워 넣어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하도록 상악동거상술을 행하게 된다.
상악동거상술은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의 아래를 뚫고 들어가 기구를 이용하여 상악동(12)을 형성하는 막(12a)을 들어올린 후, 골이식재(30)를 충진하고, 임플란트(40)를 식립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상악동거상술은 수술 자체가 까다로워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는 치과가 많지 않고, 수술을 받더라도 출혈과다, 뼈나 잇몸손상, 통증, 염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환자에게도 위험 부담이 있다.
한편, 안면의 하악(13)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치조신경관(15)이 존재한다. 하치조신경관(15)은 사랑니와 근접해 있거나 붙어 있어 사랑니를 발치하거나 임플란트 시술을 할 때 조심해야 한다. 많은 경우, 하악 치조골의 높이가 임플란트를 시술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하치조신경관(15)이 임플란트(40) 시술시에 손상을 입게 되면 피부조직의 마비가 오고, 입술까지 마비가 오게 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임플란트들은 치조골 내부를 뚫고 들어가 시술을 하게 되는 치근형 임플란트의 형태를 갖는다. 이런 치근형 임플란트들은 시술을 위해 치조골(21)을 천공하고 픽스쳐(41)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해야하는 어려움과 하치조신경관(15)을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골질이 나쁘거나 골의 폭경이나 높이가 부족한 경우에도 치근형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워 임플란트가 아닌 틀니를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조골에 천공을 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어 골질과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안전하게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을 향상시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치조골과 융합되어 치조골의 강도를 보강하고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치조골의 형상에 대응되게 입체적으로 제조되므로 시술이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한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덮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내벽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높여 결합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환자의 치조골을 3차원 영상촬영한 3차원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나 CAD/CAM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의 외부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맞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단면형상에서 상기 구강을 향하는 외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지지축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구조는 반구형상, 십자형상, 도넛형상, 다각형 형상, 계단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의 외벽면에는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잇몸의 치아교정수단에 결합되는 후크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 측에 배치되는 내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외주연은 상기 내부덮개와 고정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외부덮개 사이의 이격공간에도 망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상기 치조골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갈비뼈 형태로 좌우에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로 치조골의 상면에 배치되는 격자프레임과; 상기 격자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경사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 상기 격자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치조골의 외부 이탈을 보조프레임과;상기 메인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상기 격자프레임 및 상기 경사프레임 중 어느하나로부터 상기 치조골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분절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에는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잇몸지지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외면에 결합되어 잇몸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단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프레임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치조골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는 상기 치조골덮개의 하부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와 상기 어버트먼트 및 상기 치아보철물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또는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은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거칠기는 기계적표면처리,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 수산화인회석코팅, 산부식방식, 블래스트방식, 산부식과 블래스트의 조합방식, 양극산화표면방식, 불소처리표면방식, 산화지르코늄 코팅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덮개가 치조골의 상면 또는 하면을 감싸게 결합되고, 골이식재를 충진하여 골융합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밀착돌기를 구비하여,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을 향상시킨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조립체와 치조골과의 결합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벽면에 삽입지지축을 구비하여, 함몰된 치조골 내부로 삽입하여 치조골과 치조골덮개 사이의 골유착을 향상시키고, 기계적인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치조골과 잇몸의 결합을 유도하여 잇몸의 위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을 천공하여 구멍을 뚫고 픽스쳐를 삽입하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치조골의 위치와 골밀도, 골크기, 골 높이 등에 상관없이 치조골덮개를 결합하여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시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위험부담이 크던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도 없고, 하치조 신경관을 건드릴 위험도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3차원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나 CAD/CAM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므로, 본인에게 맞춤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인의 치조골에 맞는 크기로 치조골덮개가 성형되므로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을 치조골에 결합시켜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이 때,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복수개의 바 형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치조골 덮개 프레임의 외면에는 여백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덮개결합축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외에 기성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여백공간을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골이식재를 치조골에 식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치조골 덮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치조골의 이탈을 방지하고, 치조골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보조프레임과 복수개의 보강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잇몸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잇몸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덮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은 안면의 치조골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상악에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하고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가 상악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상악에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가 하악에 시술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치조골 덮개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덮개결합축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덮개결합축과 어버트먼트의 결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어버트먼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치조골덮개 프레임과 치아보철물이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차단덮개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치아가 발치된 영역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치조골 덮개 프레임이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치조골(21)에 시술된 상태를 정면에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치조골(21)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치조골(21)에 시술된 단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치아가 빠지고 임플란트를 시술해야할 곳의 치조골(21)을 천공하여 픽스쳐(도 2의 41)를 고정하지 않고 치조골덮개(110)를 치조골(21)에 감싸듯이 결합하고, 치조골덮개(110)에 치아보철물(140)을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상악동 근처의 상악부분이나, 하치조 신경관(15)신경관 근처의 하악부분, 골질이 나쁘거나 골의 폭경이나 높이가 부족한 경우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채용하여 안전하게 시술받을 수 있다.
