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42B1 -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 Google Patents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42B1
KR101792542B1 KR1020160038043A KR20160038043A KR101792542B1 KR 101792542 B1 KR101792542 B1 KR 101792542B1 KR 1020160038043 A KR1020160038043 A KR 1020160038043A KR 20160038043 A KR20160038043 A KR 20160038043A KR 101792542 B1 KR101792542 B1 KR 10179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image data
data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848A (ko
Inventor
이정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6003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5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손잡이 부분에 배터리 및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 하우징;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수신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식 유선 연결 하우징;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무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원 장착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식 무선 연결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DENTAL THREE-DIMENSIONAL SCANNER HAVING ATTACHABLE MODULE}
본 발명은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한 손잡이 부분에 배터리 및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 등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인상채득(impression taking) 과정을 통해 치아 등 구강 내 조직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환자의 환부에 대한 치료 및 진료를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상채득 과정에서는 재료의 소모 문제 및 교차 감염 등의 문제와 제작된 인상체 또는 석고모형의 파손 가능성 및 보존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 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시트 형상의 필름 또는 디지털 센서를 구강 내로 삽입시켜 환부 근처에 고정한 다음, 엑스레이와 같은 방사선을 구강의 환부에 투사하여 얻어진 2차원의 투과영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3차원적 구조물을 2차원적 평면에 투영 표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에게 많은 양의 방사선 조사를 받게 하고,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과 시행 단계에서의 복잡성 등으로 많은 임상적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치아의 수복, 보철 등의 치과 치료 시 치아 및 구강조직의 형태에 대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구강 내 구조물 등의 입체 형상을 가지는 피사체를 레이저광 등의 측정광으로 촬영하여 피사체의 실제 이미지와 동일한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PC 등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므로, 구강 스캔 수행 중에 환자의 안면에 유선 케이블이 접촉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 콘센트 부근에 장치를 배치해야 하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으며, 사용자가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사용할 때 유선 케이블의 꼬임 등으로 인하여 조작이 불편하며, 치과용 3차원 스캐너와 유선 케이블 간 연결 부분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제품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7677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에서 의사 등이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할 때 유선 케이블로 인하여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통한 작업 시 유선 케이블의 꼬임 등으로 인한 불편을 없애고 치과용 3차원 스캐너와 유선 케이블 간 연결 부분의 마모 등으로 인한 제품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 하우징;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수신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식 유선 연결 하우징;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무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원 장착부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식 무선 연결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연결 하우징은, 상기 몸체 하우징의 장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연결 하우징은, 상기 유선 연결 하우징이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유선 연결 하우징과 상기 몸체 하우징이 결합되는 구조 상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방식은,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하우징은, 상기 유선 연결 하우징 또는 상기 무선 연결 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의 접촉면에 방수용 실링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 및 상기 데이터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유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무선 연결 하우징은, 상기 전원 장착부가 내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손잡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에서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배치하는 경우에 전원 콘센트와의 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공간적인 제약이 적고, 의사 등 사용자가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할 때 유선 케이블이 안면에 접촉되는 등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악 및 하악을 번갈아 스캔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선 케이블의 꼬임 및 치과용 3차원 스캐너와 유선 케이블 간 연결 부분의 마모 등으로 인한 제품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중 몸체 하우징과 유선 연결 하우징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중 몸체 하우징과 무선 연결 하우징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중 몸체 하우징(100)과 유선 연결 하우징(200)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중 몸체 