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887B1 -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887B1
KR101791887B1 KR1020160063083A KR20160063083A KR101791887B1 KR 101791887 B1 KR101791887 B1 KR 101791887B1 KR 1020160063083 A KR1020160063083 A KR 1020160063083A KR 20160063083 A KR20160063083 A KR 20160063083A KR 101791887 B1 KR101791887 B1 KR 10179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qwerty
input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794A (ko
Inventor
허영일
Original Assignee
허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일 filed Critical 허영일
Priority to KR102016006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영문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자동 표시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된 경우 한글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표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강제로 영문 입력으로 처리하고,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한글 입력으로 처리한다.

Description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Key Input Interfa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영문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자동 표시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된 경우 한글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표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강제로 영문 입력으로 처리하고,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한글 입력으로 처리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별도의 물리적 키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형태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키 입력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3*4 키 버튼 매트릭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 구성과 동일한 쿼티 자판 구성도 지원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분야가 확산됨에 따라 반드시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예를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금융거래 중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그 대표적이 사례이다. 이 경우 자판 구성을 자동으로 영문 자판으로 전환하여 화면에 표시한 후 영문 알파벳을 입력하면 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상기 입력되는 영문 알파벳을 한글 자음/모음의 조합 형태로 입력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상기 영문 자판으로는 상기 한글 자음/모음 조합 형태의 영문 알파벳 입력이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에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영문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자동 표시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된 경우 한글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표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강제로 영문 입력으로 처리하고,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한글 입력으로 처리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영문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자동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된 경우 한글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표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강제로 영문 입력으로 처리하고,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한글 입력으로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된 경우 쿼티 기반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을 동적 산출하여 강제 전환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동안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을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자동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 표시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표시되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표시된 경우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터치한 키 버튼 좌표 값을 입력 처리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된 경우에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동안 상기 강제 전환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터치한 키 버튼 좌표 값을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터치한 키 버튼 좌표 값으로 강제 입력 처리하고, 상기 강제 전환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터치한 키 버튼 좌표 값을 입력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쿼티 기반 자판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세로 터치스크린 표시 상태를 근거로 상기 쿼티 기반 자판이 표시될 터치스크린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터치스크린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기반 자판 구성에 대응되어 각 행 별로 지정된 개수의 키 버튼과 동적 결정되는 개수의 단위 공백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행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키 버튼의 배열 순서는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키 버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백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일렬로 배열되는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강제 전환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동안 상기 강제 전환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을 쿼티 기반 영문 자판에 대응하는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으로 처리하여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터치한 키 버튼 좌표 값을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터치한 키 버튼 좌표 값으로 강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화면 상에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이 처리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비밀번호 입력모드 상태에서 화면에 표시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자동 입력 처리하기 위한 키 변환 테이블을 유지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커 버튼 좌표 값을 한글 자음/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의 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하는 중에, 화면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어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설정되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 설정 확인 시, 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하는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 상태에서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사용자에 의해 커 버튼 좌표 값을 한글 자음/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표시되는지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강제 전환 표시된 경우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자동 입력 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있어서, 쿼티 기반 자판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세로 화면 표시 상태를 근거로 상기 쿼티 기반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기반 자판 구성에 대응되어 각 행 별로 지정된 개수의 키 버튼과 동적 결정되는 개수의 단위 공백을 상기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행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키 버튼의 배열 순서는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키 