특히, 종래 도 2와 본 발명의 도 3을 비교할 때,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 없이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이용해 임플란트를 시술받을 수 있으므로 시술자와 환자 모두 위험 부담 없이 안전하게 수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종래 치조골을 삭제하고 치아 뿌리모양의 임플란트를 심어서 임플란트와 치조골 사이의 골유착으로 힘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부족한 치조골 위에 뼈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어 약해진 치조골을 보강하고, 치조골 내의 중요 구조물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임플란트를 시술해야하는 부분의 치조골(21)을 덮도록 결합되는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덮개(110)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덮개 결합축(120)과, 덮개 결합축(120)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130)와, 어버트먼트(1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140)을 포함한다.
치조골덮개(110)는 치조골(21)의 구강을 향하는 부분을 말의 안장과 같이 덮도록 결합된 덮개본체(111)와,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여 치조골(21)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밀착돌기(112)를 포함한다. 치조골덮개(110)는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골(21)의 하부영역에 결합되고, 하악의 경우에는 치조골(21)의 상부영역에 결합된다.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단면형상에 대해 필요한 만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치조골덮개(11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종래 치조골(21)을 천공하는 방식의 임플란트와 비교할 때 치조골의 강도를 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치조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한 후,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잇몸이 내려가거나 뼈가 녹아내리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시술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악과 하악을 형성하는 치조골(21)은 길이방향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각 영역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치조골(21)의 표면은 돌출된 부분이 있거나, 움푹 파인 함몰 영역이 있을 수 있다(d1≠d2≠d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두께에 상관없이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100)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보다 심미적인 치아 보철물을 만들 수 있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에 결합될 경우, 치조골(21)의 표면은 울퉁불퉁 하지만 덮개본체(111)가 결합된 외부면은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형상에 일치되게 형성되어, 치조골(21)과의 사이에 골이식재(30)가 주입될 공간이 없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과의 사이에 일정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제조되어, 이격공간에 골이식재(30)를 첨가할 수 있다. 이격공간에 충진된 골이식재(30)는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이 서로 융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밀착돌기(112)는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게 된다. 밀착돌기(112)는 덮개본체(111)의 내벽면과 요철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치조골(21)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밀착돌기(112)가 치조골(21)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게 되면, 요철구조에 의해 비어있는 영역이 생긴다. 이렇게 비어있는 영역에 골이식재(30)를 충진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과 골이식재(30)가 밀착돌기(112)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어 덮개본체(111)와 치조골(21) 사이의 결합력과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돌기(112)가 치조골(21)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높이(ℓ1)는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밀착돌기(112)는 접촉지지되는 치조골(21)의 외경의 형상에 대응되게 돌출높이와 형상이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돌기(112)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십자형상, 다각형 형상, 도넛 형상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돌기(112a)는 계단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계단식 밀착돌기(112a)는 수평면과 수직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므로 앞서 설명한 반구형상의 밀착돌기(112)와 비교할 때 수평방향 지지력과 수직방향 지지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식 밀착돌기(112a)가 반구형 밀착돌기(112)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단식 밀착돌기(112a)의 수평방향 폭(ℓ2)와 높이(h1)는 접촉되는 치조골(21)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게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돌기(112)는 덮개본체(111)에 걸쳐 하나의 형상만으로 형성되지 않고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구조가 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반구형, 계단식, 십자형 등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본체(111)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13)을 통해서는 덮개본체(111)를 치조골(2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5)가 삽입될 수 있다. 치조골덮개(110)를 치조골(21)에 덮은 후 결합공(113)이나 치조골덮개(110)외 다른 구멍을 통해 골이식재(30)를 투입한다. 이 때, 고정부재(115)를 삽입하여 치조골(21), 골이식재(30) 및 치조골덮개(1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고정부재(115)는 골이식재(30)가 고정된 후에는 결합공(113)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115)가 분리된 결합공(113)은 골이식재가 충진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치조정부위나 다른 구조물의 식립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덮개본체(111)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지지축(114)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지지축(114)은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서 치조골(21)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치조골(21)의 함몰영역(21a)에 삽입되어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에 결합되도록 지지축 역할을 한다.