하우징(100)과 무선 연결 하우징(300)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몸체 하우징(100), 광원부(110), 촬상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제1 연결부(150), 반사판(160), 투과창(170), 방수용 실링(180), 유선 연결 하우징(200), 제1 데이터 압축부(210), 유선 연결부(220), 제2 연결부(230), 무선 연결 하우징(300), 제2 데이터 압축부(310), 무선 연결부(320), 전원 장착부(330) 및 제3 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하우징(100)은, 치과 의사 등이 파지 가능한 크기의 구조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내부에 장착하는 장축을 갖는 봉 형의 구조를 기본으로 파지의 편의를 위하여 권총형의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유선 연결 하우징(200)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연결 하우징(300)이 권총형 손잡이 형태인 경우에는 몸체 하우징(100)에 따로 권총형 손잡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때, 몸체 하우징(100)에는, 측정광 및 반사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창(170)이 일단에 형성된다. 몸체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에 광원부(110), 촬상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제1 연결부(150), 반사판(160) 등이 배치된다. 또한, 투과창(170) 및 방수용 실링(180)이 몸체 하우징(100)의 일부로 형성되거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110)는,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의 스캔을 위한 측정광을 생성한다. 이 때, 광원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즉, 제어부(130)에 설정된 출력 위치 및 출력 각도에 따라 측정광을 조사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어된 측정광에 대한 출력 위치 정보 및 출력 각도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출력 위치 정보 및 출력 각도 정보를 참조하여 촬상부(120)의 감지 결과를 처리하게 된다. 한편, 광원부(110)의 배치 구조는 구강 스캐너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광 출력 소자는 소형화에 유리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원부(110)는, 측정광으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촬상부(120)는, 광원부(110)에서 생성된 측정광이 구강 내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여기서, 촬상부(120)의 광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등의 수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는, 촬상부(12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결과를 샘플링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40)로 출력하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제1 연결부(15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몸체 하우징(100)의 프로브 내부에는 광학부(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광원부(110)에서 조사된 측정광을 광학적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측정광을 반사판(160)으로 제공하며, 반사판(160)으로부터 입력된 반사광을 광학적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반사광을 촬상부(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광학부는, 삼각 측량 방식 또는 스테레오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 있어서, 광원부(110)에서 조사된 측정광을 처리하여 구조광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광원부(110)가 구조광 패턴 형식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학부는, 핀홀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핀홀부재는, 공초점(Confocal)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에 의하면, 광학부 내부에 장착된 렌즈(도시되지 않음)에서 집속한 반사광이 핀홀부재에 형성된 핀홀에 결상되는데, 이 때 치과 환자 내 구강 내 구조물이 초점 거리에 맞는 위치를 조금만 벗어나게 되어도 핀홀부재에 형성된 핀홀을 투과한 광의 세기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촬상부(120)는 핀홀부재를 투과한 광의 세기를 감지하여 위치별 치과 환자 내 구강 내 구조물의 높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광학부는, 공초점 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에 장착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광학부가 그 내부에 액체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경우, 제어부(130)가 액체렌즈에 인가하는 전압의 세기 또는 인가 시간을 제어하여 액체렌즈의 초점거리, 즉, 굴절률을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광학부가 그 내부에 반사광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경우, 제어부(130)가 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렌즈를 반사광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30) 또는 제1 연결부(150)로 출력한다.
한편, 제1 연결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제2 연결부(230) 또는 제3 연결부(3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50)는, 제2 연결부(230) 또는 제3 연결부(340)와 대응하는 데이터 취출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Connector)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에 적합한 모든 형태의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160)은, 몸체 하우징(100) 내부 일단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된 측정광을 구강 내 구조물의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촬상부(120) 방향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한편, 방수용 실링(180)은, 방수성 재료로 구성되어, 몸체 하우징(100)에 형성된 오목 구조 내에 설치되어 외부 습기가 몸체 하우징(100) 또는 유선 연결 하우징(200) 및 무선 연결 하우징(30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장치로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측정하는 중에 본 발명의 장치가 습기에 노출될 수 있는 바, 이때 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용 실링(180)을 몸체 하우징(100)의 형성된 오목 구조 내 또는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몸체 하우징(100) 상의 적소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방수용 실링(180)은,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한 유선 연결 하우징(200) 및 무선 연결 하우징(300) 상의 적소에 구비될 수도 있다.