버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백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일렬로 배열되는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화면에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값을 한글 자음/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하고, 상기 화면에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표시된 경우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판 입력 값을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문자 변환 없이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자동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쿼티 기반 한글 자판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세로 화면 표시 상태를 근거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기반 자판 구성에 대응되어 각 행 별로 지정된 개수의 키 버튼과 동적 결정되는 개수의 단위 공백을 상기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행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키 버튼의 배열 순서는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키 버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백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일렬로 배열되는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경우에 쉬프트 키 버튼을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판 입력 값을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문자 변환 없이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쉬프트 키 버튼 좌표 값과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커 버튼 좌표 값을 영문 대문자 알파벳에 대응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자동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화면 상에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이 처리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 구성의 한글 자음/모음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 구성의 영문 알파벳을 일대일 매칭시킨 키 변환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경우에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 자판 입력 값을 상기 키 변환 테이블에 대응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쿼티 한글 자판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세로 화면 표시 상태를 근거로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되어 각 행 별로 지정된 개수의 키 버튼과 동적 결정되는 개수의 단위 공백을 상기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행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부여된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키 버튼의 배열 순서는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키 버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백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일렬로 배열되는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 구성은, ‘ㅂ’, ‘ㅈ’, ‘ㄷ’, ‘ㄱ’, ‘ㅅ’의 한글 자음과 ‘ㅛ’, ‘ㅕ’, ‘ㅑ’, ‘ㅐ’, ‘ㅔ’의 한글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쉬프트(Shift) 키가 입력된 상태에서 ‘ㅃ’, ‘ㅉ’, ‘ㄸ’, ‘ㄲ’, ‘ㅆ’의 한글 복자음과 ‘ㅒ’, ‘ㅖ’의 한글 복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적어도 10개 이상(m≥10)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 행 한글 키 버튼 배열과, ‘ㅁ’, ‘ㄴ’, ‘ㅇ’, ‘ㄹ’, ‘ㅎ’의 한글 자음과 ‘ㅗ’, ‘ㅓ’, ‘ㅏ’, ‘ㅣ’의 한글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적어도 9개 이상(m≥9)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2 행 한글 키 버튼 배열과, ‘ㅋ’, ‘ㅌ’, ‘ㅊ’, ‘ㅍ’의 한글 자음과 ‘ㅠ’, ‘ㅜ’, ‘ㅡ’의 한글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적어도 7개 이상(m≥7)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3 행 한글 키 버튼 배열로 이루어진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행 별로 동적 결정되는 단위 공백의 개수는, 각 행 별로 같은 개수이거나, 또는 각 행 별로 다른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 구성은, 쉬프트 키 버튼을 화면 일정 영역에 더 표시하며,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표시된 행의 한글 키 버튼 배열은 상기 쉬프트 키 버튼 좌표 값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 구성은, 쉬프트 키 버튼을 화면 일정 영역에 더 표시하며,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ㅂ’, ‘ㅈ’, ‘ㄷ’, ‘ㄱ’, ‘ㅅ’의 한글 자음을 ‘ㅃ’, ‘ㅉ’, ‘ㄸ’, ‘ㄲ’, ‘ㅆ’의 한글 복자음으로 대체하여 표시하고, ‘ㅐ’, ‘ㅔ’의 한글 모음을 복자음과 ‘ㅒ’, ‘ㅖ’의 한글 복모음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 구성은, 쉬프트 키 버튼을 화면 일정 영역에 더 표시하며,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근거로 한글 자음/모음과 일대일 매칭된 영문 알파벳의 대문자를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화면 상에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이 처리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 구성의 한글 자음/모음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 구성의 영문 알파벳을 일대일 매칭시킨 키 변환 테이블을 유지하는 테이블 유지부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되는지 확인하는 자판 모드 확인부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경우에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 자판 입력 값을 상기 키 변환 테이블에 대응되는 영문 자판 입력 값으로 결정하는 입력 값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있어서, 쿼티 한글 자판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세로 화면 표시 상태를 근거로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화면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되어 각 행 별로 지정된 개수의 키 버튼과 동적 결정되는 개수의 단위 공백을 상기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는 너비 값 결정부와 상기 각 행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식별자를 근거로 상기 키 버튼의 배열 순서는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키 버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백을 삽입하여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는 배열 순서 산출부 및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일렬로 배열되는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는 좌표 값 결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동작 중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경우에 쿼티 한글 자판을 표시한 후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을 영문 알파벳으로 자동 대체하여 입력 처리함으로써, 한글 자음/모음 조합 형태의 영문 알파벳을 편리하게 입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의 배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쿼티 자판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 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스마트폰(100)의 애플리케이션 동작 중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경우에 쿼티(QWERTY) 기반 한글 자판을 표시한 후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을 영문 알파벳으로 자동 대체하여 입력 처리하는 프로그램 모듈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스마트폰(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에 도시된 스마트폰(100) 구성은 현재/향후 출시되는 스마트폰(100)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3)와 화면 출력부(102)와 키 입력부(103)와 사운드 출력부(104)와 사운드 입력부(105)와 카메라부(105)와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과 위치 측위모듈(112)과 USIM 리더부(107) 및 USIM(108)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9)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 구성부를 본 도면1의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도면1에 