삽입지지축(114)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으로부터 함몰영역(21a)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삽입지지축(114)의 길이는 치조골(21)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본체(111)에 형성되는 삽입지지축(114)의 개수는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지지축(114)의 단부에는 치조골(2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고리(114a)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걸림고리(114a)는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ㄱ"자 형상, "T"자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치조골덮개(110c)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치조골덮개(110c)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과 접촉되는 내부덮개(111a)와, 내부덮개(111a)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외부덮개(111b)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내부덮개(111a)와 외부덮개(111b)는 테두리영역은 서로 결합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덮개(111a)는 골이식재의 뼈세포들이 보다 쉽게 달아붙을 수 있도록 다각형의 망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벌집모양 형태의 망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덮개(111b)와 내부덮개(111a) 사이의 이격공간(111c)은 비어있게 형성되어 골이식재를 채울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덮개(111b)와 내부덮개(111a) 사이에는 충진재(111d)가 채워질 수 있다. 충진재(111d)는 벌집과 같은 구조를 갖는 망상형태로 형성되어 골이식재가 달라 붙을 수 있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치조골(21)과 치조골덮개(110)가 보다 빠르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외부덮개(111b)도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어 골이식재가 달아붙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c)의 외부에는 후크연결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연결부(117)는 잇몸 밖으로 연장되어 잇몸 또는 치아교정물(미도시)에 형성된 후크나 버튼 등에 결합되어 치아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후크연결부(117)는 치조골덮개(110c)의 외측 표면에서 잇몸을 뚫고 나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후크연결부(117)의 단부에는 후크나 버튼 등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17a)가 구비된다.
여기서, 치조골덮개(110)는 환자의 치조골(21)을 3차원 영상촬영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조된다. 즉, 치조골덮개(110)는 치조골(21)을 3차원 촬영한 결과에 기초하여 치조골(21)의 외부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설계된다.
설계과정에서, 덮개본체(111), 밀착돌기(112)가 함께 설계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삽입지지축(114), 결합공(113), 후크연결부(117) 등이 일체로 설계된다.
이렇게 환자의 치조골 형상에 맞게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맞춤 제작되므로 환자의 치조골에 보다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고, 시술시 환자의 고통도 줄일 수 있으며 위험부담도 줄일 수 있다.
덮개결합축(120)은 치조골덮개(110)와 어버트먼트(130)가 서로 결합되도록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덮개결합축(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덮개결합축(120)은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치조골덮개(110)와 함께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덮개결합축(120)은 구강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고, 어버트먼트(130)가 결합되는 내부삽입공(121)이 형성된다. 내부삽입공(121)의 내벽면에는 내부나사산(121a)이 형성되어 어버트먼트(130)와 나사결합된다.
덮개결합축(120)이 치조골덮개(1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 임플란트 시술시에 픽스쳐를 치조골에 천공을 하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의 위치와 골의 밀도, 높이, 두께 등을 상관하지 않고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덮개결합축(120)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어버트먼트(130)는 덮개결합축(120) 내에 결합된 후, 치아보철물(140)을 고정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130)와 치아보철물(140)은 공지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120) 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130)가 덮개결합축(12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덮개결합축(120)에 어버트먼트(130)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120a)이 직접 치아보철물(140)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덮개결합축(120a)의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아보철물(140)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덮개결합축(120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덮개결합축(120b)은 덮개본체(111)의 결합창(116)에 결합면(125)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면(125)은 결합창(116)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f)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가 복수개의 덮개본체(111',111")로 분할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치조골(21)의 다양한 형상을 고려할 때, 언더컷의 형상에 의해 치조골덮개(110)가 한번에 치조골(21)에 덮혀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를 사선(X)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덮개본체(111',111")로 분할할 수 있다.