유선 연결 하우징(200)은, 유선 송수신부의 역할을 하는 제1 데이터 압축부(210) 및 유선 연결부(220)와 제2 연결부(230)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몸체 하우징(10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유선 연결 하우징(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하우징(100)에 형성된 오목 구조에 대응하는 볼록 구조가 끼움 방식으로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제1 연결부(150)와 제2 연결부(230) 간에 전기적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한 어떤 결합 및 고정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상술한 결합 및 고정 구조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장치로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측정하는 중에 습기가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시 접촉 면적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데이터 압축부(210)는, 제1 연결부(150)와 제2 연결부(230)를 통하여 제어부(13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유선 연결부(220)로 출력한다. 즉, 제1 데이터 압축부(210)는, 제2 연결부(230)에 연결되어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처리할 수 있다. 한편, 유선 연결부(220)는 무선 연결부(320)와 비교하여 데이터 스트림 양에 제약을 적게 받으므로, 제1 데이터 압축부(210)가 유선 연결 하우징(200) 내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유선 연결부(220)는, 제1 데이터 압축부(210)로부터 입력된 압축 영상 데이터를 유선 데이터 케이블(222)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PC 등 외부 기기에 전송한다. 이때, 유선 연결부(220)는, 전원 케이블(221)을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 받아 몸체 하우징(100) 및 유선 연결 하우징(200) 내 구성요소들이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도 아울러 수행한다.
한편, 제2 연결부(230)는, 제1 연결부(1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압축부(2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연결부(230)는, 제1 연결부(150)와 대응하는 데이터 취출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에 적합한 모든 형태의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연결 하우징(300)은, 무선 송수신부의 역할을 하는 제2 데이터 압축부(310) 및 무선 연결부(320)와 전원 장착부(330) 및 제3 연결부(340)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몸체 하우징(10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연결 하우징(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하우징(100)에 형성된 오목 구조에 대응하는 볼록 구조가 끼움 방식으로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제1 연결부(150)와 제3 연결부(340) 간에 전기적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한 어떤 결합 및 고정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한편, 제2 데이터 압축부(310)는, 제1 연결부(150)와 제3 연결부(340)를 통하여 제어부(13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연결부(320)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연결부(320)는, 제2 데이터 압축부(310)로부터 입력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방식 무선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PC 등 외부 기기에 전송한다. 즉, 제2 데이터 압축부(310)는, 제3 연결부(340)에 연결되어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처리할 수 있다. 즉, 무선 연결부(320)는 유선 연결부(220)와 비교하여 전송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 양에 제약을 많이 받는 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선 연결부(320)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안테나는 사용자가 무선 연결 하우징(300)을 잡을 때 손으로 가려지지 않는 부분, 예를 들면, 도 2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제3 연결부(34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원 장착부(330)는, 내부에 배터리(331)가 장착되어 몸체 하우징(100) 및 무선 연결 하우징(300) 내 구성요소들이 작동되도록 하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고용량의 배터리를 요구하는 장치이므로, 리튬 이온 배터리 등 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무선 연결 하우징(300)에 충전용 단자(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31)의 무게에 의한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이기 위하여, 전원 장착부(330)는 무선 연결 하우징(300) 내 손으로 잡히는 손잡이 부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연결부(340)는, 제1 연결부(15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압축부(3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3 연결부(340)는, 제1 연결부(150)와 대응하는 데이터 취출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에 적합한 모든 형태의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별도의 유선 연결 하우징(200)을 구비하지 않고, 몸체 하우징(100) 내에 유선 통신 기능을 내장하며, 무선 연결 하우징(300)을 몸체 하우징(100)의 장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권총형 구조를 만들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연결 하우징(300)이 결합되는 경우, 몸체 하우징(100)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몸체 하우징
110: 광원부
120: 촬상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제1 연결부
160: 반사판
170: 투과창
180: 방수용 실링
200: 유선 연결 하우징
210: 제1 데이터 압축부
220: 유선 연결부
230: 제2 연결부
300: 무선 연결 하우징
310: 제2 데이터 압축부
320: 무선 연결부
330: 전원 장착부
340: 제3 연결부

Claims (8)