도시된 프로그램 모듈은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되는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3)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상기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04)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105)는 상기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1)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10)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07)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 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108)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07)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 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 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입출력(I/O)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점을 통해 상기 USIM 리더부(107)와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IC칩 메모리는 상기 IC칩의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보안모듈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고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코드(=애플릿)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 별 저장영역(예컨대, SD(Security Domai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IM(108)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발급사(예컨대, 신용카드사, 은행, 선불카드 발급사 등)에서 상기 스마트폰(100)의 사용자에게 발급한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전자통장, 고객계좌, 선불카드 등)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정보와, 상기 결제수단을 운영하는 애플릿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112)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1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각 행 별로 m개의 한글 키 버튼에 쿼티(QWERTY) 기반 한글 자음/모음을 배열한 3개의 각 행 별 한글 키 버튼 배열을 포함하는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을 유지하는 한글 자판 유지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은 쿼티 한글 자판 구성 테이블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에 선언문 형태로 유지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을 유지하는 실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한글 자판 유지부(115)는 ‘ㅂ’, ‘ㅈ’, ‘ㄷ’, ‘ㄱ’, ‘ㅅ’의 한글 자음과 ‘ㅛ’, ‘ㅕ’, ‘ㅑ’, ‘ㅐ’, ‘ㅔ’의 한글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쉬프트(Shift) 키가 입력된 상태에서 ‘ㅃ’, ‘ㅉ’, ‘ㄸ’, ‘ㄲ’, ‘ㅆ’의 한글 복자음과 ‘ㅒ’, ‘ㅖ’의 한글 복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적어도 10개 이상(m≥10)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 행 한글 키 버튼 배열과, ‘ㅁ’, ’ㄴ’, ‘ㅇ’, ‘ㄹ’, ‘ㅎ’의 한글 자음과 ‘ㅗ’, ‘ㅓ’, ‘ㅏ’, ‘ㅣ’의 한글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적어도 9개 이상(m≥9)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2 행 한글 키 버튼 배열과, ‘ㅋ’, ‘ㅌ’, ‘ㅊ’, ‘ㅍ’의 한글 자음과 ‘ㅠ’, ‘ㅜ’, ‘ㅡ’의 한글 모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적어도 7개 이상(m≥7)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3 행 한글 키 버튼 배열로 이루어진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을 유지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3개의 각 행 별 한글 키 버튼 배열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과 영문 알파벳을 일대일 매칭시킨 키 변환 테이블을 구성하여 유지하는 테이블 유지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부(113)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에 선언문 형태로 유지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유지하는 실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테이블 유지부(120)는 쿼티 한글 자판의 한글 자음/모음 배열 순서와 쿼티 영문 자판의 영문 알파벳 배열 순서를 일대일 매칭시켜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한글 자음/모음이 쿼티 영문 자판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영문 소문자 알파벳과 매칭되도록 키 변환 테이블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유지부(120)는 쉬프트(Shift) 키가 눌려진 상태에서 입력되는 한글 자음/모음과 복자음/복모음이 쿼티 영문 자판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영문 대문자 알파벳과 매칭되도록 키 변환 테이블을 구성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자판 모드 확인부(125)와, 상기 쿼티 한글 자판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을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는 좌표 값 결정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쿼티 한글 자판 표시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중 어느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포함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과 각 행 별 n(n≥1)개의 단위 공백을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는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는 너비 값 결정부(130)와, 각 행 별로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각 행 별 (m+n)개의 식별자를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는 배열 순서 산출부(135)를 더 구비하며, 이 때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상기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m+n)개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한다.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폰(100)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하는 스마트폰(100)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키 입력 상태가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는 상기 스마트폰(100)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된다면,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는 상기 한글 자판 유지부(115)에 의해 유지된 쿼티 한글 자판을 화면에 표시하여 키 버튼 좌표 값을 입력 받되,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을 영문 알파벳으로 자동 대체하여 최종 입력 값으로 결정되도록 처리하는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입력 모드는 스마트폰(100) 상에 실제 존재하는 입력 모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을 한글아 아닌 영문으로 대체하는 키 입력 동작 상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면,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따라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을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는데,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에 의해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중 어느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에 대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고,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에 따라 3개의 각 행 별로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배열하는 순서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상기 산출된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3개의 각 행 별로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배열하는 좌표 값을 결정한다.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한다. 예를들면,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가로 방향으로 화면 UI를 표시하는지, 또는 세로 방향으로 화면 UI를 표시하는지에 따라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한다. 