이렇게 덮개본체(111',111")를 분할할 때, 덮개결합축(120)은 어느 한 쪽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제작과정과 시술과정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제조하기 위해, 환자의 치조골(21)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다. CT 등의 3차원 촬영 수단을 이용해 환자의 치조골(21)의 입체적 형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시술할 위치의 치조골(21)에 결합될 치조골덮개(110)의 3차원 형상을 3차원 형상 설계 툴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여기서, 설계자는 치조골(21)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치조골덮개(110)를 설계하거나, 치조골(21)의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로 치조골 덮개(110)를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치조골(21)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 복수개의 밀착돌기(112)의 형상을 설계하여 배치한다.
또한, 치조골덮개(110)에 덮개 결합축(120)을 일체로 고정시킬지,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바에 따라 치조골덮개(110)의 형상을 설계한다.
설계된 치조골덮개(110)의 설계도를 입력하여, 3d 프린터로 치조골덮개(110)를 성형한다. 이 때, 치조골덮개(110)의 재질과 형상(덮개 결합축 일체 성형 여부)을 고려하여 3d 프린터의 종류와 형상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3d 프린터에서 치조골덮개(1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에 대응되는 어버트먼트(130)와 치아보철물(140)을 제조한다.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시술을 위해, 시술자는 환자의 잇몸을 절개하고, 해당 치조골(21)에 치조골덮개(110)를 배치한다. 이 때, 복수개의 밀착돌기(112)가 치조골(21)의 외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 사이의 이격공간에 골이식재(30)를 투입하여 골융합시킨다. 골이식재(30)들은 치조골(21)과 덮개본체(111)의 밀착돌기(112) 사이에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골이식재(30)와 덮개본체(111) 및 치조골(21)의 결합면적이 향상되어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 고정부재(115)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을 보조한다.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이 고정되면, 고정부재(115)를 분리한다. 덮개 결합축(12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바로 어버트먼트(130)를 덮개결합축(120)에 고정하고, 어버트먼트(130)에 치아 보철물(140)을 결합한다.
이렇게 치조골(21)에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시술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가 치조골(21)을 덮는 형태로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200)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치조골덮개(110)가 말안장처럼 치조골(21)의 상면을 덮는 면형태로 형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200)는 복수개의 바 형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으로 형성된다.
도 11의 (a)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은 치조골(2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가로프레임(211)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치조골(21)의 양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복수개의 메인세로프레임(213)을 포함한다.
이 때, 메인가로프레임(211)의 상면에는 어버트먼트(230)가 결합되고, 어버트먼트(230)에는 치아보철물(240, 도12의 (b) 참조)이 결합된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이 직교하게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치조골(21)의 외면 전체를 덮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덮게 된다. 이에 의해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 사이에는 복수개의 여백공간(216)이 형성된다.
이 여백공간(216)을 통해 골이식재(30)을 치조골(21) 내부로 첨가할 수 있다. 골이식재(30)는 여백공간을 통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치조골(21) 사이로 충진되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치조골(21)이 서로 융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여백공간(216)의 크기가 크므로 식립되는 골이식재(30)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여백공간(216)은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기성 임플란트를 시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두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는 환자의 잇몸 높이와 치조골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내벽면에는 밀착돌기(11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단부에는 고정부재결합공(217)이 구비된다. 고정부재(도 4의 115)는 고정부재결합공(217)에 삽입되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치조골(21) 및 골이식재(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고정부재(115)는 골이식재(30)가 고정된 후에 고정부재결합공(217)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부재결합공(217)은 치조골(21)의 표면형상, 높이, 골손실여부 등을 고려하여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결합공(217)은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가운데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판면에 관통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결합단(218)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115)가 결합되는 개수도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치조골(21)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고정부재(115) 외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215)은 골 손실이 우려되는 곳에 위치되어 치조골(21)의 외부손실을 방지한다. 보조프레임(215)은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경우에 따라 사선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215)은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과 동일한 굵기로 형성되거나, 상대적으로 굵기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 및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된 형태는 상하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보조프레임(215)은 치조골 손실이 우려되거나, 치주염에 의해 잇몸 손실이 있는 부분 등에 집중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b)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a)의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a)는 메인가로프레임(211)에 복수개의 메인세로프레임(213a)이 갈비뼈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중앙의 메인가로프레임(211)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메인세로프레임(213a)들은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한 형태로 메인세로프레임(213a)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보조프레임(215)은 치조골(21)의 형상, 표면의 굴곡, 함몰여부 등에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와 도 12의 (b)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210c)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210a)는 치조골(2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211)을 중심으로 메인세로프레임(213)과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되는 형태이다.