  1.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패턴을 갖는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된 몸체 하우징;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식 유선 연결 하우징;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무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식 무선 연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연결 하우징은, 상기 몸체 하우징의 장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하우징은, 상기 유선 연결 하우징이 상기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상기 유선 연결 하우징과 상기 몸체 하우징이 결합되는 구조 상에 결합되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방식은, 블루투스, 지그비 및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인 착탈식 모듈을 갖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 및
    상기 데이터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유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부; 및
    상기 데이터 압축부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20160038043A 2016-03-30 2016-03-30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79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43A KR101792542B1 (ko) 2016-03-30 2016-03-30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43A KR101792542B1 (ko) 2016-03-30 2016-03-30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48A KR20170111848A (ko) 2017-10-12
KR101792542B1 true KR101792542B1 (ko) 2017-11-02

Family

ID=6014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43A KR101792542B1 (ko) 2016-03-30 2016-03-30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641B1 (ko) * 2018-08-07 2021-06-21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CN215273484U (zh) * 2018-08-07 2021-12-24 株式会社美迪特 三维口腔扫描仪用手柄
KR102370017B1 (ko) * 2019-12-26 2022-03-04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444195B1 (ko) * 2020-08-24 2022-09-19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스캐너 디바이스, 동작 방법, 및 그 동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601144B1 (ko) * 2021-01-18 2023-11-10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너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1890B1 (ko) * 2021-02-01 2021-12-20 전승현 구강 스캐너
KR102607618B1 (ko) * 2021-05-20 2023-11-29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3d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 시스템
KR102607619B1 (ko) * 2021-05-20 2023-11-29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3d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 시스템
KR102607617B1 (ko) * 2021-05-20 2023-11-29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3d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 시스템
KR102591225B1 (ko) 2021-06-21 2023-10-19 주식회사 메디트 내부 구조가 개선된 핸드헬드 스캐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553A1 (en) * 2002-06-07 2003-12-11 Schick Technologies, Inc. Wireless dental camera
US20040038169A1 (en) * 2002-08-22 2004-02-26 Stan Mandelkern Intra-oral camera coupled directly and independently to a computer
US20130203010A1 (en) * 2012-02-07 2013-08-08 Jean-Marc Inglese Intraoral camera for dental chai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553A1 (en) * 2002-06-07 2003-12-11 Schick Technologies, Inc. Wireless dental camera
US20040038169A1 (en) * 2002-08-22 2004-02-26 Stan Mandelkern Intra-oral camera coupled directly and independently to a computer
US20130203010A1 (en) * 2012-02-07 2013-08-08 Jean-Marc Inglese Intraoral camera for dental chai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48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542B1 (ko)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US9655517B2 (en) Portable eye imaging apparatus
KR101977181B1 (ko) 치과용 구강스캐너 시스템
KR102665958B1 (ko) 구강 내 스캐닝 장치, 상기 장치 및 스캐너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10226164B2 (en) Dental scanner device
US8520925B2 (en) Device for taking three-dimensional and temporal optical imprints in color
JP4813898B2 (ja) 口腔内撮影用デジタルカメラ
US20160073877A1 (en) Eye imaging apparatus and systems
JP2019517864A (ja) 統合されたカメラを有する歯科ミラー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WO2011118839A1 (ja) 歯科用補綴物計測加工システム
US20120122051A1 (en) Dental Device with Hand-held Instrument and Light Source
US11589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near infrared-based diagnostic images of teeth
KR101832753B1 (ko) 모델 스캔 겸용 구강 스캔 장치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KR101583547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US20230190109A1 (en) Intraoral scanner
KR101699250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740334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EP3851073A1 (en) Cap, image capturing device, data generation system, and data generation method
KR101853101B1 (ko) 구강검진·헬스케어클린을 갖는 스마트 oct 장치 및 방법
KR200433619Y1 (ko)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치과용 핸드피스
KR101241374B1 (ko) 치과 진료용 거울
JP677436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筺体から着脱可能である先端部材
WO2015174741A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WO2023012792A1 (en) Intraoral sc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