만약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상기 스마트폰(100) 화면의 어느 한 방향으로만 표시하도록 고정된 경우,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어느 한 방향에 대한 화면 너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너비 값은 각 행 별로 쿼티 자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키(예컨대, 탭 키, Caps Lock 키, 쉬프트 키, CTRL 키, ALT 키 등)와 기호 키(예컨대, ‘[‘, ‘{’, ‘}’, ‘]’, ‘;’, ‘:’, ‘‘’, ‘“’, ‘,’, ‘<’, ‘.’, ‘>’, ‘/’, ‘?’ 등)에 대응하는 키 버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너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이 결정되면,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포함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사이에 표시할 각 행 별 단위 공백의 개수 ‘n(n≥1)’을 결정하고,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포함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과 각 행 별 n(n≥1)개의 단위 공백을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는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각 행 별 단위 공백의 개수 ‘n’은 3개의 각 행이 같은 개수이거나, 또는 각 행 별로 다른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행 별로 “(m*키 버튼 너비 값)+(n*단위 공백 너비 값)”에 의해 산출되는 값은 상기 화면 너비 값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만약 상기 각 행 별 단위 공백의 개수가 고정된 경우,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단위 공백의 개수를 유지하는 매체(예컨대, 메모리부(113), 또는 프로그램 코드 상의 선언문, 변수 초기 값)로부터 상기 고정된 단위 공백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위 공백 너비 값이 고정된 경우,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단위 공백 너비 값을 유지하는 매체로부터 상기 고정된 단위 공백 너비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 공백 너비 값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단위 공백 개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m*키 버튼 너비 값)+(n*단위 공백 너비 값)”이 상기 화면 너비 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에서 상기 단위 공백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이 결정되면,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각 행 별로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상의 변수 또는 배열)를 부여하고, 상기 각 행 별로 부여된 (m+n)개의 식별자를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순열 값을 산출하며, 상기 순열 값은 각 행 별로 제각기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프로그램 코드 상에서 (m+n)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배열을 할당하고, 난수 생성기를 통해 생성되는 난수 값을 상기 배열에 중복되지 않게 대입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각 행 별 (m+n)개의 식별자를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각 행 별 (m+n)개의 식별자를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이 산출되면,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m+n)개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일렬로 배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을 화면 상에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각 키 버튼 사이에 동일한 단위 공백 너비 값에 대응하는 동일한 개수의 단위 공백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을 화면 상에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영문 자판이 표시되는 경우에도 상기 쿼티 영문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에 의해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중 어느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쿼티 영문 자판에 대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고,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상기 결정된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에 따라 3개의 각 행 별로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배열하는 순서를 산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상기 산출된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3개의 각 행 별로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배열하는 좌표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상기 키 변환 테이블에 연결하는 좌표 값 연결부(145)와, 상기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하는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을 표시하는 쿼티 자판 표시부(150)와,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 중 키 입력되는 한글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버튼 좌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키 변환 테이블로부터 상기 확인된 키 버튼 좌표 값과 연결된 한글 자음/모음과 일대일 매칭된 영문 알파벳을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으로 결정하는 입력 값 결정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3개의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을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이 결정되면, 상기 좌표 값 연결부(145)는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의 배열 순서와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의 한글 자음/모음의 배열 순서를 매칭시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 중 어느 하나의 키 버튼 좌표 값이 상기 키 변환 테이블 상에 유지된 어느 하나의 쿼티 한글 자판 자음/모음과 매칭되도록 연결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 중 어느 하나의 키 버튼 좌표 값에 대한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키 입력된 키 버튼 좌표 값과 매칭되는 어느 하나의 쿼티 한글 자판 자음/모음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좌표 값 연결부(145)는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상기 영문 알파벳에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반면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는 경우,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과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의 한글 자음/모음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출력부(102)를 통해 스마트폰(100) 화면 상에 상기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하는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을 표시한다.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쉬프트 키 버튼을 화면 일정 영역에 더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표시된 행의 한글 키 버튼 배열은 상기 쉬프트 키 버튼 좌표 값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화면 일정 영역에 표시된 경우,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입력된 상태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ㅂ’, ‘ㅈ’, ‘ㄷ’, ‘ㄱ’, ‘ㅅ’의 한글 자음을 ‘ㅃ’, ‘ㅉ’, ‘ㄸ’, ‘ㄲ’, ‘ㅆ’의 한글 복자음으로 대체하여 표시하고, ‘ㅐ’, ‘ㅔ’의 한글 모음을 복자음과 ‘ㅒ’, ‘ㅖ’의 한글 복모음으로 대체하여 표시한다.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하는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이 표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0) 화면을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이 표시된 영역에서 발생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상기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이 표시된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다면,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 중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한글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버튼 좌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키 변환 테이블로부터 상기 확인된 키 버튼 좌표 값과 연결된 한글 자음/모음과 일대일 매칭된 영문 알파벳을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으로 결정한다.