반면, 도 12의 (a)에 도시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은 치조골(21)의 상면에 위치되는 도형프레임(212)과, 도형프레임(212)의 양측에 연장되는 가변세로프레임(213a)을 포함한다.
도형프레임(212)은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형프레임(212)은 내부가 관통되어 여백공간(216)을 형성한다. 가변세로프레임(213a)은 도형프레임(212)의 양단에 연장되어 치조골(21)의 양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메인세로프레임(213)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나, 가변세로프레임(213a)은 "ㅅ"자 형태로 형성된다. 도형프레임(212)에는 가변세로프레임(213a) 외에도 메인세로프레임(213)이 결합될 수도 있다.
가변세로프레임(213a)과 도형프레임(212)에는 고정부재결합공(217)과 고정부재결합단(218)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형프레임(212)의 내부, 도형프레임(212)과 가변세로프레임(213a) 사이에는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c)은 도형프레임(212) 대신 도형판(212a)이 구비된다. 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도형판(212a)이 치조골(21)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메인세로프레임(213)이 도형판(212a)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치조골(21)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2의 (a)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210c)은 분절식으로 형성된다. 즉, 이웃하는 복수개의 치아에 모두 임플란트를 시술해야 하는 경우, 해당되는 치아의 개수에 맞게 분절하여 사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210c)에 하나의 도형프레임(212)이 연속되게 형성되거나, 도형판(212a)이 연속되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도형프레임(212)과 도형판(212a)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c)이 분절식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치아가 함께 발치되는 경우, 치조골덮개프레임(210c)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치아보철물(240)이 결합된다. 이 때, 복수개의 치아보철물(240)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릿지(24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덮개결합축(220)과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덮개결합축(220)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덮개결합축(220)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결합판(22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판(225)은 여백공간(216)의 상부에 결합되거나,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메인가로프레임(211) 또는 메인세로프레임(213)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결합판(225)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결합축(220)은 결합판(225)을 관통하여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치조골(21)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a)와 (b)는 덮개결합축(220a,220b)의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220a)의 외부에는 나사산(221)이 형성되고, 어버트먼트(2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버트먼트(230) 내부에는 덮개결합축(220a)의 나사산(221)에 대응되는 나사산(23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결합축(220b)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의 외면이 매끈한 축의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230b)의 축삽입공(231b)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 어버트먼트(230b)가 생략되고, 덮개결합축(220b)에 직접 치아보철물(240)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와 도 16은 어버트먼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어버트먼트(130)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덮개(110)에 덮개결합축(120)을 통해 결합된다.
그러나,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30c)는 덮개결합축 없이 직접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어버트먼트(230c)에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보철물(24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에는 잇몸 내부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이 삽입될 때, 잇몸이 밀리지 않도록 잇몸을 접촉 지지하는 잇몸지지돌기(250)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잇몸지지돌기(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돌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잇몸지지돌기(250)는 잇몸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또는 경사지게 치조골(21)을 향해 연장된 보강프레임(26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260)은 치조골(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이 치조골(21)에 결합되도록 지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260)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강도를 보강하여 안정적으로 치조골(21)에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치조골(21) 내부에 삽입된다.
보강프레임(260)은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각도, 두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230d)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프레임결합부재(23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230d)의 내부에는 체결부재삽입공(233)이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는 어버트먼트결합공(216b)이 관통형성된다.
어버트먼트결합공(216b)에 어버트먼트(230d)의 하부가 삽입 배치되고, 체결부재삽입공(233)을 통해 프레임결합부재(235)가 삽입된다. 프레임결합부재(235)는 어버트먼트(230d)를 관통하여 어버트먼트결합공(216b)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때, 어버트먼트(230d)와 프레임결합부재(235)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내부에 수용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치조골(21) 측으로 일정 길이(h) 돌출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보철물(240a)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결합축(220)과 어버트먼트(230) 없이 치아보철물(240a)가 직접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200)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형상에 의해 표면에 넓은 면적의 여백공간(216)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치조골(21)이 자라는 속도와 잇몸이 자라는 속도가 상이하므로, 잇몸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여백공간(216)을 통해 치조골(21)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여백공간(216)을 커버하여 잇몸이 치조골(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덮개(270)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덮개(270)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되어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구비될 수도 있고,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잇몸을 절개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차단덮개(270)가 비흡수성 재질일 경우, 덮개결합부재(271)이 차단덮개(270)를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결합시킨다.
*도 19는 치아가 발치된 자리에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200)가 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치아(A)와 제3치아(D) 사이에 위치된 제2치아(C)가 발치되면,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된 부분(m)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치주염 등에 의해 치아가 발치된 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있거나 깊이가 깊게 형성되는 경우,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하부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이용해 잇몸과 치조골(21)의 보강을 위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하부부분에 복수개의 보조프레임(215)을 결합하거나, 보강프레임(260)을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보조프레임(215)과 보강프레임(260)을 벌집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솔방울 모양으로 형성하여 골이식재(30)의 이식을 돕고, 치조골(21)과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에는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은 산부식방법 또는 블라스팅 방법에 의해 표면거칠기를 형성할 수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에 형성된 표면거칠기는 골세포 반응을 활성화시켜 치조골과 골이식제의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산부식방법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을 염산이나 황산으로 부식시키는 방법으로, 비교적 고른 배열을 가진 작은 함몰들을 만들 수 있으며, 잔사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블라스팅 방법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에 단단한 강도를 가진 SiC, Al2O3, glass, TiO2 입자 등을 뿌려서 표면을 갉는 방법이다.
한편, 표면거칠기는 상술한 방식 외에도 기계적표면처리,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 수산화인회석코팅, 산부식과 블래스트의 조합방식, 양극산화표면방식, 불소처리표면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적표면처리는 기계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을 깍아 표면거칠기를 형성하는 방식이고,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은 티타늄 금속입자를 플라즈마 토치로 녹인 다음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에 뿌리는 방법이고, 수산화인회석 코팅(HA coating)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에 수산화인회석을 분사시켜 표면거칠기를 만든다.
양극산화표면방식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을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시켜 표면거칠기를 형성시키는 방식이고, 불소처리표면은 산화티타늄 입자를 뿌린 표면을 불소 처리하는 방식이고, 산화지르코늄 코팅방식은 산화지르코늄으로 코팅하거나 또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전체를 산화지르코늄으로 만드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덮개가 치조골의 상면 또는 하면을 감싸게 결합되고, 골이식재를 충진하여 골융합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밀착돌기를 구비하여,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을 향상시킨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조립체와 치조골과의 결합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벽면에 삽입지지축을 구비하여, 함몰된 치조골 내부로 삽입하여 치조골과 치조골덮개 사이의 골유착을 향상시키고, 기계적인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치조골과 잇몸의 결합을 유도하여 잇몸의 위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을 천공하여 구멍을 뚫고 픽스쳐를 삽입하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치조골의 위치와 골밀도, 골크기, 골 높이 등에 상관없이 치조골덮개를 결합하여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시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위험부담이 크던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도 없고, 하치조 신경관을 건드릴 위험도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3차원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 및 CAD/CAM 방식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므로, 본인에게 맞춤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인의 치조골에 맞는 크기로 치조골덮개가 성형되므로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을 치조골에 결합시켜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이 때,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복수개의 바 형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치조골 덮개 프레임의 외면에는 여백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덮개결합축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외에 기성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여백공간을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골이식재를 치조골에 식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치조골 덮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치조골의 이탈을 방지하고, 치조골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보조프레임과 복수개의 보강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잇몸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잇몸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덮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10 : 치조골 덮개 111 : 덮개본체