만약 상기 스마트폰(100) 화면 일정 영역에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 중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한글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버튼 좌표 값이 확인되면,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키 변환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쉬프트 키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입력된 한글 자음/모음과 일대일 매칭된 영문 알파벳의 대문자를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에 의해 결정된 영문 알파벳은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표시하도록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의 키 입력 값으로 사용된다.
만약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에 의해 활성화된 입력 모드가 영문 알파벳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경우,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상기 쉬프트 키를 표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쉬프트 키의 입력 상태에 따라 한글 자음/모음을 영문 알파벳의 대/소문자로 구분하여 최종 입력 값으로 결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영문 자판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쿼티 영문 자판을 표시하는데, 만약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 배열 순서 산출부(135) 및 좌표 값 결정부(140)에 의해 상기 3개의 각 행 별로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배열하는 좌표 값이 결정된 상태라면,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를 통해 스마트폰(100) 화면 상에 상기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하는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쿼티 영문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입력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의 배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의 어느 한 행에 대한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이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을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예를들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프로그램 모듈이 C언어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a[m+n]’와 같은 배열 변수를 선언하고, 배열 ‘a[0]’부터 배열 ‘a[m-1]’까지는 상기 m개의 키 버튼의 식별자로 정의하고, 배열 ‘a[m]’부터 배열 ‘a[m+n-1]’까지는 상기 n개의 단위 공백의 식별자로 정의한 후, 상기 배열 ‘a[0]’부터 ‘a[m+n-1]’까지 중복되지 않는 난수 값을 대입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을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배열 순서를 산출한다. 본 도면2의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상기 m개의 키 버튼에 대응하는 ‘a[0]=1’이 할당되고, ‘a[2]=5’가 할당되고, ‘a[3]=8’이 할당되며, 상기 n개의 단위 공백에 대응하는 ‘a[m]=0’이 할당되고, ‘a[m+1]=2’가 할당되고, ‘a[m+2]=3’이 할당되는 형태로 상기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을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배열 순서를 산출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쿼티 자판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을 표시하거나, 또는 쿼티 영문 자판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쿼티 자판 표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한글 자판 유지부(115)는 각 행 별로 m개의 한글 키 버튼에 쿼티(QWERTY) 기반 한글 자음/모음을 배열한 3개의 각 행 별 한글 키 버튼 배열을 포함하는 쿼티 한글 자판 구성을 유지하고(300), 상기 테이블 유지부(120)는 상기 3개의 각 행 별 한글 키 버튼 배열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과 영문 알파벳을 일대일 매칭시킨 키 변환 테이블을 구성하여 유지하며(305),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는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한다(310).
만약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지 않는다면(315),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는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영문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하며(320), 만약 상기 쿼티 영문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면(325),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쿼티 영문 자판의 각 행 별로 m개의 키 버튼을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하고(330),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따라 쿼티 영문 자판 UI(User Interface)을 표시한다(335). 만약 상기 쿼티 영문 자판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쿼티 영문 자판이 입력되면(340),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입력된 키 버튼 좌표 값에 대응하는 영문 알파벳을 입력 값으로 결정하고(345),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350),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 코드)으로 상기 입력 값을 전달한다.
반면 상기 영문 키 입력 값이 필요한 상태에서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되도록 요청되면(315), 상기 너비 값 결정부(130)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표시될 화면 너비 값 내에서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포함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과 각 행 별 n개의 단위 공백을 화면 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는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결정하고(355), 상기 배열 순서 산출부(135)는 각 행 별로 m개의 키 버튼과 n개의 단위 공백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각 행 별 (m+n)개의 식별자를 임의대로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순열 값을 산출하고(360), 상기 좌표 값 결정부(140)는 상기 키 버튼 너비 값과 단위 공백 너비 값을 근거로 상기 산출된 각 행 별 순열 값에 따라 각 행 별로 (m+n)개의 키 버튼과 단위 공백을 일렬로 배열하는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결정한다(365).