111a : 내부덮개 111b : 외부덮개
111c : 이격공간 111d : 충진재
112 : 밀착돌기 113 : 결합공
114 : 삽입지지축 114a : 걸림고리
115 : 고정부재 116 : 결합창
117 : 후크연결부 117a : 결합부재
118 : 축삽입공 120 : 덮개 결합축
121 : 내부삽입공 121a : 내부나사산
123 : 외부나사산 130 : 어버트먼트
140 : 치아보철물 200 :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10 : 치조골 덮개 프레임 211 : 메인가로프레임
212 : 도형프레임 212a : 도형판
214 : 경사프레임 213 : 메인세로프레임
213a : 가변세로프레임 215 : 보조프레임
216 : 여백공간 216b : 어버트먼트결합공
217 : 고정부재결합공 218 : 고정부재결합단
219 : 분절프레임 220 : 덮개결합축
221 : 나사산 225 : 결합판
230 : 어버트먼트 231 : 어버트먼트일체결합축
233 : 체결부재삽입공 235 : 프레임결합부재
2353a : 나사산 240 : 치아보철물
250 : 잇몸지지돌기 260 : 보강프레임
270 : 차단덮개

Claims (16)

  1. 치조골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높여 결합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내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치조골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지지축과, 상기 치조골 측에 배치되고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덮개와 고정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치조골덮개는 3차원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 및 CAD/CAM 방식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여 상기 환자의 치조골에 따른 맞춤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구조는 반구형상, 십자형상, 도넛형상, 다각형 형상, 계단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의 외벽면에는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잇몸의 치아교정수단에 결합되는 후크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외부덮개 사이의 이격공간에도 망상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상기 치조골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갈비뼈 형태로 좌우에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로 치조골의 상면에 배치되는 격자프레임과;
    상기 격자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 상기 격자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치조골의 외부 이탈을 보조프레임과;
    상기 메인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상기 격자프레임 및 상기 경사프레임 중 어느하나로부터 상기 치조골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분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에는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잇몸지지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외면에 결합되어 잇몸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단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또는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은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거칠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칠기는 기계적표면처리,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 수산화인회석코팅, 산부식방식, 블래스트방식, 산부식과 블래스트의 조합방식, 양극산화표면방식, 불소처리표면방식, 산화지르코늄 코팅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와 상기 어버트먼트 및 상기 치아보철물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170006032A 2016-06-03 2017-01-13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KR101793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9658 2016-06-03
KR1020160069658 2016-06-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160 Division 2015-10-29 2016-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092B1 true KR101793092B1 (ko) 2017-11-02

Family

ID=6038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032A KR101793092B1 (ko) 2016-06-03 2017-01-13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07A (ko)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2145298B1 (ko) 2019-12-13 2020-08-18 장은수 의료용 차폐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차폐막 어셈블리
WO2020167026A1 (ko) * 2019-02-15 2020-08-20 이대경 치아 이식물 및 시술 가이드
KR20200099998A (ko) * 2019-02-15 2020-08-25 대경 이 치아 이식물 및 시술 가이드
KR102391077B1 (ko) 2021-08-04 2022-04-26 장원석 지지나사 가이드를 갖는 측벽지지 임플란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07A (ko)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WO2020167026A1 (ko) * 2019-02-15 2020-08-20 이대경 치아 이식물 및 시술 가이드
KR20200099998A (ko) * 2019-02-15 2020-08-25 대경 이 치아 이식물 및 시술 가이드
KR102287204B1 (ko) * 2019-02-15 2021-08-06 대경 이 치아 이식물 및 시술 가이드
KR102145298B1 (ko) 2019-12-13 2020-08-18 장은수 의료용 차폐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차폐막 어셈블리
KR102391077B1 (ko) 2021-08-04 2022-04-26 장원석 지지나사 가이드를 갖는 측벽지지 임플란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092B1 (ko)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KR101539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KR1020850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US20110272554A1 (en) Mould for chairside casting of light cured composite (or other dental material) abutments onto mini dental implants
EP3302345B1 (en) Subperiosteal jaw implant
EP2498717A2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10318711A1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CN115089329A (zh) 牙齿修复用愈合组合件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AU2020204936A1 (en) Dental implants,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201552562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JP6649555B2 (ja) 一体型インプラント
KR101699498B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1596A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ES2914200T3 (es) Cubeta de impresión
KR102653126B1 (ko) 치아 수복 방법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20100008774U (ko) 임시의치 제작용 간이 인상 트레이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210028029A (ko) 유지력이 향상된 임플란트용 스마트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