만약 상기 키 버튼 좌표 값이 결정되면(370), 상기 좌표 값 연결부(145)는 상기 결정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을 상기 키 변환 테이블에 연결하고(380), 상기 쿼티 자판 표시부(150)는 상기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상기 쿼티 한글 자판 구성에 대응하는 각 행 별 m개의 한글 키 버튼을 표시하는 쿼티 한글 자판 UI를 표시한다(38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 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키 변환 테이블과 연결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한글 키 버튼을 표시한 쿼티 한글 자판 UI가 표시된 경우,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 버튼 좌표 값과 연결된 한글 자음/모음과 매칭된 영문 알파벳을 입력 값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입력 값 결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키 변환 테이블과 연결된 각 행 별 m개의 키 버튼 좌표 값에 한글 키 버튼을 표시한 쿼티 한글 자판 UI가 표시되면,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 UI를 통해 한글 자판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400).
만약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입력되지 않으면(405), 상기 자판 모드 확인부(125)는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쿼티 영문 자판으로 교체하도록 요청되는지 확인하며(410), 만약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을 쿼티 영문 자판으로 교체되도록 요청되면(415),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쿼티 영문 자판을 표시하고, 상기 쿼티 영문 자판에 대응하는 입력 값을 입력 받는다.
반면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이 입력되면(405),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입력된 한글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버튼 좌표 값을 확인하고(420), 상기 키 변환 테이블로부터 상기 확인된 키 버튼 좌표 값과 연결된 한글 자음/모음과 일대일 매칭된 영문 알파벳을 상기 쿼티 한글 자판의 입력 값으로 결정하며(425),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430), 상기 입력 값 결정부(155)는 상기 입력된 입력 값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 코드)으로 상기 입력 값을 전달한다.
115 : 한글 자판 유지부 120 : 테이블 유지부
125 : 자판 모드 확인부 130 : 너비 값 결정부
135 : 배열 순서 산출부 140 : 좌표 값 결정부
145 : 좌표 값 연결부 150 : 쿼티 자판 표시부
155 : 입력 값 결정부

Claims (4)

  1. 터치스크린에 쿼티(QWERTY) 기반의 한글 자판과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표시하여 쿼티 기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키 입력 인터페이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영문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을 자동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이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상태에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 요청된 경우 한글 입력을 위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표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강제로 영문 입력으로 처리하고,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한글 입력으로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쿼티 기반 한글 자판으로 강제 전환된 경우 쿼티 기반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을 동적 산출하여 강제 전환된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에 캐럿이 할당된 동안 상기 쿼티 기반 한글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을 쿼티 기반 영문 자판의 각 행 별 키 버튼 좌표 영역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삭제
KR1020160063083A 2016-05-23 2016-05-23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79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83A KR101791887B1 (ko) 2016-05-23 2016-05-23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83A KR101791887B1 (ko) 2016-05-23 2016-05-23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52308A Division KR20150044872A (ko) 2015-04-14 2015-04-14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94A KR20160065794A (ko) 2016-06-09
KR101791887B1 true KR101791887B1 (ko) 2017-10-31

Family

ID=5613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083A KR101791887B1 (ko) 2016-05-23 2016-05-23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8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94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5960B2 (en)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US7443316B2 (en)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100109920A1 (en) Security - input key shuffle
EP1934688A2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device
CN104024988A (zh) 用于用户认证数据的受保护的输入的系统和方法
JP2006195599A (ja) セキュリティを確保した決済対応アプリケーション
JP2006318497A (ja) 外部機器から入力されたデータの処理が可能な携帯用情報機器及びその方法
CN100437443C (zh) 用于数据输入的方法和系统
KR101791887B1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53044A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KR20150044872A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US868229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59671A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0700136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characters therein
CN105787735A (zh) 一种支付处理的方法、装置以及终端
KR101074457B1 (ko)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101768030B1 (ko) 보안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1686631B1 (ko) 스마트 보안 데이터 저장 장치
US2022026979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0881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redictive wor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455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1622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060098736A (ko) 은행 보안카드 정보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은행 보안카드 정보 처리 방법
KR100251581B1 (ko) 디지탈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